KR200461951Y1 - 북 - Google Pa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951Y1
KR200461951Y1 KR2020100004148U KR20100004148U KR200461951Y1 KR 200461951 Y1 KR200461951 Y1 KR 200461951Y1 KR 2020100004148 U KR2020100004148 U KR 2020100004148U KR 20100004148 U KR20100004148 U KR 20100004148U KR 200461951 Y1 KR200461951 Y1 KR 2004619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branch pipe
tightening
plate
r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1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125U (ko
Inventor
고종찬
안경미
Original Assignee
안경미
고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경미, 고종찬 filed Critical 안경미
Priority to KR20201000041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951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1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1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9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9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01General design of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2700/00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Making driving belts; Machines for splitting intestines
    • C14B2700/07Leather tensioning or stretching frames; Stretching-machines; Setting-out boards; Pasting boards; Fastening devices; Drying of leath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 형상의 종이로 구성된 지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울림판을 밀착시키고, 지관의 몸체 외측면에 결합된 복수개의 조임장치로 울림판의 테를 각각 당겨 소리를 조율하는 구성으로써, 무게가 가볍고, 다양한 크기 및 종류의 울림판에 적용 가능한 북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북은, 종이로 형성되고, 상면 또는 하면이 개구된 파이프 형상의 지관(200); 상기 지관(2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위치하며, 면상의 울림판재(110)와, 상기 울림판재(110)에 의해 밀봉되는 링(ring)형상의 테(120)를 가지는 울림판(100); 및 상기 지관(200)의 몸체(210) 외측면에 결합되는 지지부(310), 상기 울림판(100)의 테(120)를 가압하는 걸림쇠(330), 상기 지지부(310)와 상기 걸림쇠(330)를 결합시키는 조임부(320)가 구비되어서, 상기 울림판을 상기 지관에 밀착시키고 상기 울림판의 장력을 결정하는 조임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북{Drum}
본 고안은 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 형상의 종이로 구성된 지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울림판을 밀착시키고, 지관의 몸체 외측면에 결합된 복수개의 조임장치로 울림판의 테를 각각 당겨 소리를 조율하는 구성으로써, 무게가 가볍고, 다양한 크기 및 종류의 울림판에 적용 가능한 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북은 내부가 중공된 형태의 나무재질 몸통 단부에 가죽판을 대고, 가죽판을 가죽 등으로 된 로프로 이어 단단하게 조이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로프가 늘어나거나 가죽의 특성상 습기의 영향을 받아 음이 달라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661976호 '북의 가죽 조임장치'와 한국등록특허 제10-0828662호 '북의 조율장치'가 있으며, 이를 각각 도 5와 도 6에 예시도로서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종래기술 제10-0661976호는 가죽판(15)의 둘레를 감싸는 형상의 조임링(10)과, 조임링(10)의 외측에 구비된 조임구멍(11)으로 조임나사(12)가 관통하고, 나무재질 몸통(13)에 부착된 조임뭉치(14)에 조임나사(12)가 결합되어 당겨지는 방식으로 가죽판(15)의 장력을 조절하였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종래기술 제10-0828662호는 일정간격으로 조임구멍이 뚫린 사각 파이프를 절곡하여 링 형상의 고정구(21)를 제작하고, 고정구(21)를 가죽(22)으로 감싼 후 박음질 하여 가죽판(20)을 만듦으로써, 나무재질 몸통(23)에 부착된 조임뭉치(24)에 위 가죽판(20)의 고정구(21) 조임구멍을 관통한 조임나사(25)가 결합되어 당겨지는 방식으로 가죽판(20)의 장력을 조절하여 북소리의 조율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 제10-0661976호는 조임링이 가죽판의 둘레에 맞게 제작되어야 하므로 크기가 다른 가죽판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고, 종래기술 제10-0828662호는 가죽으로 고정구를 감싼 후 박음질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가죽판을 만듦으로써 전용의 가죽판만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전술한 종래기술들은 조임링 및 고정구에 형성된 조임구멍의 위치가 미리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몸통에 부착되는 조임뭉치의 위치를 위 조임구멍의 위치에 정확히 맞추지 않으면 조임뭉치가 본체로부터 틀어져 견고히 부착되지 않거나, 조임나사가 원활히 조여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술한 종래기술들은 조임뭉치를 목재용나사 등으로 본체에 고정하는데, 조임뭉치의 고장 또는 파손 등으로 부득이하게 조임뭉치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 나무의 특성상 한번 나사가 들어갔던 자리에는 다시 나사를 체결한다 하더라도 바로 헐거워지기 때문에 조임뭉치가 본체에 견고히 재부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술한 종래기술들은 소나무등의 원목의 내부를 파내는 방법으로 제작을 하고 있으나, 이 때문에 무게가 무거워 바퀴가 달린 받침대를 이용하여 밀고 다녀야 했으며, 원목에 나사를 삽입하여 당겨지고 있는 상태에서 진동이 계속되면 건조한 상태에서는 나뭇결 방향으로 본체에 금이 가는 문제가 있었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파이프 형상의 종이로 구성된 지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울림판을 밀착시키고, 지관의 몸체 외측면에 결합된 복수개의 조임장치로 울림판의 테를 각각 당겨 소리를 조율하는 구성으로써, 무게가 가볍고, 다양한 크기 및 종류의 울림판에 적용 가능한 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북은, 종이로 형성되고, 상면 또는 하면이 개구된 파이프 형상의 지관(200); 상기 지관(2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위치하며, 면상의 울림판재(110)와, 상기 울림판재(110)에 의해 밀봉되는 링(ring)형상의 테(120)를 가지는 울림판(100); 및 상기 지관(200)의 몸체(210) 외측면에 결합되는 지지부(310), 상기 울림판(100)의 테(120)를 가압하는 걸림쇠(330), 상기 지지부(310)와 상기 걸림쇠(330)를 결합시키는 조임부(320)가 구비되어서, 상기 울림판을 상기 지관에 밀착시키고 상기 울림판의 장력을 결정하는 조임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북은, 나무재질 대신 종이를 사용한 지관으로 구성됨으로써 무게가 가볍고 따라서 이동이 용이하며, 재활용 종이를 사용함으로써 자연을 보호하고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지관의 몸체 외측면에 공연의 특성에 맞는 이미지를 프린팅하여 부착함으로써 공연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북은, 조임장치의 걸림쇠를 울림판의 테 어느 곳에나 걸어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조임장치의 지지부 위치를 결정하고 견고히 체결하는데 용이하며, 나사 방식이 아닌 볼트와 너트의 체결방식에 의해 결합하므로 몸체에 무리를 주지 않고, 조임장치가 망가져 교체를 해야 하는 경우에도 견고하게 재결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북은, 여러가지 종류 및 크기의 울림판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므로 울림판만을 교체하여 공연의 특성에 따라 음색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음을 내는 여러개의 북을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북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북의 요부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북의 상세도.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쇠의 예시도.
도 5 는 종래기술의 예시도.
도 6 은 종래기술의 예시도.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북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북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북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북의 상세도이며,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쇠의 예시도이다.
한편, 도 5 는 종래기술의 예시도이고, 도 6 은 종래기술의 예시도이다.
본 고안의 북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울림판(100), 지관(200), 조임장치(3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술한 울림판(100), 지관(200) 및 조임장치(3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울림판(100)은 지관(200)의 상부 또는 지관(200)의 상부 또는 상하부에 위치하며, 조임장치(300)에 의해 지관(200)에 밀착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울림판(100)은 울림판재(110)의 둘레에 링(Ring) 형상의 테(120)를 대어 감싸 박음질 또는 본드접합 등의 밀봉수단으로 마무리하여 제작된다. 울림판재(110)는 통상 소, 말, 개, 노루가죽 등의 천연가죽을 가공하여 만들어내지만, 인조가죽 또는 합성섬유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테(120)는 통상적으로 울림판(100)을 만들 때 형상 유지를 위해 내입되는 마감재이며 울림판재(110)를 사이에 두고 조임장치(300)의 걸림쇠(330)가 걸리게 되거나 또는 직접 조임장치(300)의 걸림쇠(330)에 걸리게 된다.
지관(200)은 북의 몸통을 구성하며, 단부가 울림판(100)으로 덮히는 형태로 조임장치(300)에 의해 울림판(100)과 밀착되어서, 울림판(100)에서 발생된 소리를 울리는 역할을 한다.
지관(200)은 원통형의 몸체(210) 둘레면에 조임장치(300)가 부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볼트구멍(220)이 형성되며, 몸체(210) 외측면에는 조임장치(300)의 지지부(310)가, 몸체(210)의 내측면에는 와셔(315)와 너트(316)가 각각 구비되어서, 몸체(210) 외측으로부터 볼트구멍(220)으로 관통 삽입되는 볼트(317)에 의해 체결된다. 그러나, 볼트(317)가 몸체(210)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관통 삽입되고 몸체(210) 외측에 와셔(315) 및 너트(316)가 구비되어 체결될 수도 있으며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체결 방식이면 어느것이든 가능함은 물론이다.
지관(200)은 종이에 접착제 등을 바른 후 내부가 중공되도록 종이를 롤(Roll)형태로 감아 접합하는 방식으로 제작되는데, 길이가 서로 다른 여러장의 종이를 접합면이 서로 어긋나도록 길이순서대로 배치하여 접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지관(200)의 길이방향 양끝단에는 지관(200)의 형상을 유지하고, 지관(200)이 헤지는 것을 방지하며, 지관(200)이 울림판(100)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감부(2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마감부(230)는 지관(200)의 길이방향 양 끝단 둘레면을 금속판 등으로 둘러싼 후 압착하여 성형되거나, 또는 지관(200)의 길이방향 양 끝단부를 에폭시 수지 또는 이에 등가하는 고분자 화합물 수지에 침수시켜 코팅(Coating) 성형될 수도 있다.
한편, 지관(200)은 공연의 특성을 잘 표현할 수 있도록 몸체(210) 외측면에 특정 이미지를 프린팅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
조임장치(300)는 지관(200)의 몸체(210) 외측면에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결합되어서, 울림판(100)을 당겨 지관(200)과 울림판(100)을 밀착시키고 울림판(100)의 장력을 조절한다.
조임장치(300)는 지지부(310), 조임부(320), 걸림쇠(330)로 구성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부(310)는 지관(200)의 몸체(210) 외측면에 밀착되면서 지관(200)의 몸체(210) 둘레면에 형성된 볼트구멍(220)과 상통하도록 복수개의 볼트구멍(314)이 형성된 판형의 받침(311)과, 받침(311)으로부터 연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내부에 조임너트(322)를 수용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판형의 가이드(312)와, 지관(200)의 몸체(210) 내측에 구비되는 와셔(315) 및 너트(316), 지관(200)의 몸체(210) 외측면으로부터 삽입 체결되는 볼트(317)로 이루어지며, 이중 가이드(312)에는 조임너트(322)의 돌기(323)가 안내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31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와셔(315)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와셔(315)를 도시하였으나, 지관(200)의 외형을 보다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지관(200)의 내측에 구비되는 너트(316)와 지관(200)의 몸체(210) 사이에 지관(200)의 내측 둘레면과 밀착되도록 된 띠형의 유지링(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지관(200) 교체시 유지링(미도시)은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지관(200)과 분리형으로 이루어진다.
조임부(320)는 조임볼트(321)와 조임너트(322)로 이루어지며, 조임너트(322)는 둘레면에서 중공된 누운 원기둥형의 형태로서 지지부(310)의 가이드(312)에 삽입되며, 가이드(312)의 가이드홈(313)에 안내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양 원단면에 돌기(323)가 형성된다. 조임너트(322)는 사각, 육각 등 다각형의 형상이어도 무방하며, 측면에 돌출된 돌기가 가이드(312)의 가이드홈(313)에 안내되어 회동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것이든 가능함은 물론이다. 조임볼트(321)는 걸림쇠(330)의 통공(333)을 지나 조임너트(322)에 결합되어 걸림쇠(330)를 당길 수 있도록 머리가 걸림쇠(330)의 통공(333)보다 크며 몸통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걸림쇠(330)는 판형으로 제작되는데, 일단에 조임볼트(321)의 몸통이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공(333)이 형성되며, 타단에 울림판(100)의 테(120)가 걸쳐질 수 있도록 절곡부(332)가 연장 형성된다. 걸림쇠(330)의 절곡부(33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공(333)이 형성된 판(331)으로부터 상부로 절곡된 아치형상을 도시하였으나, 도 4(a)에서와 같이 통공(333)이 형성된 판(331)으로부터 하부로 만곡된 형상 역시 가능하며, 울림판(100)의 테(120)를 감싸 당길 수 있는 구조이면 모두 가능하므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걸림쇠(330)의 절곡부(332)는 걸림쇠(330)가 울림판(100)의 테(120)를 누를 때 울림판(100)이 손상을 입지 않도록 절곡부(332)의 끝부분을 둥글게 라운드처리할 수 있으며, 또는 도4(b)와 같이 절곡부(332)의 끝부분을 다시 역방향으로 절곡하여 에스(S)자 형태로 만들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조임장치(300)의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지지부(310)가 지관(200)의 몸체(210)에 결합된 상태로 조임볼트(321)가 걸림쇠(330)를 통과하여 조임너트(322)에 결합된다. 이후 조임너트(322)의 돌기(323)가 지지부(310)의 가이드홈(313)에 안착되도록 한 후 걸림쇠(330)를 울림판(100)의 테(120)에 걸고 조임볼트(321)를 조여 울림판(100)이 당겨지도록 하는데, 이때 복수개의 조임장치(300)가 서로 균형을 이루도록 번갈아가며 조인다.
따라서 본 고안의 북은, 나무재질 대신 종이를 사용한 지관(200)으로 구성됨으로써 무게가 가볍고 이동이 용이하며, 재활용 종이를 사용함으로써 자연을 보호하고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지관(200)의 몸체(210) 외측면에 공연의 특성에 맞는 이미지를 프린팅하여 부착함으로써 공연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북은, 조임장치(300)의 걸림쇠(330)를 울림판(100)의 테(120) 어느 곳에나 걸어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조임장치(300)의 지지부(310) 위치를 결정하고 견고히 체결하는데 용이하며, 나사 방식이 아닌 볼트와 너트의 체결방식에 의해 결합하므로 몸체에 무리를 주지 않고, 조임장치(300)가 망가져 교체를 해야 하는 경우에도 견고하게 재결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북은, 여러가지 종류 및 크기의 울림판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므로 울림판만을 교체하여 공연의 특성에 따라 음색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음을 내는 여러개의 북을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100 : 울림판 110 : 울림판재
120 : 테 200 : 지관
210 : 몸체 230 : 마감부
300 : 조임장치 310 : 지지부
311 : 받침 312 : 가이드
313 : 가이드홈 320 : 조임부
321 : 조임볼트 322 : 조임너트
330 : 걸림쇠

Claims (5)

  1. 종이로 형성되고, 상면 또는 하면이 개구된 파이프 형상의 지관(200);
    상기 지관(2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위치하며, 면상의 울림판재(110)와, 상기 울림판재(110)에 의해 밀봉되는 링(ring)형상의 테(120)를 가지는 울림판(100); 및
    상기 지관(200)의 몸체(210) 외측면에 결합되는 지지부(310), 상기 울림판(100)의 테(120)를 가압하는 걸림쇠(330), 상기 지지부(310)와 상기 걸림쇠(330)를 결합시키는 조임부(320)가 구비되어서, 상기 울림판을 상기 지관에 밀착시키고 상기 울림판의 장력을 결정하는 조임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조임장치(300)는, 복수개의 볼트구멍이 형성된 판형의 받침(311)과, 상기 받침(311)으로부터 연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한 쌍으로 이루어진 판형의 가이드(312), 상기 가이드(312)에 형성되는 가이드홈(3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지부(310);
    일단에 통공(333)이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울림판(100)의 상기 테(120)가 걸쳐질 수 있도록 절곡부(332)가 연장형성된 걸림쇠(330);
    상기 지지부(310)의 상기 가이드(312)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312)의 가이드홈(313)에 안내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양 측면에 돌기(323)가 형성된 조임너트(322)와, 상기 걸림쇠(330)의 통공(333)을 지나 상기 조임너트(322)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쇠(330)를 당길 수 있도록 머리가 상기 걸림쇠(330)의 통공(333)보다 크며 몸통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임볼트(3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임부(3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200)은, 내부가 중공되도록 종이를 롤(Roll) 형태로 감아 접합된 것 또는 길이가 서로 다른 복수의 종이를 접합면이 서로 어긋나도록 접합된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200)은, 길이방향 양끝단 둘레면을 감싸도록 덧댄 마감부(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330)와 상기 테(120)의 사이에 상기 울림판재(110)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
KR2020100004148U 2010-04-20 2010-04-20 KR2004619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148U KR200461951Y1 (ko) 2010-04-20 2010-04-2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148U KR200461951Y1 (ko) 2010-04-20 2010-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125U KR20110010125U (ko) 2011-10-26
KR200461951Y1 true KR200461951Y1 (ko) 2012-08-16

Family

ID=72887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148U KR200461951Y1 (ko) 2010-04-20 2010-04-20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9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877Y1 (ko) * 2013-11-11 2014-10-23 최영아 폴리에틸렌 통을 이용한 난타용 북
KR101838918B1 (ko) * 2016-02-02 2018-04-26 강전호 타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578B1 (ko) * 2013-06-04 2020-11-03 고종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963Y1 (ko) 2007-04-17 2008-09-24 백은종 전통 북
JP2009524115A (ja) 2006-01-19 2009-06-25 ロジャース、トーマス、ピー 反発が向上されたドラムヘッドアセンブリ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4115A (ja) 2006-01-19 2009-06-25 ロジャース、トーマス、ピー 反発が向上されたドラムヘッドアセンブリ
KR200441963Y1 (ko) 2007-04-17 2008-09-24 백은종 전통 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877Y1 (ko) * 2013-11-11 2014-10-23 최영아 폴리에틸렌 통을 이용한 난타용 북
KR101838918B1 (ko) * 2016-02-02 2018-04-26 강전호 타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125U (ko)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3595B1 (en) Cord fastener for sports nets
US6299125B1 (en) Tree support apparatus
KR200461951Y1 (ko)
US4741531A (en) Stringing system for a racket and method for stringing a racket
US9938062B1 (en) Elastic tie and methods of using and manufacturing the same
US4738050A (en) Plant and tree support clamp and system
KR200482166Y1 (ko) 타프 폴대 체결구
KR20140094591A (ko) 물품의 표면 고정을 위한 결속체
KR20060102915A (ko) 케이블 고정장치
US20060201060A1 (en) System for attaching objects to vertically elongated structures
KR101200663B1 (ko) 길이조절 가능한 수목 지지 장치
CN100354016C (zh) 用于空间框架的空间网的绳索拉紧装置
MXPA03010905A (es) Aparato tensor y parche de tambor.
KR200441963Y1 (ko) 전통 북
US5245729A (en) Flexible line fastener device
US20060016317A1 (en) String tuning device
KR102173578B1 (ko)
US20160074731A1 (en) Tree climbing device
US4570933A (en) Racket with knotting blocks for mounting strings
US20020148342A1 (en) Machine head for guitar
US5170536A (en) Tensioner and barb for wire fence
US7685684B1 (en) Line attachment system
KR101389271B1 (ko) 와이어 펜스 고정장치
KR102268918B1 (ko) 천막 고정 장치
DE3529355C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