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877Y1 - 폴리에틸렌 통을 이용한 난타용 북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 통을 이용한 난타용 북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4877Y1 KR200474877Y1 KR2020130009232U KR20130009232U KR200474877Y1 KR 200474877 Y1 KR200474877 Y1 KR 200474877Y1 KR 2020130009232 U KR2020130009232 U KR 2020130009232U KR 20130009232 U KR20130009232 U KR 20130009232U KR 200474877 Y1 KR200474877 Y1 KR 20047487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ethylene
- lid
- hoop
- holes
-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01—General design of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02—Drums; Tambourines with drumhea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되는 뚜껑을 구비한 불투명 단색의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통; 상기 뚜껑이 제거된 상기 PE통의 상부에 배치되며 타격 대상이 되는 투명한 재질의 상부 북피; 상기 상부 북피를 상기 폴리에틸렌 통에 고정되도록 상기 상부 북피의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며 상기 폴리에틸렌 통의 상부에 결합되는 링 형상으로,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며 홀(hole)이 형성된 복수개의 브라켓을 가진 상부 후프; 상기 상부 후프의 고정 수단; 및 상기 뚜껑을 상기 폴리에틸렌 통의 저면에 고정시키는 뚜껑 고정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후프의 고정 수단은 상기 폴리에틸렌 통의 상부 외주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러그(lug); 상기 브라켓의 홀을 통과하면서 상기 러그에 조여짐으로써 상기 상부 후프가 하부로 향하게 하여 상기 상부 북피의 텐션을 조정하는 복수개의 텐션로드(tension lod);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통을 이용한 난타용 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범용 용기인 폴리에틸렌 통에 불투명 또는 투명 북피를 씌워서 타악기인 난타용 북을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난타는 한국 전통 가락인 사물놀이 리듬을 소재로 주방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코믹하게 그린 뮤지컬 퍼포먼스이다. 이 작품은 대사 없이 리듬과 비트, 상황만으로 구성된 대표적인 한국형 뮤지컬 퍼포먼스이다.
난타의 매력은 흔한 주방 용품인 칼·도마·냄비·프라이팬·접시 등의 모든 재료들을 이용하여 강렬한 전통리듬을 만들어 내는데 있다. 일상의 도구와 소품을 두드려 소리를 내는 파워풀한 연주는 색다른 볼거리이다.
난타는 일상의 재료들을 이용하여 공연하는 것으로 여러 가지 재료를 개조하여 연주 수단을 제조하는 다양성이 요구된다. 특별히, 난타북은 난타 공연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연주 도구로서 여러 가지 용기가 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난타의 주요 악기인 난타용 북은 타악기로서 주로 청각적 효과를 강조할 수 있도록 구성되지만, 화려한 무대의 조명이 있는 상황 하의 난타 공연에서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난타용 북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고안은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 통을 이용한 난타용 북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분리되는 뚜껑을 구비한 불투명 단색의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통; 상기 뚜껑이 제거된 상기 PE통의 상부에 배치되며 타격 대상이 되는 투명한 재질의 상부 북피; 상기 상부 북피를 상기 폴리에틸렌 통에 고정되도록 상기 상부 북피의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며 상기 폴리에틸렌 통의 상부에 결합되는 링 형상으로,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며 홀(hole)이 형성된 복수개의 브라켓을 가진 상부 후프; 상기 상부 후프의 고정 수단; 및 상기 뚜껑을 상기 폴리에틸렌 통의 저면에 고정시키는 뚜껑 고정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후프의 고정 수단은 상기 폴리에틸렌 통의 상부 외주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러그(lug); 상기 브라켓의 홀을 통과하면서 상기 러그에 조여짐으로써 상기 상부 후프가 하부로 향하게 하여 상기 상부 북피의 텐션을 조정하는 복수개의 텐션로드(tension lod);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틸렌 통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북피를 투과시키는 빛을 방사하는 복수개의 LED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자인 패턴을 포함하여 상기 폴리에틸렌 통의 외부 표면에 접착되는 시트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시트지는 야광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을 야광 시트지로 감싼 한쌍의 북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북채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후프의 턱을 넘치지 않게 채운 물과 상기 상부 북피를 동시에 타격함으로써 튀어 오른 물방울이 상기 LED 조명장치에서 방사되는 빛의 색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 고정 수단은 상기 뚜껑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홀; 상기 폴리에틸렌 통의 하부 외주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끈 고정부; 상기 홀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하부 고리; 상기 하부 고리와 상기 복수개의 끈 조정부를 지그 재그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뚜껑이 상기 폴리에틸렌 통의 저면에 밀착 지지되도록 하는 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 통을 이용한 난타용 북에 의하면, 타악기인 난타용 북이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관객들의 흥미와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 통을 이용한 난타용 북에 따르면, LED에서 방사된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피를 부착하여 시각적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난타용 북의 공명통인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통의 예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 통을 이용한 난타용 북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 통을 이용한 난타용 북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도 3 의 실시예에서 상부 북피를 고정시키는 상부 후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 통을 이용한 난타용 북의 연주되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 통의 상부 후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는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 통을 이용한 난타용 북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는 바퀴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 통을 이용한 난타용 북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 통을 이용한 난타용 북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도 3 의 실시예에서 상부 북피를 고정시키는 상부 후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 통을 이용한 난타용 북의 연주되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 통의 상부 후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는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 통을 이용한 난타용 북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는 바퀴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의 난타용 북이란 대사 없이 리듬과 비트, 상황만으로 구성된 대표적인 한국형 뮤지컬 퍼포먼스인 난타에 이용될 수 있는 타악기를 칭한다.
본 고안에서의 폴리에틸렌 통(PE : Polyethylene)은 화공 약품을 담거나 젓갈 같은 것을 담기 위한 용기로서 일명 플라스틱 드럼 또는 플라스틱 항아리로 불려지며 시중에서 흔하게 구할 수 있는 용기이다. 본 고안에서 난타북의 공명통으로 이용되는 PE통은 자동차 범퍼와 같은 재질로서 뚜껑을 구비하고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난타용 북의 공명통인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통의 예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 에 도시된 PE통은 뚜껑(10,30)을 구비하고 있으며, 뚜껑(10,30)은 난타북의 저면에 부착되고, 뚜껑이 제거된 상부에 북피를 씌워 소리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특징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공명통으로 활용되는 PE통은 파란색(도 1(a)) 또는 검정색(도 1(b))의 단색으로 이루어진 불투명 통이다.
본 고안의 PE 통을 이용한 난타북은 PE통(110) 용기의 표면에 사용자가 원하는 단체명이나 단체마크의 일정한 디자인 패턴을 포함하는 시트지(122)를 접착시킬 수 있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 통을 이용한 난타용 북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PE통(110)의 뚜껑이 제거된 상부에 상부 북피(140)를 씌워 공명통을 만들고,상부 북피(140)를 두드려 소리를 만든다.
상부 북피(140)는 소가죽 외피 등의 불투명 피를 이용할 수 있다. 상부 북피(140)는 말, 개, 노루가죽 등의 천연가죽을 가공하여 제작함이 좋고, 필요에 따라 인조가죽 혹은 합성섬유 등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상부 북피(140)는 투명한 피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드럼피와 같은 투명피를 상부 북피(140)로 이용할 수 있다. 도 2 의 실시예는 불투명한 가죽피를 상부 북피(140)로 채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 의 실시예는 드럼피와 같은 투명한 피를 상부 북피(140)로 채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난타용 북은 북피 고정 수단(160)을 포함하며, 북피 고정 수단(160)은 상부 지지링(150), 상부 고리(162), 하부 고리(164), 부전(166) 및 끈(168)을 포함하며, 상부 북피(140) 및 뚜껑(130)에 개재되어 상부 북피(140)와 뚜껑(130)을 팽팽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부 지지링(150)은 상부 북피(140)의 하면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상부 북피(140)의 가장자리 부분이 둘레를 감싸며 결합되어 상부 북피(140)를 팽팽하게 지지한다.
상부 지지링(150)은 PE통(110)의 상부 직경보다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부 북피(140)의 둘레가 고정 지지된다.
상부 고리(162)는 복수개를 포함하여 상부 지지링(150)과 중첩된 상부 북피(140)의 상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부 북피(140)를 하부로 잡아당김으로써 상부 북피(140)가 PE통(110)의 상부에 팽팽한 상태로 밀착 지지되도록 한다.
하부 고리(164)는 복수개를 포함하여 뚜껑(130) 테두리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뚜껑을 상부로 잡아당김으로써 뚜껑(130)이 PE통(110)의 저면에 밀착 지지되도록 한다.
부전(166)은 복수개를 포함하여 상부 고리(162)와 하부 고리(164) 사이에 배치된다. 부전(166)은 끈(168)을 따라 상하로 움직여 소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끈(168)은 부전(166) 각각을 경유하여 상부 고리(162)와 하부 고리(164)를 지그 재그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상부 북피(140)와 뚜껑(130)이 서로 팽팽한 상태로 당겨지게 고정한다.
난타용 북의 PE통(110)의 표면에는 로고나 단체명들의 디자인 패턴을 포함하는 시트지(122)가 접착될 수 있다. 시트지(122)는 빛을 반사시키거나 빛을 흡수하는 영역으로 나누어 형성되어 조명이 있거나 없는 경우에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 통을 이용한 난타용 북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의 실시예는 상부 북피(140)가 투명한 피로 구성된 것으로 상부 북피(140)를 PE통(110)에 밀착시키기 위한 북피 고정 수단 및 뚜껑을 PE통(110)의 저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뚜껑 고정 수단이 도 2와 다르다.
분리되는 뚜껑(130)을 구비한 불투명 단색의 PE통(110)을 이용하여 난타용 북을 만드는 것은 도 2 의 실시예와 같다.
상부 북피(140)는 뚜껑(130)이 제거된 PE통(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타격 대상이 되는 투명한 재질이다. 상부 북피(140)를 투명한 재질로 함으로써 PE통(110)의 내부에 배치된 LED 조명장치(미도시)로부터 방사된 빛을 투과시켜 통에서 빛이 발산되는 것처럼 보이게 구성된다.
도 3의 실시예는 도 2와 달리 소정 높이의 턱을 가진 링 형상의 상부 후프(hoop)(161)를 포함하고, 상부 후프(161)를 이용하여 상부 북피(140)를 PE통(110)에 밀착 고정시킨다. 상부 후프(161)는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며 홀(hole)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브라켓(167)이 구비된다.
도 3의 실시예는 도 2 의 실시예의 북피 고정수단 대신에 상부 후프의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상부 후프의 고정 수단은 상부후프(161), 러그(lug;163), 텐션로드(tension lod;165)를 포함한다.
러그(163)는 PE 통(110)의 상부 외주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복수개를 포함한다.
텐션로드(165)는 복수개를 포함하며 러그(163)의 개수와 동일하다. 텐션로드(165)는 상부 후프(161)에 구비된 브라켓(167)의 홀을 통과하면서 러그(163)에 조여짐으로써 상부후프(161)가 하부로 향하게 하여 상부 북피(140)의 텐션을 조정한다.
본 고안은 PE통(110)의 뚜껑(130)을 PE 통(110)의 저면에 고정시키는 뚜껑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 고정 수단은 뚜껑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홀과 홀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하부 고리(133), PE 통(110)의 하부 외주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끈 고정부(135) 및 하부 고리(133)와 끈 조정부(135)를 지그 재그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뚜껑(130)이 PE통(110)의 저면에 밀착 지지되도록 하는 끈(137)을 포함한다.
끈 고정부(135)는 고리모양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크모양 등 여러 가지 모양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4 는 도 3 의 실시예에서 상부 북피를 고정시키는 상부 후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부 후프(161)의 고정 수단은 러그(163), 텐션로드(165)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상부 후프(161)는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후프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부 후프(161)의 재질도 금속이 아닌 목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부 후프(161)의 고정 수단은 PE 통(110)의 하부 외주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러그(163)를 포함한다. 러그(163)는 텐션로드(165)와 맞물리는 너트 형태이다.
텐션 로드(165)는 상부 후프(161)에 구비된 브라켓(167)의 홀을 통과하면서 러그(163)에 조여짐으로써 상부 후프(161)가 하부로 향하게 하여 상부 북피(140)의 텐션을 조정한다. 텐션 로드(165)는 후프에 걸리고 러그(163)에 조여지는 나사 형태이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 통을 이용한 난타용 북의 연주되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고안의 PE통(110)을 이용한 난타용 북은 타악기인 난타용 북에 시각적 효과를 더하기 위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 한가지 특징이다.
본 고안의 PE통(110)에는 투명한 상부 북피(140)를 투과하는 빛을 방사하는 복수개의 복수개의 LED 조명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LED 조명장치는 PE통(110)의 투명한 상부 북피(140)를 투과하여 퍼지는 특정 색의 빛을 방사하여 무대 조명이 아웃(out)된 경우에 관객의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ED 조명장치는 진동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진동센서는 상기 상부 북피(140)의 타격 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를 감지하여 LED 조명장치에 구비된 제어부로 감지 정보를 전송하고, 감지 정보를 받은 제어부는 LED 조명의 발광 색상 및/또는 발광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난타북은 표면을 야광 시트지로 감싼 한쌍의 북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야광 시트지로 감싼 북채를 이용하여 상부 후프(161)의 턱을 넘치지 않게 채운 물과 투명한 상부 북피(140)를 동시에 타격함으로써 튀어 오른 물방울이 LED 조명장치에서 방사되는 빛의 색에 따라 달라지는 퍼포먼스 효과를 낼 수 있다.
도 5 는 LED 조명 장치의 색에 따라 투명한 상부 북피(140) 위로 튀어 오른 물방울과 야광 시트지로 감싼 북채의 움직임이 특이한 형상의 퍼포먼스를 보여준다.
도 5(a) 내지 도 5(d)의 사진은 각각 PE통(110)에 설치된 LED 조명 장치의 색에 따라 튀어 오른 물방울이 파란색, 분홍색, 옅은 분홍색, 주황색을 나타내면서 야광 시트지로 감싼 북채가 동일한 색으로 빛나는 것을 보여준다.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 통의 상부 후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서의 상부 후프는 상부 북피(140)를 PE통(110)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고안에서의 소리 조절은 러그(163)에 조여지는 텐션 로드(165)의 조임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부 북피(140)의 텐션(tension)을 조절하여 수행된다.
도 4 에 도시된 상부 후프(167)는 별도의 브라켓(167)을 포함하여 텐션 로드(165)가 상부 후프에 거치는 구조를 가지지만, 도 6 는 이와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6 에 도시된 상부 후프(610)는 수직 방향으로는 소정 높이의 턱을 가지면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소정 폭을 갖는 테두리에 일정 간격으로 홀(630)을 포함하여 보다 단순한 구성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7 는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 통을 이용한 난타용 북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는 바퀴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로서, 바퀴(770)는 뚜껑의 저면에 부가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난타용 북에는 북을 이동시킬 수 있게 다수개의 바퀴(770)들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퀴(770)들이 설치됨으로써 난타북의 이동성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바퀴(770)는 나사 홀(773)를 포함하여 뚜껑(130)에 나사로 고정될 수도 있다.
바퀴(770)들은 브레이크 레버(772)가 구비된 바퀴(770)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되면, 브레이크 레버(772)에 의해 바퀴(770)를 고정시켜 북을 연주할 때 북이 흔들리거나 움직이지 않게 함으로서 북의 연주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바퀴(770)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레버(772)는 바퀴(770)가 지지되는 축을 선택적으로 고정 및 해제되게 구비되어 바퀴(770)가 구르지 않게 된 것으로, 이는 통상의 기술이다. 즉, 유모차 등에서 통상 사용하는 바퀴를 이용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에서 제시된 실시예는 단지 본 고안의 충실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 한정하기 위한 목적은 아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제시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며, 등가물의 범위와 한계도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10 - PE통 122 - 시트지
130 - 뚜껑 140 - 상부 북피
150 - 상부 지지링 160 - 북피 고정수단
162 - 제1 고리 164 - 제2 고리
166 - 부전 168 - 끈
161 - 상부 후프 163 - 러그
165 - 텐션 로드 167 - 브라켓
770 - 바퀴 772 - 브레이크 레버
130 - 뚜껑 140 - 상부 북피
150 - 상부 지지링 160 - 북피 고정수단
162 - 제1 고리 164 - 제2 고리
166 - 부전 168 - 끈
161 - 상부 후프 163 - 러그
165 - 텐션 로드 167 - 브라켓
770 - 바퀴 772 - 브레이크 레버
Claims (5)
- 분리되는 뚜껑을 구비한 불투명 단색의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통;
상기 뚜껑이 제거된 상기 폴리에틸렌 통의 상부에 배치되며 타격 대상이 되는 투명한 재질의 상부 북피;
상기 상부 북피를 상기 폴리에틸렌 통에 고정되도록 상기 상부 북피의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며 상기 폴리에틸렌 통의 상부에 결합되는 링 형상으로,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며 홀(hole)이 형성된 복수개의 브라켓을 가진 상부 후프;
상기 상부 후프의 고정 수단;
상기 뚜껑을 상기 폴리에틸렌 통의 저면에 고정시키는 뚜껑 고정 수단;
상기 폴리에틸렌 통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북피를 투과시키는 빛을 방사하는 복수개의 LED 조명장치;
야광으로 이루어지고, 디자인 패턴을 포함하여 상기 폴리에틸렌 통의 외부 표면에 접착되는 시트지;
표면을 야광 시트지로 감싼 한쌍의 북채;
상기 뚜껑 고정 수단을 통해 상기 폴리에틸렌 통의 저면에 고정된 뚜껑의 저면에 설치된 바퀴; 및
상기 바퀴를 고정하는 브레이크 레버; 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후프의 고정 수단은 상기 폴리에틸렌 통의 상부 외주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러그(lug)와, 상기 브라켓의 홀을 통과하면서 상기 러그에 조여짐으로써 상기 상부 후프가 하부로 향하게 하여 상기 상부 북피의 텐션을 조정하는 복수개의 텐션로드(tension lod)를 포함하고,
상기 LED 조명장치는 상기 상부 북피의 타격 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를 감지하는 진동센서와, 상기 진동센서로부터 제공된 감지 정보에 따라 LED 조명의 발광 색상 또는 발광 간격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북채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후프의 턱을 넘치지 않게 채운 물과 상기 상부 북피를 동시에 타격함으로써 튀어 오른 물방울이 상기 LED 조명장치에서 방사되는 빛의 색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통을 이용한 난타용 북.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뚜껑 고정 수단은
상기 뚜껑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홀;
상기 폴리에틸렌 통의 하부 외주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끈 고정부;
상기 홀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하부 고리;
상기 하부 고리와 상기 복수개의 끈 조정부를 지그 재그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뚜껑이 상기 폴리에틸렌 통의 저면에 밀착 지지되도록 하는 끈;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통을 이용한 난타용 북.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9232U KR200474877Y1 (ko) | 2013-11-11 | 2013-11-11 | 폴리에틸렌 통을 이용한 난타용 북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9232U KR200474877Y1 (ko) | 2013-11-11 | 2013-11-11 | 폴리에틸렌 통을 이용한 난타용 북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4877Y1 true KR200474877Y1 (ko) | 2014-10-23 |
Family
ID=52142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9232U KR200474877Y1 (ko) | 2013-11-11 | 2013-11-11 | 폴리에틸렌 통을 이용한 난타용 북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4877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8975Y1 (ko) * | 2015-05-13 | 2015-12-04 | 최영아 | 조명을 이용한 난타용 북 |
KR200479584Y1 (ko) * | 2015-05-13 | 2016-02-26 | 최영아 | 폴리에틸렌 난타용 북 |
KR101877502B1 (ko) * | 2017-02-02 | 2018-07-11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발광 북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02241A (en) * | 1978-07-03 | 1980-05-13 | Lucas Stephen J | Decorative drumstick system with different appearing inserts |
KR100828662B1 (ko) * | 2007-02-15 | 2008-05-09 | 영동군 | 북의 조율장치 |
KR20100010263U (ko) * | 2009-04-10 | 2010-10-20 | 강명규 | 아쿠아 드럼 |
KR200461951Y1 (ko) * | 2010-04-20 | 2012-08-16 | 안경미 | 북 |
-
2013
- 2013-11-11 KR KR2020130009232U patent/KR200474877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02241A (en) * | 1978-07-03 | 1980-05-13 | Lucas Stephen J | Decorative drumstick system with different appearing inserts |
KR100828662B1 (ko) * | 2007-02-15 | 2008-05-09 | 영동군 | 북의 조율장치 |
KR20100010263U (ko) * | 2009-04-10 | 2010-10-20 | 강명규 | 아쿠아 드럼 |
KR200461951Y1 (ko) * | 2010-04-20 | 2012-08-16 | 안경미 | 북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8975Y1 (ko) * | 2015-05-13 | 2015-12-04 | 최영아 | 조명을 이용한 난타용 북 |
KR200479584Y1 (ko) * | 2015-05-13 | 2016-02-26 | 최영아 | 폴리에틸렌 난타용 북 |
KR101877502B1 (ko) * | 2017-02-02 | 2018-07-11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발광 북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4877Y1 (ko) | 폴리에틸렌 통을 이용한 난타용 북 | |
CN203564689U (zh) | 闪光旋转蹦床 | |
US4244266A (en) | Drumhead deadening device | |
US20100050852A1 (en) | Drum | |
US20100307323A1 (en) | Percussion instrument systems and methods | |
WO2008045567A3 (en) | Structures for color-changing light devices | |
US9022595B1 (en) | Illuminated Halloween candy container | |
US6482071B1 (en) | Lighted coil spring amusement device | |
WO2008045569A3 (en) | Color-changing light devices with active ingredient and sound emission for mood enhancement | |
US9669323B2 (en) | Children's toy | |
US8766074B1 (en) | Stand for musical drum | |
KR200478975Y1 (ko) | 조명을 이용한 난타용 북 | |
US20020061705A1 (en) | Swinging toy | |
JP3123274U (ja) | リズム玩具 | |
KR200474878Y1 (ko) | 투명 원통을 이용한 난타용 북 | |
US6001435A (en) | Illuminating holiday tree | |
KR200472854Y1 (ko) | 지관을 이용한 난타용 북 | |
US20090133563A1 (en) | Water music device | |
JP3121098U (ja) | アクセサリー玩具 | |
US20070295188A1 (en) | Method for making plane animated printed drawings on a drumhead | |
CN206535168U (zh) | 游具 | |
CN101483039A (zh) | 点亮鼓 | |
US2600664A (en) | Animated decorative lamp | |
CN209118751U (zh) | 一种具有自动演奏功能的钢舌鼓 | |
US7777111B1 (en) | Foot operated percussive instru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