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918B1 - 타악기 - Google Patents

타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918B1
KR101838918B1 KR1020160102318A KR20160102318A KR101838918B1 KR 101838918 B1 KR101838918 B1 KR 101838918B1 KR 1020160102318 A KR1020160102318 A KR 1020160102318A KR 20160102318 A KR20160102318 A KR 20160102318A KR 101838918 B1 KR101838918 B1 KR 101838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upper portion
branch pipe
metal frame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2090A (ko
Inventor
강전호
강명규
Original Assignee
강전호
강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전호, 강명규 filed Critical 강전호
Publication of KR20170092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01General design of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02Drums; Tambourines with drumheads
    • G10D13/021
    • G10D13/023
    • G10D13/028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1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1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16Tuning devices; Hoops; Lu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1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22Sh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북피가 지관의 상부에서 미끄러지지 않아 북피의 위치가 지관의 상부 중앙에서 이탈되지 않음은 물론, 북피와 지관의 상부가 탄성을 갖는 지관상부커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북피와 지관의 사이로 소리가 새어 나가지 않아서 깨끗한 음질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는 한편, 북피에 탄성끈을 이용하여 장력을 부여하게 되므로 부전이 필요 없어서 공연중 부전이 흘러내려 풀리면서 음질이 나쁘게 되는 일이 없도록 된 타악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타악기(1000)는, 원통 형상의 지관(1100)과, 지관의 상부에 배치되는 북피(1200)와, 지관의 하부를 폐쇄시키도록 설치된 울림판(1300)과, 지관의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내주면에 울림판이 설치되는 링 형상의 보강용 하부 금속테(1410)를 포함한 지관 보강수단(1400)과, 북피와 상기 보강용 하부 금속테 사이에 개재되어 북피를 팽팽하게 고정시키는 북피고정수단(1500)을 포함하되, 지관의 상부와 북피의 사이에는 지관의 상부를 감싸도록 된 환형상의 탄성을 갖는 지관상부커버링(1600)을 포함하고, 북피(1200)의 가장자리 부분 둘레를 감싸며 결합되어 북피를 팽팽하게 지지하는 지지링(1210)에 설치되는 제1고리(1510)와 보강용 하부 금속테(1410)에 설치되는 제2고리(1520)에 연결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지그재그로 연결되면서 교차하도록 탄성끈(15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악기{PERCUSSION INSTRUMENT}
본 발명은 타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관의 상하단부에 보강용 금속테가 설치되어 지관을 보강하며, 하부에는 울림판이 설치되어 무게가 가벼운 견고한 북을 제작할 수 있고 상기 울림판에는 울림구멍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울림구멍을 막도록 한지가 부착 설치되어 북소리의 울림을 좋게 한 지관을 이용한 타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타용 북과 같은 타악기는 공명통의 상부에 가죽으로 된 타격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타격부재를 타격하여 연주할 때 통상 가벼운 소리만 날 뿐, 북의 고유 소리인 울림이 나타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난타용 북은 공명통을 제작할 때 내부에 중공(中空)부를 형성하도록 목재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하였음으로, 무게가 무겁고 가격이 고가인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소나무 등의 원목의 내부를 파내는 방법으로 공명통을 제작하였기 때문에 제작에 따른 공정이 복잡하고, 난타용 북의 무게가 무거운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실용등록 제20-0472854호로 발명의 명칭 " 지관을 이용한 난타용 북"이 공지되어 있는바, 울림통이 구성됨과 아울러 지관의 상하단부에 보강용 금속테가 설치되고 하부에 울림판이 설치된다.
따라서, 실용등록 제20-0472854호에 의하면 무게가 가볍고 이동성이 용이하며 비용이 절감되는 난타용 북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 지관의 외부면에 방수용 시트지가 부착되고, 방수용 시트지에 글자 혹은 도형에 의한 디자인이 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술한 난타용 북은 실용적이기도 하면서 시각적으로도 다양한 멋이 있는 북으로 완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실용등록 제20-0472854호는 북피가 지관의 상부를 감싸는 보강용 상부 금속테에 밀착되므로 북피가 보강용 상부 금속테에서 미끄러져 북피의 위치가 지관의 상부 중앙에서 이탈되는 결점이 있다.
또 북피와 보강용 상부 금속테가 직접 밀착되므로 난타용 북의 보강용 상부 금속테에 충격이 가해져 보강용 상부 금속테가 변형이 생긴 경우에 북피와 변형된 금속테의 사이로 소리가 새어서 깨끗한 음질의 구현이 곤란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실용등록 제20-0472854호는 끈과 부전을 이용하여 북피에 장력을 부여하게 되는데 공연중 부전이 흘러내려 풀리게 되면 음질이 나쁘게 되고, 공연을 할 때는 부전을 조이고 공연이 끝나면 부전을 풀어 놓는데 이를 연속하게 되면 가죽의 탄력이 없어지는 결점이 있다.
또 부전을 사용할 때 장기간 사용하면 가죽과 로프가 많이 늘어나서 부전으로도 해결되지 않아 악기를 풀어서 재 조립을 하던지, 경우에 따라서는 가죽과 로프를 폐기해야 하는 결점이 있다.
참조문헌 : 대한민국 특허청에 실용등록 제20-0472854호로 발명의 명칭 " 지관을 이용한 난타용 북".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북피가 지관의 상부에서 미끄러지지 않아 북피의 위치가 지관의 상부 중앙에서 이탈되지 않음은 물론, 북피와 지관의 상부가 탄성을 갖는 지관상부커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북피와 지관의 사이로 소리가 새어 나가지 않아서 깨끗한 음질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는 한편, 북피에 탄성끈을 이용하여 장력을 부여하게 되므로 부전이 필요 없어서 공연중 부전이 흘러내려 풀리면서 음질이 나쁘게 되는 일이 없도록 된 타악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북피에 탄성끈을 이용하여 장력을 부여하게 되므로 가죽의 탄력을 유지시켜 주며 처음과 같은 좋은 소리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된 타악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북피에 연결된 제1고리와 하부 금속테에 연결된 제2고리를 하나의 탄성끈을 이용하여 번갈아 가면서 연결하므로 조립이 간단하게 되는 타악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악기는, 원통 형상의 지관과, 상기 지관의 상부에 배치되는 북피와, 상기 지관의 하부를 폐쇄시키도록 설치된 울림판과, 상기 지관의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내주면에 울림판이 설치되는 링 형상의 보강용 하부 금속테를 포함한 지관 보강수단과, 상기 북피와 상기 보강용 하부 금속테 사이에 개재되어 북피를 팽팽하게 고정시키는 북피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지관의 상부와 북피의 사이에는 상기 지관의 상부를 감싸도록 된 탄성을 갖는 지관상부커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북피고정수단은, 상기 북피의 가장자리 부분 둘레를 감싸며 결합되어 북피를 팽팽하게 지지하는 지지링에 등각도로 복수개 설치되는 제1고리와, 상기 보강용 하부 금속테에 설치됨과 더불어 제1고리와 동일한 방향에 등각도로 설치되는 제2고리와, 상기 제1고리 또는 제2고리에서 제2고리 또는 제1고리로 각각 연결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되면서 서로 교차하도록 설치된 탄성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을 갖는 지관상부커버링과 지관의 상부 사이에는 링 형상의 보강용 상부 금속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타악기는, 축방향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지관과, 상기 지관의 상부에 배치되는 북피와, 상기 지관의 하부를 폐쇄시키도록 설치된 울림판과, 상기 지관의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내주면에 울림판이 설치되는 링 형상의 보강용 하부 금속테를 포함한 지관 보강수단과, 상기 북피와 상기 보강용 하부 금속테 사이에 개재되어 북피를 팽팽하게 고정시키는 북피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북피고정수단은, 상기 북피의 가장자리 부분 둘레에 의해 감싸며 바느질로 결합되어 북피를 팽팽하게 지지하는 지지링에 등각도로 복수개 설치되는 제1고리와, 상기 보강용 하부 금속테에 설치됨과 더불어 제1고리와 지그재그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제2고리와, 상기 제1고리에서 제2고리로 또 제2고리에서 제1고리로 연결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또 하부에서 상부로 지그재그로 연결된 탄성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울림판의 하부 중앙부에 울림구멍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또 울림구멍을 막은 커버지를 더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악기에 의하면, 북피에 탄성끈을 이용하여 장력을 부여하게 되므로 인위적으로 조여주는 부전이 필요 없어서 공연중 부전이 흘러내려 풀리면서 음질이 나쁘게 되는 일이 없게 됨과 더불어 부전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저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타악기에 의하면, 북피에 탄성끈을 이용하여 장력을 부여하게 되므로 북피를 구성하는 가죽이 늘어나는 만큼 항상 탄성끈이 당겨주어 가죽의 탄력을 유지시켜 주어 음질이 매우 우수하게 되는 한편, 가죽과 로프가 늘어나서 악기를 재조립해야 하는 결점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가죽과 로프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타악기에 의하면, 북피가 지관의 상부에서 미끄러지지 않아 북피의 위치가 지관의 상부 중앙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타악기에 의하면, 북피와 지관의 상부가 탄성을 갖는 지관상부커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북피와 지관의 사이로 소리가 새어 나가지 않아서 깨끗한 음질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타악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북피와 탄성끈 및 바퀴을 제거한 상태의 설명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 - A선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악기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정면도,
도 9은 도 7의 저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악기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악기(10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 형상의 지관(1100)과, 상기 지관의 상부에 배치되는 북피(1200)와, 상기 지관의 하부를 폐쇄시키도록 설치된 울림판(1300)과, 상기 지관의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내주면에 울림판이 설치되는 링 형상의 보강용 하부 금속테(1410)를 포함한 지관 보강수단(1400)과, 상기 북피와 상기 보강용 하부 금속테 사이에 개재되어 북피를 팽팽하게 고정시키는 북피고정수단(1500)을 포함한다.
상기 지관(1100)의 상부와 북피(1200)의 사이에는 상기 지관(1100)의 상부를 감싸도록 된 탄성을 갖는 지관상부커버링(1600)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북피(1200)가 탄성을 갖는 지관상부커버링(1600)이 끼워진 지관(1100)의 상부에서 미끄러지지 않아 북피(1200)의 위치가 지관(1100)의 상부 중앙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어 조립이 용이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북피(1200)가 지관의 중앙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북피(1200)와 지관(1100)의 상부가 탄성을 갖는 지관상부커버링(1600)에 의해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북피(1200)와 지관(1100)의 사이로 소리가 새어 나가지 않아서 깨끗한 음질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북피고정수단(1500)은, 상기 북피(1200)의 가장자리 부분 둘레를 감싸며 결합되어 북피를 팽팽하게 지지하는 지지링(1210)에 등각도로 복수개 설치되는 제1고리(1510)와, 상기 보강용 하부 금속테(1410)에 설치됨과 더불어 제1고리와 동일한 방향에 등각도로 설치되는 제2고리(1520)와, 상기 제1고리 또는 제2고리에서 제2고리 또는 제1고리로 각각 연결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되면서 서로 교차하도록 설치된 각각의 탄성끈(153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북피(1200)에 하나의 탄성끈(1530)을 이용하여 제1고리(1510)에서 제2고리(1520)로 또 제2고리에서 제1고리로 연결하여 지지링(1210)을 지속가능하게 탄력적으로 당겨서 지관의 상부 중앙에 위치한 북피(1200)의 타격부분을 지속적으로 팽팽하게 장력을 부여하게 되므로, 상기 탄성끈(1530)의 조립작업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부전이 필요 없어서 공연중 부전이 흘러내려 풀리면서 음질이 나쁘게 되는 일이 없게 됨은 물론, 부전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저렴하게 된다.
이때 부전은 장구와 난타북 등 가죽과 로프가 늘어나서 소리가 나지 않을 때 조여 주는 역할로, 조이면 소리가 좋아지므로 난타북과 장구에서는 절대적이고 없으면 악기 구성 자체가 안 되어 왔다.
그러나 절대품이지만 오래 사용하면 가죽과 로프가 부전으로 조여도 소리가 나지 않을 만큼 늘어나게 되고 부적으로서의 역할도 한계가 있게 되고, 이때에는 악기를 재조립을 하던지 가죽과 로프를 폐기하게 된다.
또한 가죽과 로프의 늘어남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주를 할 때만 부전을 조이고 평소에는 부전을 풀어 놓는데 가죽을 풀었다, 조였다를 연속하게 되면 가죽의 탄력이 없어진다.
또 가죽은 처음에 조립을 할 때 안착이 잘 되도록 물을 축여 부드럽게 하여 조립을 하고 시간이 지나면 딱딱하게 굳어 진다. 한번 안착을 시키면 그 상태를 유지 시켜줘야 음색이 좋은데 부전을 풀어 놓을 때 헐렁하게 되고 가죽이 쉽게 움직여 자리 이탈을 하며 이탈된 굳은 가죽은 뻣뻣하여 음이 새고 음이 새면 좋은 소리가 나지 않는다.
또한 탄성끈(1530;탄성로프)는 가죽이 늘어나는 만큼 스스로 당겨주어 가죽의 탄력을 유지시켜 주고 일반 로프에 비하여 가죽의 중앙에서 이탈이 작고 가죽과 로프가 늘어나서 재조립하는 문제점을 해결해 주게 된다. 특히 악기를 처음 조립 했을 때의 음색을 끝까지 유지시켜 줌은 물론, 가죽과 로프를 반복 조임으로 품질이 저하되어 재조립이 안되면 폐기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부전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저렴하게 된다.
또 상기 탄성끈(1530)이 복수개로 이루어져 공연중 탄성끈(1530)중 어느 하나가 끊어지게 되더라도 공연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제1고리와 제2고리가 작은 각도로 조밀하게 설치되게 되면 상하로 교차되게 설치되는 탄성끈을 여러가닥으로 할 수 있어서 어느 하나의 탄성끈이 파손되더라도 문제 없이 공연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탄성을 갖는 지관상부커버링(1600)과 지관(1100)의 상부 사이에는 링 형상의 보강용 상부 금속테(1420)가 더 설치되어, 상기 지관(1100)의 상부를 한층 더 견고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울림판(1300)의 하부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복수개의 바퀴(1700)가 설치되어, 이동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악기(1000)를 도 7 내지 도 9를 참조로 설명하고, 도 1 내지 도6과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악기(1000)의 북피고정수단(1500)은, 상기 북피(1200)의 가장자리 부분 둘레에 의해 감싸며 바느질로 결합되어 북피를 팽팽하게 지지하는 지지링(1210)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고리(1510)와, 상기 보강용 하부 금속테(1410)에 설치됨과 더불어 제1고리와 지그재그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제2고리(1520)와, 상기 제1고리(1510)에서 제2고리(1520)로 또 제2고리에서 제1고리로 연결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또 하부에서 상부로 지그재그로 연결된 탄성끈(153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북피(1200)에 하나의 탄성끈(1530)을 이용하여 제1고리(1510)에서 제2고리(1520)로 또 제2고리에서 제1고리로 연결하여 지지링(1210)을 지속가능하게 탄력적으로 당겨서 지관의 상부 중앙에 위치한 북피(1200)의 타격부분을 지속적으로 팽팽하게 장력을 부여하게 되므로, 상기 탄성끈(1530)의 조립작업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부전이 필요 없어서 공연중 부전이 흘러내려 풀리면서 음질이 나쁘게 되는 일이 없게 됨은 물론, 부전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저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고리(1510)와 제2고리(1520)는 지지링(1210)와 보강용 하부 금속테(1410)에 등각도로 배치되어 조립되는 것이 소리의 음질이 균일하게 되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울림판(1300)의 하부 중앙부에 울림구멍(1310)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또 울림구멍을 막은 커버지(1320)를 포함하여, 상기 북피(1200)를 타격시 커버지(1320)가 설치된 울림구멍(1310)에 의해 북소리의 울림을 좋게 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타악기 1100: 지관
1200: 북피 1300: 울림판
1400: 지관 보강수단 1410: 보강용 하부 금속테
1420: 보강용 상부 금속테 1500: 북피고정수단
1510: 제1고리 1520: 제2고리
1530: 탄성끈 1600: 지관상부커버링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축방향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지관과, 상기 지관의 상부에 배치되는 북피(1200)와, 상기 지관의 하부를 폐쇄시키도록 설치된 울림판(1300)과, 상기 지관의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내주면에 울림판(1300)이 설치되는 링 형상의 보강용 하부 금속테를 포함한 지관 보강수단과, 상기 북피(1200)와 상기 보강용 하부 금속테 사이에 개재되어 북피(1200)를 팽팽하게 고정시키는 북피고정수단(1500)을 포함하는 타악기에 있어서,
    상기 지관의 상부와 북피(1200)의 사이에는 상기 지관의 상부를 감싸도록 된 환형상의 탄성을 갖는 지관상부커버링(16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북피고정수단(1500)은,
    상기 북피(1200)의 가장자리 부분 둘레를 감싸며 바느질로 결합되어 북피(1200)를 지지하는 지지링(1210)에 복수개 설치되는 제1고리(1510)와,
    상기 보강용 하부 금속테(1410)에 설치됨과 더불어 제1고리와 동일한 각도 방향에 배치되거나 또는 제1고리와 지그재그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2고리(1520)와,
    상기 제1고리(1510)와 제2고리(1520)에 연결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하부에서 상부로 지그재그로 연결되면서 서로 교차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1고리(1510)에서 제2고리(1520)로 또 제2고리에서 제1고리로 연결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또 하부에서 상부로 지그재그로 연결되어 지속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제1고리(1510)와 제2고리(1520)를 당겨서 지관의 상부 중앙에 위치한 북피(1200)의 타격부분을 지속적으로 팽팽하게 유지하도록 된 탄성끈(15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악기.
  5. 삭제
  6. 삭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울림판(1300)의 하부 중앙부에 울림구멍(1310)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또 울림구멍을 막은 커버지(1320)와,
    상기 탄성을 갖는 지관상부커버링(1600)과 지관(1100)의 상부 사이에는 링 형상의 보강용 상부 금속테(1420)와,
    상기 울림판(1300)의 하부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복수개의 바퀴(1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악기.
KR1020160102318A 2016-02-02 2016-08-11 타악기 KR1018389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602 2016-02-02
KR20160000602 2016-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090A KR20170092090A (ko) 2017-08-10
KR101838918B1 true KR101838918B1 (ko) 2018-04-26

Family

ID=59652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318A KR101838918B1 (ko) 2016-02-02 2016-08-11 타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9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951Y1 (ko) * 2010-04-20 2012-08-16 안경미
KR200472854Y1 (ko) * 2013-06-12 2014-05-27 최영아 지관을 이용한 난타용 북
JP2014145799A (ja) * 2013-01-25 2014-08-14 Ikuta:Kk 段ボール太鼓及び段ボール太鼓用部品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951Y1 (ko) * 2010-04-20 2012-08-16 안경미
JP2014145799A (ja) * 2013-01-25 2014-08-14 Ikuta:Kk 段ボール太鼓及び段ボール太鼓用部品ユニット
KR200472854Y1 (ko) * 2013-06-12 2014-05-27 최영아 지관을 이용한 난타용 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090A (ko)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8005B1 (en) Stringed instrument soundboard including lattice-like acoustic grill
US8263847B2 (en) Portable drum
EP1284480A1 (en) Drumhead adaptable for use with a variety of percussion instruments
US5289752A (en) Device for fastening the reed on the mouthpiece of wind instruments
US8153876B2 (en) Systems and methods of stretching and tuning drumheads
WO2017056993A1 (ja) ドラムヘッドおよびドラム
US5385076A (en) Reinforced drumhead
KR101838918B1 (ko) 타악기
US5349891A (en) Convertible drumhead
US4616551A (en) Nada drum and assembly
US20030061929A1 (en) Percussion instrument
US6040513A (en) Drum counterhoop
US4338850A (en) Adjustable muffler for percussion instrument
US6245979B1 (en) Floating staccato waffle disk
US5895873A (en) Snare rim design for prolonged snare wire life
US4256006A (en) Multi-tone percussion instrument
JPH0854874A (ja) スネアドラム用スナッピ
NZ210402A (en) Drum head skin tensioning system
KR200472854Y1 (ko) 지관을 이용한 난타용 북
JPH05207833A (ja) イカ産卵礁
JP2008191486A (ja) 皮張り打楽器
US20060000340A1 (en) Unique sounding drum
KR102035257B1 (ko) 울림판을 이용한 타악기
JP3239885U (ja) 管楽器用ミュートおよびそのセット
JP3895345B2 (ja) 和太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