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139Y1 - 이종 유체의 보관 및 혼합비 조정이 가능한 유체 용기 - Google Patents

이종 유체의 보관 및 혼합비 조정이 가능한 유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139Y1
KR200461139Y1 KR2020100008761U KR20100008761U KR200461139Y1 KR 200461139 Y1 KR200461139 Y1 KR 200461139Y1 KR 2020100008761 U KR2020100008761 U KR 2020100008761U KR 20100008761 U KR20100008761 U KR 20100008761U KR 200461139 Y1 KR200461139 Y1 KR 200461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ontainer
outlet
flow
flow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460U (ko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김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수 filed Critical 김정수
Priority to KR2020100008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13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4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4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1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2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6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 B65D65/18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with some areas transparent and others opa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7/00Details of mixing containers or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방으로 개구형성되어 제 1유체가 유입되는 제 1입수구 및, 전방으로 개구형성되어 제 1유체가 유출되는 제 1출수구가 구비되는 외부 용기; 상기 외부 용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서 후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제 2유체가 유입되는 제 2입수구 및, 상기 수용공간에서 전방으로 연장형성되어 관로를 형성하며 상기 관로가 상기 외부용기의 제 1출수구의 하부를 구획하여 형성되는 제 2출수구가 구비되는 내부 용기; 상기 제 2출수구의 외면 일측에 고정형성되며 내측에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블록과, 일단이 상기 2출수구의 외면 타측에서 삽입되어 관로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블록에 나사산 결합하며, 중심부에 유량조절절편이 연장형성되어 관로상에 위치하는 유량조절로드를 구비하여, 상기 유량조절로드의 회전조작에 따라 유량조절절편이 회전하여 관로의 통수면적을 가변시킴으로써, 유출되는 제 2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이종 유체의 보관 및 혼합비 조정이 가능한 유체 용기를 제공하여, 서로 상이한 이종의 유체를 한 용기에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필요한 유체 용기의 수를 줄여 유체 용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연관되어 사용되는 이종의 유체를 한 용기에 담아 놓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내부 용기에 담긴 유체의 유출 용량과 외부 용기에 담긴 유체의 유출 용량을 일정한 정량비를 맞추어서 반복적으로 유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종 유체의 보관 및 혼합비 조정이 가능한 유체 용기{Fluid container for storable and adjustable mixture ratio of heterogeneous liquid}
본 고안은 유체 용기에 관한 것으로, 서로 상이한 유체를 하나의 용기에 보관하고, 어느 하나의 유체의 용량을 정량적으로 조절하여, 상이한 유체를 유출과정에서 특정 정량비로 혼합시키는 이종 유체의 보관 및 혼합비 조정이 가능한 유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를 담는 용기는 한 종류의 유체를 담아 두도록 구성된다.
이에, 요리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다수의 각종 오일이나, 양념액등을 담는 용기들은 오일 종류 및 양념액의 수만큼 필요하게 된다. 또한, 칵테일과 같은 혼합음료는 다수의 리퀴류와 베이스 주류를 일정한 정량비로 혼합시켜 제조하는 하는데, 리퀴르 및 베이스 주류의 수만큼 필연적으로 유체 용기가 필요하게 된다.
특히, 일정한 레시피로 혼합되어 사용되는 오일 또는 양념액이나, 특정 레시피로 제조되는 칵테일의 경우, 레시피로 구성되는 각 유체들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계량 유체 용기들이 추가적으로 더 필요할 것이다.
이렇게 많은 수의 유체 용기들은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수용 유체의 식별이 어려운 문제뿐 아니라, 각 유체 용기들이 사용되는 패턴에 따라 정리되기가 힘들고, 반복되는 이종 유체의 혼합과정에서 매번 계량용기를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반복적으로 선택되어 혼합되는 이종 유체들을 묶어 하나의 용기에 보관함과 동시에 유출과정에서 이종 유체가 혼합되도록 구성하되, 일정한 정량비로 혼합될 수 있도록, 특정 유체의 유출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방으로 개구형성되어 제 1유체가 유입되는 제 1입수구 및, 전방으로 개구형성되어 제 1유체가 유출되는 제 1출수구가 구비되는 외부 용기; 상기 외부 용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서 후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제 2유체가 유입되는 제 2입수구 및, 상기 수용공간에서 전방으로 연장형성되어 관로를 형성하며 상기 관로가 상기 외부용기의 제 1출수구의 하부를 구획하여 형성되는 제 2출수구가 구비되는 내부 용기; 상기 제 2출수구의 외면 일측에 고정형성되며 내측에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블록과, 일단이 상기 2출수구의 외면 타측에서 삽입되어 관로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블록에 나사산 결합하며, 중심부에 유량조절절편이 연장형성되어 관로상에 위치하는 유량조절로드를 구비하여, 상기 유량조절로드의 회전조작에 따라 유량조절절편이 회전하여 관로의 통수면적을 가변시킴으로써, 유출되는 제 2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이종 유체의 보관 및 혼합비 조정이 가능한 유체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량조절로드의 타단에는 회전조작 가능하게 하는 핸들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량조절절편은, 상기 유량조절로드 중심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장방향의 판상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용기는 투명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용기도 투명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용기의 수용공간은 구(球)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이종 유체의 보관 및 혼합비 조정이 가능한 유체 용기는, 서로 상이한 이종의 유체를 한 용기에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필요한 유체 용기의 수를 줄여 유체 용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연관되어 사용되는 이종의 유체를 한 용기에 담아 놓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 이점이 있다.
또한, 내부 용기에 담긴 유체의 유출 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내부 용기에 담긴 유체의 유출 용량과 외부 용기에 담긴 유체의 유출 용량을 일정한 정량비를 맞추어서 반복적으로 유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동시에, 본 고안에 따른 이종 유체의 보관 및 혼합비 조정이 가능한 유체 용기는, 이종의 유체가 유출되는 출수 경로를 일치시켜, 사용자가 용기를 기울여 붓는 동작을 통해 각각의 유체가 유출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혼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정량 계측과정 및 혼합작업 없이 이종의 유체를 일정한 정량비로 반복적으로 간단하게 혼합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체의 보관 및 혼합이 가능한 유체 용기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제 1출수구, 제 2출수구와 제 2출수구를 최소 개방한 유량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부분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제 1출수구, 제 2출수구와 제 2출수구를 최대 개방한 유량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부분 개념도이다.
도 4는, 제 2출수구를 최소 개방한 상태에서 제 2유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는, 제 2출수구를 최대 개방한 상태에서 제 2유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상태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이종 유체의 보관 및 혼합비 조정이 가능한 유체 용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체의 보관 및 혼합이 가능한 유체 용기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제 1출수구, 제 2출수구와 제 2출수구를 최소 개방한 유량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부분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제 1출수구, 제 2출수구와 제 2출수구를 최대 개방한 유량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부분 개념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관계를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특징되는 부분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시된 특정 형태에 본 고안은 크게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유체의 보관 및 혼합이 가능한 유체 용기(100)는 외부 용기(110)와 상기 외부 용기(110)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내부 용기(120)와 유량조절수단(1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해, 이하, 외부 용기(110)에 포함되는 유체를 제 1유체(F1)라고 하고, 내부 용기(120)에 포함되는 유체를 제 2유체(F2)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 개시하는 제 1유체(F1) 및 제 2유체(F2)의 조합은, 커피-시럽, 커피-우유, 베이스 주(酒)-리퀴르, 온수-냉수등의 조합으로 혼합되어 제조되는 혼합 유체를 목적으로 하는 구성 유체의 조합으로 개시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종의 유체라면, 다양한 유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외부 용기(110)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외부 용기(110)는 내부 용기(120)을 포함하여 외형을 이루는 용기로서, 제 1유체(F1)가 수용되는 용기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용기(110)는 상부가 개구되어 제 1유체(F1)가 유입되는 제 1입수구(111)가 형성되고, 제 1입수구(111)로 유입되어 저장된 제 1유체(F1)가 유출될 수 있도록, 제 1출수구(112)가 전방(도 1의 좌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입수구(111)는 제 1유체(F1)가 유입되는 곳으로, 일반적으로 원형의 형성되며, 별도의 캡(cap)부재의 장착 및 장탈을 통해서 개폐된다.
상기 제 1출수구(112)는 제 1유체(F1)가 유출되는 곳으로, 사용자의 전방으로 기울여 붓는 동작에 의하여 저장된 제 1유체(F1)가 밖으로 안내되어 유출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을 갖고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돌출방향 및 길이등은 외부용기의 형상 및 용도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형성 가능하다.
제 1출수구(112) 또한, 필요에 따라. 다양한 캡(cap)부재를 이용하여 개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용기(110)는 유리와 같은 투명소재로 구성되어 저장된 제 1유체(F1) 및 내부 용기(120)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내부 용기(120)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내부 용기(120)는 외부 용기(110)의 내부에 제 2유체(F2)의 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용기로서, 외부 용기(110)에 포함되는 구성을 가진다.
즉, 내부 용기(120)의 외벽은 외부 용기(110) 내부에서 수용공간(S)을 형성하면서 외부 용기(110)와 내부 용기(120)를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용기(120)의 수용공간(S)은 구(球)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수용공간(S)에서 후방(도 1의 우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제 2입수구(121)가 형성된다. 제 2입수구(121)는 제 2유체가 유입되는 곳으로, 상술한 제 1출수구(112)와 대칭되는 반대방향으로, 외부 용기(110)의 후방 외측과 수용공간(S)을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통하여 형성된다. 이는 제 2입수구(121)의 개방 상태시, 제 1출수구(112)를 기울여 제 1유체(F1)를 유출시킬 때, 수용공간(S)에 저장된 제 2유체(F2)가 제 2입수구(121)를 통해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입수구(121)는 제 2유체(F2)를 용이하게 유입시키기 위하여, 돌출 연장된 외부 용기(110)의 표면이 요입되어 수용공간(S)과 연통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용공간(S)에서 전방(도 1의 우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관로(122a)를 형성하며, 상기 관로(122a)가 제 1출수구(112) 하부를 구획하여 제 2출수구(122)가 형성된다.
즉, 상기 관로(122a)는 외부 용기(110)의 전방 외측과 수용공간(S)을 연통시키며, 수용공간(S)에 저장된 제 2유체(F2)가 유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도 1 내지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 1출수구(112)의 하부를 구획하여 제 2출수구(122)를 형성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관로(122a)는 수용공간(S)에서 제 1출수구(112)방향으로 상향하여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 1출수구(112) 하부에 제 2출수구(121)가 바로 위치하여 제 1유체(F1)와 제 2유체(F2)가 유출되어 낙하되는 경로를 근접시키는 구성을 가진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용기(110)와 내부 용기(120)의 소정의 기준선(H1,H2)까지 각각 제 1유체(F1)와 제 2유체(F2)가 담겨져 있다는 가정하에서, 사용자가 본 실시예를 기울여 제 1유체(F1) 및 제 2유체(F2)를 유출시킬 때, 제 1출수구(112)와 제 2출수구(121)의 통수면적에 따라, 일정한 유출 정량비로 제 1유체(F1)와 제 2유체(F2)가 유출될 것이다.
유출 정량비는 외부 용기(110) 및 내부 용기(120)의 소정의 기준선(H1,H2)과 제 1출수구(112)와 제 2출수구(121)의 통수면적을 결정하여 표준화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소정의 기준선(H1,H2)은 투명소재로 구성되는 외부 용기(110) 및 내부 용기(120)의 표면에 수평하게 표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준선(H1,H2)은 필요에 따라 복수개로 표기하여 보다 정밀하게 제 1유체(F1)및 제 2유체(F2)의 유출 정량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수 있다.
외부 용기(110) 또한, 유리와 같은 투명소재로 구성되어 저장된 제 1유체(F1) 및 내부 용기(120)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는 후술될 유량조절수단(130)을 구비하여, 제 2출수구의 통수면적을 가변시킴으로써, 상황에 맞게 제 1유체(F1)및 제 2유체(F2)의 유출 정량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다음으로, 유량조절수단(13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유량조절수단(130)은 제 2출수구(121)를 형성하는 관로(122a)의 통수면적을 가변시켜 제 2유체의 유출 유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량조절수단(130)은 고정블록(131)과 유량조절로드(132)와 핸들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블록(131)은 내측에 나사공(131a)이 형성된 블록형태의 외형을 가지며, 제 2출수구(121)의 외면 일측에 고정 형성된다. 제 2출수구(121)의 외면과 접촉하는 고정블록(131)의 접촉면은 제 2출수구(122)의 외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관로(122a)에서 제 2유체가 누수되지 않도록 패킹부재(131b)가 덧붙여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유량조절로드(132)는 일단에 나사산(132a)이 형성되며, 제 2출수구(121)의 외면 타측에서 삽입되어 관로(122a)를 관통하고, 고정블록(131)의 나사공(131a)에 나사산 결합한다. 상기 유량조절로드(132)의 중심부에는 유량조절절편(132b)이 형성되어, 유량조절로드(132)가 고정블록(131)에 나사산 결합할 때, 관로(122a)상에 유량조절절편(132b)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유량조절절편(132b)은, 유량조절로드(132)의 중심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장방향의 판상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유량조절로드(132)의 타단에는 회전조작 가능하게 하는 핸들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핸들부(133)는 정, 역방향(즉,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형성된 원판형상의 부재이다.
이러한 핸들부(133)의 형상으로는 본 실시예와 같은 원판형상을 제외하고라도,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전체 또는 부분적 변경이 가능한데, 미끄럼 방지를 위한 크라운 형상,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휘하기 용이한 다각 형상(예: 육각형 또는 팔각형) 및 림(rim), 스포크(spoke) 및 보스(boss)로 이루어진 휠(wheel)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핸들부(133)의 외주면은 빗살무늬, 격자무늬, 도트무늬, 세로줄무늬 및 기타 표면 거칠기를 활용한 스크래치무늬 중 어느 하나의 무늬로 표면이 엠보(embo) 가공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표면 처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접촉 마찰을 제공하여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핸들부(133)와 제 2출수구(122) 사이에는 중심부에 유량조절로드(132)가 끼워지고, 관로(122a)에서 제 2유체(F2)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코킹부재(C)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코킹부재(C)는 제 2출수구(122)의 외벽에 끼워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하, 핸들부(133)를 정, 역방향으로 회전 조작함에 따라, 관로(122a)안 제 2유체의 유출 상태를 도 4 및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 2출수구(122)를 최소 개방한 상태에서 제 2유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5는, 제 2출수구를 최대 개방한 상태에서 제 2유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상태이다.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상태가 제 2출수구(122)를 최소 개방한 상태로 관로(122a)의 통수면적이 최소이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 실시예를 기울여 제 1유체(F1) 및 제 2유체(F2)를 유출시키는 경우, 유량조절절편(132b)에 의해 제 2유체(F2)의 유출이 대부분 차단될 것이다. 유출된 제 1유체(F1) 및 제 2유체(F2)는 낙하되는 과정에서 도 4의 A1와 같이, 자연스럽게 혼합되는데, 최종적으로 유출된 혼합 유체에서 제 2유체(F2)의 비율은 최소화 될 것이다.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상태가 제 2출수구(122)를 최대 개방한 상태로, 관로(122a)의 통수면적이 최대이다.
상술한, 제 2출수구(122)를 최소 개방한 상태에서 핸들부(133)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관로(122a)의 통수면적이 넓어지고,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량조절절편(132b)이 관로(122a)의 내벽과 근사화하여 평행하게 될 때, 유량조절수단(130)을 지나는 제 2유체(F2)의 유량이 최대가 될 것이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 실시예를 기울여 제 1유체(F1) 및 제 2유체(F2)를 유출시키는 경우, 유량조절절편(132b)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 되고, 유출의 관로(122a)의 통수면적에 대응하여 제 2유체(F2)의 대부분이 유출될 것이다. 유출된 제 1유체(F1) 및 제 2유체(F2)는 낙하되는 과정에서 도 5의 A2와 같이, 자연스럽게 혼합되고, 최종적으로 유출된 혼합 유체에서 제 2유체(F2)의 비율은 최대가 될 것이다.
위와 같이,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간단하게 핸들부(133)를 적절하게 회전조작함에 따라, 유출되는 제 2유체(F2)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유량조절수단(130)을 표준화하여 한번 세팅해 놓으면, 필요한 정량비로 이종의 유체를 반복적으로 혼합시킬 수 있다.
예들 들어, 제 1유체(F1)를 커피로 하고, 제 2유체(F2)를 시럽으로 한 경우, 별도로 시럽을 계량하고 붓는 과정 없이, 한번의 붓는 동작으로 일정량의 시럽이 혼합된 커피를 간단하게 유출시킬수 있다. 또한, 베이스 주(酒)에 탄산수나 여러가지 리퀴르가 특정 정량비로 들어가는 칵테일의 경우에도, 자주 쓰이는 이종의 베이스 주(酒)와 리퀴르를 조합하여 본 실시예에 담는 경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칵테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밖에 내부 용기(120)의 외벽을 절연소재로 구성한 경우, 온수-냉수 조합을 통해 적절한 온도를 가지는 물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이종 유체의 보관 및 혼합비 조정이 가능한 유체 용기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외부 용기 111: 제 1입수구
112: 제 1출수구 120: 내부용기
121: 제 2입수구 122: 제 2출수구
122a: 관로 130: 유량조절수단
131; 고정블록 131a: 나사공
132: 유량조절로드 132a: 나사산
132b: 유량조절절편 133: 핸들부
C: 코킹부재

Claims (6)

  1. 상방으로 개구형성되어 제 1유체가 유입되는 제 1입수구 및, 전방으로 개구형성되어 제 1유체가 유출되는 제 1출수구가 구비되는 외부 용기;
    상기 외부 용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서 후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제 2유체가 유입되는 제 2입수구 및, 상기 수용공간에서 전방으로 연장형성되어 관로를 형성하며 상기 관로가 상기 외부용기의 제 1출수구의 하부를 구획하여 형성되는 제 2출수구가 구비되는 내부 용기;
    상기 제 2출수구의 외면 일측에 고정형성되며 내측에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블록과, 일단이 상기 2출수구의 외면 타측에서 삽입되어 관로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블록에 나사산 결합하며, 중심부에 유량조절절편이 연장형성되어 관로상에 위치하는 유량조절로드를 구비하여, 상기 유량조절로드의 회전조작에 따라 유량조절절편이 회전하여 관로의 통수면적을 가변시킴으로써, 유출되는 제 2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이종 유체의 보관 및 혼합비 조정이 가능한 유체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로드의 타단에는 회전조작 가능하게 하는 핸들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시키는 이종 유체의 보관 및 혼합비 조정이 가능한 유체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절편은,
    상기 유량조절로드 중심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장방향의 판상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유체의 보관 및 혼합비 조정이 가능한 유체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는 투명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이종 유체의 보관 및 혼합비 조정이 가능한 유체 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는 투명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이종 유체의 보관 및 혼합비 조정이 가능한 유체 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의 수용공간은 구(球)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유체의 보관 및 혼합비 조정이 가능한 유체 용기.
KR2020100008761U 2010-08-23 2010-08-23 이종 유체의 보관 및 혼합비 조정이 가능한 유체 용기 KR200461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761U KR200461139Y1 (ko) 2010-08-23 2010-08-23 이종 유체의 보관 및 혼합비 조정이 가능한 유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761U KR200461139Y1 (ko) 2010-08-23 2010-08-23 이종 유체의 보관 및 혼합비 조정이 가능한 유체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460U KR20120001460U (ko) 2012-03-05
KR200461139Y1 true KR200461139Y1 (ko) 2012-06-28

Family

ID=46173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761U KR200461139Y1 (ko) 2010-08-23 2010-08-23 이종 유체의 보관 및 혼합비 조정이 가능한 유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1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595B1 (ko) * 2016-11-16 2017-08-23 박수연 커피포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6998A (en) 1976-04-01 1977-04-12 Leonard Finch Drinking vessel
JPS571163U (ko) 1980-06-02 1982-01-06
KR19980065001U (ko) * 1997-04-30 1998-11-25 홍영호 개량된 액체용기
KR20020041966A (ko) * 2000-11-29 2002-06-05 윤영석 순환유동층 연소로 및 산업용 소각로의 싸이클론 인입가스유속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6998A (en) 1976-04-01 1977-04-12 Leonard Finch Drinking vessel
JPS571163U (ko) 1980-06-02 1982-01-06
KR19980065001U (ko) * 1997-04-30 1998-11-25 홍영호 개량된 액체용기
KR20020041966A (ko) * 2000-11-29 2002-06-05 윤영석 순환유동층 연소로 및 산업용 소각로의 싸이클론 인입가스유속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595B1 (ko) * 2016-11-16 2017-08-23 박수연 커피포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460U (ko) 2012-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6946B2 (en) Adjustable additive cartridge systems and methods
JP7179800B2 (ja) ベース液体に添加剤を混合する方法
JP6998882B2 (ja) 調節可能な添加剤供給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475003Y1 (ko) 탈착식 티필터가 구비된 텀블러
MX2007005272A (es) Aparato y metodo para surtir un fluido.
JP3211236U (ja) マルチフロー用量キャップ
US20070181600A1 (en) Multiple spice dispenser device
KR200461139Y1 (ko) 이종 유체의 보관 및 혼합비 조정이 가능한 유체 용기
KR101348415B1 (ko) 2액형 음료용기
US6497344B1 (en) Multiple beverage pitcher device
US20150368024A1 (en) Bottle with multiple compartments
KR101709102B1 (ko) 워터 드립 제어밸브를 이용한 더치 커피 드립퍼
US4293083A (en) Shower dispenser
JPH05505162A (ja) 複数の液体を比例的に小分けするための多室容器
US2784875A (en) Liquid dispenser
US694477A (en) Valve.
KR101523932B1 (ko) 양념통
KR20180010089A (ko) 음료가 내장되는 컵뚜껑
KR101398750B1 (ko) 첨가물 혼합용 병마개
TW201438982A (zh) 將飲料層狀分配至容器內之方法及用於將飲料層狀分配至容器內之治具
KR102672988B1 (ko) 토출 용량 조절 가능한 디스펜서 장치
JP7166017B2 (ja) ディスペンサー及びコック
TWI629223B (zh) 一種具有夾持功能暨可調和飲品之容器
US11220377B2 (en) Powder dispensing system
TWM548150U (zh) 一種具有夾持功能暨可調和飲品之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