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430Y1 - 과일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과일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430Y1
KR200460430Y1 KR2020090013095U KR20090013095U KR200460430Y1 KR 200460430 Y1 KR200460430 Y1 KR 200460430Y1 KR 2020090013095 U KR2020090013095 U KR 2020090013095U KR 20090013095 U KR20090013095 U KR 20090013095U KR 200460430 Y1 KR200460430 Y1 KR 2004604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cover body
hole
packaging contain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683U (ko
Inventor
이권식
Original Assignee
(주)리노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노컴즈 filed Critical (주)리노컴즈
Priority to KR2020090013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43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36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6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4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4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과일의 운반 시에 과일의 손상을 방지하고, 운반이 용이한 과일 포장용기가 개시된다. 과일을 수납하는 과일 포장용기는 수납 본체 및 커버 본체를 포함하며, 수납 본체에는 과일의 일측에서 그 일부를 수용하는 과일 수납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 본체는 수납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납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수납 본체와 마주하여, 과일의 타측에서 과일을 커버할 수 있다. 이때, 수납 본체와 커버 본체에는 각각 수납 본체와 커버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 및 제2 관통홀이 형성되며, 수납 본체와 커버 본체가 마주하여 결합되면 제1 및 제2 관통홀은 상호 일치하여,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다.
수납 본체, 커버 본체, 완충 트레이

Description

과일 포장용기{PACKING CASE FOR FRUIT}
본 고안은 과일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일의 손상을 방지하고, 운반이 용이한 과일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숭아, 사과, 배와 같은 과일들은 상자에 담긴 상태로 보관되거나 운반된다. 한편, 상술한 과일들이 그대로 상자에 담겨 보관 혹은 운반되면, 그 과정에서 상호 인접한 과일들끼리 서로 접촉하거나 부딪힐 수 있으며, 접촉 또는 부딪힌 부위가 손상되어 과일의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상자에 담긴 과일간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숭아, 사과, 배와 같은 과일들은 포장될 때, 과일들은 종이 혹은 망사 형태의 스티로폼 등으로 개별적으로 감싸진 상태로 상자에 담긴다.
다만, 과일을 일일이 하나씩 포장하여 상자에 담는 작업은 많은 일손을 요하게 되며, 과일이 비록 하나씩 포장되어 있다 하더라도, 상자 내에서 구르거나 흔들려 과일의 손상을 완전히 막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에, 최근에는 과일들이 서로 접촉하거나 부딪히는 것에 의한 과일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자 내부에 과일 안치대가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합성 수지를 이 용하여 성형되는 과일 안치대는 통상 복숭아, 사과 또는 배와 같은 과일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반구 형상의 과일 안치홈이 일정 배열로 배치된다.
그러나, 상술한 과일 안치대에 형성되는 과일 안치홈은 그 크기가 성형 당시의 지름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안치홈 보다 크거나 작은 크기를 가지는 과일의 경우에, 과일이 안치홈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없어서 과일이 안치홈의 입구에 걸치거나 안치홈에서 놀기 때문에, 과일이 짓눌림 또는 부딪힘으로 인한 손상 및 손상에 따른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다.
또한, 종래의 과일의 포장을 위한 상자들은 별도의 손잡이가 없어, 손으로 잡아 운반할 수 있도록, 끈을 이용하거나 상자의 외측에 별도의 손잡이 형태의 구조물을 부착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과일 간의 접촉을 방지한 상태로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한 과일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운반이 편리하도록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는 과일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과일을 수납할 수 있는 과일 포장용기는 과일의 일측에서 과일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과일 수납홈을 포함하는 수납 본체, 및 수납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수납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과일의 타측에서 과일을 커버하는 커버 본체를 포함하며, 수납 본체에는 수납 본체를 관통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며, 커버 본체에는 커버 본체를 관통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며, 수납 본체 및 커버 본체가 상호 마주하여 결합되면, 제1 및 제2 관통홀이 상호 일치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관통홀은 하나의 홀 형태로 제공되어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으며, 수납 본체와 커버 본체가 상호 마주하도록 결합되어 일체의 박스 형태로 제공되는 과일 포장용기를 손쉽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과일 포장용기는 수납 본체 및 커버 본체의 사이에 개재되는 판상의 완충 트레이를 포함하며, 완충 트레이는 과일의 타측이 삽입 가능 하도록 과일 수납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방사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 수용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과일 포장용기는 수납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수납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수납 본체와 마주하도록 수납 본체로부터 회전하여, 제1 관통홀 주변의 수납 본체를 커버하며, 제1 관통홀과 대응하는 제1 보조홀을 포함하는 제1 보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과일 포장용기는 커버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커버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커버 본체와 마주하도록 커버 본체로부터 회전하여, 제2 관통홀 주변의 커버 본체를 커버하며, 제2 관통홀과 대응하는 제2 보조홀을 포함하는 제2 보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보조판 및 제2 보조판은 일반적으로 종이로 제작되는 수납 본체 혹은 커버 본체에 형성된 제1 및 제2 관통홀이 손잡이로 사용되는 경우에, 제1 및 제2 관통홀 주변의 수납 본체 혹은 커버 본체가 과일 포장용기 내부에 수용된 과일의 무게를 견디지 못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과일 포장용기는 수납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의 외면을 커버하는 용기 레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레이블은 과일 수납홈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외면에 굴곡이 형성될 수 있는 수납 본체를 외부에서 감싸, 과일 포장용기의 외면을 매끄럽게 하여 미관상 좋게 보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용기 레이블에 내용물 및 판매자에 대한 정보, 및 다양한 로고 등을 인쇄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레이블의 양 단부에는 제1 및 제2 관통홀에 각각 대응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과일 포장용기는 과일 수납홈에 과일을 안착시켜, 과일 간의 접촉을 방지한 상태로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과일 포장용기는 수납 본체와 커버 본체가 결합되어 제1 및 제2 관통홀을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과일 포장용기의 운반을 위하여 별도의 끈이나 손잡이를 부착하는 불편함이 없다.
또한, 본 고안의 과일 포장용기에는 내측에 과일 수납홈에 대향한 과일의 타측으로부터 수용하는 절개 수용부를 포함하는 완충 트레이를 제공하여, 과일의 직경이 과일 수용홈의 내경 보다 작은 경우에 내부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과일 포장용기는 제1 및 제2 관통홀 주변의 수납 본체와 커버 본체에 각각 밀착되는 제1 및 제2 보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여, 제1 및 제2 관통홀을 손잡이로 사용할 경우에, 과일의 무게에 의해서 과일 포장용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과일 포장용기는 수납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의 외면을 커버하는 용기 레이블을 제공하여, 내용물 및 판매자에 대한 정보, 및 다양한 로고 등을 인쇄할 수 있으며, 과일 포장용기 전체의 심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 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포장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과일 포장용기 중 보조판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과일 포장용기의 완충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확대도이며, 도 6 및 도7은 용기 레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 및 이를 포장용기와 결합시킨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과일을 수납할 수 있는 과일 포장용기(100)는 수납 본체(110), 커버 본체(120), 및 완충 트레이(130)를 포함한다.
수납 본체(110)는 과일의 일측에서 과일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과일 수납홈(112)을 포함한다. 과일 수납홈(112)은 수납 본체(110) 내측에 배치되는 과일들이 상호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과일의 일측에서 과일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면이 과일의 외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커버 본체(120)는 수납 본체(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수납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수납 본체(110)의 일측에서 회전함으로써, 커버 본체(120)의 상측에서 접근할 수 있으며, 과일의 타측에서 과일을 커버할 수 있다.
상술한 수납 본체(110) 및 커버 본체(120)는 종이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수납 본체(110)에는 수납 본체(110)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 관통홀(11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관통홀(114)은 후술할 제2 관통홀(124)과 함께 과일 포장용기(100)를 잡고 운반하기 편리하도록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위치가 특정되는 것은 아니나, 손잡이의 용도를 고려할 때, 그 위치는 수납 본 체(11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도록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커버 본체(120)에는 커버 본체(120)를 관통하는 제2 관통홀(124)이 형성되며, 제2 관통홀(124)은 앞서 설명한 수납 본체(110)와 커버 본체(120)가 상호 마주하여 결합할 경우에, 제1 관통홀(114)과 함께 하나의 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그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관통홀(114) 및 제2 관통홀(124)은 상호 마주할 때, 하나의 홀 형태로 제공되어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으며, 수납 본체(110)와 커버 본체(120)가 상호 마주하도록 결합되어 일체의 박스 형태로 제공되는 과일 포장용기(100)를 손쉽게 운반할 수 있다.
한편, 제1 관통홀(114)과 제2 관통홀(124)을 손잡이로써 사용하는 경우에, 과일 포장용기(100)의 내부에 담긴 과일들의 무게에 의해서 제1 관통홀(114)과 제2 관통홀(124) 주변의 수납 본체(110) 및 커버 본체(120)가 파손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에 따른 과일 포장용기(100)는 상술한 문제를 보조판(115)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으며, 이하, 보조판(115)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보조판(115)은 커버 본체(120)에 회전 가능하게 커버 본체(120)와 일체로 형성되며, 커버 본체(120)와 마주하도록 커버 본체(120)로부터 회전하여, 제2 관통홀(124) 주변의 커버 본체(120)를 커버하되, 보조판(115)은 수납 본체(110)의 외측과 밀착하도록, 커버 본체(110)로부터 회전시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보조판(115)에는 제1 관통홀(114)과 대응하는 위치에 보조홀(116)이 형성되어 있어, 커버 본체(120)에 보조판(115)을 덧대더라도, 제1 관통홀(114)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 본체(120)의 제2 관통홀(124) 주변의 강도를 보완할 수 있는 보조판(115)을 제공함으로써, 제1 관통홀(114)과 제2 관통홀(124)을 손잡이로써 사용하는 경우에, 과일 포장용기(100)의 내부에 담긴 과일들의 무게에 의해서 제1 관통홀(114)과 제2 관통홀(124) 주변의 수납 본체(110) 및 커버 본체(1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 본체(120)에 보조판(115)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수납 본체에 수납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수납 본체와 마주하도록 수납 본체로부터 회전하되, 커버 본체의 외측과 밀착하도록, 수납 본체로부터 회전시켜 배치되는 보조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과일 포장용기(100)는 수납 본체(110) 및 커버 본체(120) 사이에 개재되는 판상의 완충 트레이(130)를 포함하며, 이는 과일 수납홈(112)에 수용된 과일이 과일 수납홈(112)의 내경과 그 직경이 차이가 있어 과일이 과일 수납홈(112) 내측에서 노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완충 트레이(130)는 과일의 타측이 삽입 가능하도록 과일 수납홈(11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방사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 수용부(132)를 포함한다. 이에, 과일의 직경에 크게 구애 받지 않고 과일의 타측이 삽입될 수 있으며, 과일의 외측 둘레를 지지하여, 과일이 과일 수납홈(112)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과일 포장용기(100)는 수납 본체(110) 및 커버 본체(120)의 외면을 커버하는 용기 레이블(140)을 더 포함하며, 용기 레이블(140)은 과일 수납홈(112)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외면에 굴곡이 형성될 수 있는 수납 본체(110)를 외부에서 감싸, 과일 포장용기(100)의 외면을 매끄럽게 하여 미관상 좋게 보일 수 있으며, 용기 레이블(140)의 표면에 내용물 및 판매자에 대한 정보, 및 다양한 로고 등을 인쇄할 수 있고, 특히 과일 포장 용기(100)의 손잡이부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용기 레이블(140)은 양 단부가 수납 본체(110) 및 커버 본체(120)의 외면을 감싼 상태에서 과일 포장용기(100)의 손잡이부를 구성하는 제1 관통홀(114) 및 제2 관통홀(124)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길이로 제작되며, 이때, 제1 및 제2 관통홀(114, 124)에 각각 대응하도록 용기 레이블(140)의 양 단부에도 용기 레이블(140)의 손잡이부를 구성하는 홀(142)이 각각 형성되며, 또한, 양 단부 중 어느 한쪽에는 돌기가 다른 한쪽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절개선이 형성되어 양 단부가 상호 결속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레이블(140)이 과일 포장용기(100)를 감싼 상태에서는 용기 레이블(140)의 손잡이부와 과일 포장용기(100)의 손잡이부가 서로 이중으로 겹쳐지도록 중첩됨으로써 과일 포장용기의 손잡이부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어, 과일 포장용기에 수용된 과일의 무게에 의해 펄프 재질로 이루어진 포장용기의 손잡이부가 파손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과일 포장용기의 손잡이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 포장용기(20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과일 포장용기(100)와 사실상 동일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상이한 보조판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며, 그 외에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과일 포장용기(100)에 대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에 도시된 손잡이는 손잡이의 강도를 강화한 것으로, 한겹인 몰드 구조를 접어서 두겹 구조로 개선하여 손잡이의 강도를 강화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1 보조판(215)은 수납 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 본체(2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수납 본체(210)와 마주하도록 수납 본체(210)로부터 회전하여, 제1 관통홀 주변의 수납 본체(210)를 커버하도록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보조판(215)은 수납 본체(210)의 내면 혹은 바깥쪽 면 어느 쪽에나 밀착될 수 있으나, 내면에 밀착되도록 수납 본체(210)로부터 회전시켜 배치하고, 마주하여 배치되는 커버 본체(220)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수납 본체(210)와 제1 보조판(215)이 상호 이격되는 것을 자연스럽게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보조판(215)에는 제1 관통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1 보조홀이 형성되어 있어, 수납 본체(210)에 제1 보조판(215)을 덧대더라도, 제1 관통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보조판(225)은 커버 본체(220)에 회전 가능하게 커버 본체(220) 와 일체로 형성되며, 커버 본체(220)와 마주하도록 커버 본체(220)로부터 회전하여, 제2 관통홀(224) 주변의 커버 본체(220)를 커버하도록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제2 보조판(225)은 커버 본체(220)의 내면 혹은 바깥쪽 면 어느 쪽에나 밀착될 수 있으나, 내면에 밀착되도록 커버 본체(220)로부터 회전시켜 배치하고, 마주하여 배치되는 수납 본체(210)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커버 본체(220)와 제2 보조판(225)이 상호 이격되는 것을 자연스럽게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보조판(225)에는 제2 관통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보조홀이 형성되어 있어, 커버 본체(220)에 제2 보조판(225)을 덧대더라도, 제2 관통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납 본체(210)와 커버 본체(220)의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 주변의 강도를 보완할 수 있는 제1 보조판(215) 및 제2 보조판(225)의 두 겹구조의 손잡이를 제공함으로써, 제1 관통홀과 제2 관통홀을 손잡이로써 사용하는 경우에, 과일 포장용기(200)의 내부에 담긴 과일들의 무게에 의해서 제1 관통홀과 제2 관통홀 주변의 수납 본체(210) 및 커버 본체(2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제1 보조판(215) 및 제2 보조판(225)은 어느 하나만 제공되거나, 둘 다 제공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여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포장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과일 포장용기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과일 포장용기 중 보조판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고안의 과일 포장용기의 완충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완충 트레이의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용기 레이블을 전개시킨 전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과일 포장용기에 용기 레이블을 감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과일 포장용기의 손잡이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과일 포장용기 110:수납 본체
112:과일 수납홈 114:제1 관통홀
115: 보조판 116:보조홀
120:커버 본체 124:제2 관통홀
130:완충 트레이 132:절개 수용부
140:용기

Claims (6)

  1. 과일을 수납할 수 있는 과일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과일의 일측에서 상기 과일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과일 수납홈을 포함할 수 있는 수납 본체;
    상기 수납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과일의 타측에서 상기 과일을 커버하는 커버 본체; 및
    상기 수납 본체 및 커버 본체의 사이에 개재되어, 과일의 타측이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과일 수납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방사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 수용부가 구비된 판상의 완충 트레이;
    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 본체에는 수납 본체를 관통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 본체에는 커버 본체를 관통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 본체 및 커버 본체가 상호 마주하여 결합되면,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이 상호 일치하여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 본체와 마주하도록 상기 수납 본체로부터 회전하여, 상기 제1 관통홀 주변의 상기 수납 본체를 커버하며, 상기 제1 관통홀과 대응하는 제1 보조홀을 포함하는 제1 보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 본체와 마주하도록 상기 커버 본체로부터 회전하여, 상기 제2 관통홀 주변의 상기 커버 본체를 커버하며, 상기 제2 관통홀과 대응하는 제2 보조홀을 포함하는 제2 보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의 외면을 커버하는 용기 레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레이블은 양 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에 각각 대응하는 홀이 각각 형성된 손잡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기.
KR2020090013095U 2009-10-08 2009-10-08 과일 포장용기 KR2004604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095U KR200460430Y1 (ko) 2009-10-08 2009-10-08 과일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095U KR200460430Y1 (ko) 2009-10-08 2009-10-08 과일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683U KR20110003683U (ko) 2011-04-14
KR200460430Y1 true KR200460430Y1 (ko) 2012-05-25

Family

ID=44209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095U KR200460430Y1 (ko) 2009-10-08 2009-10-08 과일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4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151B1 (ko) 2021-04-02 2021-10-18 최상호 임의 구획에 의한 개별 보관형 과일 포장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1804A (zh) * 2019-10-09 2020-01-03 陈浩能 包装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608U (ko) * 1995-08-30 1997-03-27 박삼동 포장대
KR20090012294U (ko) * 2008-05-27 2009-12-02 박동용 가방식 과일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608U (ko) * 1995-08-30 1997-03-27 박삼동 포장대
KR20090012294U (ko) * 2008-05-27 2009-12-02 박동용 가방식 과일포장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151B1 (ko) 2021-04-02 2021-10-18 최상호 임의 구획에 의한 개별 보관형 과일 포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683U (ko)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80446A1 (en) Container for produce storage, packing & transport
KR200453946Y1 (ko) 가방식 과일포장용기
CA3024777A1 (en) Reusable plastic container for storing and shipping of produce
US20030213725A1 (en) Package and lower-package buffer member
KR100850876B1 (ko) 딸기 포장용기
KR200460430Y1 (ko) 과일 포장용기
KR200424470Y1 (ko) 다용도 포장용기
US20070172563A1 (en) Container for a whole egg
JP2007030952A (ja) 発泡合成樹脂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ロケット包装体の収納方法
KR20120039132A (ko) 과일포장용기 및 과일포장방법
KR101731727B1 (ko) 과일 바구니
JP4528560B2 (ja) ロール製品搬送用輸送形態
JP3132755U (ja) 運搬容器
JP2006188283A (ja) 品物の包装容器におけるコンパクトディスクの収納構造
JP6475499B2 (ja) 基板収納容器用梱包箱
KR20120078320A (ko) 과일 포장용 용기
US20060263492A1 (en) Produce packaging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0194285Y1 (ko) 박스형 계란 포장용기
KR200311971Y1 (ko) 적재시 유동방지를 위한 과일 포장용기
KR200250929Y1 (ko) 과일 포장용기
KR100773990B1 (ko) 포장용 상자
KR200410872Y1 (ko) 2열 적재식 딸기 포장용기
JP3423258B2 (ja) ラベル付き容器収納箱
KR100773989B1 (ko) 포장용 상자
JP3807384B2 (ja) 梱包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