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412Y1 - 추진축 센터베어링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추진축 센터베어링 고정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0412Y1 KR200460412Y1 KR20100010533U KR20100010533U KR200460412Y1 KR 200460412 Y1 KR200460412 Y1 KR 200460412Y1 KR 20100010533 U KR20100010533 U KR 20100010533U KR 20100010533 U KR20100010533 U KR 20100010533U KR 200460412 Y1 KR200460412 Y1 KR 20046041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nter bearing
- variable
- propulsion shaft
- vehicle body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추진축 센터베어링 고정구조 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추진축 센터베어링(10) 둘레부분을 동축상으로 감싸고 있는 지지케이스(3); 상기 지지케이스(3)와 상기 차량의 차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지지케이스(3)의 조립위치를 가변시키도록 되어 있는 위치가변판(5); 및 상기 지지케이스(3)와 상기 위치가변판(5)을 관통하여 상기 차체 저면에 나사 결합되는 복수의 체결볼트(7);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케이스(3)는 상기 센터베어링(10)을 감싸는 링부(11)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13)의 양단에 상기 지지부(13)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슬롯공(15)이 각각 관통되고, 상기 위치가변판(5)은 상기 지지부(13) 상면에 정합되면서 상기 지지부(13)의 횡이동을 구속하도록 저면 양단에 각각 고정턱(17)이 돌출되며, 각각의 상기 고정턱(17) 안쪽에 상기 슬롯공(15)과 정렬되는 삽입공(19)이 각각 관통되되, 상기 위치가변판(5)은 삽입공(19)의 위치가 각각 달리 배치된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차체나 관련 부품들의 제작오차 등으로 인해 야기된 센터베어링의 좌우 및 상하방향 편차를 위치가변판이나 높이가변와셔를 교체함으로써 쉽게 보정할 수 있게 되므로, 센터베어링의 오정렬로 인해 유발되는 추진축 및 관련 구동계의 진동을 저감 또는 소멸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추진축 센터베어링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구동장치 중 엔진의 구동력을 차축으로 전달하는 추진축의 차체 지지에 사용되는 센터베어링을 위치 조절 가능하게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추진축 센터베어링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추진축을 차체에 지지하는 종래의 센터 베어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축(P)의 입력측 축부재(102)와 출력측 축부재(104) 경계 부분에 지지케이스(103)을 통해 장착되어 차체 저면의 탭(tap) 등에 체결볼트(107)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차체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체에 고정되는 센터베어링(110)은 차체나 추진축, 전후 구동부품들의 제작오차 등으로 인해 오정렬될 수 있고, 이러한 오정렬은 주행 중 추진축(P)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추진축(P)의 진동은 회전 속도가 증가할수록 커지며, 특히 고속 주행 차량에서 구동계에 진동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따라서, 차량 개발 단계에서 주행 중 추진축(P)의 진동을 억제하기 위해 추진축 전후 구동부품들을 러버부시 등 부시 타입의 고정부품으로 조립하거나 강성(stiffness)과 같은 특성치를 조절하여 왔으며, 심한 경우 차체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일까지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추진축의 센터베어링 위치를 상하좌우로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차체 등 각종 부품의 제작 오차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추진축의 주행 중 진동을 저감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차량의 추진축 센터베어링 둘레부분을 동축상으로 감싸고 있는 지지케이스; 상기 지지케이스와 상기 차량의 차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지지케이스의 조립위치를 가변시키도록 되어 있는 위치가변판; 및 상기 지지케이스와 상기 위치가변판을 관통하여 상기 차체 저면에 나사 결합되는 복수의 체결볼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케이스는 상기 센터베어링을 감싸는 링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의 양단에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슬롯공이 각각 관통되고, 상기 위치가변판은 상기 지지부 상면에 정합되면서 상기 지지부의 횡이동을 구속하도록 저면 양단에 각각 고정턱이 돌출되며, 각각의 상기 고정턱 안쪽에 상기 슬롯공과 정렬되는 삽입공이 각각 관통되되, 상기 위치가변판은 삽입공의 위치가 각각 달리 배치된 복수개로 구비되는 추진축 센터베어링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위치가변판은 상기 삽입공의 위치는 각각 동일하나, 두께가 서로 다른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볼트에는 상기 위치가변판과 상기 차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센터베어링과 상기 차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높이가변와셔가 끼워지되, 상기 높이가변와셔는 두께가 각각 다른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볼트에는 상기 위치가변판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센터베어링과 상기 차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높이가변와셔가 끼워지되, 상기 높이가변와셔는 두께가 각각 다른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롯공은 상기 센터베어링의 횡방향 위치조절이 필요한 최대범위에 맞추어 길이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가변판은 상기 슬롯공의 길이를 일정 간격으로 등분하고, 그 등분한 수보다 하나 많은 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추진축 센터베어링 고정구조에 의하면, 센터베어링을 지지하는 지지케이스의 슬롯공, 위치가변판의 삽입공, 그리고 높이가변와셔를 일렬로 체결볼트에 끼워 차체의 탭에 결합함에 있어 위치가변판의 삽입공 위치 또는 두께나 높이가변와셔의 두께를 달리 함으로써, 차체나 관련 부품들의 제작오차 등으로 인해 야기된 센터베어링의 좌우 및 상하방향 편차를 보정할 수 있게 되므로, 센터베어링의 오정렬로 인해 유발되는 추진축 및 관련 구동계의 진동을 저감 또는 소멸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추진축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추진축 센터베어링 고정구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지지케이스와 다양한 종류의 위치가변판을 비교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지케이스와 두 종류의 위치가변판을 비교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추진축 센터베어링 고정구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지지케이스와 다양한 종류의 위치가변판을 비교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지케이스와 두 종류의 위치가변판을 비교하여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진축 센터베어링 고정구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추진축 센터베어링의 고정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축(P)을 차체에 축지지하는 센터베어링(10)을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로서, 크게 지지케이스(3), 위치가변판(5), 및 복수의 체결볼트(7)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케이스(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추진축 센터베어링 고정구조에서도 볼 수 있듯이 센터베어링(10)을 차체 저면에 고정하기 위해 센터베어링(10) 둘레부분 전체를 동축상으로 감싸고 있는 구조물로서, 도시된 것처럼 센터베어링(10)을 감싸는 링부(11)와 이 링부(11)의 상단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1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링부(11)의 중심으로는 센터베어링(10)을 통해 추진축(P) 통과하며, 지지부(13)의 양단에는 체결볼트(7)를 끼우기 위한 슬롯공(15)이 각각 관통, 형성되는 바, 각각의 슬롯공(15)은 지지부(13)의 길이방향으로, 즉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긴 구멍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체결볼트(7)의 삽입위치를 위치가변판(5) 삽입공(19)의 위치에 맞추어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위치가변판(5)은 실질적으로 센터베어링(10)의 조립위치를 횡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부분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케이스(3)와 차체 사이에 개재되는 바, 바람직하게는 지지케이스(3)의 지지부(13) 상면에 정합되며, 이를 위해 전체적인 형상이 지지부(13)의 상면 형상과 동일하게 절곡되어 횡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다. 아울러, 위치가변판(5)은 지지부(13)가 횡방향으로 상대 이동하지 못하도록 저면 양단에 고정턱(17)이 각각 돌출되는 바, 고정턱(17)에 의해 지지부(13)의 횡이동을 구속한다.
또한, 위치가변판(5)은 각각의 고정턱(17) 안쪽에 지지부(13)의 슬롯공(15)과 정렬되는 삽입공(19)이 하나씩 관통되는 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삽입공(19)의 위치가 각각 달리 배치된 여러 종류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예컨대, 도 5에서와 같이, 슬롯공(15)의 길이를 센터베어링(10)의 횡이동 조절을 위한 단위길이(u)로 일정하게 등분하고, 그 등분된 수(3)보다 하나 많은 수(4)만큼 위치가변판(5)을 구비하여 각각의 위치가변판(5)에 슬롯공(15)의 내측단(In)에서 단위길이(u)만큼씩 편차를 두어 외측단(Out)까지 삽입공(19)을 배치한다. 이때, 당연히 슬롯공(15)은 센터베어링(10)의 횡방향 위치조절이 필요한 최대범위까지 포함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한다.
한편, 위치가변판(5)은 위와 같이 삽입공(19)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센터베어링(10)의 횡방향 편차를 흡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두께를 달리 함으로써 센터베어링(10)의 상하방향 편차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위치가변판(5)은 삽입공(19)의 위치는 동일하면서 두께는 서로 다르게 복수로 구비되어, 차체로부터 지지부(13)까지의 간격을 선택된 위치가변판(5)의 두께차에 의해 조절하게 된다.
끝으로, 상기 복수의 체결볼트(7)는 위치가변판(5)을 개재시킨 상태로 지지부(13)를 차체 저면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3)의 슬롯공(15)과 위치가변판(5)의 삽입공(19)을 관통하여 차체 저면의 탭(미도시)에 체결됨으로써 센터베어링(10)을 차체에 고정한다.
이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위치가변판(5)과 차체 사이에 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위치가변판(5)과 지지부(13) 사이에 개재되도록 체결볼트(7)에 높이가변와셔(21)를 끼움으로써, 위치가변판(5)의 두께를 변화시키지 않고도, 또는 이와 병행하여 센터베어링(10)과 차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데, 높이가변와셔(21)도 마찬가지로 그 두께를 각각 달리 하여 조절 높이를 다양하게 바꿀 수 있다.
이제,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추진축 센터베어링 고정구조(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고정구조(1)에 의하면, 센터베어링(10)의 고정위치를 횡방향으로 또는 상하방향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케이스(3)와 위치가변판(5)에 체결볼트(7)를 끼워 차체 저변의 탭에 결합함으로써 센터베어링(10)을 차체에 고정할 때, 차체의 다른 부분에서 발생한 조립편차를 센터베어링(10)의 위치 변경을 통해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즉, 횡방향 편차를 흡수하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19')이 기준위치에서 이동되어 있는 위치가변판(5')을 지지부(13) 위에 얹는다. 그리고 나서, 삽입공(19')과 슬롯공(15)과 체결볼트(7)를 차체의 탭(T)에 정렬시킨 다음, 체결볼트(7)를 슬롯공(15)과 삽입공(19')에 끼워 탭(T)에 결합하면, 삽입공(19)이 기준위치에 있는 위치가변판(5)을 통해 결합할 때보다 센터베어링(10)을 위치조절이 필요한 편차(L)만큼 횡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따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센터베어링(10)의 상하방향 편차를 흡수하고자 할 때도 기준위치보다 위 또는 아래로 편차가 발생한 만큼 두께가 더 두껍거나 얇은 위치가변판(5)을 사용하거나, 동일한 위치가변판(5)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준두께보다 더 두껍거나 얇은 높이가변와셔(21)를 사용하면 쉽게 센터베어링(10)을 상하로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1 : 추진축 센터베어링 고정구조 3 : 지지케이스
5, 5' : 위치가변판 7 : 체결볼트
10 : 센터베어링 11 : 링부
13 : 지지부 15 : 슬롯공
17 : 고정턱 19, 19' : 삽입공
21 : 높이가변와셔 P : 추진축
5, 5' : 위치가변판 7 : 체결볼트
10 : 센터베어링 11 : 링부
13 : 지지부 15 : 슬롯공
17 : 고정턱 19, 19' : 삽입공
21 : 높이가변와셔 P : 추진축
Claims (6)
- 차량의 추진축 센터베어링(10) 둘레부분을 동축상으로 감싸고 있는 지지케이스(3);
상기 지지케이스(3)와 상기 차량의 차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지지케이스(3)의 조립위치를 가변시키도록 되어 있는 위치가변판(5); 및
상기 지지케이스(3)와 상기 위치가변판(5)을 관통하여 상기 차체 저면에 나사 결합되는 복수의 체결볼트(7);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케이스(3)는 상기 센터베어링(10)을 감싸는 링부(11)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13)의 양단에 상기 지지부(13)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슬롯공(15)이 각각 관통되고,
상기 위치가변판(5)은 상기 지지부(13) 상면에 정합되면서 상기 지지부(13)의 횡이동을 구속하도록 저면 양단에 각각 고정턱(17)이 돌출되며, 각각의 상기 고정턱(17) 안쪽에 상기 슬롯공(15)과 정렬되는 삽입공(19)이 각각 관통되되,
상기 위치가변판(5)은 삽입공(19)의 위치가 각각 달리 배치된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축 센터베어링 고정구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변판(5)은 상기 삽입공(19)의 위치는 각각 동일하나, 두께가 서로 다른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축 센터베어링 고정구조.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7)에는 상기 위치가변판(5)과 상기 차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센터베어링(10)과 상기 차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높이가변와셔(21)가 끼워지되,
상기 높이가변와셔(21)는 두께가 각각 다른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축 센터베어링 고정구조.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7)에는 상기 위치가변판(5)과 상기 지지부(13)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센터베어링(10)과 상기 차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높이가변와셔(21)가 끼워지되,
상기 높이가변와셔(21)는 두께가 각각 다른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축 센터베어링 고정구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공(15)은 상기 센터베어링(10)의 횡방향 위치조절이 필요한 최대범위에 맞추어 길이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축 센터베어링 고정구조.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변판(5)은 상기 슬롯공(15)의 길이를 일정 간격으로 등분하고, 그 등분한 수보다 하나 많은 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축 센터베어링 고정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10533U KR200460412Y1 (ko) | 2010-10-13 | 2010-10-13 | 추진축 센터베어링 고정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10533U KR200460412Y1 (ko) | 2010-10-13 | 2010-10-13 | 추진축 센터베어링 고정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2766U KR20120002766U (ko) | 2012-04-23 |
KR200460412Y1 true KR200460412Y1 (ko) | 2012-06-01 |
Family
ID=46606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00010533U KR200460412Y1 (ko) | 2010-10-13 | 2010-10-13 | 추진축 센터베어링 고정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0412Y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53035A (ja) | 1996-08-09 | 1998-02-24 | Nok Megurasutikku Kk | 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 |
JP2006290174A (ja) | 2005-04-12 | 2006-10-26 | Hitachi Ltd | プロペラシャフトの支持装置 |
JP2010173590A (ja) | 2009-02-02 | 2010-08-12 |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 プロペラシャフトの支持装置 |
-
2010
- 2010-10-13 KR KR20100010533U patent/KR20046041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53035A (ja) | 1996-08-09 | 1998-02-24 | Nok Megurasutikku Kk | 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 |
JP2006290174A (ja) | 2005-04-12 | 2006-10-26 | Hitachi Ltd | プロペラシャフトの支持装置 |
JP2010173590A (ja) | 2009-02-02 | 2010-08-12 |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 プロペラシャフトの支持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2766U (ko) | 2012-04-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54194B2 (en) | Automobile reducer | |
CN103080603B (zh) | 偏心张紧轮 | |
US11187275B2 (en) | Device for connecting a steering column to a steering gear housing | |
US20030178244A1 (en)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 |
US20140260719A1 (en) | Rack bar support device of a steering gear | |
WO2009105091A1 (en) | Shaft retaining bracket assembly | |
US11186156B2 (en) | Monobloc device for supporting a powerplant, incorporating a connecting-shaft bearing | |
US10876575B2 (en) | Motion guide device | |
KR20090092951A (ko) | 자동차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기어박스 | |
KR200460412Y1 (ko) | 추진축 센터베어링 고정구조 | |
JP2014163430A (ja) | チェーンガイド | |
KR20010003228A (ko) | 스티어링 기어박스와 파워 트레인의 일체형 마운팅 구조 | |
KR102168446B1 (ko) | 반능동 스테빌라이저 장치 | |
KR101526700B1 (ko) | 스탭바와 조향장치가 일체로 설치된 차량의 서브프레임 | |
KR102451989B1 (ko) |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 | |
KR20130033786A (ko) |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용 결합구조 | |
JP5531813B2 (ja) | エンジンの補機取付構造 | |
JP6905514B2 (ja) | ハンドリング・ストラット | |
JP5840760B1 (ja) | 鉄道車両用軸箱支持装置 | |
CN205149529U (zh) | 降低车辆传动轴震动的安装结构 | |
JP4363175B2 (ja) | 車両の前部構造 | |
JP2007120672A (ja) | 防振マウント | |
JP6120747B2 (ja) | トラクタのフレーム構造 | |
KR101610081B1 (ko) | 자동차의 트랜스밋션 마운팅 구조 | |
US9845105B2 (en) | Adjustment mounting bracket assembly for steering colum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