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407Y1 -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 - Google Patents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0407Y1 KR200460407Y1 KR2020120001946U KR20120001946U KR200460407Y1 KR 200460407 Y1 KR200460407 Y1 KR 200460407Y1 KR 2020120001946 U KR2020120001946 U KR 2020120001946U KR 20120001946 U KR20120001946 U KR 20120001946U KR 200460407 Y1 KR200460407 Y1 KR 20046040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nger
- fixing
- support
- support body
- coupling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5—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7—Holders or handles for hanging up infusion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5—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 A61M2005/1416—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placed on the body of the pat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에 관한 것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몸체(110)와, 상기 지지몸체(110)의 상단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어깨를 지지하는 견착부(120)와, 상기 지지몸체(110)의 중간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손잡이(130)와, 상기 지지몸체(110)의 하단에 결합 되어 상기 지지몸체(110)를 지지하는 지지다리(140)와, 상기 지지몸체(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홈(150)과, 상기 제1 결합홈(150)에 장착되어 링거가 고정되는 링거지지수단(200)과, 상기 링거지지수단(200)이 상기 제1 결합홈(150)에 장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구속하는 제1 고정수단(3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은, 목발의 일측에 링거를 고정하여 이동할 수 있고, 보관수단에 소지품을 거치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 사용되는 목발에 필요에 따라 링거를 걸 수 있도록, 목발의 일측에 링거지지수단이 선택적으로 결합 되는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리의 골절, 질병 등으로 인하여 다리의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 또는 장애우들은 목발을 사용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2개의 목발을 이용하거나, 한쪽 손으로 목발의 손잡이를 잡고 다른 한쪽 손으로는 목발의 지지몸체를 잡아, 주로 양손을 모두 이용하여 목발을 지탱하거나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목발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양손에 제약을 받게 된다.
따라서, 목발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이동시에 링거(Ringer)를 들기 위하여 타인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 이동이 매우 불편하고 활동에 제약이 큰 단점이 있었다.
또한, 소지품이나 가방 등을 소지하는 것에도 행동 제약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목발의 일측에 링거를 걸 수 있도록, 링거지지수단을 필요에 따라 장착할 수 있는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목발의 일측에 소지품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보관수단을 필요에 따라 장착할 수 있는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은,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의 상단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어깨를 지지하는 견착부와; 상기 지지몸체의 중간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손잡이와; 상기 지지몸체의 하단에 결합 되어, 상기 지지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다리와; 상기 지지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홈과;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링거걸이의 축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링거삽입대와, 상기 링거삽입대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결합홈의 내부에 수용되어 제1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장착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홈에 장착되어 링거가 고정되는 링거지지수단과; 일단이 상기 장착대에 형성되는 고정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1 고정봉과, 상기 제1 고정봉의 일단이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 고정봉의 이동을 강제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1 고정봉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제1 고정봉의 일단을 상기 고정홀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바를 포함하며, 상기 링거지지수단이 상기 제1 결합홈에 장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구속하는 제1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몸체의 타측에는 제2 결합홈이 더 형성되고; 하부에 주머니가 결합 된 고리형상의 보관대와, 상기 보관대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결합홈의 내부에 수용되어 제2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수용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홈에 장착되어 소정의 물건이 보관되는 보관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일단이 상기 수용대에 형성되는 고정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2 고정봉과; 상기 제2 고정봉의 일단이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공의 이동을 강제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2 고정봉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제2 고정봉의 일단을 상기 고정공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제2 조작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에는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는 사용자의 몸을 지지하는 지지몸체의 일측에 제1 결합홈이 형성되고, 제1 결합홈에 장착되는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되며, 링거지지수단이 제1 결합홈에 장착된 상태로 고정하는 제1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지지몸체의 일측에 링거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목발의 일측에 링거를 고정할 수 있어 링거를 맞아야 하는 목발 사용자가 목발을 양손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동이 보다 자유로운 이점이 있다.
또한, 링거를 고정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링거지지수단을 지지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선택적으로 링거지지수단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상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는 지지몸체의 타측에 제2 결합홈이 형성되고, 제2 결합홈에 장착되는 보관수단이 구비되며, 보관수단이 제2 결합홈에 장착된 상태로 고정하는 제2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지지몸체의 타측에 보관수단을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폰 등의 소정 물건을 보관할 수 있어 사용성이 우수하며, 사용자의 이동이 보다 자유로운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에서 지지몸체의 제1 결합홈 및 제2 결합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에서 제1 고정수단 및 제2 고정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에서 지지몸체의 제1 결합홈 및 제2 결합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에서 제1 고정수단 및 제2 고정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에서 지지몸체의 제1 결합홈 및 제2 결합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에서 보관수단(400)수단 및 제2 고정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은, 지지몸체(110), 견착부(120), 손잡이(130), 지지다리(140), 링거지지수단(200), 제1 고정수단(310) 등으로 구성된다.
지지몸체(110)는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사용자의 무게를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몸체(11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110a, 110b)가 상단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되, 하단으로 갈수록 지지대(110a, 110b) 사이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몸체(110)는 무게의 경감을 위하여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견착부(120)는 상기 지지몸체(110)의 상단에 수평으로 구비되며,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어깨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견착부(12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밀착되도록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30)는 상기 지지몸체(110)의 중간부에 수평으로 구비된다. 즉, 상기 손잡이(130)는 상기 한 쌍의 지지대(110a, 110b)를 사이에 구비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지지대(110a, 110b)에 연결된다. 상기 손잡이(130)는 사용자가 이동시에 목발을 들어 옮기는데 이용되고, 또한 사용자가 손에 체중을 실은 상태로 신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다리(140)는 상기 지지몸체(110)의 하단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지지몸체(110)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무게를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다리(14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연장된 1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지지몸체(110)의 하단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지지몸체(110)의 하단에는 다수의 길이조절홀(112)이 수평으로 관통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길이조절홀(112)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지지대(110a, 110b)에 동일한 높이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하로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다리(140)의 상단에는 상기 길이조절홀(112)에 대응되는 대응홀(14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다리(140)는, 상기 대응홀(142)이 상기 길이조절홀(112)과 연통되도록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고 상기 상기 길이조절홀(112) 및 대응홀(142)을 관통하는 고정톨트(114)에 의해 상기 지지몸체(110)의 하단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다리(140)를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대응홀(142)을 어느 높이의 길이조절홀(112)에 위치시키는가에 따라 목발의 전체 길이가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다리(140)의 끝단부에는 완충캡(144)이 구비된다. 상기 완충캡(144)은 상기 지지다리(140)가 바닥면에 닿을 시의 충격이 지지다리(140)의 상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완충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완충캡(144)은 고무, 우레탄,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몸체(110)의 일측에는 제1 결합홈(150)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홈(150)은 상기 지지몸체(110)의 측면이 개방됨으로써 형성되며, 구체적으로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몸체(110)의 우측면(도 2에서) 상단에 상하로 두 부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홈(150)에는 링거지지수단(200)이 선택적으로 착탈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거지지수단(200)은 링거삽입대(210), 장착대(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결합홈(150)에 장착시에 링거걸이(20)의 축대(20a)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링거삽입대(210)는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링거걸이(20)의 축대(20a)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거삽입대(210)는 하면이 폐쇄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대(212)는 상기 링거삽입대(210)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결합홈(150)의 내부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대(212)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거삽입대(210)의 일측으로 수평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끝단이 하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착대(212)는 상기 제1 결합홈(150)에 대응되도록 상하로 두 부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대(212)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끝단부가 상기 제1 결합홈(150)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지지몸체(110) 내부의 공간에 수용된다.
상기 링거지지수단(200)은 제1 고정수단(310)에 의하여 고정된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정수단(310)은 제1 고정봉(312), 탄성부재(314), 조작바(3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링거지지수단(200)이 지지몸체(1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장착대(212)의 일단을 걸어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1 고정봉(312)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환봉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대(110a, 110b) 사이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연결하는 원통형의 고정하우징(30)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 고정봉(312)은 일단이 상기 장착대(212)에 형성되는 고정홀(212a)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고정홀(212a)에 삽입 시에 상기 링거지지수단(20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홀(212a)에 삽입되는 상기 제1 고정봉(312)의 일단은 좌측에서 우측으로(도 3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장착대(212)가 상기 제1 결합홈(150)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1 고정봉(312)이 좌측(도 3에서)으로 밀도록 하기 위함이다.
탄성부재(314)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정봉(312)의 좌측(도 3에서)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고정봉(312)이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강제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314)는 상기 제1 고정봉(312)이 상기 고정홀(212a) 측으로 이동하도록 강제로 밀어, 상기 제1 고정봉(312)의 일단이 상기 고정홀(212a)에 삽입되도록 강제한다.
조작바(316)는 상기 제1 고정봉(312)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조작바(316)는 상기 제1 고정봉(312)의 일단을 상기 고정홀(212a)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조작바(316)를 잡고 좌측(도3 참조)으로 당기면 상기 제1 고정봉(312)이 좌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고정홀(212a)에 삽입된 제1 고정봉(312)의 일단이 고정홀(212a)로부터 이탈된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바(316)는 상하로 구비된 한 쌍의 제1 고정봉(312)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봉(312)을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하우징(30)에는 상기 조작바(316)가 외부로 돌출되어 좌우(도 3참조)로 직선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로(330a)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몸체(110)의 타측에는 제2 결합홈(160)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결합홈(160)은 상기 지지몸체(110)의 측면이 개방됨으로써 형성되며, 구체적으로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몸체(110)의 좌측면(도 2에서)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홈(160)에는 보관수단(400)이 선택적으로 착탈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관수단(400)은 보관대(410), 수용대(4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결합홈(160)에 장착시에 소정의 물건이 보관될 수 있다.
보관대(410)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물건이 거치되는 주머니(414)가 결합 된다. 상기 주머니(414)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용대(412)는 상기 보관대(410)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결합홈(160)의 내부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대(412)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관대(410)의 일측으로 수평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끝단이 하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용대(412)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끝단부가 상기 제2 결합홈(160)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지지몸체(110) 내부의 공간에 수용된다.
상기 보관수단(400)은 제2 고정수단(320)에 의하여 고정된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고정수단(320)은 제2 고정봉(322), 탄성부재(324), 조작바(3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관수단(400)이 지지몸체(1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대(412)의 일단을 걸어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고정수단(320)의 구성은 상기 제1 고정수단(31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상기 제2 고정수단(320)의 제2 고정봉(322)은 일단이 상기 수용대(412)에 형성되는 고정공(412a)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고정공(412a)에 삽입 시에 상기 보관수단(40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지지몸체(110)의 일측에 링거지지수단(200)이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상기 링거지지수단(200)의 장착대(212)를 상기 지지몸체(110) 일측에 형성된 제1 결합홈(150)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링거지지수단(200)을 지지몸체(110) 일측에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장착대(212)가 상기 제1 결합홈(150)에 삽입된 후 하측으로 힘을 받고, 제1 고정봉(312)이 좌측(도 3참조)으로 밀려났다가 다시 우측으로 돌아오면서 상기 제1 고정봉(312)의 끝단이 상기 장착대(212)의 고정홀(212a)에 삽입된다.
이는, 상기 장착대(212)가 상기 제1 고정봉(312) 끝단의 경사면을 밀면,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314)에 의해 지지된 상기 제1 고정봉(312)이 상대적으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장착대(212)가 끝까지 삽입되면서 상기 고정홀(212a)이 상기 제1 고정봉(312)의 끝단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314)에 의해 상기 제1 고정봉(312)이 다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홀(212a)에 삽입된다.
상기 탄성부재(314)는 상기 제1 고정봉(312)이 상기 고정홀(212a)에 계속해서 삽입되어 있도록 강제하므로, 상기 링거지지수단(200)은 상기 지지몸체(110)의 일측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링거지지수단(200)이 상기 지지몸체(110)의 일측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면, 상기 링거지지수단(200)의 링거삽입대(210)에 링거걸이(20)의 축대가 삽입되면서 고정되어, 목발과 함께 링거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링거지지수단(200)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조작바(316)를 조작하여 상기 링거지지수단(200)을 지지몸체(1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바(316)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고정봉(312)이 상기 탄성부재(314)를 압축시키면서 좌측(도3 참조)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홀(212a)에 삽입되었던 제1 고정봉(312)의 끝단이 고정홀(212a)로부터 이탈된다.
다음으로, 지지몸체(110)의 일측에 보관수단(400)이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상기 보관수단(400)의 수용대(412)를 상기 지지몸체(110) 일측에 형성된 제2 결합홈(160)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보관수단(400)을 지지몸체(110) 일측에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수용대(412)가 상기 제2 결합홈(160)에 삽입된 후 하측으로 힘을 받고, 제2 고정봉(322)이 우측(도 3참조)으로 밀려났다가 다시 좌측으로 돌아오면서 상기 제2 고정봉(322)의 끝단이 상기 수용대(412)의 고정공(412a)에 삽입된다.
이는, 상기에서 링거지지수단(200)의 결합을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용대(412)가 상기 제2 고정봉(322) 끝단의 경사면을 밀면,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324)에 의해 지지된 상기 제2 고정봉(322)이 상대적으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24)는 상기 제2 고정봉(322)이 상기 고정공(412a)에 계속해서 삽입되어 있도록 강제하므로, 상기 보관수단(400)은 상기 지지몸체(110)의 일측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보관수단(400)이 상기 지지몸체(110)의 일측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면, 상기 보관수단(400)의 주머니(414)에 소정의 물건을 거치하여 목발과 함께 링거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보관수단(400) 역시 필요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조작바(326)를 조작하여 지지몸체(1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바(326)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2 고정봉(322)이 상기 탄성부재(324)를 압축시키면서 우측(도3 참조)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공(412a)에 삽입되었던 제2 고정봉(322)의 끝단이 고정공(412a)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10 : 지지몸체 110a, 110b : 지지대
112 : 길이조절홀 114 : 고정볼트
120 : 견착부 130 : 손잡이
140 : 지지다리 142 : 대응홀
144 : 완충캡 150 : 제1 결합홈
160 : 제2 결합홈 200 : 링거지지수단
210 : 링거삽입대 212 : 장착대
212a : 고정홀 310 : 제1 고정수단
312 : 제1 고정봉 314, 324 : 탄성부재
316, 326 : 조작바 320 : 제2 고정수단
322 : 제2 고정봉 330 : 고정하우징
330a : 안내로 400 : 보관수단
410 : 보관대 412 : 수용대
414 : 주머니
112 : 길이조절홀 114 : 고정볼트
120 : 견착부 130 : 손잡이
140 : 지지다리 142 : 대응홀
144 : 완충캡 150 : 제1 결합홈
160 : 제2 결합홈 200 : 링거지지수단
210 : 링거삽입대 212 : 장착대
212a : 고정홀 310 : 제1 고정수단
312 : 제1 고정봉 314, 324 : 탄성부재
316, 326 : 조작바 320 : 제2 고정수단
322 : 제2 고정봉 330 : 고정하우징
330a : 안내로 400 : 보관수단
410 : 보관대 412 : 수용대
414 : 주머니
Claims (3)
-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몸체(110)와;
상기 지지몸체(110)의 상단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어깨를 지지하는 견착부(120)와;
상기 지지몸체(110)의 중간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손잡이(130)와;
상기 지지몸체(110)의 하단에 결합 되어, 상기 지지몸체(110)를 지지하는 지지다리(140)와;
상기 지지몸체(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홈(150)과;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링거걸이(20)의 축대(20a)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링거삽입대(210)와, 상기 링거삽입대(210)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결합홈(150)의 내부에 수용되어 제1 고정수단(310)에 의해 고정되는 장착대(2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홈(150)에 장착되어 링거가 고정되는 링거지지수단(200)과;
일단이 상기 장착대(212)에 형성되는 고정홀(212a)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1 고정봉(312)과, 상기 제1 고정봉(312)의 일단이 상기 고정홀(212a)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 고정봉(312)의 이동을 강제하는 탄성부재(314)와, 상기 제1 고정봉(312)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제1 고정봉(312)의 일단을 상기 고정홀(212a)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바(316)를 포함하며, 상기 링거지지수단(200)이 상기 제1 결합홈(150)에 장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구속하는 제1 고정수단(3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110)의 타측에는 제2 결합홈(160)이 더 형성되고;
하부에 주머니(414)가 결합 된 고리형상의 보관대(410)와, 상기 보관대(410)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결합홈(160)의 내부에 수용되어 제2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수용대(4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홈(160)에 장착되어 소정의 물건이 보관되는 보관수단(400)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수단(320)은,
일단이 상기 수용대(412)에 형성되는 고정공(412a)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2 고정봉(322)과;
상기 제2 고정봉(322)의 일단이 상기 고정공(412a)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공(412a)의 이동을 강제하는 탄성부재(324)와;
상기 제2 고정봉(322)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제2 고정봉(322)의 일단을 상기 고정공(412a)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제2 조작바(3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1946U KR200460407Y1 (ko) | 2012-03-12 | 2012-03-12 |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1946U KR200460407Y1 (ko) | 2012-03-12 | 2012-03-12 |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0407Y1 true KR200460407Y1 (ko) | 2012-05-24 |
Family
ID=46607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1946U KR200460407Y1 (ko) | 2012-03-12 | 2012-03-12 |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0407Y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026833A (en) | 1997-11-07 | 2000-02-22 | Conte; Cynthia | Pockets for attachment to crutches |
JP2006158898A (ja) * | 2004-12-05 | 2006-06-22 | Takao Tachibana | 多機能杖具 |
KR100637873B1 (ko) * | 2005-07-20 | 2006-10-23 | 김부선 | 다기능 지팡이 |
JP3140011U (ja) | 2007-11-26 | 2008-03-13 | 株式会社タグチ・エンタープライズ | 複合杖 |
-
2012
- 2012-03-12 KR KR2020120001946U patent/KR20046040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026833A (en) | 1997-11-07 | 2000-02-22 | Conte; Cynthia | Pockets for attachment to crutches |
JP2006158898A (ja) * | 2004-12-05 | 2006-06-22 | Takao Tachibana | 多機能杖具 |
KR100637873B1 (ko) * | 2005-07-20 | 2006-10-23 | 김부선 | 다기능 지팡이 |
JP3140011U (ja) | 2007-11-26 | 2008-03-13 | 株式会社タグチ・エンタープライズ | 複合杖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11695B1 (ko) | 손소독제 휴대용 포켓 | |
JP3228399U (ja) | 負担軽減式バックパック | |
US20080135365A1 (en) | Foldable trolley luggage bag | |
JP2014528320A (ja) | 体形に合わせた構造を有する肩掛け式多用途掛け具 | |
KR200460407Y1 (ko) |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 | |
KR101787532B1 (ko) | 노약자용 지팡이 | |
CN209679018U (zh) | 一种甩脂机 | |
CN203017645U (zh) | 单双杠臂力锻炼设备 | |
KR200456288Y1 (ko) |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 |
KR101718859B1 (ko) | 단말기 거치대 | |
KR101434510B1 (ko) | 스탠드형 수납장치 | |
JP6283603B2 (ja) | 収納部、ステッキ、収納部付きステッキ及びステッキ機能付き収納体 | |
KR101578852B1 (ko) | 어깨 거치식 링거대 | |
CN219071133U (zh) | 具有减震功能的可折叠伸缩式助行器 | |
CN208386184U (zh) | 多功能移动电源 | |
CN207429347U (zh) | 新型拐杖 | |
KR20170060923A (ko) | 모바일 기기 거치대가 구비된 가방 | |
CN105919735B (zh) | 一种可折叠的急救担架 | |
CN215019249U (zh) | 一种体检科用手臂托放装置 | |
KR20170110304A (ko) | 겨드랑이 지지대가 구비된 가방 | |
CN209883270U (zh) | 一种具有附加储物机构的行李箱 | |
CN211130051U (zh) | 一种使用方便的书包 | |
CN213312380U (zh) | 一种防撞可移动输液架 | |
JP6403859B2 (ja) | リュックサックの肩掛け装着具 | |
CN221368614U (zh) | 一种减震保龄球拉杆收纳包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