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7873B1 - 다기능 지팡이 - Google Patents

다기능 지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7873B1
KR100637873B1 KR1020050065717A KR20050065717A KR100637873B1 KR 100637873 B1 KR100637873 B1 KR 100637873B1 KR 1020050065717 A KR1020050065717 A KR 1020050065717A KR 20050065717 A KR20050065717 A KR 20050065717A KR 100637873 B1 KR100637873 B1 KR 100637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scope
light source
support
pris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부선
Original Assignee
김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부선 filed Critical 김부선
Priority to KR1020050065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7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3/12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telescop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3/02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 A45B3/04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electric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02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involving prisms or mi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 시 사람을 지지하는 보조 기능과 함께 망원경의 기능을 겸할 수 있으며, 손잡이의 착용감이 우수한 구조를 가진 다기능 지팡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손잡이부 및 손잡이부와 결합된 지지대를 구비하는 지팡이 본체와;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망원경을 구비하는 다기능 지팡이로서, 망원경은 광원계를 구비하며, 광원계는 대물렌즈부, 접안렌즈부 및 대물렌즈부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을 적어도 두 번 굴절시켜서 접안렌즈부로 입사하는 프리즘부를 구비하는 다기능 지팡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지팡이{Stick with multi-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지팡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망원경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지팡이 본체와 망원경 사이의 결합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의 다기능 지팡이의 망원경을 사용하지 않을 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다기능 지팡이의 망원경을 사용할 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다기능 지팡이 20: 지팡이 본체
21: 손잡이부 22: 전방부
23: 그립부 26: 지지대
30: 망원경 33: 광원계
34: 대물렌즈부 35: 프리즘부
36: 제1프리즘 37: 제2프리즘
38: 접안렌즈부 40: 지지판
45: 볼 수납홀 50: 회전판
55: 탄성 볼 70: 전등
73: 광원 75: LED 렌즈
76: 광폭(光幅) 제어부
본 발명은 다기능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더 상세하게는 등산용 지팡이로서의 기능과 함께 망원경의 기능을 겸할 수 있는 다기능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등산 시 또는 야외 나들이 시에 사용되는 지팡이는 지팡이 본체와, 상기 지팡이 본체와 결합되어서 손으로 잡도록 형성된 손잡이부를 구비한다.
한편, 등산객들이 등산을 하는 경우나 야외 나들이가는 경우, 산 정상 등에서 먼 풍경을 구경하고 싶은 경우 필요한 망원경이나, 주위가 어두워지는 경우 주위를 밝히기 위한 손전등 등이 많이 사용된다. 또한 주위가 어두운 경우거나 더욱 자세히 사물을 보기 위해서, 상기 망원경을 사물 방향으로 조사한 상태에서 망원경을 통하여 사물을 관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지팡이와, 망원경과, 손전등을 별도로 소지한다면, 등산 시에 짐이 많아지게 되어서 소지하기가 불편하고, 부주의로 그 중 하나를 잃어버리기 쉽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더불어 걸어가면서 주위를 밝힐 필요가 있는 경우, 지팡이를 한손에 들고 다른 한손에 손전등을 들어야 하는 불편을 가져온다.
따라서 지팡이와 망원경, 또는 지팡이와 망원경과 전등을 일체화 시킬 필요가 있다. 지팡이와 망원경을 일체로 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상기 손잡이부에 망원경을 부가 설치하여서. 손잡이부가 손잡이 기능뿐만 아니라 망원경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망원경이 정립 상으로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가져야 하므로, 손잡이부 또한 상기 망원경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소정 두께 이상이여야 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사람이 움켜잡기 쉬운 정도의 두께를 가지게 되나, 망원경 기능을 위해서는 그 두께가 커지게 되어서 결과적으로 손잡이부의 그립성이 우수하지 못하게 되어서 지팡이의 본 기능을 제대로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그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망원경의 렌즈가 작아져야 하므로, 망원경의 배율이 높지 않게 되는 동시에 시야가 좁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망원경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손잡이부의 역할을 위하여 돌출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외부와 부딪치기가 쉬우며, 이로 인하여 외부 충격에 렌즈 등이 쉽게 깨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등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행 시 사람을 지지하는 기능과 함께 망원경의 기능을 겸할 수 있으며, 손잡이의 착용감이 우수한 구조를 가진 다기능 지팡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망원경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지팡이 사이즈가 망원경에 의하여 증가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 다기능 지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더 다른 목적은, 사람을 지지하는 기능과 함께 전등의 기능을 겸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전등이 광폭을 변경 가능하도록 배치된 다기능 지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지팡이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된 지지대를 구비하는 지팡이 본체; 및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망원경;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망원경은: 대물렌즈부, 접안렌즈부 및 상기 대물렌즈부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을 적어도 두 번 굴절시켜서 상기 접안렌즈부로 입사하는 프리즘부를 구비하는 광원계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망원경은, 상기 광원계를 수납하며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망원경 프레임을 더 구비하며, 상기 망원경 프레임은, 조망하려는 외부 물체로부터 상기 대물렌즈부까지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빛을 비추는 전등을 더 수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전, 후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빛을 비추는 전등이 수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망원경은, 상기 손잡이부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등은, LED 광원 및 상기 LED 광원 앞에 배치되어서 조명 폭을 조정하는 LED 렌즈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에, 상기 LED 광원 및 LED 렌즈와의 간격을 제어할 수 있는 광폭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리즘부는, 상기 대물렌즈부로부터 유입된 영상을 굴절시키는 제1프리즘 및 상기 제1프리즘으로부터 굴절된 영상을 접안렌즈부로 굴절시키는 제2프리즘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망원경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위치한 배치된 복수의 볼 수납홀들이 형성된 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망원경은, 상기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에 돌출되도록 결합된 것으로 상기 볼 수납홀에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된 적어도 두개의 탄성 볼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지팡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망원경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1의 지팡이 본체와 망원경간의 결합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지팡이(10)는 지팡이 본체(20)와, 망원경(30)을 구비한다. 지팡이 본체(20)는 손잡이부(21)와, 지지대(26)를 구비한다. 지지대(26)는, 지팡이로 사람을 지지하는 때에, 일측 단부가 지면을 접하고, 타측 단부가 손잡이부(21)와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부(21)는 손으로 움켜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대(26)와 통상 "T" 자 형태로 결합된다.
망원경(30)은 지지대(26)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망원경(30)이 손잡이부(21)에 배치되지 않음으로써, 손잡이부는 손으로 움켜잡을 때 그립성이 우수하도록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망원경의 렌즈의 크기 또한 충분히 크게 할 수 있어서 시야가 넓어지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망원경(30)은 광원계(33)를 구비하는데, 이 광원계(33)는 대물렌즈부(34)와, 접안렌즈부(38)와, 프리즘부(35)를 구비한다. 상기 프리즘부(35)는 상기 대물렌즈부(34)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을 적어도 두 번, 더욱 바람직하게는 짝수로 굴절시켜서 상기 접안렌즈부(38)로 입사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망원경(30)을 통하여 들어오는 영상이 정립 상으로 나타난다. 이 경우, 대물렌즈부(34)는 하나의 대물렌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복수의 렌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접안렌즈부(38)도 하나의 접안렌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복수의 렌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리즘부(35)는 제1프리즘(36) 및 제2프리즘(37)을 구비할 수 있다. 제1프리즘(36)은 상기 대물렌즈부(34)로부터 유입된 영상을 굴절시키고, 제2프리즘(37)은 상기 제1프리즘(36)으로부터 굴절된 영상을 접안렌즈부(38)로 굴절시킨다.
통상적으로 프리즘을 이용하여 영상을 굴절시키는 경우, 도립 상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프리즘을 두 개로 사용하는 경우, 대물렌즈부(34)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체의 상이 제1프리즘(36)에서 한 번 도립 상으로 변경되고, 상기 제1프리즘(36)으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이 제2프리즘(37)을 통하여 다시 도립 상으로 변경됨으로써 결국 정립 상으로 눈에 들어오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프리즘부(35)를 사용함으로써 8배줌으로 망원경 배율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2프리즘(36, 37)을 내장하기 위해서는 망원경(30)이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가져야 한다.
다시 도 1로 되돌아가서, 상기 망원경(30)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대(26)에 결합된다. 따라서 망원경(30) 사용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지지대(26)와 나란하도록 배치시킴으로써 지팡이의 전체 사이즈를 줄일 수 있으며 외부 물체와 부딪치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망원경(30)이 외부 물체와의 충돌로 인하여 파손되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망원경(3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망원경(30)을 보기 편한 각도로 회전시켜서 외부 사물을 관찰하거나 멀리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 결합 구조의 하나의 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지지대(26)에 지지판(40)이 배치되고, 상기 망원경(30)에 회전판(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50) 및 상기 지지판(40)에는 각각 상기 회전판(50)이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42)(52)가 형성된다.
이 지지판(40)에는, 상기 망원경(3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위치한 배치된 복수의 볼 수납홀(45)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망원경(30)은 상 기 볼 수납홀(45)에 수납될 수 있는 복수의 탄성 볼(55)들을 구비한다. 이 탄성 볼(55)들은 상기 회전판(50)에 돌출되도록 결합된 것으로 상기 지지판(40)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된다. 이 경우 상기 탄성 볼(55)들이 상기 지지판(40)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되지는 않으나,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판(50)이 지지판(40)에 원활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판(50)과 지지판(40) 각각의 결합부(42)(52) 사이에는 베어링(62)이 개재될 수 있다.
이런 결합 구조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회전판(50)이 회전하면 상기 회전판(50)에 일체로 배치된 탄성 볼(55)들도 회전하게 된다. 회전하던 탄성 볼(55)들이 볼 수납홀(45)에 수납되는 경우 탄성 볼(55)들이 볼 수납홀(45)에 걸려서 고정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탄성 볼(55)들의 탄성력보다 더 큰 힘으로 회전 시킨다면 다시 탄성 볼(55)들은 상기 볼 수납홀(45)로부터 빠져나와서 다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볼 수납홀들은 일정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수납홀(45)들이 90도 각도로 이격되어서 4개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볼(55)들이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2개가 형성된다면, 두개의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원경(30)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망원경(30)이 지지대(26)와 나란한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원경(30)이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망원경(30)이 상기 지지대(26)와 직각되는 위치로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망원경(30)을 지지대(26)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망원경(30)이 힌지 구조로 상기 지지대(26)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다른 구조로도 결합 가능하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지팡이(10)는, 전등(7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전등(70)은 어두운 장소에서 망원경(30)으로 외부 물체를 관찰하는 경우에, 상기 외부 물체 또는 주위를 밝게 해 주는 기능을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전등(70)은 어두운 장소에서 이동하는 경우 주위를 조명하여 주는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이 전등(70)은 상기 손잡이부(21)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등(70)은 상기 손잡이부(21)의 전, 후방 중 적어도 하나,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방으로 빛을 비추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1과 함께 도 5를 참조하며 상기 손잡이부(21)에 수납되는 전등(70) 구조의 하나의 예를 들면, 상기 지팡이의 손잡이부(21)가, 상기 지지대(26)와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일 방향에서 손으로 움켜쥐도록 형성된 그립부(23)와, 상기 지지대(26)와 결합된 부분의 타 방향에 형성된 전방부(22)로 구분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전등(70)이 전방부(22) 또는 그립부(23)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전등이 전방부(22)에 수납되는 경우의 예를 들면, 상기 전방부(22)의 일측면에 전등(70)을 ON/OFF 할 수 있는 스위치(71)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71) 와 연결되는 전지(72) 및 상기 전지 전방에 형성된 광원(73)이 상기 전방부(22)의 내측 공간에 수납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71)가 ON되는 경우 상기 전지(71)와 연결된 광원(73)으로부터 빛이 전방으로 방사된다. 이 경우, 상기 망원경(30)도 상기 손잡이부(21)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서 간단하게 조명한 위치를 망원경(30)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지는 소형 리튬 전지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등(70)은 사물의 종류에 따라서 또는 환경에 따라서 넓은 광 시야각을 가지도록 하거나, 좁은 광시야각을 가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광원(73)은 LED 광원이며, 상기 LED 광원 앞에는 외부로 방사되는 광원의 폭을 조정하는 LED 렌즈(75)를 구비할 수 있다. 외부로 방사되는 광원의 폭을 조정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써 LED 렌즈(75)와 LED 광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LED 렌즈(75)는 볼록 렌즈로서, LED 렌즈(75)와 LED 광원 사이의 간격이 커지게 되면 빛의 폭이 작아지게 되고, LED 렌즈(75)와 LED 광원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게 되면 빛의 폭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다기능 지팡이(10)는 상기 LED 광원 및 LED 렌즈(75)와의 간격을 제어할 수 있는 광폭(光幅) 제어부(76)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폭 제어부(76)가 상기 광원(73) 및 LED 렌즈(75)와의 간격을 제어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는, 상기 광폭 제어부(76)가 그 내측면에 LED 렌즈(75)를 수납하고, 상기 광폭 제어부(76)를 상기 LED 광원으로부터 근접하거나 또는 멀어지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원계(33)는 망원경 프레임(31; 도 2 참조)에 의하여 수납되는 데,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지 않으나, 전등(70)이 상기 망원경 프레임(31)에 수납되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는 상기 망원경(30)이 제1프리즘(36) 및 제2프리즘(37)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프리즘(36)과 제2프리즘(37) 사이의 공간만큼 망원경 프레임(31)이 일정 공간을 가질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전등(70)이 LED 광원과, LED 렌즈(75)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LED 광원 및 LED 렌즈(75) 사이의 간격을 제어할 수 있는 광폭 제어부(76)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21)의 상기 전등(70)이 배치되지 않은 면, 통상 그립부(23) 후면에는 시계(8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시계(80)는 그립부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상기 그립부에 회전 가능한 회전부재에 결합되어서 회전 가능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그립부(23) 후면에 나침판이 수납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보행시의 보행수단과 망원경 기능을 동시에 행할 수 있으며, 망원경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와의 충돌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음으로써, 망원경의 보관 및 운반이 간단하며 내구성이 우수하여진다.
또한 복수의 프리즘을 사용하여 망원경의 광원계를 구성함으로써, 시야각이 넓어지며 정립 상으로 사물을 관찰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손잡이부 또한 그립성이 우수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망원경이 보는 위치에 따라서 조명의 폭도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어두운 곳에서나, 멀리 볼 필요가 있거나 더욱 선명하게 볼 필요가 있는 지 여부에 따라서 제어가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하나의 지팡이가 상기 보행자 보조수단과, 망원경과, 전등의 기능을 동시에 행할 수 있음으로써, 등산 장비를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등산객들에게 편리성과 함께 실용성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된 지지대를 구비하는 지팡이 본체; 및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망원경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망원경은 광원계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계는 대물렌즈부, 접안렌즈부, 및 상기 대물렌즈부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을 적어도 두 번 굴절시켜서 상기 접안렌즈부로 입사하는 프리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팡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원경은, 상기 광원계를 수납하며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망원경 프레임을 더 구비하며,
    상기 망원경 프레임은, 조망하려는 외부 물체로부터 상기 대물렌즈부까지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빛을 비추는 전등을 더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팡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전, 후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빛을 비추는 전등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팡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망원경은, 상기 손잡이부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팡이.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등은, LED 광원 및 상기 LED 광원 앞에 배치되어서 조명 폭을 조정하는 LED 렌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팡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LED 광원 및 LED 렌즈와의 간격을 제어할 수 있는 광폭(光幅)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팡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부는, 상기 대물렌즈부로부터 유입된 영상을 굴절시키는 제1프리즘 및 상기 제1프리즘으로부터 굴절된 영상을 접안렌즈부로 굴절시키는 제2프리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팡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망원경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위치한 배치된 복수의 볼 수납홀들이 형성된 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망원경은, 상기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에 돌출되도록 결합된 것으로 상기 볼 수납홀에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된 적어도 두개의 탄성 볼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팡이.
KR1020050065717A 2005-07-20 2005-07-20 다기능 지팡이 KR100637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717A KR100637873B1 (ko) 2005-07-20 2005-07-20 다기능 지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717A KR100637873B1 (ko) 2005-07-20 2005-07-20 다기능 지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7873B1 true KR100637873B1 (ko) 2006-10-23

Family

ID=37621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717A KR100637873B1 (ko) 2005-07-20 2005-07-20 다기능 지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78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407Y1 (ko) * 2012-03-12 2012-05-24 허상은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
KR101870964B1 (ko) 2016-09-27 2018-06-25 위덕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라인드용 다기능 손잡이
KR20190099690A (ko) 2018-02-19 2019-08-28 유지열 복수개의 손잡이를 가지는 지팡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407Y1 (ko) * 2012-03-12 2012-05-24 허상은 링거지지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목발
KR101870964B1 (ko) 2016-09-27 2018-06-25 위덕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라인드용 다기능 손잡이
KR20190099690A (ko) 2018-02-19 2019-08-28 유지열 복수개의 손잡이를 가지는 지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6918B1 (en) Multi-function telescopic flashlight with universally-mounted pivotal mirror
US9389046B2 (en) Sight module for firearm
EP0785453B1 (en) Equatorial mount
ES2547907T3 (es) Gafas iluminadas
US8714769B2 (en) Light system
CA2450166A1 (en) A mobile lamp
IL224551A (en) Optical molten
US20030112624A1 (en) Pocket light
KR100637873B1 (ko) 다기능 지팡이
US5625954A (en) Reflex luminous dot sighting instrument with elevation and windage controls
US20210127774A1 (en) Operational mode sensing switch system and multi-oriented mounting system for a helmet mounted night vision device
CN201364409Y (zh) 望远镜、瞄准装置或光学瞄准器形式的光学仪器
JP6697389B2 (ja) 可変焦点距離を有するハンドヘルド拡大機カメラ
US7475998B1 (en) Telescoping inspection mirror with integrated light
EP3477183A1 (en) Tiltable work light
US6700689B2 (en)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a projecting direction of a view
US7178938B2 (en) Flashlight and magnifying lens combination
TWI829146B (zh) 瞄準裝置(二)
US7350938B2 (en) Telescopic and illuminative device
JP2005071884A (ja) 照明装置
RU2189066C1 (ru) Прибор ночного видения
WO2024036512A1 (zh) 双目三光望远镜
WO2004049031A1 (en) Portable microscope
CN217821081U (zh) 一种望远镜
CN215810463U (zh) 一种可即时切换倍率的瞄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