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382Y1 - 원터치 체결가능한 광케이블 분배접속구가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 Google Patents

원터치 체결가능한 광케이블 분배접속구가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382Y1
KR200460382Y1 KR2020100012344U KR20100012344U KR200460382Y1 KR 200460382 Y1 KR200460382 Y1 KR 200460382Y1 KR 2020100012344 U KR2020100012344 U KR 2020100012344U KR 20100012344 U KR20100012344 U KR 20100012344U KR 200460382 Y1 KR200460382 Y1 KR 2004603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distribution connector
cable distribution
fastening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우현
Original Assignee
동원텔레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원텔레콤(주) filed Critical 동원텔레콤(주)
Priority to KR2020100012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3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3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3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터치 체결가능한 광케이블 분배단자 분배접속구가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국선과 가입자선을 연결하는 광케이블 단자함의 외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입자선 단자를 외부케이블 단자와 연결하는 광케이블 분배부의 분배접속구를 원터치로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체결가능한 광케이블 분배단자 분배접속구가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개폐가능한 사각 형상의 함체로 형성되되, 국선과 가입자선을 연결하는 연결접속판이 내설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면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가입자선과 외부 케이블을 연결하는 광케이블 분배부와; 상기 광케이블 분배부를 덮어 보호하는 덮개; 로 이루어지되, 상기 광케이블 분배부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의 전측면과 후측면에는 단자 접속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입자선 단자와 외부 케이블 단자를 연결하는 광케이블 분배접속구와; 일정 두께로 수직형성되는 판재로서, 측면에는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가 원터치로 끼움체결가능한 분배접속구 끼움부가 관통형성된 고정지지판재;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터치 체결가능한 광케이블 분배접속구가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An opticalcable terminal box equipped with the one touch type connector}
본 고안은 원터치 체결가능한 광케이블 분배단자 분배접속구가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국선과 가입자선을 연결하는 광케이블 단자함의 외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입자선 단자를 외부케이블 단자와 연결하는 광케이블 분배부의 분배접속구를 원터치로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체결가능한 광케이블 분배단자 분배접속구가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 단자함은 국선과 가입자선을 연결함과 동시에 그 연결접속부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광케이블 단자함의 본체는 사각 형상의 함체로 형성되는 일측 함체부와 역시 사각 형상의 함체로 형성되는 타측 함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일측 함체부와 타측 함체부는 힌지부로 체결되고, 상기 힌지부를 통해 서로 접면되는 일측 함체부의 일측면과 타측 함체부의 일측면은 개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체의 측면 일측에는 국선이 인입되는 국선 인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의 또 다른 일측에는 가입자선이 외부로 인출되는 가입자선 인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국선과 가입자선을 연결하는 연결접속판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체의 외측면에는 가입자선 인출부를 통해 인출되는 가입자선을 외부케이블과 연결하는 광케이블 분배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광케이블 분배부는 가입자선의 끝단에 형성되는 가입자선 단자와 외부케이블의 끝단에 형성되는 외부케이블 단자를 연결하는 광케이블 분배접속구와,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를 덮어 보호하는 덮개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광케이블 단자함의 구성 중 광케이블 분배접속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는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그 길이방향의 전측면에는 가입자선 단자가 끼워지는 가입자선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고, 후측면에는 외부케이블 단자가 끼워지는 외부케이블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의 외측면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판이 수직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는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가 끼움체결되는 고정지지판재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지지판재의 측면에는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가 긴밀하게 끼움체결되는 분배접속구 끼움부가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체의 외측면에 교차되게 수직으로 형성되는 고정지지판재의 분배접속구 끼움부에 광케이블 분배접속구를 끼운 후,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의 중앙 외측면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체결판을 고정지지판재의 둘레부에 볼트로써 고정체결하게 되면,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는 고정지지판재에 견고하게 고정체결된다.
이 때,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의 중앙 외측면의 상측과 하측에 체결판을 각각 돌출형성하고, 상기 체결판에 체결공을 관통형성하여 볼트로써 상기 체결판이 상기 고정지지판재에 견고하고 안정감있게 고정체결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본체의 외측면에 체결되는 광케이블 분배접속구에 통신장해가 발생하게 될 경우, 통신장해가 발생된 일부 광케이블 분배접속구를 교체해주어야 하는데, 상기 고정지지판재에 광케이블 분배접속구를 체결하는 볼트는 매우 작은 크기이므로 분리해제가 용이하지 아니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광케이블 단자함은 주지하다시피, 전신주의 상부에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상기 광케이블 단자함의 광케이블 분배접속구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로프를 이용하여 올라간 후, 로프에 의지하여 광케이블 분배접속구의 해제 및 교체작업을 하여야 하는데, 지상에서도 용이하지 아니한 고정지지판재와 광케이블 분배접속구의 해제 및 교체작업은 자세가 불안정한 고위치에서는 더욱 어려울 수 밖에 없다.
즉, 작업자가 로프를 이용하여 전신주에 매달린 상태에서 광케이블 분배접속구의 볼트 해제 및 교체작업을 하게 되면, 통상적으로 작은 볼트로 체결된 광케이블 분배접속구는 그 해제가 어려울 뿐 아니라 볼트 혹은 광케이블 분배접속구를 놓치는 등의 실수가 발생하기 쉬우며, 교체하는 데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그로 인해 작업효율이 크게 저하될 뿐 아니라 작업자의 피로를 가중시켜 안전사고의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본체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고정지지판재의 돌출높이를 낮추기 위해, 본체의 외측면에 상기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광케이블 분배접속구와 고정지지판재의 하부를 내삽하여 고정지지판재의 돌출높이를 낮추는 구조도 있는데, 여기서, 상기 고정지지판재는 별도의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홈에 내삽되는 상태로 본체와 고정체결하게 되며, 이 때, 상기와 같은 고정체결구조로 인해 고정지지판재의 하부는 홈에 내삽되고, 상기 고정지지판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측 체결공과 그에 체결된 볼트 또한 상기 홈에 내삽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지지판재에 체결되는 여러 개의 광케이블 분배접속구 중 일부에 통신장해가 발생되어 해당 광케이블 분배접속구를 교체해야 할 때에는 상기 해당 광케이블 분배접속구를 고정지지판재로부터 해제시킨 후, 새로운 광케이블 분배접속구를 끼움체결해 주어야 한다.
그런데, 상기 고정지지판재를 홈으로부터 이탈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고정지지판재를 홈에 내삽된 상태로 고정체결한 고정볼트를 해제해 주어야 하고, 그 후, 고정지지판재를 홈으로부터 이탈시킨 다음, 고정지지판재에 볼트로 체결되는 광케이블 분배접속구 중 통신장해가 발생된 일부를 해제하여야 비로소 새로운 광케이블 분배접속구로 교체가 가능하게 되며, 새로운 광케이블 분배접속구를 상기 고정지지판재에 체결할 때에도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한 후, 뒤이어 상기 고정지지판재 하부를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된 홈에 내삽시키면서 고정볼트로써 고정체결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고정지지판재와 광케이블 분배접속구의 본체 체결구조는 체결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워 작업시간이 크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아울러 전신주 등의 고위치에서 로프에 의존하여 광케이블 단자함 관련 작업을 하는 작업자로 하여금 피로를 가중시켜 작업효율을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광케이블 단자함을 구성하는 본체의 외측면 일측에 형성되는 광케이블 분배부의 고정지지판재에 끼움체결되는 광케이블 분배접속구를 원터치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체결가능한 광케이블 분배접속구가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해결수단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즉, 본 고안은 개폐가능한 사각 형상의 함체로 형성되되, 국선과 가입자선을 연결하는 연결접속판이 내설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면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가입자선과 외부 케이블을 연결하는 광케이블 분배부와; 상기 광케이블 분배부를 덮어 보호하는 덮개; 로 이루어지되, 상기 광케이블 분배부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의 전측면과 후측면에는 단자 접속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입자선 단자와 외부 케이블 단자를 연결하는 광케이블 분배접속구와; 일정 두께로 수직형성되는 판재로서, 측면에는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가 원터치로 끼움체결가능한 분배접속구 끼움부가 관통형성된 고정지지판재; 로 이루어지는 원터치 체결가능한 광케이블 분배접속구가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의 길이방향의 중앙 양측면에는 체결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지지판재에 관통형성되는 분배접속구 끼움부의 내부 양측면에는 상기 체결돌부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의 길이방향의 중앙 양측면에는 가이드돌부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가 끼움체결되는 분배접속구 끼움부의 내부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돌부에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돌출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에 형성되는 가이드돌부의 외측면에는 체결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가 끼움체결되는 분배접속구 끼움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에는 상기 체결돌부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의 하부면 중앙에는 철판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가 끼움체결되는 고정지지판재의 분배접속구 끼움부의 바닥에는 자석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배접속구 끼움부가 형성되는 고정지지판재의 상부에는 고정막대부재가 수평으로 관통하여 끼워지는 수평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막대부재와 수평관통공의 단면은 사각형 혹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관통공의 저면은 상기 분배접속구 끼움부에 끼워지는 광케이블 분배접속구의 상면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된 구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배접속구 끼움부가 형성되는 고정지지판재의 상부에는 고정막대부재가 수평으로 관통하여 끼워지는 수평관통공이 형성되되, 고정막대부재와 수평관통공은 사다리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관통공의 상면은 상측으로 개방되며, 상기 수평관통공의 저면은 상기 분배접속구 끼움부에 끼워지는 광케이블 분배접속구의 상면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된 구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배접속구 끼움부가 형성되는 고정지지판재의 상부에는 고정막대부재가 수평으로 관통하여 끼워지는 수평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수평관통공에 끼워지는 고정막대부재의 일측에는 체결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막대부재의 체결요부가 끼워지는 고정지지판재의 상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수평관통공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요부에 대응되는 체결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관통공의 저면은 상기 분배접속구 끼움부에 끼워지는 광케이블 분배접속구의 상면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된 구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배접속구 끼움부가 형성되는 고정지지판재의 상부에는 고정막대부재가 수평으로 관통하여 끼워지는 수평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막대부재와 수평관통공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관통공에 끼워지는 고정막대부재의 일측에는 볼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막대부재의 볼트부가 끼워지는 고정지지판재의 상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수평관통공의 내부에는 상기 볼트부에 대응되는 너트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관통공의 저면은 상기 분배접속구 끼움부에 끼워지는 광케이블 분배접속구의 상면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된 구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이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광케이블 분배부에 형성되는 광케이블 분배접속구를 원터치로 착탈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광케이블 분배부에 여러 개가 체결되는 광케이블 분배접속구 중 일부에 통신장해가 발생하여 새로운 광케이블 분배접속구로 교체해야 할 경우, 여러 개의 볼트로 체결되어 교체가 용이하지 아니하고 복잡하며 번거로웠던 종래의 체결구조에 비해 해당 광케이블 분배접속구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원터치로 착탈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광케이블 분배접속구로 인해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의 교체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게 되어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전신주 등의 고위치에 설치되는 광케이블 단자함의 특성상, 작업자는 주로 로프에 의존하여 전신주에 매달린 상태에서 관련작업을 실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상태에서도 광케이블 분배접속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를 크게 경감시킴은 물론 작업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며, 혹여라도 종래의 복잡하고 번거로운 구성으로 인한 피로의 가중으로 자칫 낙하하여 안전사고를 당할 우려를 크게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케이블 분배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광케이블 분배접속구의 상세 분해사시도
도 3, 4, 5, 6는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분배접속구의 실시예 1의 체결도
도 7, 8은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분배접속구의 실시예 2의 체결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분배접속구의 실시예 3의 체결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분배접속구의 실시예 4의 체결도
도 11 내지 16은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분배접속구의 실시예 5 및 그 관련구조에 대한 체결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단자함은, 국선과 가입자선을 연결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외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입자선과 외부케이블을 연결하는 광케이블 분배부(2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개폐가능한 사각형상의 함체형으로 형성되되, 그 내부에는 국선과 가입자선을 연결하는 연결접속판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국선과 연결되는 가입자선은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본체(10)의 외측면 일측에 형성되는 광케이블 분배부(20)에 인입되며, 광케이블 분배부(20)로 인입된 가입자선은 상술한 바와같이 외부 케이블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광케이블 분배부(20)로 인입된 가입자선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가입자선 단자(A)와 외부케이블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케이블 단자(B)를 연결하는 것이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이고,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를 본체(10)의 외측면에 견고하게 고정케 하는 구성이 고정지지판재(22)이며, 상기 고정지지판재(22)와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 및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에 접속연결되는 가입자선 단자(A)와 외부케이블 단자(B)의 결합구성을 덮어 보호하는 것이 덮개(24)이다.
본 고안은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를 고정지지판재(22)에 체결하거나 해제할 때에 원터치로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와 관련하여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외측면 일측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지지판재(22)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일정 두께의 판재로 형성되되, 그 측면에는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가 끼움체결되는 여러 개의 분배접속구 끼움부(22a)가 일정 간격으로 관통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의 내부의 양측면에는 체결홈(2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판재(22)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지지판재(22)를 본체(10)의 외측면에 볼트체결하기 위한 수평체결판(22f)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체결판(22f)에는 볼트체결공(22g)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정지지판재(22)의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에 끼움체결되는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육면체 형상으로, 길이방향의 전측면에는 가입자선 단자(A)가 연결되는 가입자선 단자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고, 후측면에는 외부케이블 단자(B)가 연결되는 외부케이블 단자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의 중앙 양측면에는 상기 체결홈(22b)에 대응되는 체결돌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를 본체(10)의 외측면 일측에 고정체결된 고정지지판재(22)의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에 교차하듯이 끼워넣게 되면,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의 중앙 양측면에 돌출형성된 체결돌부(21b)는 상기 고정지지판재(22)의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에 형성된 체결홈(22b)에 탄성있게 끼워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의 중앙 양측면에 돌출형성된 체결돌부(21b)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홈(22b) 또한 상기 체결돌부(21b)에 대응되게 오목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판재(22)의 측면에 관통형성된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에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를 밀어넣게 되면,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의 중앙 양측면에 돌출형성된 반원형의 체결돌부(21b)는 상기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에 탄성있게 삽입되어 그 내부 양측면에 형성된 체결홈(22b)에 다다르게 되면, 상기 체결홈(22b)에 탄성있게 삽입된다.
한편,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의 중앙 양측면에 가이드돌부(21c)를 수평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는 체결돌부(21b)를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가 끼워지는 고정지지판재(22)의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의 내부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돌부(21c)에 대응되는 가이드홈(22c)을 수평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22c)의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돌부(21b)에 대응되는 체결홈(22b)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돌부(21c)와 가이드홈(22c)을 통해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가 고정지지판재(22)의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에 정확하게 가이드되게 끼워지면서 체결돌부(21b)와 체결홈(22b) 또한 원터치로 탄성있게 끼워지도록 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또한, 본체(10)의 외측면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지지판재(22)에,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가 끼움체결되는 분배접속구 끼움부(22a)를 형성하되, 상측은 트이도록 형성하고, 상기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의 내부 양측면에는 가이드홈(22c)을 수직으로 형성하며,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의 중앙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22c)에 대응되는 가이드돌부(21c)를 수직으로 형성하여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의 가이드돌부(21c)가 상기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의 내부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2c)에 끼울 수 있게 됨에 따라,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는 고정지지판재(22)의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에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지지판재(22)에 형성되는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의 바닥면에 자석부(22d)를 형성하고, 상기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에 끼움체결되는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의 저면에는 철판(21d)을 형성하여 가이드돌부(21c)와 가이드홈(22c)에 의해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가 고정지지판재(22)의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에 정확하게 끼워지도록 하면서 자석부(22d)과 철판(21d)에 의해 원터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의 가이드돌부(21c)의 측면에 체결돌부(21b)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돌부(21c)가 끼워지는 고정지지판재(22)의 가이드홈(22c)의 내측면에 상기 체결돌부(21b)에 대응되는 체결홈(22b)을 형성하여,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가 고정지지판재(22)의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에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하면서 상기 체결돌부(21b)와 체결홈(22b)을 통해 원터치로 착탈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향으로 트여지고 내부 양측면에는 가이드홈(22c)이 수직으로 형성된 분배접속구 끼움부(22a)가 구비된 고정지지판재(22)의 상부에 수평으로 관통하는 수평관통공(22e)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관통공(22e)에는 고정막대부재(23)가 긴밀하게 관통가능하도록 하며, 수평관통공(22e)의 하면 높이는 상기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에 끼워지는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의 상면 높이와 대등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배접속구 끼움부(22a)가 형성되는 고정지지판재(22)의 상부에는 고정막대부재(23)가 수평으로 관통하여 끼워지는 수평관통공(22e)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막대부재(23)와 수평관통공(22e)의 단면은 사각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수평관통공(22e)의 저면은 상기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에 끼워지는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의 상면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하여, 상기 고정지지판재(22)의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에 끼워진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가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또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막대부재(23)와 수평관통공(22e)은 사다리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관통공(22e)의 상면은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하며, 상기 수평관통공(22e)의 저면은 상기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에 끼워지는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의 상면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도록 하여,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에 끼워진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가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고정막대부재(23)의 끼워진 길이의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의 고정체결 및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막대부재(23)와 수평관통공(22e)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수평관통공(22e)에 끼워지는 고정막대부재(23)의 일측에는 볼트부(23b)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막대부재(23)의 볼트부(23b)가 끼워지는 고정지지판재(22)의 상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수평관통공(22e)의 내부에는 상기 볼트부(23b)에 대응되는 너트부(22h)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막대부재(23)를 견고하게 체결하여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가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일부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에 장해가 발생하여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간편하게 나사식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4 내지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관통공(22e)에 끼워지는 고정막대부재(23)의 일측에는 체결요부(23a)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막대부재(23)의 체결요부(23a)가 끼워지는 고정지지판재(22)의 상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수평관통공(22e)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요부(23a)에 대응되는 체결철부(22g)를 형성하여,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에 끼워지는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가 상하로 움직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하는 고정막대부재(23)를 견고하게 고정체결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일부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에 장해가 발생하여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체결요부(23a)가 형성된 수평관통공(22e)으로부터 원터치로 간편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체적인 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 : 가입자선 단자 B : 외부케이블 단자
10 : 본체 20 : 광케이블 분배부
21 : 광케이블 분배접속구 21a : 단자 접속부
21b : 체결돌부 21C : 가이드돌부
21d : 철판 22 : 고정지지판재
22a : 분배접속구 끼움부 22b : 체결홈
22c : 가이드홈 22d : 자석부
22e : 수평관통공 22f : 수평체결판
22g : 체결철부 22h : 너트부
23 : 고정막대부재 23a : 체결요부
23b : 볼트부 24 : 덮개

Claims (9)

  1. 개폐가능한 사각 형상의 함체형로 형성되되, 국선과 가입자선을 연결하는 연결접속판이 내설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외측면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가입자선과 외부 케이블을 연결하는 광케이블 분배부(20)와; 상기 광케이블 분배부(20)를 덮어 보호하는 덮개(24); 로 이루어지되, 상기 광케이블 분배부(20)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의 전측면과 후측면에는 단자 접속부(21a)가 형성되어, 상기 가입자선 단자(A)와 외부케이블 단자(B)를 연결하는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와; 일정 두께로 수직형성되는 판재로서, 측면에는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가 원터치로 끼움체결가능한 분배접속구 끼움부(22a)가 관통형성된 고정지지판재(22); 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의 길이방향의 중앙 양측면에는 가이드돌부(21c)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가 끼움체결되는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의 내부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돌부(21c)에 대응되는 가이드홈(22c)이 돌출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체결가능한 광케이블 분배접속구가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의 길이방향의 중앙 양측면에는 체결돌부(21b)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지지판재(22)에 관통형성되는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의 내부 양측면에는 상기 체결돌부(21b)에 대응되는 체결홈(22b)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체결가능한 광케이블 분배접속구가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에 형성되는 가이드돌부(21c)의 외측면에는 체결돌부(21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가 끼움체결되는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2c)에는 상기 체결돌부(21b)에 대응되는 체결홈(22b)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체결가능한 광케이블 분배접속구가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의 하부면 중앙에는 철판(21d)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가 끼움체결되는 고정지지판재(22)의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의 바닥에는 자석부(22d)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체결가능한 광케이블 분배접속구가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접속구 끼움부(22a)가 형성되는 고정지지판재(22)의 상부에는 고정막대부재(23)가 수평으로 관통하여 끼워지는 수평관통공(22e)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막대부재(23)와 수평관통공(22e)의 단면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관통공(22e)의 저면은 상기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에 끼워지는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의 상면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된 구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체결가능한 광케이블 분배접속구가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접속구 끼움부(22a)가 형성되는 고정지지판재(22)의 상부에는 고정막대부재(23)가 수평으로 관통하여 끼워지는 수평관통공(22e)이 형성되되, 고정막대부재(23)와 수평관통공(22e)은 사다리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관통공(22e)의 상면은 상측으로 개방되며, 상기 수평관통공(22e)의 저면은 상기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에 끼워지는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의 상면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된 구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체결가능한 광케이블 분배접속구가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접속구 끼움부(22a)가 형성되는 고정지지판재(22)의 상부에는 고정막대부재(23)가 수평으로 관통하여 끼워지는 수평관통공(22e)이 형성되되, 상기 수평관통공(22e)에 끼워지는 고정막대부재(23)의 일측에는 체결요부(23a)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막대부재(23)의 체결요부(23a)가 끼워지는 고정지지판재(22)의 상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수평관통공(22e)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요부(23a)에 대응되는 체결철부(22g)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관통공(22e)의 저면은 상기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에 끼워지는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의 상면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된 구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체결가능한 광케이블 분배접속구가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접속구 끼움부(22a)가 형성되는 고정지지판재(22)의 상부에는 고정막대부재(23)가 수평으로 관통하여 끼워지는 수평관통공(22e)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막대부재(23)와 수평관통공(22e)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관통공(22e)에 끼워지는 고정막대부재(23)의 일측에는 볼트부(23b)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막대부재(23)의 볼트부(23b)가 끼워지는 고정지지판재(22)의 상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수평관통공(22e)의 내부에는 상기 볼트부(23b)에 대응되는 너트부(22h)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관통공(22e)의 저면은 상기 분배접속구 끼움부(22a)에 끼워지는 광케이블 분배접속구(21)의 상면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된 구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체결가능한 광케이블 분배접속구가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KR2020100012344U 2010-11-30 2010-11-30 원터치 체결가능한 광케이블 분배접속구가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KR2004603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344U KR200460382Y1 (ko) 2010-11-30 2010-11-30 원터치 체결가능한 광케이블 분배접속구가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344U KR200460382Y1 (ko) 2010-11-30 2010-11-30 원터치 체결가능한 광케이블 분배접속구가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382Y1 true KR200460382Y1 (ko) 2012-05-21

Family

ID=46607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344U KR200460382Y1 (ko) 2010-11-30 2010-11-30 원터치 체결가능한 광케이블 분배접속구가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3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161A (ko) * 2014-07-11 2016-01-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983Y1 (ko) 2006-05-12 2006-08-14 주식회사 웨어세스 광어댑터 취부용 프레임
KR20070122191A (ko) * 2007-12-10 2007-12-28 (주)세리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
KR20080081437A (ko) * 2007-03-05 2008-09-10 이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전화단자함을 이용한 광케이블 연결 장치
KR20100026442A (ko) * 2008-08-29 2010-03-10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분배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983Y1 (ko) 2006-05-12 2006-08-14 주식회사 웨어세스 광어댑터 취부용 프레임
KR20080081437A (ko) * 2007-03-05 2008-09-10 이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전화단자함을 이용한 광케이블 연결 장치
KR20070122191A (ko) * 2007-12-10 2007-12-28 (주)세리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
KR20100026442A (ko) * 2008-08-29 2010-03-10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분배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161A (ko) * 2014-07-11 2016-01-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KR102221902B1 (ko) * 2014-07-11 2021-03-0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6347B1 (ko) 분전반 고정 케이스 및 내진 분전반
US7193151B2 (en) Electronic enclosure
US8119915B2 (en) Cable management patch panel system with vertical ducting
KR101554991B1 (ko) 천정 배선용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CN106809506B (zh) 洗衣机的运输固定装置及其固定方法
KR200460382Y1 (ko) 원터치 체결가능한 광케이블 분배접속구가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JP2011072085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プロテクタ
KR100879530B1 (ko) 지중 전력 케이블 보호관 구조
KR101413994B1 (ko) 부스바 조인트 커버
KR101137762B1 (ko) 자석체결부가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KR20130137276A (ko) 투명 배전함
KR101125657B1 (ko) 콘센트 보호커버
KR101136693B1 (ko) 광케이블 분배접속구가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KR102410464B1 (ko) 부품박스
KR200490126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체
KR100982332B1 (ko) 부스 덕트의 너트 이탈방지장치
KR20110010708U (ko) 옥외 설치용 함체 및 그 옥외 설치용 함체에 사용된 함체 보호 커버
KR101745952B1 (ko) 마루용 패널 받침대의 포스트 클램프
CN213278820U (zh) 一种用于户外配电箱的安装连接柱
CN218334165U (zh) 电池模组输出极防护装置
KR20180091419A (ko) 케이블트레이용 케이블 정리부재
KR20180017358A (ko) 분전반의 케이블 보호장치
KR20180017359A (ko) 분전반의 케이블 보호관의 장착수단
KR101125146B1 (ko)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
KR101433828B1 (ko) 통신용 자기지지형케이블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