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371Y1 -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 - Google Patents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371Y1
KR200460371Y1 KR2020100002692U KR20100002692U KR200460371Y1 KR 200460371 Y1 KR200460371 Y1 KR 200460371Y1 KR 2020100002692 U KR2020100002692 U KR 2020100002692U KR 20100002692 U KR20100002692 U KR 20100002692U KR 200460371 Y1 KR200460371 Y1 KR 2004603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support
hydraulic
rubber wheel
support
lightweight 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6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018U (ko
Inventor
김영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산전
Priority to KR20201000026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371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0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0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3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3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5/00Apparatus for placing vehicles on the track; Derailers; Lifting or lowering rail vehicle axles or wheels
    • B61K5/04Devices secured to the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 B66F2700/052Support- or transmission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 B66F2700/123Details concerning the support members or devices not related to the lifting itself

Abstract

본 고안은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에 관한 것으로,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하체 프레임 폭길이에 맞게 미리 제작한 하부 유압지지대 및, 그 하부 유압지지대의 양측 상면에 각각 결합되어 그 상단에 복수개의 유압장치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의 상부 유압지지대를 통해 위치 조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유압장치의 구동높이가 반영되어 제작되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리프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받침대가 넓게 구성되어 궤도 바닥면에 위치되므로 유압장치 가동시 차체 하중을 분산시켜 바닥면이 훼손되지 않게 하고, 하부 유압지지대는 그 길이가 차대의 폭길이와 동일하므로 어느 한 측단만을 차대 직하방에 맞추게 되면 다른 측은 따로 조정할 필요가 없어서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OIL PRESSURE SUPPORTING MEANS FOR TOWING AWAY OF LIGHT WEIGHT TRAIN}
본 고안은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하체 프레임 폭길이에 맞게 미리 제작한 하부 유압지지대 및, 그 하부 유압지지대의 양측 상면에 각각 결합되어 그 상단에 복수개의 유압장치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의 상부 유압지지대를 통해 위치 조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유압장치의 구동높이가 반영되어 제작되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리프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고무차륜 경량전철은 전철의 주행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차륜이 고무로 이루어진 경량전철로서, 철도레일은 생략되어져 있으며 철도가 콘크리트 바닥면으로 구성된 전철 시스템에서 운행 가능한 전철이다.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의 좌우 가장자리에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주행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이 각각 평행하게 설치되어져 있는 바, 그 가이드 프레임의 내부에 고무차륜 경량전철이 안착되어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서 주행방향이 결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무차륜 경량전철에는 그 차체 양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밀착하는 밀착 가이드 회전부재가 설치되어져 있는 바, 그 밀착 가이드 회전부재도 역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바퀴이다.
종래의 고무차륜 경량전철은 고장시 차량기지로 이동시켜 고장 점검이나 부품 교체 등의 고장 수리를 수행하는 바, 일반적인 고무차륜 경량전철은 철제륜이 아닌 고무타이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자동차와 동일하게 차축과 타이어 휠을 결합하는 허브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허브에 균열이 발생된 상태로 운행할 경우, 반복 응력에 의한 피로로 인해 허브의 플랜지 부분이 파손되어 플랜지와 타이어 휠이 완전히 분리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통상 크레인을 이용해 차량기지로 이동시키며 크레인을 이용해 차량기지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또한, 별도의 조치없이 고무차륜 경량전철을 그대로 견인하는 경우에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하중이 다른 타이어 휠이나 플랜지에 가해짐으로써 피로도가 누적되게 되어 정상적인 다른 허브의 플랜지 부분도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부 기능은 이상이 없으면서 타이어가 굴림운동이 불가능한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도 역시 구원 가대차를 타이어의 하부에 끼워넣기 위해서 고무차륜 경량전철을 일정높이까지 리프팅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그러나, 통상의 유압 장치는 그 높이가 높지 않으므로 별도의 블록형 구조물을 준비하고 그 위에 유압장치를 안착시켜서 고무차륜 경량전철을 리프팅시켰었다. 그러나, 이러한 블록형 구조물은 임시적으로 구성한 제품이므로 그 지지응력 등이 취약하여 안전사고 위험이 매우 높았으며, 복수개의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하부 프레임 양측을 동시에 리프팅시켜야 하지만, 이 경우 각 유압장치가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었는지 정밀하게 확인할 수 없었고, 확인 시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정확하게 유압장치가 수평이 이루어지는 지도 확인해야하고, 수평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별도의 처리를 해야하므로 결국 견인을 위한 전처리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게 되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하체 프레임 폭길이에 맞게 미리 제작한 하부 유압지지대 및, 그 하부 유압지지대의 양측 상면에 각각 결합되어 그 상단에 복수개의 유압장치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의 상부 유압지지대를 통해 위치 조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유압장치의 구동높이가 반영되어 제작되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리프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타이어 하부에 끼워넣어 타이어에 굴림운동을 지원하는 구원가대차 또는 차축의 허브를 지지하면서 구원가대차의 상면에 안착하기 위한 구원용 휠지지부재를 장착하기 위해,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차대를 일정높이 리프팅하기 위한 유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차대 폭길이에 맞게 제작되어 리프팅할 고장부위의 차대 하부 지면상에 설치되는 하부 유압지지대와; 그 하부 유압지지대의 양측 상면에 각각 설치되며, 그 상부에 상기 유압장치를 결합시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유압장치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 유압지지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하부 유압지지대는 내부에 결합 절개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몸체로 이루어지며 그 상면에 상부 유압지지대가 안착되는 복수개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결합 절개부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연결로드로 결합되어 고정된 연결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연결대는 그 전면에 복수개의 손잡이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상부 유압지지대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지지원통이 중앙에 구성되고, 그 지지원통의 상단에 구성되면서 내부에 유압장치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외주연 일부와 상부가 절개된 수용함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원통의 하면에 용접된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원통은 그 외주연 소정부에 복수개의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원통과 바닥판에는 동시에 용접되어 하방 지지력을 보강시킬 수 있게 된 사다리꼴 형상의 지지리브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는 받침대가 넓게 구성되어 궤도 바닥면에 위치되므로 유압장치 가동시 차체 하중을 분산시켜 바닥면이 훼손되지 않게 하고, 하부 유압지지대는 그 길이가 차대의 폭길이와 동일하므로 어느 한 측단만을 차대 직하방에 맞추게 되면 다른 측은 따로 조정할 필요가 없어서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에 포함되는 상부 유압지지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에 포함되는 상부 유압지지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에 포함되는 하부 유압지지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에 포함되는 상부 및 하부 유압지지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에 포함되는 상부 유압지지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에 포함되는 상부 유압지지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에 포함되는 하부 유압지지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하체 프레임 폭길이에 맞게 미리 제작한 하부 유압지지대 및, 그 하부 유압지지대의 양측 상면에 각각 결합되어 그 상단에 복수개의 유압장치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의 상부 유압지지대를 통해 위치 조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유압장치의 구동높이가 반영되어 제작되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리프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타이어 하부에 끼워넣어 타이어에 굴림운동을 지원하는 구원가대차(미도시) 또는 차축의 허브를 지지하면서 구원가대차의 상면에 안착하기 위한 구원용 휠지지부재(미도시)를 장착하기 위해,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차대를 일정높이 리프팅하기 위한 유압장치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수단이다.
즉, 고무차륜 경량전철은 앞서 설명했듯이, 바닥면이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궤도상에서 주행하는 바, 고장이 발생되어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차대를 일정높이 리프팅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게 되면 콘크리트 바닥면에 유압장치를 설치하고 차대를 리프트해야 하나, 이 경우 고무차륜 경량전철을 밀어올리기 위해서는 그 바닥면인 콘크리트 바닥에 그 반작용력이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하중보다 더 크게 작용되게 되므로 콘크리트 바닥면이 파손되게 된다. 또한, 리프팅 작업도 제대로 이루어질 수가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는 안정적으로 유압장치가 작동되어 리프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압장치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는 궤도 바닥면에 배치되는 하부 유압지지대(90)와; 그 하부 유압지지대(90)의 양측 상면에 각각 안착되면서 상부에 유압장치가 요입되는 상부 유압지지대(60)로 구성된다.
마땅히, 상기 하부 유압지지대(90)는 궤도 바닥면에 넓게 밀착되게 되어야 하는 바, 보다 상세하게 상기 하부 유압지지대(90)는 상기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차대 폭길이에 맞게 제작되어 리프팅할 고장부위의 차대 하부 지면상에 설치된다.
이때, 하부 유압지지대(90)는 차대의 폭길이에 맞춰져 제작되므로, 어느 한 차대의 직하방에 그 일단이 정확하게 맞춰지게 되면, 나머지 타단은 차대의 직하방에 일치되는 지를 체크할 필요가 없어서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유압지지대(90)는 내부에 결합 절개부(96)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몸체(94)로 이루어지며 그 상면에 상부 유압지지대(60)가 안착되는 복수개의 받침대(92)와; 상기 받침대(92)의 결합 절개부(96)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연결로드(106)로 결합되어 고정된 연결대(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대(92)는 그 상면에 상부 유압지지대(60)가 안착되고,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하중을 그대로 받게 되므로, 지면에 널찍하게 펼쳐질 수 있는 판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일측부터 내부방향으로 결합 절개부(96)가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받침대(92)는 상기 하부 유압지지대(90)의 양단에 각각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받침대(92)는 연결대(100)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대(100)는 그 몸체(102)의 전면에 복수개의 손잡이(104)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연결로드(106)는 일정길이의 볼트형태로 이루어진 로드이다. 연결로드(106)는 그 일단에 헤드가 구성되며, 타단은 너트(108)의 체결로 받침대(92)에 결합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에 포함된 상기 상부 유압지지대(60)는 상기 하부 유압지지대(90)의 양측 상면 특히, 받침대(92)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는 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그 상부에는 상기 유압장치(80)를 결합시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유압장치(80)의 하부를 지지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상부 유압지지대(6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지지원통(62)이 중앙에 구성되고, 그 지지원통(62)의 상단에 구성되면서 내부에 유압장치(8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외주연 일부와 상부에 절개부(72)가 형성된 수용함(70)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원통(62)의 하면에 용접된 바닥판(6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원통(62)은 그 외주연 소정부에 복수개의 손잡이(68)가 형성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지지원통(62)과 바닥판(64)에 동시에 용접되어 하방 지지력을 보강시킬 수 있게 된 사다리꼴 형상의 지지리브(66)가 더 형성되어져 있다. 그 지지리브(66)는 상기 지지원통(62)과 바닥판(64)의 사이에 적어도 2개소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 대칭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에 포함되는 상부 및 하부 유압지지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하부에서 안정적으로 유압장치가 작동되어 리프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압장치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인 바, 고무차륜 경량전철을 리프팅해야 하는 고장이나 사고 상황이 발생되면, 사고 복구차가 출동한다.
사고 복구차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가 적재함에 적재되는 바, 먼저 하부 유압지지대(90)의 연결대(100) 전면에 형성된 손잡이(104)를 잡은 상태에서 하부 유압지지대(90)를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사고 발생부위 하부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하부 유압지지대(90)의 양단에 구성된 받침대(92)의 어느 한 측단을 리프팅하기 위한 차대의 직하방에 위치되게 맞춘다. 그러면, 상기 하부 유압지지대(90)의 타단은 자연스럽게 다른 측 차대의 직하방에 맞춰지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부 유압지지대(60)의 지지원통(62)에 형성된 손잡이(68)를 잡아서 상기 하부 유압지지대(90)의 받침대(92) 상면에 상부 유입지지대(60)를 위치시킨다.
상부 유압지지대(60)는 복수개이므로, 다른 측의 하부 유압지지대(90)의 받침대(92) 상면에도 또 다른 상부 유입지지대(60)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상부 유압지지대(60)의 상단에 형성된 수용함(70)의 내부에 유압장치(80)를 각각 안착시키고, 유압장치(70)를 동작시켜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사고부위를 리프팅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는 받침대가 넓게 구성되어 궤도 바닥면에 위치되므로 유압장치 가동시 차체 하중을 분산시켜 바닥면이 훼손되지 않게 하고, 하부 유압지지대는 그 길이가 차대의 폭길이와 동일하므로 어느 한 측단만을 차대 직하방에 맞추게 되면 다른 측은 따로 조정할 필요가 없어서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60:상부 유압지지대, 62:지지원통,
64:바닥판, 66:지지리브,
68:손잡이, 70:수용함,
90:하부 유압지지대, 92:받침대,
96:결합절개부, 100:연결대,
104:손잡이, 106:연결로드.

Claims (6)

  1.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타이어 하부에 끼워넣어 타이어에 굴림운동을 지원하는 구원가대차 또는 차축의 허브를 지지하면서 구원가대차의 상면에 안착하기 위한 구원용 휠지지부재를 장착하기 위해,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차대를 일정높이 리프팅하기 위한 유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차대 폭길이에 맞게 제작되어 리프팅할 고장부위의 차대 하부 지면상에 설치되는 하부 유압지지대와;
    그 하부 유압지지대의 양측 상면에 각각 설치되며, 그 상부에 상기 유압장치를 결합시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유압장치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 유압지지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압지지대는 내부에 결합 절개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몸체로 이루어지며 그 상면에 상부 유압지지대가 안착되는 복수개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결합 절개부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연결로드로 결합되어 고정된 연결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그 전면에 복수개의 손잡이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유압지지대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지지원통이 중앙에 구성되고, 그 지지원통의 상단에 구성되면서 내부에 유압장치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외주연 일부와 상부가 절개된 수용함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원통의 하면에 용접된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원통은 그 외주연 소정부에 복수개의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원통과 바닥판에는 동시에 용접되어 하방 지지력을 보강시킬 수 있게 된 사다리꼴 형상의 지지리브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
KR2020100002692U 2010-03-16 2010-03-16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 KR2004603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692U KR200460371Y1 (ko) 2010-03-16 2010-03-16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692U KR200460371Y1 (ko) 2010-03-16 2010-03-16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018U KR20110009018U (ko) 2011-09-22
KR200460371Y1 true KR200460371Y1 (ko) 2012-05-21

Family

ID=45090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692U KR200460371Y1 (ko) 2010-03-16 2010-03-16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37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3592A (en) * 1987-09-10 1988-12-27 Green Charles L Plural jack apparatus
JP2001038587A (ja) 1999-07-29 2001-02-13 Daiwa Kiko Kk 車両用車輪削正装置
JP2002178917A (ja) 2000-12-12 2002-06-26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鉄道車両台車検修システム
JP2003104691A (ja) 2001-09-28 2003-04-09 Banzai Ltd 車両用リフト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3592A (en) * 1987-09-10 1988-12-27 Green Charles L Plural jack apparatus
JP2001038587A (ja) 1999-07-29 2001-02-13 Daiwa Kiko Kk 車両用車輪削正装置
JP2002178917A (ja) 2000-12-12 2002-06-26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鉄道車両台車検修システム
JP2003104691A (ja) 2001-09-28 2003-04-09 Banzai Ltd 車両用リフ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018U (ko) 201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143629U (zh) 组合截面钢结构桥梁超宽大轨距下弦检查车
EP3254922B1 (en) Intermodal rail vehicle to form a train
KR20140094969A (ko) 철도 레일 하화장비
KR101164933B1 (ko) 보조륜이 구비된 모노레일 구동대차
CN102837705B (zh) 一种钢箱内运输小车
US4938643A (en) Rail mounted crane carrier
CN108891438B (zh) 一种构架以及工艺转向架
KR200460371Y1 (ko)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유압 지지부재
KR101236535B1 (ko) 요잉 방지수단이 구비된 모노레일 대차
CN104590985B (zh) 轨道车辆整体提吊的提吊装置及提吊方法
CN108891437B (zh) 一种动力工艺转向架
CN108839663B (zh) 一种工艺转向架驱动结构以及工艺转向架
KR101737992B1 (ko) 선로 정비용 중장비의 선로 주행 보조장치
CN204490302U (zh) 轨道车辆整体提吊的提吊装置
CN109109894B (zh) 一种非动力工艺转向架
JP5779036B2 (ja) 軌道用手動搬送台車
JP4834461B2 (ja) 軌陸式運搬装置
CN211198344U (zh) 一种轨道车辆整车吊具
KR200460372Y1 (ko)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구원용 휠 지지부재
CN106218666B (zh) 液压复轨器
KR200473235Y1 (ko) 철도차량 살사장치의 서포트암 구조
CN213626726U (zh) 一种悬挑轨道式卸料车结构
CN115195804B (zh) 一种变轨距转向架及变轨距转向架变轨距方法
CN217994438U (zh) 一种救援装置
CN214031519U (zh) 轨道车辆用液压升降马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