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320Y1 - 치열 교정기구 - Google Patents

치열 교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320Y1
KR200460320Y1 KR2020110010991U KR20110010991U KR200460320Y1 KR 200460320 Y1 KR200460320 Y1 KR 200460320Y1 KR 2020110010991 U KR2020110010991 U KR 2020110010991U KR 20110010991 U KR20110010991 U KR 20110010991U KR 200460320 Y1 KR200460320 Y1 KR 2004603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pocket
pocket portion
group
orthodontic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원
Original Assignee
윤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원 filed Critical 윤성원
Priority to KR2020110010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3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3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3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치공간을 폐쇄하기 위한 치열교정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투명 포켓식 치열 교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몰드를 이용하여 합성수지로 성형된 것으로서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1군의 치아(T1)를 캡(cap)과 같은 방식으로 덧씌우는 제1포켓부(10); 역시 몰드를 이용하여 합성수지로 성형된 것으로서 상기 제1군의 치아(T1)와 공간(S)을 두고 이격되어 있으며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2군의 치아(T2)를 캡과 같은 방식으로 덧씌우는 제2포켓부(20); 상기 제1포켓부(10)와 제2포켓부(20)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어느 한쪽에 가해지는 힘이 다른 쪽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열 교정기구{Orthodontic Appliance}
본 고안은 치열 교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치공간을 폐쇄하기 위한 치열교정의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투명 포켓식 치열 교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부정교합을 치유하거나 성형을 위하여 치열교정이 널리 시행되고 있다. 종래에 고정식 교정장치라고 하여 치아에 브래킷을 접착 고정시킨 후 와이어를 브래킷에 걸고 당기거나 밀면서 교정하는 장치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고정식 교정장치에 있어서 브래킷은 통상 치아의 매끈한 외면, 즉 순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식 교정장치는 효과 내지 시술의 편의성 면에서 유리하기는 하지만 피시술자 입장에서는 미관상 좋지 못하기 때문에 기피되는 경우가 많다.
위와 같은 고정식 교정장치의 미관상의 문제 및 항시 부착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 등을 해소하고자 인비절라인(Invisalign) 및 클리어 얼라이너(Clear-aligner)와 같은 투명 교정장치(내지 시술방식)가 제안된 바 있다. 이들은 모두 투명한 형태의 교정장치로서 마우스피스와 같은 방식으로 착용된다. 전자는 현재의 치아 상태와 목표치의 치아 상태 사이의 변화 과정을 수십 단계로 분할하고 각 단계의 치형에 맞는 포켓을 성형 제작한 다음 피시술자로 하여금 단계별로 교체해 가며 착용하게 하는 방식이다. 후자는 전자와 유사하지만 진행상황을 관찰하면서 그때마다 포켓을 제작하여 착용하게 한다는 점에서 차별된다. 이들 장치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된 포켓을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방식에 비해 미관상 매우 유리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교정시술 중에는 발치교정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예를 들어 뻐드렁니의 경우 양쪽 송곳니의 뒤에 있는 치아를 발거한 후 송곳니를 포함한 전치를 견인하여 구치가 위치한 후방으로 점진적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교정을 말한다.
앞서 언급한 투명 교정장치는 발치교정의 경우에는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그 이유는 발치교정의 경우 전치와 구치 사이에 공간이 있게 되는데, 이 공간에 의해 전치가 치아의 내측, 즉 설측으로 편향된 토크를 받게 된다. 따라서, 전치가 설측으로 기울어져 옹니가 되는 현상이 빚어지기 때문이며, 이는 투명 교정장치에 한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기본적인 목적은 위에서 예로 든 투명 교정장치를 발치교정에 적용할 수 있게 하는 치열 교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구체적인 목적은 투명 교정장치의 장점을 이용하되, 치아가 교정중 설측으로 기울어지는 경향을 없애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치열 교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1군의 치아를 캡(cap) 방식으로 덧씌우는 합성수지 재질의 제1포켓부; 상기 제1군의 치아와 공간을 두고 이격되어 있으며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2군의 치아를 캡 방식으로 덧씌우는 합성수지 재질의 제2포켓부; 상기 제1포켓부와 제2포켓부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어느 한쪽에 가해지는 힘이 다른 쪽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결수단은 잭스크류이며, 그의 양단에 설치된 와이어의 단부는 각각 다각형 형태로 절곡됨으로써 리텐션부(retention portion)가 마련된 상태에서 상기 제1,2포켓부에 인서트(insert) 성형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삭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포켓부의 내측면, 특히 상기 제1군의 치아 중 전치의 치경부에 접하는 면으로부터는 상기 전치의 치경부를 압박하도록 하나 이상의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군의 치아에 구치를 향한 방향으로 토크가 가해지더라도 이 토크의 일부가 제2군의 치아에 전달됨으로써 제1군의 치아가 설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막을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1포켓부와 제2포켓부를 투명한 합성수지로 제작한다면 발치교정을 하는 피시술자로 하여금 투명 교정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치열 교정기구의 설치 상태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치열 교정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치열 교정기구의 설치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치열 교정기구의 잭스크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제1포켓부의 설치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2를 주로 참조하여 설명하되, 도 3 내지 도 5는 필요시 인용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는 기본적으로 투명한 포켓으로 치아를 에워싸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점에서 종래의 인비절라인(Invisalign) 또는 클리어 얼라이너(Clear-aligner)와 유사하다. 즉, 제1포켓부(10)는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1군의 치아(T1)를 캡(cap) 또는 마우스피스와 같은 방식으로 덧씌우고 있으며, 제2포켓부(20)는 제1군(T1)의 치아와는 공간을 두고 분리되어 있으며 역시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2군의 치아(T2)를 캡 또는 마우스피스와 같은 방식으로 덧씌우고 있다. 제1군의 치아(T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전치(T1', 前齒)와 2개의 견치(犬齒, 송곳니) 전체 또는 그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군의 치아(T2)는 구치(臼齒)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군의 치아(T2)와 제2포켓부(20)는 도시된 것처럼 좌우 대칭되게 한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2군의 치아(T1,T2)가 공간(S)을 두고 이격되어 있으므로 제1,2포켓부(10,20) 또한 같은 공간(S)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공간(S)을 폐쇄하기 위한 발치교정의 경우 통상 양쪽 견치 뒤쪽의 치아를 발거하고 시행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적으로 대칭적 구성을 갖게 된다. 다만, 피시술자의 상태에 따라 또는 치료목적에 따라 어느 한쪽의 공간만 존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는 도 1에서와 같은 대칭적 구조가 아니게 될 것이다. 즉, 제1,2군의 치아(T1,T2) 사이의 공간(S)은 치열의 어느 위치에도 올 수 있다는 것이며, 그 공간(S)의 개수 또한 임의적이라는 것이다.
본 고안의 요지는 발치 또는 기타 이유에 의해 치열 사이에 공간(S)이 생긴 경우에 이 공간(S)을 중심으로 양쪽에 위치하는 1개 또는 일단의 치아를 개별적으로 감싸도록 제1,2포켓부(10,20)로 포켓을 분절시키고, 나아가 제1포켓부(10)와 제2포켓부(20)를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어느 한쪽에 가해지는 힘이 다른 쪽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에 있다. 제1포켓부(10)와 제2포켓부(20)는 몰드(mold)를 이용하여 합성수지로 성형되는데, 특히 피시술자 개인의 치형에 꼭 맞게끔 성형된다.
제1,2포켓부(10,20)는 기계적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연결수단은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다. 다만, 연결수단은 제1포켓부(10)와 제2포켓부(20)의 간격 변화에 따라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연결수단은 일측이 제1포켓부(10)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제2포켓부(20)의 측면에 고정되는 잭스크류 또는 턴버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각 도면에 예시된 것은 잭스크류(30)이다. 잭스크류(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insert) 성형에 의해 그의 양단부가 포켓부(10,20)에 각각 매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잭스크류(30)는 강한 인장력을 받게 되므로 그의 양단은 단단하게 포켓부에 고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잭스크류(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제작된 다음 인서트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의하면, 잭스크류는 중심에 조정부(31, 길이조정부)가 마련되고 그 양쪽에 와이어(32)가 각각 연장된다. 와이어(32)의 끝단은 다각형 형태,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요(凹)자 형태로 절곡됨으로써 리텐션부(33, retention portion)가 마련되고 있다. 이것은 포켓부(10,20)와의 결합력을 높임으로써 잭스크류(30)가 인장력에 의해 포켓부(10,20)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리텐션부(33)는 역 요(凹)자 형태로 절곡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잭스크류(30)를 설치한 상태에서 조정부(31)를 회전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조정하게 되면, 리텐션부(33) 간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원리로 제1,2포켓부(10,20)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히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잭스크류(3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1,2포켓부(10,20)의 내측벽 및 외측벽 모두에 설치되는 것이 힘의 균형상 바람직하다. 그러나, 심미성을 고려한 피시술자의 선택에 따라 내측, 즉 설측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잭스크류(30)는 모멘트를 고려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포켓부(10,20)의 중간 정도의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결수단의 길이를 반드시 조절 가능하도록 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황에 따라 고정된 길이를 갖는 연결수단도 사용 가능하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포켓부(10)의 내측면, 특히 제1군의 치아(T1) 중 전치(T1')의 치경부에 접하는 면으로부터는 하나 이상의 돌기(4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도 1 및 도 5 참조). 치경부는 치아와 잇몸의 경계부위인 치아목부위를 말한다.
이 돌기(40)는 치경부를 압박함으로써 견인력을 강화하도록 한다. 나아가, 치아가 설측으로 쏠리는 것을 저지하기도 한다. 돌기(40)의 첨단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뾰족한 것이 압박력의 향상에 유리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연결수단을 다양한 것으로 변경 선택할 수 있으며, 각 연결수단과 포켓부(10,20)의 연결방법도 인서트 성형이 안닌 다른 방법으로 대체할 수 있다. 포켓부(10,20)는 합성수지를 원칙으로 하지만 반드시 투명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치아색과 동일한 색상을 가질 수도 있다.
10 : 제1포켓부 20 : 제2포켓부
30 : 잭스크류 31 : 조정부
32 : 와이어 33 : 리텐션부(retention portion)
40 : 돌기 T1 : 제1군의 치아
T2 : 제2군의 치아 T1' : 전치(前齒)
S : (치아 사이의) 공간

Claims (4)

  1.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1군의 치아(T1)를 캡(cap) 방식으로 덧씌우는 합성수지 재질의 제1포켓부(10);
    상기 제1군의 치아(T1)와 공간(S)을 두고 이격되어 있으며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2군의 치아(T2)를 캡 방식으로 덧씌우는 합성수지 재질의 제2포켓부(20);
    상기 제1포켓부(10)와 제2포켓부(20)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1포켓부(10)와 제2포켓부(20)중 어느 한쪽에 가해지는 힘이 다른 쪽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1포켓부(10)와 제2포켓부(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일측은 상기 제1포켓부(10)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2포켓부(20)의 측면에 고정되는 잭스크류(30)이며, 상기 잭스크류(30)의 양단에 설치된 와이어(32)의 단부는 각각 다각형 형태로 절곡됨으로써 리텐션부(33, retention portion)가 마련된 상태에서 상기 제1,2포켓부(10,20)에 인서트(insert) 성형됨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군의 치아(T1) 중 전치(T1')의 치경부에 접하는 상기 제1포켓부(10)의 내측면으로부터는 상기 전치(T1')의 치경부를 압박하도록 하나 이상의 돌기(4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기구.
KR2020110010991U 2011-12-12 2011-12-12 치열 교정기구 KR2004603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991U KR200460320Y1 (ko) 2011-12-12 2011-12-12 치열 교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991U KR200460320Y1 (ko) 2011-12-12 2011-12-12 치열 교정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320Y1 true KR200460320Y1 (ko) 2012-05-21

Family

ID=46607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991U KR200460320Y1 (ko) 2011-12-12 2011-12-12 치열 교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320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539B1 (ko) 2012-05-24 2012-10-17 이상순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43129B1 (ko) 2012-06-18 2013-12-20 정상윤 치아 교정장치
KR101579455B1 (ko) * 2014-09-30 2015-12-22 박숙규 투명교정장치
KR101678546B1 (ko) * 2016-03-10 2016-11-22 이태희 발치를 동반한 투명교정시의 교정방법 및 이에 필요한 보조장치
CN108433832A (zh) * 2018-04-09 2018-08-24 四川大学 滑动式间隙维持器及正畸装置
CN109620432A (zh) * 2018-12-29 2019-04-16 合肥常春藤齿科器材有限公司 一种用于牙齿矫正的防脱落矫正套
JP2019162368A (ja) * 2018-03-20 2019-09-26 株式会社デンタルアシスト 歯列矯正装置
JP2020018841A (ja) * 2018-06-21 2020-02-06 澄祥 洪 取り外し可能な歯列矯正装置
JP2021058677A (ja) * 2015-01-05 2021-04-15 アライン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lign Technology,Inc. 歯の位置を修正することによってアライナーを修正するための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6634A (ko) * 2000-10-03 2003-08-09 가쿠지 이토 치과교정용 마우스 피스 및 이를 이용한 치과교정용장치
KR20040110368A (ko) * 2003-06-19 2004-12-31 문혁기 치열 교정용 확장 장치 구조
KR20110126318A (ko) * 2010-05-17 2011-11-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6634A (ko) * 2000-10-03 2003-08-09 가쿠지 이토 치과교정용 마우스 피스 및 이를 이용한 치과교정용장치
KR20040110368A (ko) * 2003-06-19 2004-12-31 문혁기 치열 교정용 확장 장치 구조
KR20110126318A (ko) * 2010-05-17 2011-11-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6444A1 (ko) * 2012-05-24 2013-11-28 Lee Sang-Soon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
KR101192539B1 (ko) 2012-05-24 2012-10-17 이상순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43129B1 (ko) 2012-06-18 2013-12-20 정상윤 치아 교정장치
KR101579455B1 (ko) * 2014-09-30 2015-12-22 박숙규 투명교정장치
US11547532B2 (en) 2015-01-05 2023-01-10 Align Technology, Inc. Method to modify aligner by modifying tooth position
US11980523B2 (en) 2015-01-05 2024-05-14 Align Technology, Inc. Method to modify aligner by modifying tooth position
JP2021058677A (ja) * 2015-01-05 2021-04-15 アライン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lign Technology,Inc. 歯の位置を修正することによってアライナーを修正するための方法
JP7377227B2 (ja) 2015-01-05 2023-11-09 アライン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歯の位置を修正することによってアライナーを修正するための方法
KR101678546B1 (ko) * 2016-03-10 2016-11-22 이태희 발치를 동반한 투명교정시의 교정방법 및 이에 필요한 보조장치
JP2019162368A (ja) * 2018-03-20 2019-09-26 株式会社デンタルアシスト 歯列矯正装置
CN108433832A (zh) * 2018-04-09 2018-08-24 四川大学 滑动式间隙维持器及正畸装置
CN108433832B (zh) * 2018-04-09 2020-07-31 四川大学 滑动式间隙维持器及正畸装置
JP2020018841A (ja) * 2018-06-21 2020-02-06 澄祥 洪 取り外し可能な歯列矯正装置
JP7174804B2 (ja) 2018-06-21 2022-11-17 澄祥 洪 取り外し可能な歯列矯正装置
JP2021120005A (ja) * 2018-06-21 2021-08-19 澄祥 洪 取り外し可能な歯列矯正装置
CN109620432A (zh) * 2018-12-29 2019-04-16 合肥常春藤齿科器材有限公司 一种用于牙齿矫正的防脱落矫正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320Y1 (ko) 치열 교정기구
KR200465679Y1 (ko) 치열 교정기구
EP3586791B1 (en)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US20180318044A1 (en) Orthodontic device
KR101703708B1 (ko) 치아 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방법
US20110088701A1 (en) Custom-Molded Oral Appliance and Method of Forming
KR102137655B1 (ko) 치열 교정 공간 폐쇄 디바이스
JP2009279022A (ja) 歯科矯正治療用アライナー
US8539955B2 (en) Mouthguard
KR20180096531A (ko) 저작 치과교정 장치
KR101667753B1 (ko) 치아 교정장치
JP7344567B2 (ja) コネクタ付きの睡眠時無呼吸用の経口器具
AU2015266592B2 (en) Oral appliance for treating sleep apnea
EP3641690B1 (en) Orthodontic appliance
EP3099388B1 (en) Mouthguard
CA2923732C (en) Orthodontic appliances for correcting teeth irregularities and for retaining the position of teeth
EP3482714B1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dentistry
CN103230306A (zh) 用于前倾低位阻生下磨牙矫正的环框式磨牙竖直器
KR101940741B1 (ko)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
KR101888990B1 (ko) 치아교정기 및 치아교정 어셈블리
US20200337810A1 (en) Bracket
CN103330599A (zh) 可调式上磨牙腭向牵引器
KR20230115420A (ko)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
CN103349570A (zh) 环框式下颌磨牙颊向竖立器
KR20200109136A (ko) 치과용 교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