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539B1 -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539B1
KR101192539B1 KR1020120055177A KR20120055177A KR101192539B1 KR 101192539 B1 KR101192539 B1 KR 101192539B1 KR 1020120055177 A KR1020120055177 A KR 1020120055177A KR 20120055177 A KR20120055177 A KR 20120055177A KR 101192539 B1 KR101192539 B1 KR 101192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rthodontic
calibration
calibration frame
adjus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1789A (ko
Inventor
이상순
Original Assignee
이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순 filed Critical 이상순
Priority to KR1020120055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539B1/ko
Publication of KR20120061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539B1/ko
Priority to PCT/KR2013/004399 priority patent/WO201317644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는 전치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제1 교정틀, 좌측 구치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제2 교정틀 및 우측 구치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제3 교정틀을 구비하는 복수의 교정틀; 상기 교정틀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와이어; 및 상기 교정틀들 중 하나의 교정틀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교정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의 조절에 의해 상기 교정틀들 사이의 간격을 점진적으로 좁힘으로써 치열을 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를 이용하면, 교정틀이 투명한 레진, 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되므로, 교정장치의 착용시 심미감이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하나의 치열교정틀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어서 비용이 증가되지 않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 및 그 제조방법{SEPARATED-TYPE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할된 교정틀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아가 비뚤어지게 난 경우, 치아 사이에 공간이 많은 경우, 앞니가 돌출된 경우, 주걱턱이나 입술이 돌출된 경우, 임플란트나 보철치료 등의 보조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 치열 교정이 일반적으로 널리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치열 교정은 단순히 비뚤어진 치아를 바르게 해서 심미적인 효과를 높이는 것 뿐만아니라, 성장 과정에서의 골격적 부조화를 바로잡아 저작능력을 정상화시키는 치료의 목적으로도 수행되고 있다.
치열 교정을 위한 교정장치로는, 치아의 전면에 금속 브라켓을 부착시키고 와이어를 이용하여 치열을 교정하는 금속교정장치가 가격이 저렴하여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T)의 표면을 약산으로 약간 부식시켜 강력한 접착제로 금속 브라켓(1)을 치아에 부착한다. 그리고, 치아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교정력을 제공하는 아치와이어(2)가 상기 브라켓(1)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2)를 당겨서 고정시킴으로써 교정에 필요한 긴장력을 치아에 작용시켜 치아를 교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금속교정장치는 브라켓과 와이어가 외부로 드러나므로 미관상 보기가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금속교정장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치아의 전면에 부착되는 브라켓을 치아와 유사한 색상의 세라믹로 제작된 브라켓을 이용함으로써 심미적인 부분을 개선하였으나, 여전히 금속 와이어가 그대로 외부에 노출될 뿐아니라 근거리에서는 세라믹 브라켓이 노출되기 때문에 심미적인 부분을 완전하게 보완하지는 못한다.
이러한 금속교정장치 또는 세라믹교정장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3)을 치아(T)의 혀 쪽(안쪽)에 부착시키고 와이어(4)를 이용하므로써 교정장치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는 설측교정장치가 이용되고 있으나, 교정장치가 설측에 설치됨으로 인하여 설치음(ㄷ, ㅅ, ㅌ이 들어가는 단어 혹은 문장)이 발음되지 않거나 발음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교정장치들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투명 레진(투명 강화 플라스틱)(5)으로 된 교정틀을 이용하여 치열을 교정하는 투명교정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투명교정장치는 금속 브라켓 또는 와이어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투명 교정틀을 치아에 착용하여도 심미감이 손상되지 않으며, 본인이 직접 교정장치를 착탈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투명교정장치는 미국특허 제5,975,893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교정으로 인한 치아의 이동량을 컴퓨터로 계산하여 단계별로 여러 개(약 20 - 30개 정도)의 투명교정틀을 제작하여, 일련의 교정틀을 단계별로(2주 내지 3주 마다) 약 10개월 내지 15개월 동안 치아에 교체착용함으로써 교정이 요구되는 치아를 한번에 예를 들어 0.15mm 내지 0.25mm 정도씩 점진적으로 목표지점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투명교정장치는 약 0.2mm 정도의 차이가 나는 20 - 30개 정도의 투명교정틀이 요구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심미감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치열교정틀을 교체하지 않고 계속 사용할 수도 있어서 비용이 증가되지 않는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는, 전치(前齒)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제1 교정틀, 좌측 구치(臼齒)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제2 교정틀 및 우측 구치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제3 교정틀을 구비하는 복수의 교정틀; 상기 교정틀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와이어; 및 상기 교정틀들 중 하나의 교정틀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교정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의 조절에 의해 상기 교정틀들 사이의 간격을 점진적으로 좁히거나 넓힘으로써 치열을 교정할 수 있다.
전술한 치열 교정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교정틀이 서로 상대이동이 가능하므로, 교정틀을 교체하지 않고 하나의 교정장치만으로도 치열 교정치료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에서는, 상기 교정틀들이 투명 레진 또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치열 교정장치에 따르면, 브라케 및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교정장치를 착용하여도 심미감이 저해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에서는, 상기 제1 교정틀과 상기 제2 교정틀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1 교정틀과 상기 제3 교정틀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에서는,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각각 암나사가 형성된 이동부와 고정부, 및 상기 이동부와 고정부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루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가 제2 교정틀 및 제3 교정틀 중 하나 이상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스크루의 중앙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치열 교정장치에 따르면, 상기 제1 교정틀과 상기 제2 교정틀 사이의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교정틀과 상기 제3 교정틀 사이의 간격을 상기 간격조절수단의 상기 스크루에 의해 미세하게 조정이 가능하므로, 교정치료의 경과에 맞춰서 점진적으로 상기 제1 교정틀과 상기 제2 교정틀 사이의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교정틀과 상기 제3 교정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교정치료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에서는,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일단이 고정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이동부에 미끄럼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에서는, 상기 복수의 연결 와이어는 상기 제2 교정틀에 설치된 간격조절수단의 이동부와 상기 제1 교정틀을 연결하는 제1 연결 와이어, 상기 제3 교정틀에 설치된 간격조절수단의 이동부와 상기 제1 교정틀을 연결하는 제2 연결 와이어, 및 상기 제2 교정틀과 제3 교정틀을 안쪽에서 서로 연결하는 제3 연결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교정틀과 제3 교정틀을 안쪽에서 서로 연결하는 제3 연결 와이어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교정장치의 제조방법에서는, 환자의 치열상태에 맞춰서 교정틀을 2이상으로 분할하여 제작하는 단계; 상기 분할 제작된 교정틀들을 환자의 치열상태에 맞춰 교정틀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교정틀들을 하나 이상의 간격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연결 와이어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의 조절에 의해 상기 교정틀들 사이의 간격을 점진적으로 좁히거나 넓힘으로써 치열을 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교정틀이 전치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제1 교정틀, 좌측 구치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제2 교정틀 및 우측 구치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제3 교정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제2 교정틀에 간격조절수단의 고정부를 고정하고, 상기 간격조절수단의 이동부와 상기 제1 교정틀을 제1 연결 와이어에 의해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3 교정틀에 간격조절수단의 고정부를 고정하고, 상기 간격조절수단의 이동부와 상기 제1 교정틀을 제2 연결 와이어에 의해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제1 교정틀과 상기 제2 교정틀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1 교정틀과 상기 제3 교정틀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의 제조방법에서는, 환자의 최종 교정목표치열상태에 맞춰서 교정틀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교정틀을 2이상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교정틀들을 환자의 현재의 치열상태에 맞춰 교정틀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교정틀들을 하나 이상의 간격조절수단 및 하나 이상의 연결 와이어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의 조절에 의해 상기 교정틀들 사이의 간격을 점진적으로 좁히거나 넓힘으로써 치열을 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교정틀이 전치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제1 교정틀, 좌측 구치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제2 교정틀 및 우측 구치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제3 교정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제2 교정틀에 간격조절수단의 고정부를 고정하고, 상기 간격조절수단의 이동부와 상기 제1 교정틀을 제1 연결 와이어에 의해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교정틀에 간격조절수단의 고정부를 고정하고, 상기 간격조절수단의 이동부와 상기 제1 교정틀을 제2 연결 와이어에 의해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제1 교정틀과 상기 제2 교정틀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1 교정틀과 상기 제3 교정틀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교정틀이 투명한 레진, 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되므로, 교정장치의 착용시 심미감이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하나의 치열교정틀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어서 비용이 증가되지 않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금속교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금속교정장치의 전면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설측교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의 투명교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의 간격조절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출원의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먼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는 분할 제작된 2 이상의 착탈식 교정틀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교정틀은 전치에 설치되는 제1 교정틀(10), 좌측 구치에 설치되는 제2 교정틀(20) 및 우측 구치에 설치되는 제3 교정틀(30)로 분할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분할 제작된 교정틀들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교정장치를 구성하는데, 상기 제1 교정틀(10)은 상기 제2 교정틀(20)과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교정틀들의 외측에서 간격조절수단(4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3 교정틀(30)은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간격조절수단(50)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교정틀(20)과 상기 제3 교정틀(30)은 상기 교정틀들의 내측(혀 쪽)에서 제3 연결 와이어(63)에 의해 고정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연결 와이어(63)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간격조절수단(40), 제1 연결 와이어(61) 및 제2 연결 와이어(62)만 이용하여 제2 교정틀(20)과 제3 교정틀(30)을 제1 교정틀(10)에 연결하여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2 교정틀(20) 사이의 연결 및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3 교정틀(30) 사이의 연결이 각각 상대이동이 가능하도록 간격조절수단들(40, 5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치열 교정치료의 진행에 따라 치아들의 간격을 좁혀야 할 경우에는 상기 간격조절수단들(40, 50)을 조절하여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2 교정틀(20) 사이의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3 교정틀(30) 사이의 간격을 좁게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치열 교정치료의 진행에 따라 치아들의 간격을 넓혀야 할 경우에는 상기 간격조절수단들(40, 50)을 조절하여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2 교정틀(20) 사이의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3 교정틀(30) 사이의 간격을 넓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에서의 상기 간격조절수단(40)은 상기 간격조절수단(50)과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여기서는 간격조절수단(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간격조절수단(50)은 암나사가 내부에 형성된 이동부(53), 암나사가 내부에 형성된 고정부(54) 및 상기 이동부(53)와 상기 고정부(54)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루(51)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53)는 상기 스크루(51)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부(54)에 대하여 상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루(51)의 상기 이동부(53)측 나사 방향과 상기 고정부(54)측 나사 방향은 서로 반대로 형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부(53)의 나사가 오른 나사일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54)의 나사는 왼 나사이어야 하며, 상기 이동부(53)의 나사가 왼 나사일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54)의 나사는 오른 나사이어야 한다. 상기 스크루(51)의 중앙에는 복수의 구멍(52)이 형성되어 이 구멍을 통하여 스크루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멍은 관통 구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조절수단(50)의 상기 고정부(54)는, 예를 들어 강력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제3 교정틀(30)의 외부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50)의 상기 이동부(53)는 제2 연결 와이어(62)에 의해, 예를 들어 강력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제1 교정틀(10)의 외부 측면에 연결된다.
상기에서 상기 간격조절수단(50)의 고정부(54)가 제3 교정틀(30)의 외부 측면에 고정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간격조절수단(50)의 고정부(54)는 제1 교정틀(10)의 외부 측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수단(50)의 고정부(54)는 제3 교정틀(30)의 내부 측면 또는 제1 교정틀(10)의 내부 측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간격조절수단(40)의 고정부는 제2 교정틀(20)의 외부 측면 또는 제1 교정틀(10)의 외부 측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수단(40)의 고정부는 제2 교정틀(20)의 내부 측면 또는 제1 교정틀(10)의 내부 측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간격조절수단(50)에서 상기 스크루(51)의 회전운동에 의한 상기 이동부(53)의 직선 왕복운동을 원활하게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루(51)의 양쪽에 가이드 로드들(55)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로드들(55)은 일단이 상기 고정부(54)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이동부(53)에 미끄럼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치아 사이에 공간이 많은 경우나 앞니가 돌출된 경우 등과 같이, 치열을 전체적으로 안쪽으로 들여서 교정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교정틀이 3개로 분할 제작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먼저 치열교정을 위한 교정틀들(10, 20, 30)을 제작하기 위하여, 환자의 잇몸사진에 기초하여 컴퓨터 3차원 영상프로그램에 의해 환자의 치열상태를 모델링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프로그램에 의해 치열을 교정하기 위한 최종 교정목표치열상태를 산출해낸다. 상기 최종 교정목표치열상태에 따른 교정틀을 제1 교정틀(10), 제2 교정틀(20) 및 제3 교정틀(30)로 분할(3개로 분할)하여 제작한다. 상기 분할 제작된 교정틀(10, 20, 30)을 환자의 현재의 치열상태에 적합하도록 제1 교정틀(10)과 제2 교정틀(20)의 간격 및 제1 교정틀(10)과 제3 교정틀(30)의 간격을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 교정틀(20)과 상기 제3 교정틀(30)을 상기 제2 교정틀(20, 30)의 내측(혀 쪽)에서 제3 연결 와이어(63)에 의해 고정식으로 연결한다. 다음에, 간격조절수단(40)의 고정부를 상기 제2 교정틀(20)의 외부 측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간격조절수단(40)의 이동부를 제1 연결 와이어(61)를 통하여 상기 제1 교정틀(10)에 연결시킨다.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3 교정틀(30)도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2 교정틀(20)의 연결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2 교정틀(20)이 상기 간격조절수단(4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3 교정틀(30)이 상기 간격조절수단(5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간격조절수단(40, 50)의 스크루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부들을 상기 고정부들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면, 이에 따라 상기 제1 교정틀(10)이 상기 제2 교정틀(20) 및 상기 제3 교정틀(30)에 대하여 상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할식 치열교정장치는, 예를 들어, 환자의 현재의 치열의 모형을 석고 등으로 제작한 다음, 이 치열 모형에 기초하여 레진 또는 강화 플라스틱재질의 교정틀을 제1 교정틀(10), 제2 교정틀(20) 및 제3 교정틀(30)로 분할(3개로 분할) 제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할 제작된 교정틀이 환자의 현재의 치열상태에 적합하도록, 제1 교정틀(10)과 제2 교정틀(20)의 간격 및 제1 교정틀(10)과 제3 교정틀(30)의 간격을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 교정틀(20)과 상기 제3 교정틀(30)을 상기 제2 교정틀(20, 30)의 내측(혀 쪽)에서 제3 연결 와이어(63)에 의해 고정식으로 연결한다. 다음에, 간격조절수단(40)의 고정부를 상기 제2 교정틀(20)의 외부 측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간격조절수단(40)의 이동부를 제1 연결 와이어(61)를 통하여 상기 제1 교정틀(10)에 연결시킨다.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3 교정틀(30)도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2 교정틀(20)의 연결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2 교정틀(20)이 상기 간격조절수단(4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3 교정틀(30)이 상기 간격조절수단(5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간격조절수단(40, 50)의 스크루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부들을 상기 고정부들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면, 이에 따라 상기 제1 교정틀(10)이 상기 제2 교정틀(20) 및 상기 제3 교정틀(30)에 대하여 상대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를 이용할 경우, 환자의 현재의 치열상태에 맞추어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2 교정틀(20) 사이의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3 교정틀(30) 사이의 간격을 설정한 다음에, 치료 계획에 맞추어 점진적으로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2 교정틀(20) 사이의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3 교정틀(30) 사이의 간격을 좁히게 되면, 하나의 치열 교정장치만으로도 교정치료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교정틀이 3개의 교정틀로 분할 제작되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교정틀이 2개의 교정틀로 분할 제작된다. 예를 들어, 교정치료의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교정틀들을 2개로 제작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2 교정틀(20)을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3 교정틀(30)을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치열 교정장치의 교정틀을 2개로 제작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교정틀들을 컴퓨터 3차원 영상프로그램에 의해 환자의 치열상태를 모델링하여 최종 교정목표치열상태에 따른 교정틀을 2개로 분할하여 제작할 수도 있으며, 환자의 현재의 치열의 모형을 석고 등으로 제작한 다음, 이 치열 모형에 기초하여 레진 또는 강화 플라스틱재질의 교정틀을 3개로 분할 제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교정틀이 2개로 분할 제작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다른 구성요소들간의 결합관계 및 작동관계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교정틀들을 2개로 분할 제작하는 경우에는 치열교정장치의 제작공정이 간단해지고 비용이 절감되면서도, 2개의 교정틀이 서로 상대이동이 가능하므로, 교정틀을 교체하지 않고 하나의 교정장치만으로도 치열 교정치료를 할 수 있는 효과를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달성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간격조절수단(50)에서 상기 스크루(51)의 회전운동에 의한 상기 이동부(53)의 직선 왕복운동을 원활하게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루(51)의 양쪽에 가이드 로드들(55)이 설치되었으나, 도 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간격조절수단(50a)은 하나의 가이드 로드(55a)를 구비한다. 상기 간격조절수단(50a)이 암나사가 내부에 형성된 이동부(53a), 암나사가 내부에 형성된 고정부(54a) 및 상기 이동부(53a)와 상기 고정부(54a)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루(51a)를 포함하는 것과 각 구성요소간의 결합관계 및 작동관계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교정장치의 제조방법에서는, 환자의 치열상태에 맞춰서 교정틀을 2이상으로 분할하여 제작하는 단계; 상기 분할 제작된 교정틀들을 환자의 치열상태에 맞춰 교정틀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교정틀들을 하나 이상의 간격조절수단과 하나 이상의 연결 와이어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의 조절에 의해 상기 교정틀들 사이의 간격을 점진적으로 좁히거나 넓힘으로써 치열을 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교정틀이 전치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제1 교정틀(10), 좌측 구치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제2 교정틀(20) 및 우측 구치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제3 교정틀(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제2 교정틀(20)에 간격조절수단(40)의 고정부를 고정하고, 상기 간격조절수단(40)의 이동부와 상기 제1 교정틀(10)을 제1 연결 와이어(63)에 의해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3 교정틀(30)에 간격조절수단(50)의 고정부를 고정하고, 상기 간격조절수단(50)의 이동부와 상기 제1 교정틀(10)을 제2 연결 와이어(62)에 의해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교정틀(20)과 상기 제3 교정틀(30)은 상기 교정틀들의 내측(혀 쪽)에서 제3 연결 와이어(63)에 의해 고정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연결 와이어(63)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간격조절수단(40), 제1 연결 와이어(61) 및 제2 연결 와이어(62)만 이용하여 제2 교정틀(20)과 제3 교정틀(30)을 제1 교정틀(10)에 연결하여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수단(40, 50)과 연결 와이어(61, 62, 63)는, 예를 들어, 강력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교정틀(10, 20, 30)의 외측 측면 또는 내측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2 교정틀(20)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3 교정틀(3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의 제조방법에서는, 환자의 최종 교정목표치열상태에 맞춰서 교정틀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교정틀을 2이상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교정틀들을 환자의 현재의 치열상태에 맞춰 교정틀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교정틀들을 하나 이상의 간격조절수단 및 하나 이상의 연결 와이어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의 조절에 의해 상기 교정틀들 사이의 간격을 점진적으로 좁히거나 넓힘으로써 치열을 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교정틀이 전치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제1 교정틀(10), 좌측 구치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제2 교정틀(20) 및 우측 구치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제3 교정틀(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제2 교정틀에 간격조절수단의 고정부를 고정하고, 상기 간격조절수단의 이동부와 상기 제1 교정틀을 제1 연결 와이어에 의해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교정틀에 간격조절수단의 고정부를 고정하고, 상기 간격조절수단의 이동부와 상기 제1 교정틀을 제2 연결 와이어에 의해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교정틀(20)과 상기 제3 교정틀(30)은 상기 교정틀들의 내측(혀 쪽)에서 제3 연결 와이어(63)에 의해 고정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연결 와이어(63)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간격조절수단(40), 제1 연결 와이어(61) 및 제2 연결 와이어(62)만 이용하여 제2 교정틀(20)과 제3 교정틀(30)을 제1 교정틀(10)에 연결하여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수단(40, 50)과 연결 와이어(61, 62, 63)는, 예를 들어, 강력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교정틀(10, 20, 30)의 외측 측면 또는 내측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2 교정틀(20)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3 교정틀(3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3 : 브라켓 2, 4 : 와이어
5 : 투명 교정틀 10 : 제1 교정틀
20 : 제2 교정틀 30 : 제3 교정틀
40, 50 : 간격조절수단 51, 51a : 조절 스쿠루 52, 52a : 구멍 53, 53a : 이동부
54, 54a : 고정부 55, 55a : 가이드 로드
61 : 제1 연결 와이어 62 : 제2 연결 와이어
63 : 제3 연결 와이어 T : 치아

Claims (18)

  1. 치열 교정이 요구되는 환자의 최종 교정목표치열 상태에 따라 제작된 교정틀을 3개로 분할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3개의 분할된 교정틀들(10, 20, 30) 중 중앙에 배치된 제1 교정틀(10)은 전치(前齒)에 착탈식으로 맞물리며 양단부가 개방되며, 좌측에 배치된 제2 교정틀(20)은 좌측 구치(臼齒)에 착탈식으로 맞물리며 상기 제1 교정틀(10)을 향하는 일측 단부는 개방되고 타측 단부는 좌측 최내측의 구치를 둘러싸며, 우측에 배치된 제3 교정틀(30)은 우측 구치에 착탈식으로 맞물리며 상기 제1 교정틀(10)을 향하는 일측 단부는 개구되고 타측 단부는 우측 최내측 구치를 둘러싸는, 복수의 교정틀(10, 20, 30);
    상기 복수의 교정틀들(10, 20, 30)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 와이어(61)와 제2 연결 와이어(62); 및
    내부에 각각 암나사가 형성되어 스크루(51)에 의해 서로 나사 결합되는 이동부(53)와 고정부(54)를 구비하며, 상기 스크루(51)를 회전시켜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2 교정틀(20)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3 교정틀(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2개의 간격조절수단(40, 50)을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들 중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2 교정틀(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40)의 고정부(54)가 상기 제2 교정틀(20)의 개방 단부 측면에 부착되며, 이동부(53)가 상기 제1 연결 와이어(61)에 의해 상기 제1 교정틀(10)의 일측 단부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들 중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3 교정틀(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50)의 고정부(54)가 상기 제3 교정틀(30)의 개방 단부 측면에 부착되며, 이동부(53)가 상기 제2 연결 와이어(62)에 의해 상기 제1 교정틀(10)의 타측 단부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들(40, 50)의 조절에 의해 상기 교정틀들(10, 20, 30) 사이의 간격을 점진적으로 좁힘으로써 치열을 교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틀들(10, 20, 30)이 투명 레진 또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2 교정틀(20)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3 교정틀(3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51)의 중앙에는 복수의 구멍들(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들(40, 50)은 일단이 고정부(54)에 고정되고 타단이 이동부(53)에 미끄럼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로드(5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치열 교정이 요구되는 환자의 현재의 치열상태에 따라 교정틀(10, 20, 30)을 3개로 분할하여 제작하되, 상기 3개의 분할된 교정틀들 중 중앙에 배치되는 제1 교정틀(10)과 좌측에 배치되는 제2 교정틀(20) 사이를 목표 교정량에 대응하는 간격 만큼 떨어뜨리고, 중앙에 배치되는 제1 교정틀(10)과 우측에 배치되는 제3 교정틀(30) 사이를 목표 교정량에 대응하는 간격 만큼 떨어뜨려 제작되며, 상기 제1 교정틀(10)은 전치에 착탈식으로 맞물리며 양단부가 개방되며, 좌측에 배치된 상기 제2 교정틀(20)은 좌측 구치에 착탈식으로 맞물리며 상기 제1 교정틀(10)을 향하는 일측 단부는 개방되고 타측 단부는 좌측 최내측의 구치를 둘러싸며, 우측에 배치된 제3 교정틀(30)은 우측 구치에 착탈식으로 맞물리며 상기 제1 교정틀(10)을 향하는 일측 단부는 개구되고 타측 단부는 우측 최내측 구치를 둘러싸는, 복수의 교정틀(10, 20, 30);
    상기 복수의 교정틀들(10, 20, 30)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 와이어(61)와 제2 연결 와이어(62); 및
    내부에 각각 암나사가 형성되어 스크루(51)에 의해 서로 나사 결합되는 이동부(53)와 고정부(54)를 구비하며, 상기 스크루(51)를 회전시켜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2 교정틀(20)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3 교정틀(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2개의 간격조절수단들(40, 50)을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들 중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2 교정틀(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40)의 고정부(54)가 상기 제2 교정틀(20)의 개방 단부 측면에 부착되며, 이동부(53)가 상기 제1 연결 와이어(61)에 의해 상기 제1 교정틀(10)의 일측 단부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들 중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3 교정틀(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50)의 고정부(54)가 상기 제3 교정틀(30)의 개방 단부 측면에 부착되며, 이동부(53)가 상기 제2 연결 와이어(62)에 의해 상기 제1 교정틀(10)의 타측 단부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들(40, 50)의 조절에 의해 상기 교정틀들(10, 20, 30) 사이의 간격을 점진적으로 좁힘으로써 치열을 교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2 교정틀(20)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1 교정틀(10)과 상기 제3 교정틀(3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51)의 중앙에는 복수의 구멍들(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
  18.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40, 50)은 일단이 고정부(54)에 고정되고 타단이 이동부(53)에 미끄럼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로드(5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
KR1020120055177A 2012-05-24 2012-05-24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92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177A KR101192539B1 (ko) 2012-05-24 2012-05-24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3/004399 WO2013176444A1 (ko) 2012-05-24 2013-05-20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177A KR101192539B1 (ko) 2012-05-24 2012-05-24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789A KR20120061789A (ko) 2012-06-13
KR101192539B1 true KR101192539B1 (ko) 2012-10-17

Family

ID=46612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177A KR101192539B1 (ko) 2012-05-24 2012-05-24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92539B1 (ko)
WO (1) WO20131764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319341D0 (en) * 2013-11-01 2013-12-18 Tal Nimrod Orthodontic device
KR101638329B1 (ko) * 2014-04-16 2016-07-11 김창환 가철식 곡선 이동형 치열교정기구
US10449016B2 (en) 2014-09-19 2019-10-22 Align Technology, Inc. Arch adjustment appliance
US20180214252A1 (en) * 2015-03-16 2018-08-02 E- Wireligner Co., Ltd. Teeth-straightening wire, dental braces having same, and teeth-straightening method therefor
KR101667753B1 (ko) * 2015-11-16 2016-10-20 김은지 치아 교정장치
CA3043049A1 (en) 2016-12-02 2018-06-07 Align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ustomizing rapid palatal expanders using digital models
US11273011B2 (en) 2016-12-02 2022-03-15 Align Technology, Inc. Palatal expanders and methods of expanding a palate
CA3096417A1 (en) 2018-04-11 2019-10-17 Align Technology, Inc. Releasable palatal expande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3956A (en) 1981-07-27 1984-02-28 Witzig John W Orthopedic corrector and method of correction of Class II malocclusion
WO1995027536A1 (en) 1994-04-12 1995-10-19 Sandro Scenna Dental apparatus
US20090186134A1 (en) 2002-11-09 2009-07-23 Johann Wiesmuller Method for the selective separation of volatile flavorings from monophase, (semi) liquid starting materials having a fat content and/or oil content of "less than or equal to" 20% by weight
KR200460320Y1 (ko) 2011-12-12 2012-05-21 윤성원 치열 교정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3956A (en) 1981-07-27 1984-02-28 Witzig John W Orthopedic corrector and method of correction of Class II malocclusion
WO1995027536A1 (en) 1994-04-12 1995-10-19 Sandro Scenna Dental apparatus
US20090186134A1 (en) 2002-11-09 2009-07-23 Johann Wiesmuller Method for the selective separation of volatile flavorings from monophase, (semi) liquid starting materials having a fat content and/or oil content of "less than or equal to" 20% by weight
KR200460320Y1 (ko) 2011-12-12 2012-05-21 윤성원 치열 교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789A (ko) 2012-06-13
WO2013176444A1 (ko) 201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2539B1 (ko) 분할식 치열 교정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61249B1 (ko) 치료 계획 특정 바이트 조정 구조
JP6751712B2 (ja) 再位置決め顎エレメントを有する歯科器具
KR101638329B1 (ko) 가철식 곡선 이동형 치열교정기구
KR101111976B1 (ko)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
US20170290643A1 (en) Intraoral expander device
KR20160115793A (ko) 열 성형된 정렬기에 대한 주문형 연장부 조립
TWI816095B (zh) 齒列矯正牙套的製造方法
CN105792771B (zh) 与正畸辅助设备和舌侧器具系统一起使用的唇侧附接装置
KR102328653B1 (ko) 치열교정 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58725B1 (ko) 설측 견인용 치열교정기구 및 그 제조방법
CN104023667A (zh) 畸齿矫正装置及其使用方法
CN205569100U (zh) 一种带定位功能的正畸弓丝
CA2706291C (en) A dental appliance
KR102027338B1 (ko) 디지털 부분틀니 제조방법
KR101678546B1 (ko) 발치를 동반한 투명교정시의 교정방법 및 이에 필요한 보조장치
CN215458810U (zh) 齿列矫正牙套
CN112545684B (zh) 一种前方牵引与磨牙远移结合型口腔正畸装置
KR101108982B1 (ko) 치아모형기구
KR100974081B1 (ko)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
US8435030B2 (en) Orthodontic braces
WO2016074122A1 (zh) 一种定制化舌侧正畸托槽及其制造方法
KR20190002038U (ko) 탈부착이 용이한 투명 교정장치
CN117204965B (zh) 一种用于不对称扩弓的隐形矫治器
KR20140072741A (ko) 선택적 인공치아의 제조가 가능한 교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