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136A - 치과용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136A
KR20200109136A KR1020190028265A KR20190028265A KR20200109136A KR 20200109136 A KR20200109136 A KR 20200109136A KR 1020190028265 A KR1020190028265 A KR 1020190028265A KR 20190028265 A KR20190028265 A KR 20190028265A KR 20200109136 A KR20200109136 A KR 20200109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ooth
orthodontic device
dental orthodontic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만형
Original Assignee
한만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만형 filed Critical 한만형
Priority to KR1020190028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9136A/ko
Publication of KR20200109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1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0Devices having means to apply outwardly directed force, e.g. expan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교정 장치는. 상악 또는 하악의 구강 내에 거치되어 치열 또는 구강 구조를 교정하는 치과용 교정 장치로서, 플라스틱 레진으로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치열 형태로 배치되며 착용시 치아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일 부분이 착용자의 치아의 내측면 및 저작면의 적어도 일 부분과 밀착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치과용 교정 장치{CALIBRATOR}
본 발명은 치과용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악 또는 하악의 구강 내에 거치되어 치열 또는 구강 구조를 교정하는 치과용 교정 장치로서, 플라스틱 레진으로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측부에 치열 형태로 배치되며 사용자가 구강 내에 착용시 치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 치아에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일 부분이 착용자의 치아의 내측면 및 저작면의 적어도 일 부분과 밀착하게 구성되는 치과용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득수준이 높아지고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자연스럽게 성형수술에 대한 열망이 높아지고 있다. 외모 지상주의에 따라서, 외모가 경쟁력이라는 인식이 퍼지며, 이에 따라 양악수술 등과 같은 성형 수술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양악수술이 연간 1만건 이상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중 10 명 이상이 수술 부작용으로 불행한 사고를 당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수술 후유증으로 인한 안면마비 등의 기능적인 부작용이나 얼굴변형 등의 외모적인 부작용으로 인해 대인기피, 우울증과 같은 정신적인 고통 속에서 나날을 지내는 수많은 환자들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부작용과 후유증이 많은 양악수술을 꺼리는 환자들을 위해, 비수술적 교정 방법을 통해 양악수술과 유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소위 입체 교정 성형술이 새로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입체 교정은 칼을 대지 않고도 거의 양악수술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인체 친화적인 비수술적 성형술이다.
이러한 입체 교정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시술자에게 적합한 치과용 교정 장치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치과용 교정 장치는 치아와 신뢰성있게 밀착하지 아니하여 교정 효과가 미흡하며, 아울러 교정 기간도 오래 걸리는 단점을 갖고 있었다.
등록특허 10-084742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교정 장치는. 상악 또는 하악의 구강 내에 거치되어 치열 또는 구강 구조를 교정하는 치과용 교정 장치로서, 플라스틱 레진으로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측부에 치열 형태로 배치되며, 사용자가 구강 내에 착용시 치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 치아에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일 부분이 착용자의 치아의 내측면 및 저작면의 적어도 일 부분과 밀착하게 구성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교정 장치는. 상악 또는 하악의 구강 내에 거치되어 치열 또는 구강 구조를 교정하는 치과용 교정 장치로서, 플라스틱 레진으로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측부에 치열 형태로 배치되며 사용자가 구강 내에 착용시 치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 치아에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일 부분이 착용자의 치아의 내측면 및 저작면의 적어도 일 부분과 밀착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의 외측의 적어도 일 부분에는, 치아 형태에 대응하는 치형 입체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거치부는 착용자의 치아의 외측면에 거치되어, 상기 거치부와 상기 지지부가 치아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180° 영역을 감싸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거치부는 착용자의 치아의 외측면에 거치되어, 상기 거치부와 상기 지지부가 치아 내측면, 저작면, 및 외측면을 동시에 둘러싸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거치부는, U 자 형으로 만곡되되 양단이 상기 지지부 내에 매설되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철사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거치부는, 외측 방향으로 만곡되는 돌출 영역과, 상기 돌출 영역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으로 만곡되는 함몰 영역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일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의 폭을 연장하여 착용자의 악궁을 확장하는 하나 이상의 확장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갖는 복수의 지지 파트로 구성되며, 상기 확장부는 상기 각각의 지지 파트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확장부는, 상기 각각의 지지 파트에 고정되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에 체결되며 상기 각각의 지지 파트 사이에 배치되는 연장 빔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 빔의 노출 길이를 조절하여 브래킷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지지 파트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브래킷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 빔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 빔과 상기 브래킷이 나사 체결되며, 상기 연장 빔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지지 파트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장 빔은 상기 연장 빔을 회전시킬 수 있는 소정의 툴이 수령될 수 있는 수령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교정 장치는, 지지부가 구강 내의 경구대, 또는 연구개 외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치아의 내측면 및 저작면의 적어도 일 부분과 밀착함으로써, 교정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부가 치아의 내측면 및 저작면의 적어도 일 부분과 밀착하며, 거치부는 치아의 외측면에 거치됨에 따라서, 치아 내측면, 저작면, 및 외측면을 동시에 둘러싸게 구성되어 여러 방향에서 동시에 치아에 대해 교정을 위한 힘을 가할 수 있고, 치아에 치과용 교정 장치가 견고히 거치되어 고정될 수 있으므로, 교정 성능 향상 및 신뢰성있는 치과용 교정 장치 거치가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지지부의 외측의 적어도 일 부분에는 치아 형태에 대응하는 치형 입체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지지부에 의한 밀착 및 교정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교정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지지부의 폭을 연장함에 따라서 착용자의 악궁을 확장시키는 힘을 가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치악궁의 정형 및 교정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교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교정 장치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교정 장치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교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교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교정 장치가 치아를 둘러싸 고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교정 장치의 거치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교정 장치의 확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교정 장치의 확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교정 장치의 확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부재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부재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상, 하부, 측부, 내측, 외측과 같은 용어는 상대적인 개념으로, 부재의 배향, 및 부재를 보는 시각 등에 따라서 달리 해석되거나, 달리 지칭될 수 있으며, 문헌적 의미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하악, 또는 상악과 관련된 치과용 교정 장치에 대해 설명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사항이 상악, 또는 하악과 관련된 치과용 교정 장치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으며, 비록 하악, 또는 상악과 관련된 치과용 교정 장치에 대해서만 설명하는 경우에도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교정 장치(1)는, 상악 또는 하악의 구강 내에 거치되어 치열 또는 구강 구조를 교정하는 치과용 교정 장치(1)로서, 플라스틱 레진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00), 및 상기 지지부(100)의 측부에 치열 형태로 배치되며 사용자가 구강 내에 착용시 치아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감싸 치아에 거치되는 거치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100)는 적어도 일 부분이 착용자의 치아의 내측면 및 저작면의 적어도 일 부분과 밀착하게 구성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교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교정 장치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교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교정 장치가 치아를 둘러싸 고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교정 장치의 거치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지지부(100)는 플라스틱 레진으로 구성되며, 구강 내부의 형상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는다. 지지부(100)는 치과용 교정 장치(1)가 상악, 또는 하악에 사용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악의 구강 내부 형태, 또는 하악의 구강 내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예컨대, 지지부(100)는 상악의 교정에 사용될 경우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이 만곡된 반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하악의 교정에 사용될 경우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열에 대응하는 U 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거치부(200)는 치과용 교정 장치(1) 착용시 치아 T 에 거치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거치부(200)는 상기 지지부(100)의 측부에 지지부(100)의 외주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으며, 치아 T 에 거치되는 소정의 철사와 같은 소정의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거치부(200)는 U 자 형으로 만곡된 철사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복수의 치아 T 에 거치될 수 있도록 적절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과용 교정 장치(1)가 착용될 경우에도 입안에서 거치부(200)가 부식되는 일이 방지될 수 있도록 부식 방지 수단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상기 거치부(200)는 스테인리스 등을 포함하거나 또는 소정의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0)는 외측의 적어도 일 부분이 치아 T 에 밀착하게 구성되며, 이때, 치아 T 의 밀착 부위는 치아 T 의 내측면 및 저작면의 적어도 일 부분일 수 있다. 이때, 밀착이라 함은 반드시 지지부(100)와 치아 T 의 일 면이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외에, 사용 상태 및 입 모양에 따라서 서로 이격되거나 밀착하는 경우를 포함하며, 항상 밀착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100)의 적어도 일 부분이 치아 T 의 내측면 및 저작면의 적어도 일 부분과 밀착하는 것은, 지지부(100)의 적어도 일 부분이 치아 T 의 내측면 및 저작면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T 의 내측면 및 저작면의 적어도 일 부분을 커버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치아 T 의 내측면이라 함은 예컨대 하악의 경우, 혀와 인접한 치아 T 의 측면을 지칭한다. 아울러, 치아 T 의 저작면이라 함은 상악의 치아 T 와 하악의 치아 T 가 맞닿아 음식물의 저작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특정 부위에 국한된 개념으로 이해되지 아니한다.
즉, 상기 지지부(100)는 구강 내의 경구대, 또는 연구개 외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치아 T 의 내측면 및 저작면의 적어도 일 부분과 밀착함으로써, 교정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100)의 외측의 적어도 일 부분에는 치아 T 의 형태에 대응하는 치형 입체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형 입체부(102)는, 치아 T 의 형태에 대응하는 입체로 구성되며, 치아 T 의 내측면 및 저작면의 적어도 일 부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형 입체부(102)는 착용자의 구강 상태에 따라서, 착용자의 치열에 맞는 형태를 갖거나, 또는 교정을 위해 바람직한 치열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에 따라서, 지지부(100)에 의한 밀착 및 교정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00)가 치아 T 의 내측면 및 저작면의 적어도 일 부분과 밀착함에 따라서, 상기 거치부(20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치아 T 의 외측면에 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외측면이라 함은, 예컨대 하악의 경우, 입술과 인접한 치아 T 의 측면을 지칭한다.
즉, 이를 달리 설명하면, 상기 거치부(200)는 착용자의 치아 T 의 외측면에 거치됨으로써, 상기 거치부(200)와 상기 지지부(100)가 치아 T 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180° 영역을 감싸게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200)와 상기 지지부(100)가 치아 T 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180° 영역을 감싼다는 의미는, 상기 거치부(200)가 착용자의 치아 T 의 외측면에 거치되어, 상기 거치부(200)와 상기 지지부(100)가 치아 T 내측면, 저작면, 및 외측면을 동시에 둘러싸는 구성을 갖는 것이라고 설명될 수 있다. 이는 곧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T 의 내측면, 저작면, 및 외측면에 동시에 밀착하여 치아 T 에 견고히 거치되는 것을 나타내며, 전체적으로 치아의 최대 풍융부 상방까지 커버하여 견고히 고정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200)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면, 상기 거치부(200)는 철사와 같은 구조물로 구성되되, 양 단이 상기 지지부(100) 내에 매설되어 고정됨으로써 전체적으로 U 자형으로 만곡되어 상기 지지부(100)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구성을 갖되, 소정의 만곡부를 갖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U 자형으로 만곡되어 측방향으로 돌출되되, U 자형 중간 부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함몰 영역(220)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함몰 영역(220)이란 내측으로 함몰되는 것을 의미하며, 일 예로 상기 지지부에 대해 근접한 방향으로 만곡되는 부분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예컨대, U 자형의 변곡점 부분이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지지부(100)에 매설된 양 측이 외측으로 만곡된 U 자형으로 각각 돌출되며, 상기 2 개의 U 자형 사이에는 내측으로 만곡되어 U 자형으로 함몰된 부분이 하나 이상 마련됨으로써, 복수의 돌출 영역(210)과 상기 각각의 돌출 영역(210) 사이의 하나 이상의 함몰 영역(220)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거치부(200)가 치아 T 의 측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측부의 U 자형 돌출 영역(210), 또는 함몰 영역(220)이 치아 T 의 측면에 닿아 밀착되며, 상기 치아 T 가 상기 돌출 영역(210), 또는 함몰 영역(220)과 상기 지지부(10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치아 T 에 대한 견고한 고정이 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고정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부(200)는 비교적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만곡된 부분이 치아 T 에 닿아 고정됨에 따라서, 고정에 따른 치아 T 의 손상 및 마모가 적거나 방지될 수 있다.
지지부(100)가 치아 T 의 내측면 및 저작면의 적어도 일 부분과 밀착하며, 거치부(200)는 치아 T 의 외측면에 거치됨에 따라서, 치아 내측면, 저작면, 및 외측면을 동시에 둘러싸게 구성되어 여러 방향에서 동시에 치아 T 에 대해 교정을 위한 힘을 가할 수 있고, 치아 T 에 치과용 교정 장치(1)가 견고히 거치되어 고정될 수 있으므로, 교정 성능 향상 및 신뢰성있는 치과용 교정 장치의 거치가 가능해질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교정 장치의 확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교정 장치의 확장부가 축소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교정 장치의 확장부가 확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교정 장치(1)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100)의 폭을 연장하여 착용자의 악궁을 확장하는 하나 이상의 확장부(30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교정 장치(1)를 착용한 상태에서 지지부(100)의 폭을 연장함에 따라서 착용자의 악궁을 확장시키는 힘을 가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치악궁의 정형 및 교정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와 같이 지지부(100)의 적어도 일 방향 폭을 연장시키는 확장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예컨대, 상기 지지부(100)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갖는 복수의 지지 파트(110, 120)로 구성되며, 상기 확장부(300)는 상기 각각의 지지 파트(110, 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부(100)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갖는 복수의 지지 파트(110, 120)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 파트(110, 120) 사이의 간격에는 지지 파트(110, 120) 사이의 간격의 광협을 조절할 수 있는 확장부(300)가 구비되어, 지지부(100)의 적어도 일 방향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확장부(300)의 폭을 넓힐 경우 지지 파트(110, 120)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서 지지부(100)의 크기가 커지며, 확장부(300)의 폭을 좁힐 경우 지지 파트(110, 120)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서 지지부(100)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확장부(300)는 상기 각각의 지지 파트(110, 120)에 고정되는 브래킷(320), 및 상기 브래킷(320)에 체결되며 상기 각각의 지지 파트(110, 120) 사이에 배치되는 연장 빔(310)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 빔(310)의 노출 길이를 조절하여 브래킷(3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지지 파트(110, 12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래킷(320)에는 암나사부(322)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 빔(310)에는 수나사부(31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지지 파트(110, 120)가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는 브래킷(32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브래킷(320)은 각각의 지지 파트(110, 120) 당 하나 뿐만 아니라 수개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수는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브래킷(320)은 각각의 지지 파트(110, 120)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배치될 수 있고, 소정의 암나사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 빔(310)은 상기 브래킷(320)에 체결되며, 상기 각각의 지지 파트(110, 120) 사이에 배치된다. 연장 빔(310)의 외측에는 소정의 수나사부(3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연장 빔(310)과 브래킷(320)이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브래킷(320)이 각각의 지지 파트(110, 120)에 고정되고, 연장 빔(310)의 양 측 단부에 브래킷(320)이 나사 연결되므로, 상기 연장 빔(310)을 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지지 파트(110, 12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 빔(310)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각의 지지 파트(110, 12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며,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각의 지지 파트(110, 12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즉, 연장 빔(310)을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브래킷(320)과 연결된 각각의 지지 파트(110, 12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암나사부(322)와 수나사부(314)가 연결되어야 하며, 예컨대, 서로 마주보는 지지 파트(110, 120)에 구비된 암나사부(322)의 나사 방향이 서로 반대일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 빔(310)의 회전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 빔(310)은 상기 연장 빔(310)을 회전시킬 수 있는 소정의 툴이 수령될 수 있는 수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 빔(310)의 중앙부에는 수개의 방향으로 관통된 소정의 홀(312)이 형성되며, 상기 홀(312)을 관통할 수 있는 소정의 툴 K 이 마련되어, 상기 툴 K 을 상기 홀(312)에 삽입시킨 후 상기 툴 K 을 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연장 빔(310)의 회전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파트(110, 120)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간격 조절이 수월할 수 있도록 소정의 지지 빔(33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빔(330)은 상기 브래킷(32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브래킷(320)에는 상기 지지 빔(330)을 수용하는 소정의 지지 홀(324)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빔(330)은 상기 연장 빔(310)의 회전에 따른 브래킷(320)의 변위를 가이드하여 지지 파트(110, 120) 사이의 간격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지지부 102: 치형 입체부
110: 지지 파트 120: 지지 파트
200: 거치부 210: 돌출 영역
220: 함몰 영역 300: 확장부
310: 연장 빔 312: 홀
314: 수나사부 320: 브래킷
322: 암나사부 324: 지지 홀
330: 지지 빔 1: 치과용 교정 장치

Claims (11)

  1. 상악 또는 하악의 구강 내에 거치되어 치열 또는 구강 구조를 교정하는 치과용 교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교정 장치는,
    플라스틱 레진으로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측부에 치열 형태로 배치되며, 사용자가 구강 내에 착용시 치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 치아에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일 부분이 착용자의 치아의 내측면 및 저작면의 적어도 일 부분과 밀착하는 치과용 교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외측의 적어도 일 부분에는,
    치아 형태에 대응하여 치아의 저작면과 밀착하는 치형 입체부가 형성된 치과용 교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착용자의 치아의 외측면에 거치되어,
    상기 거치부와 상기 지지부가 치아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180° 영역을 감싸게 구성되는 치과용 교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착용자의 치아의 외측면에 거치되어,
    상기 거치부와 상기 지지부가 치아 내측면, 저작면, 및 외측면을 동시에 둘러싸게 구성되는 치과용 교정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U 자 형으로 만곡되되 양단이 상기 지지부 내에 매설되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철사로 구성되는 치과용 교정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외측 방향으로 만곡되는 돌출 영역과, 상기 돌출 영역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으로 만곡되는 함몰 영역을 갖는 치과용 교정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일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의 폭을 연장하여 착용자의 악궁을 확장하는 하나 이상의 확장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교정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측방향으로 서로 구분되는 복수의 지지 파트로 구성되며,
    상기 확장부는 상기 각각의 지지 파트 사이에 배치되는 치과용 교정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각각의 지지 파트에 고정되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에 체결되며 상기 각각의 지지 파트 사이에 배치되는 연장 빔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 빔의 노출 길이를 조절하여 브래킷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지지 파트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치과용 교정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 빔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 빔과 상기 브래킷이 나사 체결되며,
    상기 연장 빔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지지 파트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치과용 교정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연장 빔은, 상기 연장 빔을 회전시킬 수 있는 소정의 툴이 수령될 수 있는 수령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교정 장치.
KR1020190028265A 2019-03-12 2019-03-12 치과용 교정 장치 KR202001091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265A KR20200109136A (ko) 2019-03-12 2019-03-12 치과용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265A KR20200109136A (ko) 2019-03-12 2019-03-12 치과용 교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136A true KR20200109136A (ko) 2020-09-22

Family

ID=72707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265A KR20200109136A (ko) 2019-03-12 2019-03-12 치과용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913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421B1 (ko) 2006-12-14 2008-07-18 강성윤 항균물질이 함침된 치아교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421B1 (ko) 2006-12-14 2008-07-18 강성윤 항균물질이 함침된 치아교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6219B2 (en) Dual aligner assembly
US9707055B2 (en) Correction device
CN107072806B (zh) 用于在正畸治疗中使用的睡眠呼吸暂停症口腔矫治器
US4674978A (en) Orthodontic appliance
KR101703708B1 (ko) 치아 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방법
US20170290643A1 (en) Intraoral expander device
KR200460320Y1 (ko) 치열 교정기구
KR101573186B1 (ko)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구
EP3158968B1 (en) Bracket, bracket straightening system and teeth straightening method
KR200458193Y1 (ko) 다방향 교정이 가능한 치열 교정용 지지 부재
KR20190019847A (ko) 치아 교정기
US10201403B2 (en) Bracket, orthodontic system with the bracket and an orthodontic method
EP3641690B1 (en) Orthodontic appliance
US10357335B2 (en) Orthodontic appliances for correcting teeth irregularities and for retaining the position of teeth
US20140302451A1 (en) Removable orthodontic retainer
KR101551381B1 (ko) 치과 교정술 또는 악안면 수술용 고정원
KR20200109136A (ko) 치과용 교정 장치
US11033363B2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dentistry
WO2017006177A1 (en) Dual aligner assembly
KR101486667B1 (ko) 치아교정기 덮개
KR20200053901A (ko) 투명 치아교정시스템
CN216908149U (zh) 正畸矫治器
KR20190057638A (ko)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 및 돌출니의 교정방법
KR101403449B1 (ko) 교정치료를 위한 고정원용 앵커 캡 및 이를 갖는 고정원 모듈
KR101995499B1 (ko)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