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499B1 -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 - Google Patents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499B1
KR101995499B1 KR1020170122047A KR20170122047A KR101995499B1 KR 101995499 B1 KR101995499 B1 KR 101995499B1 KR 1020170122047 A KR1020170122047 A KR 1020170122047A KR 20170122047 A KR20170122047 A KR 20170122047A KR 101995499 B1 KR101995499 B1 KR 101995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lot
orthodontic
brackets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364A (ko
Inventor
김유미
Original Assignee
김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미 filed Critical 김유미
Priority to KR1020170122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499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2Bucc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6Positioning or placement of bracket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8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with occlusal or gingival archwire slot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은 교정 대상이 되는 치아에 부착되어 상기 치아 측으로 교정력을 가하는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으로서, 치아에 부착되는 부착면이 형성되고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치아 측으로 상기 교정력을 가하도록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이 관통 형성되되, 별도의 배치수단에 의하여 상호 일정한 이격거리 및 일정한 각도를 이룬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치아에 부착되는 복수의 브라켓을 포함함으로써, 얇은 와이어 만으로도 브라켓이 치아에 가하는 교정력을 삼차원 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교정 기간을 단축시키고 치아 교정자에게 과도한 교정력으로 인한 불괘감을 줄여 편안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브라켓의 체적을 줄여 치아 교정자가 원하는 형태의 교정용 브라켓이 제작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Plural bracket for orthodontics}
본 발명은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얇은 와이어 만으로도 브라켓이 치아에 가하는 교정력을 삼차원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심미적 목적, 치아 건강상 이유로 치아 교정 치료가 행하여 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치아 교정은 치아의 협면에 브라켓을 부착하고 브라켓의 슬롯에 아치 와이어(arch wire)를 결찰함으로써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치아를 견인하거나, 인아웃(In&out), 토크(Torque), 앵귤레이션(Angulation)을 컨트롤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교정용 브라켓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은 도 1의 교정용 브라켓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두께 방향으로 기울어진 슬롯이 형성된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종래의 폭 방향으로 기울어진 슬롯이 형성된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교정용 브라켓(1)은 와이어(W)를 삽입하는 슬롯(2)의 형태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하나의 슬롯(2)이 중앙에 폭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전면의 꼭지점 영역에는 결찰용 와이어(미도시)가 체결되어 슬롯(2)에 와이어(W)가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윙(3)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치아의 조절에 필요한 운동은 상하 좌우 방향 뿐만 아니라 전후 기울기까지 모든 차원에서의 방향조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종래의 교정용 브라켓(1)은 사각형의 슬롯(2)에 크기에 맞는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와이어(W)를 구부려 넣거나 슬롯(2)의 모양을 조절하여 치아의 삼차원 이동을 조절하였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롯(2)이 교정용 브라켓(2)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경우에는 와이어(W)를 슬롯(2)에 체결하면 치아가 구강의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교정력이 작용하게 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반대로 슬롯(2)이 교정용 브라켓(2)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 경우에는 와이어(W)를 슬롯(2)에 체결하면 치아가 구강의 외측으로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교정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정용 브라켓(2)을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 슬롯(2)이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에는 와이어(W)를 슬롯(2)에 체결하면 슬롯(2)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방향으로 교정력이 작용하여 치아의 각도가 조절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교정용 브라켓의 경우에는 치아 이동에 필요한 충분한 힘을 갖는 와이어(W) 굵기가 필요하게 되어 교정용 브라켓(1)의 두께가 일정 두께 이하로 얇게 제작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교정용 브라켓이 치아의 표면에서 상당 높이로 돌출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환자들은 교정을 위하여 치아의 일측에 교정용 브라켓(1)을 부착시에 이물감이 심하여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각 형상으로 굵게 형성된 와이어(W)의 탄성으로 교정력을 제공하여 교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와이어(W)에 과도한 탄성력이 작용시에 환자가 치아를 교정하는 기간 내내 수시로 통증을 느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2004-0035512호, "치아교정용 브라켓"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특허출원번호 제10-2013-0162301호, "슬롯 교환 방식의 치아교정 브라켓"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얇은 와이어 만으로도 브라켓이 치아에 가하는 교정력을 삼차원 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교정 기간을 단축시키고 치아 교정자에게 과도한 교정력으로 인한 불괘감을 줄여 편안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원하는 교정력을 치아에 가할 수 있도록 복수의 브라켓 사이의 이격거리 및 상호 형성하는 각도를 정확하게 조정한 상태에서 브라켓이 치아에 부착되도록 하여 치아 교정자가 원하는 상태로 정확한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은 교정 대상이 되는 치아에 부착되어 상기 치아 측으로 교정력을 가하는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으로서, 치아에 부착되는 부착면이 형성되고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치아 측으로 상기 교정력을 가하도록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이 관통 형성되되, 별도의 배치수단에 의하여 상호 일정한 이격거리 및 일정한 각도를 이룬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치아에 부착되는 복수의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켓은 부착면이 구비된 장방형상의 부착부재와, 상기 부착부재와 일체로 상기 부착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폭방향을 따라 상기 슬롯이 관통 형성된 굴곡진 형상의 슬롯부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슬롯은 원형상의 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도 상기 슬롯의 종단면 형상과 동일한 원형상의 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롯은 상기 슬롯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슬롯부의 상부 내측에 상기 부착부재와 나란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롯은 상기 슬롯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슬롯부의 하부 내측에 상기 부착부재와 나란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롯의 일단은 상기 슬롯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슬롯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슬롯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슬롯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관통됨으로써 상기 슬롯은 상기 부착부재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치수단은 상기 브라켓을 탈부착 가능하게 수용하여 상기 브라켓 사이의 이격거리와 상기 브라켓이 상호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지그로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브라켓지그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그몸체와, 상기 지그몸체 사이의 이격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상기 지그몸체의 양측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복수의 스크류와, 상기 지그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이 탈부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홈을 구비한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홈의 깊이는 상기 브라켓을 수용시에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부착면이 상기 수용홈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지그몸체에는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폐곡선을 형성하며 일측이 상기 회전부재의 외면과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지그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한 치아교정방법은, 브라켓을 지그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재에 형성된 수용홈에 각각 수용시키는 제1단계와; 상기 지그몸체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고,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브라켓 사이의 이격거리와 상기 브라켓이 상호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제2단계와; 상기 이격거리와 상기 각도의 조절이 완료된 복수의 상기 브라켓을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에 부착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슬롯에 와이어를 체결한 후에 상기 와이어에 장력을 가하여 상기 치아의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얇은 와이어 만으로도 브라켓이 치아에 가하는 교정력을 삼차원 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교정 기간을 단축시키고 치아 교정자에게 과도한 교정력으로 인한 불괘감을 줄여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정용 브라켓의 체적을 종래에 비하여 현저하게 줄이고 원하는 교정력을 치아에 가할 수 있도록 복수의 브라켓 사이의 이격거리 및 상호 형성하는 각도를 정확하게 조정한 상태에서 브라켓이 치아에 부착되도록 하여 치아 교정자가 원하는 상태로 정확한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상 미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생활상 불편함이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정용 브라켓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은 도 1의 교정용 브라켓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두께 방향으로 기울어진 슬롯이 형성된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종래의 폭 방향으로 기울어진 슬롯이 형성된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과 배치수단이 분리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의 다양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배치수단에 의하여 배치가 완료된 다중브라켓이 치아에 부착되어 교정력을 가하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의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를 교정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기재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이 구현된 일 예를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과 배치수단이 분리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의 다양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배치수단에 의하여 배치가 완료된 다중브라켓이 치아에 부착되어 교정력을 가하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의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를 교정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기재한 흐름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은, 교정 대상이 되는 치아에 부착되어 상기 치아 측으로 교정력을 가하는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으로서, 치아에 부착되는 부착면(111)이 형성되고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치아 측으로 상기 교정력을 가하도록 와이어(W)가 삽입되는 슬롯(121)이 관통 형성되되, 별도의 배치수단에 의하여 상호 일정한 이격거리 및 일정한 각도를 이룬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치아에 부착되는 복수의 브라켓(1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브라켓(100)은 치아를 교정시에 치아의 협면에 부착되고, 브라켓(100)에 형성된 슬롯(121)에 와이어(W)를 결찰함으로써 와이어(W)의 장력에 의해 치아를 견인하거나, 인아웃(In&out), 토크(Torque), 앵귤레이션(Angulation)을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브라켓(100)의 크기는 상기한 견인력, 인아웃(In&out), 토크(Torque), 앵귤레이션(Angulation)을 발생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작게 형성되는 것이 치아 교정자에게 불괘감이나 이물감 및 통증을 줄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효과적인다.
이러한 브라켓(100)은 부착면(111)이 구비된 장방형상의 부착부재(110)와, 부착부재(110)와 일체로 부착부재(110)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폭방향을 따라 슬롯(121)이 관통 형성된 굴곡진 형상의 슬롯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부착부재(110)의 일측면에는 치아의 협면에 브라켓(100)을 부착할 수 있도록 접착제가 도포되는 부착면(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부착면(111)이 형성된 면과 반대 측면에는 슬롯부(120)가 부착부재(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슬롯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부착부재(110)의 일체로 형성되어 치아의 협면에 부착부재(110)를 부착시에 치아의 협면에 배치되는 부재이며, 슬롯부(120)의 폭방향을 따라서는 슬롯(12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롯(121)은 원형상의 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와이어(W)도 슬롯(121)의 종단면 형상과 동일한 원형상의 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롯(121)이 원형상의 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와이어(W)도 슬롯(121)의 종단면 형상과 동일한 원형상의 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브라켓(1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W)도 가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교정자가 불쾌감이나 이물감을 최소로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슬롯부(120)의 외면은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브라켓(100)을 치아에 부착시에 교정자가 불쾌감이나 이물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데 효과적이다.
여기서, 슬롯부(12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슬롯(121)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부(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슬롯부(120)의 상부 내측에 부착부재(110)와 나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롯부(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슬롯부(120)의 하부 내측에 부착부재(110)와 나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121)의 일단이 슬롯부(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슬롯부(120)의 상부에 배치되고 타단이 슬롯부(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슬롯부(12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관통됨으로써 부착부재(110)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브라켓(100)을 조합하여 치아 교정에 사용함으로써 치아의 3차원이동을 컨트롤할 수 있게 되는데, 예를 들면, 어느 한 치아에는 상부 내측에 슬롯(121)이 관통 형성된 브라켓(100)을 사용하고 양측의 인접 치아에는 하부 내측에 슬롯(121)이 관통 형성된 브라켓(100)을 사용할 경우에 가운데 배치된 해당 치아 측으로 구강의 내측으로 교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치아의 In-Out 컨트롤이 가능하다.
그리고, 슬롯(121)이 부착부재(110)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브라켓을 사용시에는 치아의 앵귤레이션을 컨트롤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슬롯(121)이 형성된 브라켓(100)의 조합만으로도 치아를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치수단은 브라켓(100)을 탈부착 가능하게 수용하여 브라켓(100) 사이의 이격거리와 브라켓(100)이 상호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지그(2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브라켓지그(200)로 인하여 브라켓(100) 사이의 이격거리와 이들이 상호 이루는 각도를 정확하게 조절한 상태에서 교정자의 치아에 브라켓(100)이 정확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브라켓(100) 사이의 이격거리와 이들이 상호 이루는 각도를 정확하게 조절한 상태에서 교정자의 치아에 브라켓(100)이 정확하게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브라켓지그(200)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그몸체(210)와, 지그몸체(210) 사이의 이격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지그몸체(210)의 양측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복수의 스크류(220)와, 지그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브라켓(100)이 탈부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홈(231)을 구비한 회전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지그몸체(21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일측면이 상호 대향되게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부재로서, 그 전면 중심에는 함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조절 가능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부재이다.
상기 함몰홈의 종단면은 상기 함몰홈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230)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원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스크류(220)는 지그몸체(210)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지그몸체(210)를 세로방향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부재로서, 회전 구동에 의하여 지그몸체(21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스크류(2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지그몸체(210) 사이의 이격 거리가 멀어지도록 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지그몸체(210) 사이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측에 배치된 지그몸체(210)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과 하측에 배치된 지그몸체(210)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은 상호 반대 방향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부재(230)는 지그몸체(210)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함몰홈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부재로서, 그 중앙 영역에는 브라켓(100)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홈(231)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용홈(231)의 깊이는 브라켓(100)을 수용시에 브라켓(100)에 형성된 부착면(111)이 수용홈(23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브라켓(100)이 수용홈(231)에 수용된 상태에서 브라켓(100) 사이의 이격 거리와 브라켓(100)이 상호 형성되는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교정 대상이 되는 치아의 협면에 부착시에 부착면(111)이 치아의 협면에 정확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용홈(231)에 브라켓(100)을 수용시에 브라켓(100)이 수용홈(231)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속수단이 마련됨으로써 수용홈(231)에 브라켓(100)을 수용시에 브라켓(100)이 유동하지 않도록 하고, 치아의 협면에 부착한 후에는 수용홈(231)에서 브라켓(100)이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그몸체(210)에는 회전부재(2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폐곡선을 형성하며 일측이 회전부재(230)의 외면과 접촉되고 타측이 지그몸체(2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와이어(2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조절와이어(240)는 일정 길이를 갖는 폐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상측에 배치된 지그몸체(220)의 상면과 하측에 배치된 지그몸체(220)의 하면을 통하여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지그몸체(200)의 내부에서 회전부재(230)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조절와이어(240)를 당길 경우에 회전부재(230)가 일정 각도로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회전부재(230)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회전 구동시켜 원하는 각도로 브라켓(100)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을 이용한 치아 교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교정 대상이 되는 치아에 가해지는 교정력의 방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 브라켓(100)의 배치 순서를 결정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어느 한 치아에는 상부 내측에 슬롯(121)이 관통 형성된 브라켓(100)을 사용하고 양측의 인접 치아에는 하부 내측에 슬롯(121)이 관통 형성된 브라켓(100)을 사용할 경우에 가운데 배치된 해당 치아 측으로 구강의 내측으로 교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치아의 In-Out 컨트롤이 가능하다.
그리고, 슬롯(121)이 부착부재(110)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브라켓을 사용시에는 치아의 앵귤레이션을 컨트롤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브라켓(100)의 배치 순서가 결정되면, 그에 따라 브라켓(100)을 지그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재(230)에 형성된 수용홈(231)에 각각 수용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브라켓(100)은 구속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수용홈(231)에 수용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지그몸체(21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고, 회전부재(230)를 회전시켜 브라켓(100) 사이의 이격거리와 브라켓(100)이 상호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지그몸체(21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방법은 지그몸체(210)의 양측에 관통된 상태로 체결되어 있는 스크류(220)를 회전시키는 방법이 사용되는데, 스크류(2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그몸체(210) 사이의 이격거리는 멀어지게 되고, 스크류(2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그몸체(210) 사이의 이격거리는 가까워지게 되므로, 스크류(220)의 회전 정도를 이용하여 지그몸체(210)의 이격거리를 필요한 정도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복수의 브라켓(100)이 상호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측의 지그몸체(210)와 하측의 지그몸체(210)에 각각 구비된 폐곡선 형태의 조절와이어(240)를 당기게 되면 회전부재(230)가 일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회전부재(230)의 수용홈(231)에 수용된 브라켓(100)이 원하는 각도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브라켓(100)이 원하는 이격거리와 원하는 각도로 배치되어 조절이 완료되면 브라켓(100)에 형성된 부착면(111)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복수의 브라켓(100)을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에 부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교정하고자 하는 복수의 치아 각각에 가해지는 교정력이 상이하도록 브라켓(100) 사이의 이격거리와 각도가 상이하도록 조절할 후에 각각의 치아에 복수의 브라켓(100)을 부착하게 된다.
그 후, 치아에 부착된 브라켓(100)에 형성된 슬롯(121)에 와이어(W)를 체결한 후에 상기 와이어에 장력을 가하게 되면, 하나의 치아에 복수로 부착된 브라켓(100)의 이격거리 및 각도에 의하여 각각의 치아가 견인력, 인아웃(In&out), 토크(Torque), 앵귤레이션(Angulation) 등의 상이한 교정력이 가해지면서 교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은, 얇은 와이어 만으로도 브라켓이 치아에 가하는 교정력을 삼차원 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교정 기간을 단축시키고 치아 교정자에게 과도한 교정력으로 인한 불괘감을 줄여 편안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원하는 교정력을 치아에 가할 수 있도록 복수의 브라켓 사이의 이격거리 및 상호 형성하는 각도를 정확하게 조정한 상태에서 브라켓이 치아에 부착되도록 하여 치아 교정자가 원하는 상태로 정확한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치아교정 기술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1 : 와이어 100 : 브라켓
110 : 부착부재 111 : 부착면
120 : 슬롯부 121 : 슬롯
200 : 브라켓지그 210 : 지그몸체
220 : 스크류 230 : 회전부재
231 : 수용홈 240 : 조절와이어

Claims (11)

  1. 교정 대상이 되는 치아에 부착되어 상기 치아 측으로 교정력을 가하는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으로서,
    치아에 부착되는 부착면(111)이 형성되고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치아 측으로 상기 교정력을 가하도록 와이어(W)가 삽입되는 슬롯(121)이 관통 형성되되, 별도의 배치수단에 의하여 상호 일정한 이격거리 및 일정한 각도를 이룬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치아에 부착되는 복수의 브라켓(100)으로 구성되며,
    상기 배치수단은 상기 브라켓(100)을 탈부착 가능하게 수용하여 상기 브라켓(100) 사이의 이격거리와 상기 브라켓(100)이 상호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지그(200)로 구성되되,
    상기 브라켓지그(200)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그몸체(210)와, 상기 지그몸체(210) 사이의 이격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상기 지그몸체(210)의 양측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복수의 스크류(220)와, 상기 지그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100)이 탈부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홈(231)을 구비한 회전부재(230)를 포함한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00)은 부착면(111)이 구비된 장방형상의 부착부재(110)와, 상기 부착부재(110)와 일체로 상기 부착부재(110)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폭방향을 따라 상기 슬롯(121)이 관통 형성된 굴곡진 형상의 슬롯부(120)를 포함한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121)은 원형상의 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W)도 상기 슬롯(121)의 종단면 형상과 동일한 원형상의 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121)은 상기 슬롯부(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슬롯부(120)의 상부 내측에 상기 부착부재(110)와 나란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121)은 상기 슬롯부(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슬롯부(120)의 하부 내측에 상기 부착부재(110)와 나란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121)의 일단은 상기 슬롯부(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슬롯부(120)의 상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슬롯부(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슬롯부(12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관통됨으로써 상기 슬롯(121)은 상기 부착부재(110)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231)의 깊이는 상기 브라켓(100)을 수용시에 상기 브라켓(100)에 형성된 부착면(111)이 상기 수용홈(23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몸체(210)에는 상기 회전부재(2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폐곡선을 형성하며 일측이 상기 회전부재(230)의 외면과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지그몸체(2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와이어(240)를 더 포함한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
  11. 삭제
KR1020170122047A 2017-09-21 2017-09-21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 KR101995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047A KR101995499B1 (ko) 2017-09-21 2017-09-21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047A KR101995499B1 (ko) 2017-09-21 2017-09-21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364A KR20190033364A (ko) 2019-03-29
KR101995499B1 true KR101995499B1 (ko) 2019-07-02

Family

ID=65898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047A KR101995499B1 (ko) 2017-09-21 2017-09-21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4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582B1 (ko) 2019-08-13 2020-12-14 안효준 미소 교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3731A (ja) 2006-08-16 2008-02-28 Ormco Corp 特注矯正ブラケット配置ジグ並びにジグ作製方法および装置
JP2017505181A (ja) 2014-01-31 2017-02-16 アライン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弾性体を有する歯列矯正器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7739A (en) * 1985-05-21 1986-07-01 Farel Rosenberg Tow element bracket system for true straight wire orthodontics
KR0162301B1 (ko) 1991-11-09 1999-01-15 구자홍 세탁기의 자동 빨래 삶는 장치 및 방법
US7658610B2 (en) * 2003-02-26 2010-02-09 Align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a dental template with a 3-D object placement
KR20110009777U (ko) * 2010-04-08 2011-10-14 최용현 치아교정 시술용 고정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3731A (ja) 2006-08-16 2008-02-28 Ormco Corp 特注矯正ブラケット配置ジグ並びにジグ作製方法および装置
JP2017505181A (ja) 2014-01-31 2017-02-16 アライン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弾性体を有する歯列矯正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582B1 (ko) 2019-08-13 2020-12-14 안효준 미소 교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364A (ko)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6219B2 (en) Dual aligner assembly
US11648089B2 (en) Orthodontic appliances and systems with elastic members
US9901422B2 (en) Dental wire supporter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CA3001485C (en) Orthodontic assembly
US20120315595A1 (en) Bracket with front opening and orthodontic inter-bracket adjoining mechanism
US20060234179A1 (en) Dental aligner devices having snap-on connectors
EP3629989B1 (en) Orthodontic system with variably-sized archwire slot
KR101658318B1 (ko) 가변 단면구조를 갖는 치아교정 호선
US20200085538A1 (en) Maxillary teeth orthodontic device
KR101268646B1 (ko) 구개장치
EP3158968A1 (en) Bracket, bracket straightening system and teeth straightening method
US10201403B2 (en) Bracket, orthodontic system with the bracket and an orthodontic method
KR101995499B1 (ko) 치아교정용 다중브라켓
JP6980326B1 (ja) 歯列矯正装置
KR101578708B1 (ko) 치열 교정용 브라켓
ES2936818T3 (es) Conjunto para la colocación de un bráket ortodóncico y método para fabricar tal conjunto
WO2017006177A1 (en) Dual aligner assembly
KR101276780B1 (ko) 치열교정용 훅버튼
KR20190088245A (ko) 교정 와이어 지지용 튜브형 치과교정기구
CN112261916A (zh) 正畸治疗方法、珠粒作为正畸矫治器的固持元件的用途以及用于正畸治疗的珠粒
KR20200077170A (ko)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
US20160310238A1 (en) Orthodontic Treatment Bracket
AU2018272753B2 (en) Orthodontic system with variably-sized archwire slot
JP2019529038A (ja) 歯列矯正ブラケット
PL222051B1 (pl) Zamek ortodontyczn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