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134Y1 - 광고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고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134Y1
KR200460134Y1 KR2020110001080U KR20110001080U KR200460134Y1 KR 200460134 Y1 KR200460134 Y1 KR 200460134Y1 KR 2020110001080 U KR2020110001080 U KR 2020110001080U KR 20110001080 U KR20110001080 U KR 20110001080U KR 200460134 Y1 KR200460134 Y1 KR 2004601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illboard
main body
contac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창환
배준영
남기성
Original Assignee
(주) 이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래 filed Critical (주) 이래
Priority to KR20201100010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1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1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1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8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including movable parts, e.g. movable by the wi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04Achieving homogeneous illumination
    • G09F2013/1831Achieving homogeneous illumination using more than one light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4Information to display
    • G09F2013/1845Interchangeable post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72Ca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광고 표시 장치는 메인 바디(100); 메인 바디(100)에 삽입되는 광고판(110); 메인 바디(100)와 연결되는 조명부(120); 및 메인 바디(100)에 설치되고, 메인 바디(100)에 광고판(110)이 삽입되어 고정될 때 광고판(110)과 접촉하는 접촉부(130)를 포함하고, 광고판(110)과 접촉부(130) 사이의 컨택 구조가 변경됨에 따라 조명부(120)로부터 표시되는 컬러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고 표시 장치{APPARATUS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본 고안은 광고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바디에 삽입되는 광고판에 대응하여 조명 컬러가 변화되고, 관찰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광고판이 이동 가능한 광고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기술 수준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기업, 개인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상품의 종류 및 기능이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자사의 상품을 특징화하고 장점을 알리기 위해 각종 매체를 이용하여 광고해야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여러 매체를 이용하여 마케팅 전략을 세워 최대의 광고 효과를 창출하는 것은 기업의 이익으로 직결된다. 광고 진열대나, 광고판을 이용하는 광고 표시 장치는 소비자에게 가장 직접적이고 명확한 광고 효과를 전달할 수 있으며, 저렴한 방법이기에 소규모의 상점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광고 방법이다.
광고 표시 장치는 크게 고정형과 회전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종래의 고정형 광고 표시 장치는 소비자의 시선에 잘 띄지 않고, 시야각도 좁아 소비자에게 광고 노출 시간이 극도로 적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회전형 광고 표시 장치는 고정형에 비하여 소비자의 주의를 더 잘 끌 수는 있었으나, 기대만큼 소비자에게 광고 노출 시간이 증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광고 표시 장치는 단색의 형광 램프를 사용하여 한가지 색상만으로 표시됨으로 인해 광고 이미지와 완전히 조화되도록 작동하지 않았고, 이는 광고 기획 의도와 다르게 광고 효과를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광고 표시 장치는 광고판을 다른 광고판으로 변경할 때 광고 표시 장치를 분해한 후 갈아 끼워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광고 조명 컬러에 다채로운 변화를 주어 광고 이미지와 조화되는 조명 컬러를 표시하여 광고 기획 의도에 맞게 광고 효과를 증대시키고, 광고판을 갈아 끼우는 방법에 편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관찰자의 움직임에 대응한 광고판의 움직임으로 더욱 소비자의 주의를 끌 뿐만 아니라, 관찰자의 시선에 보다 오래 광고 화면을 노출시킴으로써 광고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의 목적은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에 삽입되는 광고판; 상기 메인 바디와 연결되는 조명부; 및 상기 메인 바디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바디에 상기 광고판이 삽입되어 고정될 때 상기 광고판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판과 상기 접촉부 사이의 컨택 구조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조명부로부터 표시되는 컬러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표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광고판의 전면에 대응하는 제1 커버와, 상기 광고판의 후면에 대응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판의 하단에는 소정의 위치에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조명부는 복수개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1 및 제2 커버의 양 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커버의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복수개의 단위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홈과 상기 복수개의 단위 접촉부 중 어느 하나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에 상기 광고판이 삽입되어 고정될 때, 상기 홈과 대응하는 단위 접촉부는 상기 광고판과 접촉하지 않으며, 상기 홈과 대응하지 않는 단위 접촉부는 상기 광고판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광고판의 상기 홈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조명부로부터 표시되는 컬러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광고 표시 장치는 상기 메인 바디 내에 상기 광고판의 후방에 설치되는 도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 내에 상기 광고판의 삽입은 슬라이딩 탈착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고 표시 장치는 상기 메인 바디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포스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내에 상기 광고판을 관찰하는 관찰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포스트부는 상기 센서부와 연동되어 상기 관찰자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좌우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광고 조명 컬러에 다채로운 변화를 주어 광고 이미지와 조화되는 조명 컬러를 표시하여 광고 기획의도에 맞게 광고 효과를 증대시키고, 광고판을 갈아 끼우는 방법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관찰자를 향한 광고판의 움직임으로 더욱 소비자의 주의를 끌 뿐만 아니라, 관찰자의 시선에 보다 오래 광고 화면을 노출시킴으로써 광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표시 장치의 메인 바디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표시 장치의 메인 바디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표시 장치의 광고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표시 장치의 광고판과 접촉부의 컨택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표시 장치의 조명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표시 장치의 포스트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표시 장치의 지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표시 장치의 지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표시 장치의 제반 작동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광고 표시 장치의 재질은 금속, 플라스틱, 폴리머 등과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고 표시 장치는 메인 바디(100), 포스트부(200), 및 지지부(3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 바디(100)는 광고 표시 장치의 기본 몸체의 역할을 수행하며, 메인 바디(100) 내에는 후술하는 광고판(110), 조명부(120), 접촉부(130), 및 도광판(160)이 설치될 수 있다.
포스트부(200)는 메인 바디(100)와 지지부(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세한 포스트부(200)의 구성은 이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지지부(300)는 메인 바디(100)와 포스트부(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세한 지지부(300)의 구성은 이하에서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표시 장치의 메인 바디(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표시 장치의 메인 바디(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바디(100)는 광고판(110), 조명부(120), 접촉부(130), 제1 커버(140), 제2 커버(150) 및 도광판(1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표시 장치의 광고판(1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광고판(110)은 광고 이미지가 표시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플라스틱, 폴리머, 유리, 종이 등과 같이 광고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광고판(110)의 하단부의 소정의 위치에는 홈(11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광고판의 홈(111)은 후술하는 접촉부(130)의 단위 접촉부(131)와의 대응하여 광고판(110)과 접촉부(130)의 컨택 구조를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광고판(110)에서 홈(111)이 형성되는 위치는 접촉부(130)에 형성된 단위 접촉부(131)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위 접촉부(131)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표시 장치의 조명부(1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조명부(120)는 전력을 공급 받아 조명 컬러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조명부(120)는 복수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121)를 포함할 수 있고, LED(121)는 조명부(120)의 내측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조명부(120)는 도 10에 도시된 제어부(420)에 연결되어 조명 컬러 변화(410)에 대한 제어를 받을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접촉부(130)는 광고판(110)과 컨택 구조를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촉부(130)의 단위 접촉부(131)는 광고판의 홈(111)과 대응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접촉부(130)에는 광고주가 지정한 조명 컬러(410) 수만큼의 단위 접촉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단위 접촉부(131)는 도 10에 도시된 제어부(420)와 연결되어 광고판(110)과 접촉부(130)간의 접촉 구조에 따라 조명부(120)에 표시되는 조명 컬러가 변화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 단위 접촉부(131)에는 광고판(110)과의 접촉 여부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나 스위치와 같은 센싱 수단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센싱 수단은 소정의 기계적인 접촉을 센싱하여 그 결과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제어부(420)에 전달할 수 있는 장치이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지의 센싱 수단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표시 장치의 광고판(110)과 접촉부(130)의 컨택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광고판(110)은 메인 바디(100)에 삽입될 때, 접촉부(130)와 컨택될 수 있다.
이때, 홈(111)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단위 접촉부(131)는 광고판(110)과 접촉하지 않으며, 홈(111)의 위치와 대응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단위 접촉부(131)는 광고판(110)과 접촉하는 컨택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고판(110)과 접촉부(130)의 컨택 구조로부터, 홈(111)과 대응하는 단위 접촉부(131)에 연결된 센싱 수단에 의한 센싱 결과에 따라 미리 지정된 조명 컬러가 조명부(120)에 나타날 수 있다.
광고판(110)과 접촉부(130)의 컨택 구조 변화에 따른 광고 표시 장치의 조명 컬러의 변화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바디(100)는 전면 커버에 대응하는 제1 커버(140)와 후면 커버에 대응하는 제2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140)와 제2 커버(150)의 결착으로 메인 바디(100)의 외형이 완성되어, 제1 커버(140)와 제2 커버(150)는 메인 바디(100) 내부에 포함되는 각종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메인 바디(100)는 도광판(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160)은 광고판(110)의 후방에 설치되어 조명부(120)로부터 발산되는 조명 컬러가 메인 바디(100) 내에서 고르게 분산시켜 주는 역할 수행하며, 특히 조명부(120)의 조명 컬러가 광고판(110)의 광고 이미지에 고르게 반영되도록 한다.
한편, 광고판(110)은 메인 바디(100) 상단에 형성된 삽입홈(미도시)을 통하여 슬라이딩 탈착 방식으로 메인 바디(100) 내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부(120)는 제1 커버(140)와 제2 커버(150)가 결착되었을 때 제1 커버(140)와 제2 커버(150)의 양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부(130)는 제2 커버(15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표시 장치의 포스트부(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포스트부(200)의 상단부는 메인 바디(100)의 하단부 또는 메인 바디(100)의 제2 커버(150)의 후면부에 연결될 수 있다.
포스트부(200)의 하단부는 지지부(300)의 상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포스트부(200) 내에는 샤프트, 리니어 가이드 등과 같은 직선 운동이 가능한 이동 수단(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포스트부(200)의 상기 이동 수단은 지지부(300)에 구비된 도 9에 도시된 모터 드라이브(320) 및 모터(321)와 연동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표시 장치의 지지부(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표시 장치의 지지부(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고하면, 지지부(300) 내에는 모터 드라이브(320), 모터(321), 및 센서부(330)가 설치되고, 지지부(300)는 센서 커버(310), 지지부 상판(340), 및 지지부 하판(3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 커버(310)는 센서부(330)의 전 면에 구비되어 센서부(330)를 보호함과 동시에 관찰자의 움직임에 따른 전파를 통과시켜 센서부(33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센서부(330)는 좌측면, 정면, 우측면에 위치하는 세 종류의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부(330)는 광고 표시 장치의 관찰자(소비자)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센싱 결과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제어부(420)로 전송할 수 있다.
모터 드라이브(320)는 모터(321)의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기어나 벨트 등일 수 있다. 지지부(300)의 모터(321)의 구동력은 모터 드라이브(320)와 포스트부(200) 내에 설치된 상기 이동 수단을 통하여 포스트부(200)에 전달되어 포스트부(200)가 상하 이동,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관찰자의 움직임에 따른 광고 표시 장치의 광고판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표시 장치의 제반 작동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광고 표시 장치는 조명부(120)의 조명 컬러 제어 및 포스트부(2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부(420)와, 전력 공급을 위한 전원 플러그(430)와 전원 스위치(440)를 구비할 수 있다.
전원 플러그(430)를 플러그에 꽂은 후 전원 스위치(440)를 온(on) 상태로 유지하면 광고 표시 장치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때, 전력은 메인 바디(100), 포스트부(200) 및 지지부(300)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에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부(420)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메인 바디(110)의 조명부(120)와 접촉부(130), 지지부(300)의 모터 드라이브(320), 전원 플러그(430), 전원 스위치(440)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접촉부(130)는 광고판(110)의 홀(111)과 단위 접촉부(131)의 컨택 구조를 센싱한 결과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42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접촉부(130)에서 전송된 신호를 해석하여 조명 컬러(410)를 지정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조명 컬러(410)의 지정 신호를 조명부(120)로 전송하여 해당 조명 컬러(410)가 조명부(120)로부터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광고판(110)의 홈(111)이 1번 단위 접촉부(13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광고판(110)과 1번 단위 접촉부가 접촉하지 않고 광고판(110)과 2, 3, 4, 5 및 6번 단위 접촉부(131)는 접촉하는 경우, 접촉부(130)에서 제어부(420)에 상기 컨택 구조를 센싱한 결과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면 제어부(420)는 조명 컬러(410)를 Dimming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420)가 조명부(120) 혹은 조명부(120)에 포함된 복수개의 LED(121)에 Dimming 컬러에 해당하는 신호를 전송하면 조명부(120)의 조명 컬러는 Dimming이 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광고판(110)의 홈(111)이 2번 단위 접촉부(13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광고판(110)과 2번 단위 접촉부가 접촉하지 않고 광고판(110)과 1, 3, 4, 5 및 6번 단위 접촉부(131)는 접촉하는 경우, 접촉부(130)에서 제어부(420)에 상기 컨택 구조를 센싱한 결과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면 제어부(420)는 조명 컬러(410)를 Red로 지정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420)가 조명부(120) 혹은 조명부(120)에 포함된 복수개의 LED(121)에 Red 컬러에 해당하는 신호를 전송하면 조명부(120)의 조명 컬러는 Red가 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광고판(110)의 홈(111)이 3번 단위 접촉부(13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광고판(110)과 3번 단위 접촉부가 접촉하지 않고 광고판(110)과 1, 2, 4, 5 및 6번 단위 접촉부(131)는 접촉하는 경우, 접촉부(130)에서 제어부(420)에 상기 컨택 구조를 센싱한 결과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면 제어부(420)는 조명 컬러(410)를 Pink로 지정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420)가 조명부(120) 혹은 조명부(120)에 포함된 복수개의 LED(121)에 Pink 컬러에 해당하는 신호를 전송하면 조명부(120)의 조명 컬러는 Pink가 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광고판(110)의 홈(111)이 4번 단위 접촉부(13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광고판(110)과 4번 단위 접촉부가 접촉하지 않고 광고판(110)과 1, 2, 3, 5 및 6번 단위 접촉부(131)는 접촉하는 경우, 접촉부(130)에서 제어부(420)에 상기 컨택 구조를 센싱한 결과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면 제어부(420)는 조명 컬러(410)를 White로 지정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420)가 조명부(120) 혹은 조명부(120)에 포함된 복수개의 LED(121)에 White컬러에 해당하는 신호를 전송하면 조명부(120)의 조명 컬러는 White가 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광고판(110)의 홈(111)이 5번 단위 접촉부(13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광고판(110)과 5번 단위 접촉부가 접촉하지 않고 광고판(110)과 1, 2, 3, 4 및 6번 단위 접촉부(131)는 접촉하는 경우, 접촉부(130)에서 제어부(420)에 상기 컨택 구조를 센싱한 결과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면 제어부(420)는 조명 컬러(410)를 Blue로 지정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420)가 조명부(120) 혹은 조명부(120)에 포함된 복수개의 LED(121)에 Blue컬러에 해당하는 신호를 전송하면 조명부(120)의 조명 컬러는 Blue가 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광고판(110)의 홈(111)이 6번 단위 접촉부(13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광고판(110)과 6번 단위 접촉부가 접촉하지 않고 광고판(110)과 1, 2, 3, 4 및 5번 단위 접촉부(131)는 접촉하는 경우, 접촉부(130)에서 제어부(420)에 상기 컨택 구조를 센싱한 결과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면 제어부(420)는 조명 컬러(410)를 Green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420)가 조명부(120) 혹은 조명부(120)에 포함된 복수개의 LED(121)에 Green 컬러에 해당하는 신호를 전송하면 조명부(120)의 조명 컬러는 Green이 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광고판(110)과 접촉부(130)의 컨택 구조에 따라 대응되는 조명 컬러는 광고주가 광고 기획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센서부(330)는 광고 표시 장치의 관찰자의 움직임을 센싱한 결과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4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센서부(330)에서 전송된 신호를 해석하여 모터 드라이브(320)의 구동을 지정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모터 드라이브(320)의 구동 신호를 모터 드라이브(320)로 전송하여 이에 연동된 포스트부(200)가 상하 이동, 좌우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광고판 관찰자가 광고 표시 장치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센서부(330)에서 제어부(420)에 광고판 관찰자의 움직임을 센싱한 결과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면 제어부(420)는 모터 드라이브(320)의 구동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420)가 모터 드라이브(320)에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구동에 해당하는 신호를 전송하면 포스트부(200)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회전할 수 있어 광고판(110)은 관찰자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광고 조명 컬러에 다채로운 변화를 주어 광고 이미지와 조화되는 조명 컬러를 표시하여 광고 기획의도에 맞게 광고 효과를 증대시키고, 관찰자를 향한 광고판의 움직임으로 더욱 소비자의 주의를 끌 뿐만 아니라, 관찰자의 시선에 보다 오래 광고 화면을 노출시킴으로써 광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고안과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메인 바디
110: 광고판
111: 홈
120: 조명부
121: LED
130: 접촉부
131: 단위 접촉부
140: 제1 커버
150: 제2 커버
160: 도광판
200: 포스트부
300: 지지부
310: 센서 커버
320: 모터 드라이브
321: 모터
330: 센서부
340: 지지부 상판
350: 지지부 하판
410: 조명 컬러
420: 제어부(컨트롤러)
430: 전원 플러그
440: 전원 스위치

Claims (14)

  1.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에 삽입되는 광고판;
    상기 메인 바디와 연결되는 조명부; 및
    상기 메인 바디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바디에 상기 광고판이 삽입되어 고정될 때 상기 광고판과 접촉하는 접촉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판과 상기 접촉부 사이의 컨택 구조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조명부로부터 표시되는 컬러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광고판의 전면에 대응하는 제1 커버와, 상기 광고판의 후면에 대응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판의 하단에는 소정의 위치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복수개의 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표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1 및 제2 커버의 양 측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표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커버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표시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복수개의 단위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홈과 상기 복수개의 단위 접촉부 중 어느 하나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에 상기 광고판이 삽입되어 고정될 때, 상기 홈과 대응하는 단위 접촉부는 상기 광고판과 접촉하지 않으며, 상기 홈과 대응하지 않는 단위 접촉부는 상기 광고판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판의 상기 홈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조명부로부터 표시되는 컬러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 내에 상기 광고판의 후방에 설치되는 도광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 내에 상기 광고판의 삽입은 슬라이딩 탈착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포스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내에 상기 광고판을 관찰하는 관찰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부는 상기 센서부와 연동되어 상기 관찰자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좌우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표시 장치.
KR2020110001080U 2011-02-09 2011-02-09 광고 표시 장치 KR2004601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080U KR200460134Y1 (ko) 2011-02-09 2011-02-09 광고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080U KR200460134Y1 (ko) 2011-02-09 2011-02-09 광고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134Y1 true KR200460134Y1 (ko) 2012-05-08

Family

ID=46607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080U KR200460134Y1 (ko) 2011-02-09 2011-02-09 광고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13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057B1 (ko) 2012-07-12 2014-08-21 (주)동경티앤씨 광고판 및 광고판의 제어 방법
KR101567275B1 (ko) 2015-04-03 2015-11-06 유현자 안내용 전광판
KR20190021044A (ko) * 2017-08-22 2019-03-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담배 광고 표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253Y1 (ko) 2002-06-27 2002-09-16 주식회사 컴시너지 회전 광고판
KR100839345B1 (ko) 2008-01-22 2008-06-17 노영철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한 회동 전광판
KR20080003624U (ko) * 2007-02-26 2008-08-29 김민선 인체감지센서에 의한 움직이는 광고용 에어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253Y1 (ko) 2002-06-27 2002-09-16 주식회사 컴시너지 회전 광고판
KR20080003624U (ko) * 2007-02-26 2008-08-29 김민선 인체감지센서에 의한 움직이는 광고용 에어탑
KR100839345B1 (ko) 2008-01-22 2008-06-17 노영철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한 회동 전광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057B1 (ko) 2012-07-12 2014-08-21 (주)동경티앤씨 광고판 및 광고판의 제어 방법
KR101567275B1 (ko) 2015-04-03 2015-11-06 유현자 안내용 전광판
KR20190021044A (ko) * 2017-08-22 2019-03-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담배 광고 표시장치
KR101955341B1 (ko) * 2017-08-22 2019-03-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담배 광고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66646A (zh) 可调节的发光式彩票招牌
KR200460134Y1 (ko) 광고 표시 장치
JP2005332253A (ja) 広告ユニット
JP4415511B2 (ja) 自動販売機
JP2013137602A (ja) スイッチ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自動販売機
JPH08146894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00112025A (ko) 점광원을 이용한 면광원 발생장치
KR20180052576A (ko) 투명 oled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광고매체
WO2010026389A1 (en) Advertising display and method
EP3096408A1 (en) Device for the multiconnection of interchangeable light panels in vending machines
KR200453114Y1 (ko) 실내용 모니터형 담배 광고판
KR200381778Y1 (ko) 진열장의 보드
JP2007079637A (ja) 自動販売機用照明装置
KR101428494B1 (ko) 자체 발광하는 상품가격표시판
JP2001283310A (ja) 自動販売機
KR101017706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광고장치
KR200185224Y1 (ko) 표시판의 조명 장치
KR20170130045A (ko) 턴 테이블식 3d 영상 조명 장치
KR20160150436A (ko) 회전형 입체조명기구
KR200475365Y1 (ko) 착탈가능한 광고판을 구비한 진열장 어셈블리
KR20090007197U (ko) 부동산 매물정보 표시장치
KR20170133731A (ko) 다양한 색상 배경을 갖는 광고패널
JP2015150274A (ja) 表示装置、遊技機
JP5666950B2 (ja) 見本体の照明装置およびその照明装置を備えた自動販売機
KR200398897Y1 (ko) 자석을 이용한 조명등 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