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275B1 - 안내용 전광판 - Google Patents

안내용 전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275B1
KR101567275B1 KR1020150047440A KR20150047440A KR101567275B1 KR 101567275 B1 KR101567275 B1 KR 101567275B1 KR 1020150047440 A KR1020150047440 A KR 1020150047440A KR 20150047440 A KR20150047440 A KR 20150047440A KR 101567275 B1 KR101567275 B1 KR 101567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edestal
present
coupled
rot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자
Original Assignee
유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자 filed Critical 유현자
Priority to KR1020150047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secured to rotating members, e.g. drums, spind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내용 전광판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전원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본체가 받침대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동화상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LED모듈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표시부와, 전광판의 LED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되, 상기 본체는 수직방향으로 직립한 회전축에 의해 받침대의 상면에 체결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기존 멀티비젼의 화면구성과는 반대로 특정한 장소에 상관없이 조립형식으로 제품의 설치가 용이하며 천장, 벽 등의 굴곡이 있는 장소와 같은 곳에도 설치가 가능하여 건축 디자인분야, 광고 홍보 분야, digital art 분야까지 접목 가능하며 저전력으로 국가 과제인 전력손실 개선 부분에서도 전반적인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CB Module 형으로 설계하고, 저 전압, 저전력, 파손, 감전, 화재, 위험이 적다는데 장점이 있으며 module조립을 통한 Full screen 제작 설계를 도입함으로서 설치가 용이하며 불량 화소 발생 시 개별 module만 교체해 주는 작업으로 A/S또한 용이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내용 전광판{Guidance display board}
본 발명은 안내용 전광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멀티비젼의 화면구성보다 파손, 감전, 화재위험이 적은 안내용 전광판에 관한 것이다.
국내 국외 전력난을 해소 하고자 LED 조명 및 PCB시장의 발달과 함께 Full color LED의 실현에 발 맞추어 환경오염의 주범인 일반 광고판 및 고 전력의 기존 Display 제품을 대체하기 위함이며, 실내용과 옥외용 LED 전광판을 생산하여 보급함으로서 친환경, 저전력, 저비용으로 고효율의 광고 홍보 효과를 볼 수 있다.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42288호의 모듈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봉 형상을 가지고, 일측에 안착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바;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발광 수단; 상기 디스플레이 바의 일단에 고정 결합되는 메인 고정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바의 타단에 고정 결합되는 서브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바는 상기 메인 고정부, 및 상기 서브 고정부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디스플레이 장치라고 기재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56954호의 엘이디 광고 장치에 의하면, 판형상을 가지고, 한 쌍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프레임; 엘이디 소자가 실장되는 기판이 삽입되고, 상기 엘이디 소자로부터 표출되는 엘이디 광이 발광면을 통하여 외부로 표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발광면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하며, 양측에 한 쌍의 체결부가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엘이디 모듈; 및 상기 케이스의 일부를 관통하는 전원선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발광면이 상기 프레임을 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공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엘이디 광이 표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 대칭으로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향하여 소정 높이로 돌출하고, 상기 체결부의 단부에는 각각 단턱진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체결공 사이의 최대 수직 거리는 한 쌍의 상기 걸림부 사이의 최대 수직 거리보다 작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체결공으로 삽입될 때 상기 체결부는 상기 걸림부와 상기 체결공에 의해 휘어지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체결공을 완전히 관통하면 상기 체결부의 휘어짐이 해제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프레임에 의해 걸림으로써 상기 엘이디 모듈이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고, 상기 엘이디 모듈이 복수로 구성되어 이웃하는 상기 엘이디 모듈은 상기 전원선에 의해 연결되는 엘이디 광고 장치라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하기 위한 물품의 비용이 비싸므로 제작하는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기존 멀티비젼의 화면구성과는 반대로 특정한 장소에 상관없이 조립형식으로 제품의 설치가 용이하며 천장, 벽 등의 굴곡이 있는 장소에도 설치가 가능하여 건축 디자인분야, 광고 홍보 분야, digital art 분야까지 접목 가능하며 저전력으로 국가 과제인 전력손실 개선 부분에서도 전반적인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CB Module 형으로 설계하여 제작함으로서, 파손, 감전, 화재, 위험이 적다는데 장점이 있으며 module조립을 통한 Full screen 설계 및 제작을 도입함으로서 설치가 용이하며 불량 화소 발생 시 개별 module만 교체해 주는 작업으로 A/S또한 용이한 안내용 전관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안내용 전광판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전원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본체가 받침대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동화상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LED모듈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표시부와, 전광판의 LED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되, 상기 본체는 수직방향으로 직립한 회전축에 의해 받침대의 상면에 체결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멀티비젼의 화면구성과는 반대로 특정한 장비없이 조립형식으로 제품의 설치가 용이하며, 천장, 벽 등의 굴곡이 있는 장소에도 설치가 가능하여 건축 디자인분야, 광고 홍보 분야, digital art 분야까지 접목 가능하며 저전력으로 국가 과제인 전력손실 개선 부분에서도 전반적인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PCB Module 형으로 설계하여 제작함으로서, 파손, 감전, 화재, 위험이 적다는데 장점이 있으며 module조립을 통한 Full screen 설계 및 제작을 도입함으로서 설치가 용이하며 불량 화소 발생 시 개별 module만 교체해 주는 작업으로 A/S또한 용이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 안내용 전광판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 안내용 전광판의 본체가 측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 안내용 전광판의 받침대와 회전축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개요도.
도4는 본 발명 안내용 전광판의 회전축과 본체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개요도.
도5는 본 발명 안내용 전광판의 받침대에 삽입된 회전축이 상하로 수직이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요도.
도6은 본 발명 안내용 전광판에 설치된 기어박스의 상세 단면도.
도7은 본 발명 안내용 전광판의 회전축 개요도.
도8은 본 발명 안내용 전관판의 하부회전축에 결합된 상부회전축이 힌지회동되는 상태의 개요도.
도9는 본 발명 안내용 전광판의 본체가 측방향으로 힌지회동된 상태의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 측방향으로 힌지회동된 본체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도록 본체지지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 안내용 전광판의 받침대에 연장지지대가 설치된 실시례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 안내용 전광판의 받침대에 실시례로 설치된 연장지지대가 사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 안내용 전광판의 회전부재가 수방향으로 회전하는 실시례 사시도.
도14는 본 발명 안내용 전광판의 본체가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실시례 사시도.
본 발명은 안내용 전광판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전원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본체가 받침대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동화상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LED모듈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표시부와, 전광판의 LED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되, 상기 본체는 수직방향으로 직립한 회전축에 의해 받침대의 상면에 체결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은 받침대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것으로, 상기 회전축은 상부회전축과 하부회전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회전축의 하단과 하부회전축의 상단이 체결핀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있어, 상부회전축과 하부회전축의 결합위치를 받침대의 구멍 상부로 돌출시키면 상부회전축은 절첩됨으로써, 상기 본체는 하부로 회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본체가 하부로 회동 시 본체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도록 일단이 본체에 힌지결합된 본체지지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 안내용 전광판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 안내용 전광판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 안내용 전광판의 본체가 측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 안내용 전광판의 받침대와 회전축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개요도, 도4는 본 발명 안내용 전광판의 회전축과 본체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개요도, 도5는 본 발명 안내용 전광판의 받침대에 삽입된 회전축이 상하로 수직이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요도, 도6은 본 발명 안내용 전광판에 설치된 기어박스의 상세 단면도, 도7은 본 발명 안내용 전광판의 회전축 개요도, 도8은 본 발명 안내용 전관판의 하부회전축에 결합된 상부회전축이 힌지회동되는 상태의 개요도, 도9는 본 발명 안내용 전광판의 본체가 측방향으로 힌지회동된 상태의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 측방향으로 힌지회동된 본체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도록 본체지지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 안내용 전광판의 받침대에 연장지지대가 설치된 실시례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 안내용 전광판의 받침대에 실시례로 설치된 연장지지대가 사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 안내용 전광판의 회전부재가 수방향으로 회전하는 실시례 사시도, 도14는 본 발명 안내용 전광판의 본체가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실시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전원장치를 포함하는 본체(100)가 받침대(200)의 상면에 체결되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동화상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LED모듈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표시부(110)와, 전광판의 LED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되, 상기 본체는 수직의 회전축에 의해 받침대의 상면에 체결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열기를 배출하기 위해 쿨링팬이 설치되고, 본체의 배면에는 다수 개의 타공(120)이 형성되어 통풍이 잘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는 본체가 결합되어 회전되되, 상기 본체 전면의 표시부는 출력장치로서,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으로부터 전송된 동화상을 보여줄 수 있다.
상기 표시부에 설치된 LED모듈은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동화상을 보여주는 표시부에서 발생하는 열기는 쿨링팬에 의해 본체의 배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타공을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동화상을 출력하는 표시부에 설치된 LED모듈과, 상기 표시부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배출하는 쿨링팬은 전광판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동화상을 보여주는 표시부가 결합된 본체는 회전축(300)에 의해 받침대에 체결되며, 상기 회전축은 받침대에 결합되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은 상하 수직방향으로도 직선이동이 가능하다.
즉, 도3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는 상하로 관통된 구멍(210)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에는 회전축이 삽입된다.
상기 받침대의 구멍에 삽입된 회전축은 구멍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스토퍼(340)가 설치되되, 상기 스토퍼는 구멍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의 내부에는 베벨기어(341)가 설치되고, 상기 베벨기어의 중심은 회전축의 저면 중심에 일체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의 일측에는 기어박스(350)가 스토퍼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체결되고,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피니언기어(352)는 스토퍼 내부에 설치된 베벨기어와 기어물림된다.
상기 피니언기어는 기어박스 내부에 설치된 모터(351)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베벨기어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도5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니언 기어는 모터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베벨기어로 전달하고, 상기 베벨기어는 회전축의 저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베벨기어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축도 베벨기어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에는 일측면이 길이방향으로 개구되며, 수평단면이‘C’형상인 가이드부(220)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받침대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으로 삽입되어 상하로 직선이동하는 회전축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는 기어박스가 상하로 직선이동될 때 수직방향으로 흔들림 없이 이동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300)은 받침대(20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210)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것으로, 상기 회전축(300)은 상부회전축(320)과 하부회전축(31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회전축(320)의 하단과 하부회전축(310)의 상단이 체결핀(330)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있어 상부회전축(320)과 하부회전축(310)의 결합위치를 받침대(200)의 구멍(210) 상부로 돌출시키면 상부회전축(320)은 절첩됨으로써, 상기 본체(100)는 하부로 회동할 수 있다.
즉,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은 상부회전축(320)과 하부회전축(31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회전축의 상면에는 삽입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단에 상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체결돌기(312)가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체결돌기에는 동일한 수평선 상에 위치하도록 관통된 관통홈(312a)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회전축의 하면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21)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돌기의 측면에는 상기 체결돌기의 관통홈 형성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관통된 수직의 장홈(321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홈에 삽입되어 삽입돌기의 장홈과 한 쌍의 체결돌기의 관통홈을 수평선상으로 관통하는 체결핀(330)에 의해 체결되어 상부회전축은 하부회전축에 결합된 채 상하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상부회전축이 하부회전축에 삽입된 채 상승시켜 상기 장홈에 체결된 체결핀이 장홈의 하부에 위치하면 체결핀이 힌지역할을 함으로써 상부회전축을 측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회전축에 삽입되어 체결된 상부회전축을 상부로 들어올리면, 상기 장홈의 상부에 위치하던 체결핀이 상부회전축이 상부로 직선이동됨에 따라 장홈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회전축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있던 상부회전축의 삽입돌기가 삽입홈에서 탈거되고, 상기 상부회전축은 하부회전축과 체결핀에 의해 힌지결합됨으로써 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회전축에 결합된 본체도 회전축의 결합구조상 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본체지지대(130)가 결합되고, 상기 본체지지대는 본체가 측방향으로 회전되면 본체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해 측방향으로 힌지회동된다.
즉, 상기 본체지지대의 일단은 지면에 지지되고 그 타단은 본체의 측면에 결합되어 본체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안내용 전광판의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받침대의 일측면에는 측방향으로 회전된 본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연장지지대(500)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와 연장지지대는 서로 마주보는 면이 스프링(600)으로 체결된다.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는 스위치(2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는 스위치가 상부로 돌출되어 설치된다.
상기 받침대 내부에는 스위치 저면에 일단이 체결되는 걸림돌기(240)가 설치되며, 걸림돌기의 타단은 받침대의 측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연장지지대의 체결부재(510)와 체결된다.
상기 받침대의 측면에는 홀이 형성되어 연장지지대의 체결부재가 받침대의 측면을 관통하며 연장돌기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는 받침대의 내부에서 스위치의 상하 직선왕복운동에 의해 움직이는 작동부(241)와, 상기 작동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연장지지대의 체결부재에 체결되는 걸림부(242)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돌기의 중심부에는 힌지축(243)이 형성되며 받침대의 내부에 체결되어 힌지회동된다.
또한, 상기 연장지지대의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걸림돌기의 상면에는 스프링(600)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가 측방향으로 회전되면 받침대의 상면에 설치된 스위치를 하부방향으로 누르게 되고, 상기 본체에 의해서 눌러진 스위치는 걸림돌기의 작동부를 하부방향으로 누르게 된다.
상기 걸림돌기의 작동부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받침대의 내부에서 힌지결합된 걸림돌기의 걸림부는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일단이 걸림부의 상부에 체결되는 스프링은 타단이 받침대의 내부 상면에 체결되어 압축되고, 상기 연장지지대의 체결부재에 체결되어 있는 걸림부는 해제된다.
이때, 상기 연장지지대와 받침대는 서로 마주보는 면이 압축된 스프링으로 체결되어 연장지지대의 체결부재와 받침대의 걸림부가 해제되는 것에 의해 받침대로부터 연장지지대는 측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상기 연장지지대는 받침대로부터 일정간격 이동되어 측방향으로 회전하는 본체를 지지하게 된다.
반대로, 측방향으로 회전된 본체를 상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받침대의 상면에서 본체에 의해 눌러진 스위치는 상부로 이동된다.
상기 스위치에 의해 눌러진 작동부는 걸림부에 설치되어 압축된 스프링이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상부로 이동된다.
이때, 연장지지대를 받침대 측면으로 이동시켜 연장지지대와 받침대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을 압축시키고, 연장지지대의 체결부재를 받침대의 홀에 삽입시켜 걸림부에 체결시킴으로서 연장지지대는 받침대의 측면에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 안내용 전광판의 또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회전부재(400)와, 상기 회전부재를 지지하는 받침대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부재는 받침대의 내부에 설치된 수평회전모터(41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수평회전모터는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 형성된 구멍에 수평회전모터의 구동축이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회전부재의 저면에 결합된다.
이에, 수평회전모터의 구동축이 회전되면 상기 회전부재는 수평회전모터의 구동축과 함께 회전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의 전면에 지지되는 본체를 수직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부재의 배면에는 수직회전모터(41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에는 수직회전모터의 구동축이 관통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을 통해 수직회전모터의 구동축이 삽입되어 본체의 배면에 결합된다.
이에, 수직회전모터의 구동축이 회전되면 상기 본체는 수직회전모터의 구동축과 함께 회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멀티비젼의 화면구성과는 반대로 특정한 장소에 상관없이 조립형식으로 제품의 설치가 용이하며 천장, 벽 등의 굴곡이 있는 장소와 같은 곳에도 설치가 가능하여 건축 디자인분야, 광고 홍보 분야, digital art 분야까지 접목 가능하며 저전력으로 국가 과제인 전력손실 개선 부분에서도 전반적인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CB Module 형으로 설계하고, 저 전압, 저전력, 파손, 감전, 화재, 위험이 적다는데 장점이 있으며 module조립을 통한 Full screen 제작 설계를 도입 함으로서 설치가 용이하며 불량 화소 발생 시 개별 module만 교체해 주는 작업으로 A/S또한 용이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 본체
110 : 표시부 120 : 타공 130 : 본체지지대
200 : 받침대
210 : 구멍 220 : 가이드부 230 : 스위치
240 : 걸림돌기 241 : 작동부 242 : 걸림부
243 : 힌지축
300 : 회전축
310 : 하부회전축 311 : 삽입홈 312 : 체결돌기
312a : 관통홈 320 : 상부회전축 321 : 삽입돌기
321a : 장홈 330 : 체결핀 340 : 스토퍼
341 : 베벨기어 350 : 기어박스 351 : 모터
352 : 피니언기어
400 : 회전부재 411 : 수평회전모터 412 : 수직회전모터
500 : 연장지지대 510 : 체결부재
600 : 스프링

Claims (3)

  1. 내부에 전원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본체(100)가 받침대(200)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동화상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LED모듈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표시부(110)와, 전광판의 LED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되, 상기 본체(100)는 수직방향으로 직립한 회전축(300)에 의해 받침대(200)의 상면에 체결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안내용 전광판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00)은 받침대(20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210)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것으로, 상부회전축(320)과 하부회전축(31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회전축(320)의 하단과 하부회전축(310)의 상단이 체결핀(330)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있어, 상부회전축(320)과 하부회전축(310)의 결합위치를 받침대(200)의 구멍(210) 상부로 돌출시키면 상부회전축(320)은 절첩됨으로써, 상기 본체(100)는 하부로 회동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안내용 전광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는 본체(100)가 하부로 회동 시 본체(10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도록 일단이 본체(100)에 힌지결합된 본체지지대(130)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안내용 전광판.


KR1020150047440A 2015-04-03 2015-04-03 안내용 전광판 KR101567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440A KR101567275B1 (ko) 2015-04-03 2015-04-03 안내용 전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440A KR101567275B1 (ko) 2015-04-03 2015-04-03 안내용 전광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275B1 true KR101567275B1 (ko) 2015-11-06

Family

ID=54601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440A KR101567275B1 (ko) 2015-04-03 2015-04-03 안내용 전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2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891Y1 (ko) 2000-06-29 2000-12-01 복기건 회전식 입체간판
KR200460134Y1 (ko) 2011-02-09 2012-05-08 (주) 이래 광고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891Y1 (ko) 2000-06-29 2000-12-01 복기건 회전식 입체간판
KR200460134Y1 (ko) 2011-02-09 2012-05-08 (주) 이래 광고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9059B1 (ko) Led전광판
EP3499486B1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KR101712620B1 (ko)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01599B1 (ko) 전원 분산 구조의 슬림형 엘이디 전광판
KR102136650B1 (ko) 방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23293A (ko) 레이저투광기를 이용한 광고장치
KR100940919B1 (ko) 엘이디 표시장치
KR101283012B1 (ko) Led전광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15118B1 (ko) 모듈식 엘이디 디스플레이 블록
KR101724830B1 (ko) Led 전광판
KR101567275B1 (ko) 안내용 전광판
KR101069387B1 (ko) 전광판용 엘이디모듈의 착탈구조
KR2019010373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32469B1 (ko) 블라인드를 이용한 전광판 시스템
KR200406425Y1 (ko) 멀티비전용 엘이디 표시장치
KR101648403B1 (ko) 옥외용 조립식 엘이디 발광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120024041A (ko) 양면 전광판 프레임
KR100819899B1 (ko) 엘이디 전광판의 차양 이동구조
KR20180011391A (ko) 모듈형 플렉시블 led 전광판
KR101641127B1 (ko) 무인 안내 시스템
KR100601830B1 (ko) 고 휘도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간판
KR20040006247A (ko) 트라이비젼
JP2008281662A (ja) 大画面表示パネルおよびそれに用いるパネルユニット
KR100654850B1 (ko) 멀티비전용 엘이디 표시장치
KR100595983B1 (ko) 엘이디 투시 전광판 및 투시 엘이디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