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126Y1 - 다용도 탈수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탈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126Y1
KR200460126Y1 KR2020090008749U KR20090008749U KR200460126Y1 KR 200460126 Y1 KR200460126 Y1 KR 200460126Y1 KR 2020090008749 U KR2020090008749 U KR 2020090008749U KR 20090008749 U KR20090008749 U KR 20090008749U KR 200460126 Y1 KR200460126 Y1 KR 2004601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rtion
lid
coupled
pressing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7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366U (ko
Inventor
이은숙
김종길
Original Assignee
이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숙 filed Critical 이은숙
Priority to KR20200900087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12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03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3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1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1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05Hand devices for straining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40Pulse curds
    • A23L11/45Soy bean curds, e.g. tofu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탈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수분을 포함하는 음식재료로부터 압착방식으로 수분을 제거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다용도 탈수기에 있어서, 바닥통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측벽부를 갖는 상향개구의 탈수통과; 상기 탈수통의 상향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탈수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두께방향을 따라 승강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과; 상기 승강안내공을 통해 상기 뚜껑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가압봉과; 둘레면이 상기 측벽부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가압봉의 하단에 결합된 압착판과; 상기 압착판과 상기 뚜껑사이에 개재된 초기압착탄성체와; 상기 가압봉의 상단에 결합된 가압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보다 적은 힘으로 압착판을 초기 가압할 수 있다.
탈수, 압착, 음식, 가압봉, 수분

Description

다용도 탈수기{Multi-purpose Dehydrating Apparatus}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탈수기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탈수기의 요부분해사시도,
도3 및 도4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를 탈수통에 결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5 및 도6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탈수기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7은 종래의 탈수기의 단면도,
도8은 종래의 탈수기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 탈수통 11 : 바닥면부
12 : 측벽부 13 : 고정기둥
20 : 파지부 21 : 연결바
30 : 작동캡 41, 141 : 뚜껑
42, 142 : 가압봉 45 : 가압노브
50, 150 : 압착판 51 : 압착판바디부
52 : 지지기둥 53 : 지지리브
145 : 핸들
본 고안은 다용도 탈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을 포함하는 음식재료로부터 압착방식으로 수분을 제거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두부제조(콩으로부터 얻은 두유와 응고제의 혼합물로부터 수분을 제거), 미역 등 해초류의 반찬조리, 한약제조, 식혜제조 등과 같이 수분을 포함하는 음식재료로부터 압착방식으로 수분을 제거하는 공정이 필요한 바, 이를 위해 탈수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7은 종래의 탈수기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탈수기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개구의 탈수통(110)과, 탈수통(110)의 상향개구를 밀폐하도록 탈수통(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뚜껑(141)과, 뚜껑(141)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가압봉(142)과, 가압봉(142)의 하단에 결합된 압착판(150)과, 가압봉(142)의 상단에 결합된 핸들(145)을 갖고 있다.
탈수통(110)은 바닥면에 바닥통수공(110a)이 형성되어 있다.
뚜껑(141)은 중앙영역에 봉통과공(141a)이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다.
압착판(150)은 압착판바디부(151)와, 압착판바디부(151)의 일면에 기립 형성 된 봉결합기둥(152)을 갖고 있다.
봉결합기둥(152)은 상면으로부터 봉결합홈(152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봉결합홈(152a)의 내표면에는 암나사부(152b)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봉(142)은 외표면에 수나사부(142a)가 형성되어 있고, 수나사부(142a)가 탈수통(110)의 내부에서 암나사부(152b)에 맞물리도록 봉통과공(141a)을 통해 뚜껑(141)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탈수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압착판(150)은 가압봉(142)에 결합되어 있고 가압봉(142)은 뚜껑(141)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음식재료를 천으로 싸서 탈수통(110)의 바닥면에 놓는다.
다음에 가압봉(142)이 결합된 뚜껑(141)을 탈수통(110)에 결합한다.
다음에 가압봉(142)이 압착판(150)을 가압하도록 핸들(145)을 회전 조작한다.
압착판(150)이 가압되면 음식재료가 압착되면서 수분이 바닥통수공(110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탈수기는 2001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64683호(고안의 명칭 : 주방용 탈수기)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탈수기에 따르면, 압착판(150)에 암나사부(152b)가 형성되어 있어 암나사부(152b)와 수나사부(142a)사이의 접촉길이구간이 증가하고(접촉길이구간이 압착판의 하강길이구간보다 커짐) 이에 따라 마찰력이 커지기 때문에 압착 판(150)을 가압하는 데 힘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나사부(142a)와 암나사부(152b)가 상호 작용하는 위치가 핸들(145)로부터 멀기 때문에 압착판(150)을 가압하는 데 힘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다 적은 힘으로 압착판을 초기 가압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탈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수분을 포함하는 음식재료로부터 압착방식으로 수분을 제거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다용도 탈수기에 있어서, 바닥통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측벽부를 갖는 상향개구의 탈수통과; 상기 탈수통의 상향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탈수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두께방향을 따라 승강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과; 상기 승강안내공을 통해 상기 뚜껑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가압봉과; 둘레면이 상기 측벽부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가압봉의 하단에 결합된 압착판과; 상기 압착판과 상기 뚜껑사이에 개재된 초기압착탄성체와; 상기 가압봉의 상단에 결합된 가압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탈수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음식재료에 대한 압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압착판과 상기 뚜껑사이에 개재된 보조압착스프링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분의 배출경로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측벽부에는 측벽통수공 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착판에는 압착판통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탈수통에 대한 뚜껑의 결합동작을 용이하게 하고 그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탈수통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유(U)자형의 연결바와 캡바닥부와 상기 캡바닥부로부터 기립 형성된 내벽부와 상기 내벽부와 협조하여 원형의 안내요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캡바닥부로부터 기립 형성된 외벽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외벽부를 통해 상기 연결바의 양단에 하나씩 결합된 한 쌍의 작동캡을 가지고, 상기 안내요홈이 상기 측벽부의 외표면을 향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바의 이동경로가 상기 가압노브를 벗어나도록 상기 작동캡을 통해 상기 측벽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뚜껑에는 상기 안내요홈에 진입되도록 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뚜껑을 탈수통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벽부에는 상기 뚜껑을 상기 탈수통에 결합할 때 상기 안내돌기가 상기 안내요홈에 진입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통과홈이 절취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탈수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탈수기의 요부분해사시도이며, 도3 및 도4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를 탈수통에 결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탈수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개구의 탈수통(10)과, 탈수통(10)의 상향개구를 밀폐하도록 탈수통(10)에 결합 된 뚜껑(41)과, 탈수통(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부(20)와, 뚜껑(41)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가압봉(42)과, 가압봉(42)의 하단에 결합된 압착판(50)과, 압착판(50)과 뚜껑(41)사이에서 가압봉(42)에 장착된 초기압착스프링(43) 및 보조압착스프링(44)과, 상기 가압봉(42)의 상단에 결합된 가압노브(45)를 갖고 있다.
탈수통(10)은 장방형상의 바닥면부(11)와, 바닥면부(11)의 둘레연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측벽부(12)와, 측벽부(12)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형성된 한 쌍의 고정기둥(13)을 갖고 있다.
바닥면부(11)에는 바닥통수공(11a)이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12)에는 측벽통수공(12a)이 형성되어 있다.
각 고정기둥(13)은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반원단면의 기둥편(13a)으로 구성되어 있다.
뚜껑(41)은 두께방향을 따라 승강안내공(41a)이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스프링지지홈(41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뚜껑(41)에는 한 쌍의 안내돌기(41b)가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상호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파지부(20)는 유(U)자형의 연결바(21)와, 연결바(21)의 양단에 하나씩 결합된 한 쌍의 작동캡(30)을 갖고 있다.
각 작동캡(30)은 캡바닥부(31)와, 캡바닥부(31)로부터 기립 형성된 내벽부(32) 및 외벽부(33)와, 캡바닥부(31)에 결합된 고정버튼(34)을 갖고 있다.
캡바닥부(31)는 배면에 원형단면의 버튼안착홈(31a)이 형성되어 있다.
내벽부(32)에는 버튼안착홈(31a)에 연통하도록 전 길이구간에 걸쳐 기둥삽입공(32a)이 형성되어 있다.
외벽부(33)는 내벽부(32)와 협조하여 원형의 안내요홈(33b)을 형성하도록 캡바닥부(31)로부터 기립 형성된다.
그리고 외벽부(33)는 일 영역에 안내요홈(33b)에 진입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통과홈(33a)이 절취 형성되어 있다.
고정버튼(34)은 대략 원판형태의 버튼바디부(34a)와, 버튼바디부(34a)의 일 표면 중앙영역에 기립 형성된 고정핀(34b)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각 작동캡(30)은 외벽부(33)를 통해 연결바(21)에 결합된다(외벽부와 연결바가 일체로 형성됨).
전술한 구성을 갖는 뚜껑(41)과 파지부(20)를 탈수통(10)에 결합하는 방법을 도3 및 도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안내요홈(33b)이 측벽부(12)의 외표면을 향한 상태에서 고정기둥(13)이 기둥삽입공(32a)에 진입하도록 한 쌍의 작동캡(30)을 측벽부(12)를 향해 가압한다.
다음에 기둥삽입공(32a)에 진입한 고정기둥(13)의 기둥편(13a)사이로 고정핀(34b)이 진입하도록 고정버튼(34)을 버튼안착홈(31a)에 장착한다. 고정핀(34b)이 기둥편(13a)사이로 진입할 때 고정기둥(13)은 기둥삽입공(32a)에 밀착되고 이에 따라 파지부(20)는 연결바(21)의 이동경로가 가압노브(45)를 벗어나도록 작동캡(30)을 통해 측벽부(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다음에 통과홈(33a)이 상측을 향하도록 파지부(20)를 회동시킨 상태에서 안 내돌기(41b)가 안내요홈(33b)에 진입하도록 뚜껑(41)을 탈수통(10)에 접근시킨다.
다음에 안내돌기(41b)가 통과홈(33a)을 벗어나도록 파지부(20)를 회동시킨다.
가압봉(42)은 상단 외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고정홈(42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고정홈(42a)은 내표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봉(42)은 하단 인접영역 외표면에 링홈(42b)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링홈(42b)에는 이링(E-Ring, 46)이 장착되어 있다.
압착판(50)에는 압착판통수공(51a)이 형성되어 있는 압착판바디부(51)와, 압착판바디부(51)의 상면 중앙영역에 기립 형성된 지지기둥(52)과, 압착판바디부(51)의 상면에 지지기둥(52)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된 지지리브(53)를 갖고 있다.
지지기둥(52)은 전 길이구간에 걸쳐 봉통과공(5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압착판(50)은 봉통과공(52a)을 통과한 가압봉(42)의 고정홈(42a)에 와셔(54)를 개재한 상태로 나사(55)를 조임으로써, 가압봉(42)에 결합된다. 압착판(50)이 가압봉(42)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링(46)은 지지기둥(52)의 상면에 접촉된다.
그리고 압착판(50)은 둘레면이 측벽부(12)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탈수통(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초기압착스프링(43)은 양단이 스프링지지홈(41c)과 지지리브(53)에 접촉되도 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초기압착스프링(43)은 수축상태 또는 비수축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보조압착스프링(44)은 이링(46)과 뚜껑(41)사이에서 가압봉(42)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보조압착스프링(44)은 수축상태 또는 비수축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가압노브(45)는 가압봉(42)의 나사산을 통해 가압봉(42)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탈수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압노브(45)와 압착판(50)은 가압봉(42)에 결합되어 있고, 가압봉(42)은 뚜껑(41)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음식재료를 천으로 싸서 바닥면부(11)에 놓는다(도5 참조).
다음에 압착판(50)이 음식재료에 접촉하도록 뚜껑(41)을 탈수통(10)에 결합한다. 뚜껑(41)이 탈수통(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초기압착스프링(43)은 수축되고 가압봉(42)은 뚜껑(41)의 상면을 넘어 돌출된다. 그리고 음식재료의 양이 많은 경우 보조압착스프링(44)도 수축된다.
초기압착스프링(43)이 수축되면 음식재료가 압착되면서 수분이 바닥통수공(11a), 측벽통수공(12a) 및 압착판통수공(51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보조압착스프링(44)이 수축되면 음식재료가 더욱 더 압착되고 수분배출량이 증가한다.
다음에 가압노브(45)를 하방향으로 가압한다(도6 참조).
가압노브(45)가 가압되면 음식재료가 압착되면서 수분이 바닥통수공(11a), 측벽통수공(12a) 및 압착판통수공(51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초기압착스프링(43)과 보조압착스프링(44)은 신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초기압착스프링(43)에 의해 음식재료가 가압된 상태에서 가압노브(45)를 조작하여 추가의 가압력을 압착판(50)에 전달함으로써, 보다 적은 힘으로 압착판(50)을 초기 가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압착판(50)과 뚜껑(41)사이에 보조압착스프링(44)을 추가함으로써, 가압노브(45)를 조작하기 전 음식재료에 대한 압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측벽부(12)에 측벽통수공(12a)을 형성하고 압착판(50)에 압착판통수공(51a)을 형성함으로써, 수분의 배출경로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회동조작을 통해 뚜껑(41)을 탈수통(10)에 고정하는 구조를 갖는 파지부(20)를 추가함으로써, 탈수통(10)에 대한 뚜껑의 결합동작을 용이하게 하고 그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탈수통(10)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벽부(33)에 통과홈(33a)을 형성함으로써, 뚜껑(41)을 탈수통(1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초기압착스프링에 의해 음식재료가 가압된 상태에서 가압노브를 조작하여 추가의 가압력을 압착판에 전달함으로써, 보다 적은 힘으로 압착판을 초기 가압할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바닥통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측벽부를 갖는 상향개구의 탈수통과 상기 탈수통의 상향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탈수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두께방향을 따라 승강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을 가지고, 수분을 포함하는 음식재료로부터 압착방식으로 수분을 제거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다용도 탈수기에 있어서,
    상기 승강안내공을 통해 상기 뚜껑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가압봉과, 둘레면이 상기 측벽부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가압봉의 하단에 결합된 압착판과, 상기 압착판과 상기 뚜껑사이에 개재된 초기압착탄성체와, 상기 가압봉의 상단에 결합된 가압노브와, 유(U)자형의 연결바와 캡바닥부와 상기 캡바닥부로부터 기립 형성된 내벽부와 상기 내벽부와 협조하여 원형의 안내요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캡바닥부로부터 기립 형성된 외벽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외벽부를 통해 상기 연결바의 양단에 하나씩 결합된 한 쌍의 작동캡을 가지고 상기 안내요홈이 상기 측벽부의 외표면을 향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바의 이동경로가 상기 가압노브를 벗어나도록 상기 작동캡을 통해 상기 측벽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에는 상기 안내요홈에 진입되도록 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탈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에는 상기 뚜껑을 상기 탈수통에 결합할 때 상기 안내돌기가 상기 안내요홈에 진입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통과홈이 절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탈수기.
KR2020090008749U 2009-07-07 2009-07-07 다용도 탈수기 KR2004601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749U KR200460126Y1 (ko) 2009-07-07 2009-07-07 다용도 탈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749U KR200460126Y1 (ko) 2009-07-07 2009-07-07 다용도 탈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366U KR20110000366U (ko) 2011-01-13
KR200460126Y1 true KR200460126Y1 (ko) 2012-05-04

Family

ID=44205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749U KR200460126Y1 (ko) 2009-07-07 2009-07-07 다용도 탈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12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3077B (zh) * 2014-07-02 2016-03-02 中国人民解放军总后勤部军需装备研究所 一种多功能炊事锅
CN106490949B (zh) * 2016-09-13 2018-11-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原汁机用的压榨机构以及原汁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088B1 (ko) * 2007-11-06 2008-03-17 (주)신우티피에스 음식물쓰레기 수분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088B1 (ko) * 2007-11-06 2008-03-17 (주)신우티피에스 음식물쓰레기 수분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366U (ko)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126Y1 (ko) 다용도 탈수기
TWM494147U (zh) 具有垃圾壓縮機構的垃圾桶蓋以及包含該垃圾桶蓋的垃圾桶
KR200460125Y1 (ko) 다용도 탈수기
KR20090073430A (ko) 음식물의 수분 제거기
RU2389427C2 (ru) Швабра
WO2015039317A1 (zh) 一种奶粉盒和一种冲奶装置
CN104299829B (zh) 无声键盘开关
CN206336594U (zh) 容器及其可旋转锁泵
CN201067263Y (zh) 泡茶器
US8141749B2 (en) Foam soap dispenser control valve
CN201727259U (zh) 泡茶杯
CN210870885U (zh) 一种保温杯
CN109423840A (zh) 一种洗涤添加剂盒及洗衣机
CN209107060U (zh) 一种热水瓶的改进开启结构
KR200422719Y1 (ko) 쓰레기 압착기
CN206941244U (zh) 一种湿衣物拧干压缩器
CN206729752U (zh) 防烫水龙头及饮水机
CN214905693U (zh) 一种带过滤网的按键式保温壶开关
KR101433557B1 (ko) 음식폐기물 압축기
KR200153729Y1 (ko) 압착식 탈수 구조를 구비한 대걸레
KR200179811Y1 (ko) 국수제조 겸용 양념재료 압착기
CN216907686U (zh) 一种可拆卸清洗内塞
KR20070110762A (ko) 쓰레기 압착기
CN214631761U (zh) 一种双级排气结构的真空壶
CN220588067U (zh) 水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