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123Y1 - Water passage device - Google Patents

Water passag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123Y1
KR200460123Y1 KR2020090015749U KR20090015749U KR200460123Y1 KR 200460123 Y1 KR200460123 Y1 KR 200460123Y1 KR 2020090015749 U KR2020090015749 U KR 2020090015749U KR 20090015749 U KR20090015749 U KR 20090015749U KR 200460123 Y1 KR200460123 Y1 KR 2004601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port
bridge
vessel
wi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74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5784U (en
Inventor
조병호
Original Assignee
조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호 filed Critical 조병호
Priority to KR20200900157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123Y1/en
Publication of KR201100057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78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1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12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4Navigable canals
    • E02B5/06Operating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CSHIP-LIFTING DEVICES OR MECHANISMS
    • E02C1/00Locks or dry-docks; Shaft locks, i.e. locks of which one front side is formed by a solid wall with an opening in the lower part through which the ships pass

Abstract

현재 국내의 한강 및 4대 강에는 많은 교량이 놓여 있는데 몇몇의 교량은 다리사이의 간격이 좁아서 선박이 원활하게 이동을 할 수 없음으로 새로운 다리를 건설하거나 보수 작업을 하여야 한다.

그럴 경우 공사에 따른 비용 뿐 아니라 새로 신설 할 동안 교통 문제 등 이슈에 대하여 본 고안의 장치를 문제의 교량에 설치 할 경우, 교량의 새로운 건설은 물론 보수 공사도 필요없는 즉 자연의 환경에 큰 파괴가 없고 건설비가 아주 적게 들면서 유지 관리가 쉽고 비용도 적게 드는 고안의 " 수중 통과 장치" 관한 것으로 선박(10)이 떠 있는 상태로 선박(10)의 동력으로 선박 운반구(31)를 밀면서 교량(50)의 다리(51) 사이를 통과하지만 선박 운반구(31) 하부에는 선박(10)의 진행 방향으로 콘크리트 블록(21)이 깔려 있고 그 콘크리트 블록(21) 위에는 레일(22)이 있어 그 위로 움직이는 로울러 바퀴 장치(25)는 선박 운반구(31) 하부에 장착 되어 있어 이동을 원활하게 방법과 선박 운반구(31)가 교량 (50)을 지났을 때 선수 가이드 개폐 장치(33)가 선수 가이드(32)를 열어주어 선박(10)이 선박 운반구(31)를 빠져 나가게 하는 수중 운반구 장치(30)와 선박(10)이 선박 운반구(31)에 자항으로 들어가기 어려울 경우에 윈치(41)와 계선 로울러(43)를 사용하여 선박(10)을 끌어 땅겨 입거 후, 선수가이드(32)를 밀면서 앞으로 이동을 할 때 윈치(41)를 풀림으로 하여 와이어 로퍼(WIRE ROPE)(42)를 풀어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선박(10)이 선박 운반구(31)를 빠져 나간 이후는 초기 출발 위치의 콘크리트 블록(21)과 연결된 와이어 로퍼(42)를 윈치(41)로 감아서 다시 초기 출발 위치로 선박 운반구(31)를 돌아가게 하는 운반구 계류 장치(40)로 구성 된 것이다.

Figure R2020090015749

운반구 , 윈치

Currently, there are many bridges in the Han and four rivers in Korea. Some bridges have a narrow gap between bridges, so ships cannot move smoothly.

In such a case, i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bridge in question on the issues such as traffic problems during the new construction as well as the cost of the construction, there is no need for new construction of the bridge and repair work. It is about the "underwater passing device" of the design which is easy to maintain and inexpensive,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very low, and the bridge (50) while pushing the ship port 31 by the power of the ship 10 with the ship 10 floating. The roller wheels pass between the legs 51, but the concrete block 21 is laid under the ship carrier 31 in the direction of the ship 10, and the rails 22 are located on the concrete block 21 to move above the roller wheels. The device 25 is mounted under the ship port 31 so that the movement and the ship guide 31 open the bow guide 32 when the ship port 31 passes the bridge 50. The winch 41 and the mooring roller 43 in the case where it is difficult for the ship 10 to enter the ship port 31 by the submersible device 30 for causing the ship 10 to exit the ship port 31. After dragging the ship 10 by using it, the winch 41 is released when moving forward while pushing the bow guide 32 to release the wire rope (WIRE ROPE) 42 so that the ship can be moved ( 10) after exiting the ship carrier 31 wound the wire loafers 42 connected to the concrete block 21 of the initial starting position with a winch 41 to return the ship carrier 31 to the initial starting position again. The carriage mooring device 40 is to be configured.

Figure R2020090015749

Haul, winch

Description

수중 통과 장치{omitted}Underwater passing device {omitted}

현재 기존의 교량에 즉 바다와 강에 설치된 교량의 다리를 쉽게 통과 할 수 있게 하는 장치 혹은 기술A device or technology that makes it easy to pass through existing bridges, ie bridges installed in seas and rivers

수중에서 장애물을 쉽게 통과케 하는 이동 기술Movement technology to easily pass obstacles underwater

1) 현재 4대강의 교량의 경우 교량의 다리 간격이 좁아서 선박 통과가 어려운 다리에 선박이 쉽게 통과 할 수 있게 하는 장치가 필요로 함.1) Currently, the bridges of the four major rivers need a device that allows the ship to pass easily on bridges that are difficult to pass due to the narrow bridge spacing.

2) 투자비가 적게 들고, 편리하고 유지 관리비가 적게 드는 장치가 필요로 함2) Requires low cost investment, convenient and low maintenance costs

1) 선박(10)이 떠 있는 상태로 선박(10)의 동력으로 선박 운반구(31)를 밀면서 교량(50)의 다리(51) 사이를 통과하지만 선박 운반구(31) 하부에는 선박(10)의 진행 방향으로 콘크리트 블록(21)이 깔려 있고 그 콘크리트 블록(21) 위에는 레일(22)이 있어 그 위로 움직이는 로울러 바퀴 장치(25)는 선박 운반구(31) 하부에 장 착 되어 있어 이동을 원활하게 방법1) While the ship 10 is in a floating state while passing through the bridge 51 of the bridge 50 while pushing the ship carrier 31 by the power of the ship 10, the ship 10 of the vessel 1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hip 10 The concrete block 21 is laid in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roller wheel device 25 moving above the rail 22 is mounted on the concrete block 21 so as to move smoothly because it is mounted below the vessel port 31.

2) 선박 운반구(31)가 교량 (50)을 지났을 때 선수 가이드 개폐 장치(33)가 선수 가이드(32)를 열어주어 선박(10)이 선박 운반구(31)를 빠져 나가게 하는 수중 운반구 장치(30)2) Underwater transport apparatus 30, when the ship carrier 31 passes the bridge 50, the bow gu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33 opens the bow guide 32 so that the ship 10 exits the ship port 31. )

1) 본 고안에 따른 수중 통과 장치에 의하면, 기존 교량의 다리 간격이 좁은 곳에 운행하는 선박이 안전하고, 빠르고, 쉽고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 According to the underwater pass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hip running in a narrow bridge gap of the existing bridge can be moved safely, fast, easy and convenient.

2) 또한, 기존의 교량을 없애고 새로 건설하거나 혹은 보수를 할 필요가 없이 본 고안에 따른 수중 통과 장치를 설치하면 문제점이 해결됨으로 투자비가 매우 적고, 유지 관리비도 적게 드는 이점이 있다. 2)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of the underwater pass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the need to remove existing bridges and construct new ones or repair them has the advantage that the investment cost is very low and the maintenance cost is low because the problem is solved.

상기 목적과 기술과제를 감안하여 개발함에 따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을 하며는 다음과 같다.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object and technical proble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도1][도2][도3]와 같이 현 기존의 교량(50)의 교량의 다리(51) 간격이 좁아서 선박(10)을 원활하게 통과를 시킬 수 없는 곳에 설치되는 경우 교량의 새로운 건설은 물론이고 보수 공사도 필요 없는 그리고 자연 환경에 큰 문제가 없고, 건설비가 아주 적게 들면서 유지 관리 및 보수비도 적게 드는 효율적이고 뛰어난 수중 통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박(10)의 교량(50) 통과를 안내하는 선박 운반구(31)를 이동시키는 운반구 이동장치(20), 수중 운반구 장치(30) 및 운반구 계류 장치(40)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the bridge (10) of the current bridges of the existing bridges 50, such as the [Fig. 1] [Fi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fficient and excellent underwater passage system that requires not only new construction of bridges, but also no repair work, and no major problems i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very low construction costs and low maintenance and repair costs. 50) is composed of a port moving device 20 for moving a ship port 31 for guiding passage, an underwater port device 30 and a port mooring device 40.

본 고안의 수중 통과 장치는, [도1][도2][도3]같이 강의 바닥에 선박(10)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콘크리트 블록(21)을 바닥에 파묻히게 설치하여 즉 홍수 등 큰 물난리에도 이상이 없이 유지되게 설치하고 그 위에는 레일(22)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위로 움직이는 로울러 바퀴장치(25)가 있고 로울러 바퀴장치(25) 내부에는 레일(22)의 상부로 움직이는 상부 로울러(23)와 측면으로 움직이는 측면 로울러(24)가 있어 이동을 원활하게 할 뿐 아니라 쏠림과 이탈을 최대한 방지하여 주고, 로울러 바퀴장치(25) 앞에는 공기 노즐(미도시)이 있는데 레일(22) 위로 움직일 때 공기를 불어서 레일(22)의 윗부분과 양 옆을 청소를 하여 로울러 바퀴장치(25)가 레일(22)을 타고 움직일 때 지꺼기 끼임을 방지하여 주고 로울러 바퀴장치(25)의 상부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 스프링(26)이 있어 로울러 바퀴장치(25)와 선박 운반구(31) 사이에 전달되는 충격도 흡수하게 하는 운반구 이동 장치(20)와;In the underwater pass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block 21 is buried in the bottom of the riv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hip 10 proceeds to the bottom of the river as shown in Fig. Even if it is installed to be maintained without any abnormality and the rail 22 is installed on it, there is a roller wheel device 25 moving above, and the upper roller (23) moving to the top of the rail 22 inside the roller wheel device (25) ) And the side roller (24) to move to the side to facilitate the movement as well as to prevent the fall and departure as much as possible, in front of the roller wheel device (25) there is an air nozzle (not shown) when moving over the rail (22) By blowing air to clean the upper and sides of the rail (22) to prevent jamming when the roller wheel device (25) moves on the rail 22 and to absorb the impac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ller wheel device (25) Shock absorber soup 26. The transportation equipment's mobile device 20, which will absorb shock transmitted between the roller wheel device 25 and the ship and transportation equipment 31, and;

[도2][도3][도4]같이, 상기 선박의 교량 통과를 안내하는 선박 운반구(31)와, 선박(10)이 선박 운반구(31) 안에 떠 있는 상태로 들어가 앞 쪽으로 나아가면 측면 가이드(34)에 의해서 선박(10)의 흔들림을 줄이면서 잡아주는데, 이 상태에서 선박(10)의 자항으로 선수가이드(32)를 밀면서 앞으로 나아가 선박 운반구(31)가 교량(50)을 지났을 때 선수가이드 개폐 장치(33)가 선수가이드(32)를 열어주어 선박(10)이 선박 운반구(31)를 빠져 나가게 하는 수중 운반구 장치(30)와;[Fig. 2] [Fig. 3] and [Fig. 4], the ship carrier 31 for guiding the passage of the bridge of the ship, and the ship 10 in the state floating in the ship carrier 31 enter the front side The guide 34 is held while reducing the shaking of the ship 10, in this state, while pushing the bow guide 32 to the self-navigation of the ship 10 to go forward when the ship carrier 31 passes the bridge 50 The underwater guide device 30 which opens and closes the bow gu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33 so that the ship 10 exits the ship carrying port 31;

[도4][도5]와 같이 선박(10)이 선박 운반구(31)에 자항으로 들어가기 어려울 경우에 윈치(41)와 계선 로울러(43)를 사용하여 선박(10)을 끌어 당겨 입거 후, 선수가이드(32)를 밀면서 앞으로 이동을 할 때 윈치(41)를 풀림으로 하여 와이어 로퍼(WIRE ROPE)(42)를 풀어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선박(10)이 선박 운반구(31)를 빠져 나간 이후는 초기 출발 위치의 콘크리트 블록(21)과 연결된 와이어 로퍼(42)를 윈치(41)로 감아서 다시 초기 출발 위치로 선박 운반구(31)를 돌아가게 하는 운반구 계류 장치(40)로 구성된다. [Fig. 4] After pulling the ship 10 by using the winch 41 and the mooring roller 43 when the ship 10 is difficult to enter the ship port 31 into the port of self, as shown in Fig. 5, When moving forward while pushing the bow guide 32, the winch 41 is released to release the wire roper 42 to allow the movement and after the ship 10 exits the ship port 31, Is composed of a carriage mooring device 40 for winding the wire loafers 42 connected to the concrete block 21 at the initial starting position with the winch 41 and returning the ship carriage 31 back to the initial starting position.

삭제delete

또한, 선박 운반구(31)는 전체의 2/3 가 물속에 잠겨 있으며, 통과 할 교량(50)의 다리(51) 기준으로 최소 200m 전방에 설치하여 선박(10)이 선박 운반구(31)로 쉽게 들어갈 수 있게 유도한다. 선박(10)이 선박 운반구(31)안에 떠 있는 상태로 들어가 앞 쪽으로 나아갈 때 선수 및 좌우의 부딪힘에 따른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박 운반구(31) 측면에 고무 펜더(rubber fender)(35)가 설치되어 있으며, 특히 선박(10)이 밀고 가는 선수가이드(21)는 게이트의 모양의 구조이지만 물의 유속에 따른 저항을 적게 받도록 오픈 구조물로 만들어 진다. In addition, the ship port 31 is 2/3 of the entire submerged in the water, installed at least 200m in front of the bridge 51 of the bridge 50 to pass through the vessel 10 is easy to the ship port 31 Induce it to enter. A rubber fender 35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hip port 31 to prevent the impact of the collision between the bow and the left and right when the ship 10 enters the ship port 31 and moves forward. In particular, the bow guide 21, which the ship 10 pushes, is made of an open structure so as to receive less resistance due to the flow rate of the water, but in the shape of a gate.

그리고 측면 가이드 (34)와 윈치(41)와 계선 로울러(43)와 선수 가이드 개폐 장치(33)는 수면 상부에 장착된다.And the side guide 34, the winch 41, the mooring roller 43 and the bow gu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33 is mounted on the water surface.

[도 1 ] 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도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 은 본 고안의 평면도 측면도2 is a plan view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 은 본 고안의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 [도 5 ]은 본 고안의 상세도4 is a detailed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in drawing>

[도1][도2] [도3][Figure 1] [Figure 2] [Figure 3]

(10) : 선박10: ship

(20) : 운반구 이동 장치20: carrier moving device

(21) : 콘크리트 블록21: concrete block

(22) : 레일(RAIL)(22): rail

(23) : 상부 로울러23: upper roller

(24) : 측면 로울러24: side roller

(25) : 로울러 바퀴 장치25: roller wheel device

(26) : 스프링 (SPRING)(26): Spring (SPRING)

(27) : 공기 노즐27: air nozzle

(30) : 수중 운반구 장치30: underwater conveying device

(31) : 선박 운반구31: ship carrier

(32) : 선수 가이드32: Player Guide

(33) : 선수 가이드 개폐 장치33: player guide switchgear

(34) : 측면 가이드34: side guide

(35) : 고무 펜더(RUBBER FENDER)(35): rubber fender (RUBBER FENDER)

(40) : 운반구 계류 장치40: port mooring device

(41) : 윈치(WINCH)(41): winch

(42) : 와이어 로프 (WIRE ROPE)42: wire rope

(43) : 계선 로울러 (MOORING ROLLER)(43): mooring roller

(50) : 교 량50: bridge

(51) : 다 리(51): legs

[도4] [도5][Figure 4] [Figure 5]

(10) : 선박10: ship

(20) : 운반구 이동 장치20: carrier moving device

(22) : 레 일 (RAIL)22.Rail

(30) : 수중 운반구 장치30: underwater conveying device

(31) : 선박 운반구31: ship carrier

(32) : 선수 가이드32: Player Guide

(33) : 선수 가이드 개폐 장치33: player guide switchgear

(34) : 측면 가이드34: side guide

(35) : 고무 펜더(RUBBER FENDER)(35): rubber fender (RUBBER FENDER)

(40) : 운반구 계류 장치40: port mooring device

(41) : 윈치(WINCH)(41): winch

(42) : 와이어 로프 (WIRE ROPE)42: wire rope

(43) : 계선 로울러 (MOORING ROLLER)(43): mooring roller

(50) : 교 량50: bridge

(51) : 다 리(51): legs

Claims (2)

선박(10)의 교량(50) 통과를 안내하는 선박 운반구(31)를 이동시키는 운반구 이동장치(20), 수중 운반구 장치(30) 및 운반구 계류 장치(40)로 구성된 수중 통과 장치에 있어서, In the underwater passage device consisting of a carriage moving device 20, an underwater carriage device 30 and a carriage mooring device 40 for moving the ship carriage 31 for guiding passage of the bridge 50 of the vessel 10, 상기 운반구 이동장치(20)는, The carriage moving device 20, 상기 선박(10)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강의 바닥에 파묻히게 설치된 콘크리트 블록(21); 상기 콘트리트 블록 상에 설치된 레일(22); 및 상기 레일 상을 움직이는 로울러 바퀴장치(25)를 포함하고, 상기 로울러 바퀴장치(25) 내부에는 상기 레일(22)의 상부로 움직이는 상부 로울러(23)와, 상기 레일(22)의 측면으로 움직이는 측면 로울러(24)가 구비되고, 상기 로울러 바퀴장치(25)의 상부에는 충격 흡수 스프링(26)이 구비되어 상기 로울러 바퀴장치(25)와 상기 선박 운반구(31) 사이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A concrete block 21 installed to be buried in the bottom of the riv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essel 10 proceeds; A rail 22 mounted on the concrete block; And a roller wheel device 25 that moves on the rail, and inside the roller wheel device 25, an upper roller 23 moving to an upper portion of the rail 22 and a side of the rail 22. A side roller 24 is provided, and an upper portion of the roller wheel device 25 is provided with a shock absorbing spring 26 to absorb the shock transmitted between the roller wheel device 25 and the vessel carrying device 31. , 상기 수중 운반구 장치(30)는, The underwater transport apparatus 30, 상기 선박의 교량 통과를 안내하는 선박 운반구(31); 상기 선박(10)이 상기 선박 운반구(31) 안에 떠 있는 상태로 들어가 앞 쪽으로 나아갈 때 상기 선박(10)의 흔들림을 줄이면서 잡아주도록 상기 선박 운반구(31)에 설치된 측면 가이드(34); 및 상기 선박(10)이 자항(自航)으로 선수가이드(32)를 밀면서 앞으로 나아가 상기 선박 운반구(31)가 상기 교량(50)을 지나면 상기 선수가이드(32)를 열어주어 상기 선박(10)이 상기 선박 운반구(31)를 빠져 나가도록 하는 선수가이드 개폐 장치(33)를 포함하고, A vessel carrying port 31 for guiding passage of the bridge of the vessel; Side guides (34) installed in the ship port (31) to hold while reducing the shaking of the ship (10) when the ship (10) enters the state floating in the ship port 31 to move forward; And the ship 10 pushes the bow guide 32 to its own port and moves forward to open the bow guide 32 when the ship port 31 passes the bridge 50 to open the ship guide 10. And bow gu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33 for exiting the ship carrying port 31, 상기 운반구 계류 장치(40)는, The carriage mooring device 40, 상기 선박(10)이 상기 선박 운반구(31)에 자항으로 들어가기 어려울 경우 상기 선박(10)을 끌어 당겨 입거하는 윈치(41)와 계선 로울러(43)를 포함하고, 상기 선박(10)이 상기 선수가이드(32)를 밀면서 앞으로 이동을 할 때 상기 윈치(41)를 풀림으로 하여 와이어 로퍼(WIRE ROPE)(42)를 풀어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선박(10)이 상기 선박 운반구(31)를 빠져 나간 이후 상기 와이어 로퍼(42)를 상기 윈치(41)로 감아서 상기 선박 운반구(31)를 초기 출발 위치로 돌아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통과 장치. The ship 10 includes a winch 41 and a mooring roller 43 which pulls in the ship 10 and enters the ship port 31 when it is difficult to enter the ship port 31. The ship 10 includes the bow. When moving forward while pushing the guide 32, the winch 41 is released to loosen the wire roper (WIRE ROPE) 42 so that the movement is possible, and the vessel 10 opens the vessel carrying port 31. And the wire loafer (42) is wound around the winch (41) after exiting to return the vessel port (31) to its initial starting pos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선박 운반구(31)는, 전체 높이의 2/3는 물 속에 잠겨 있고, 통과할 상기 교량(50)의 다리(51) 기준으로 최소 200m 전방에 설치되고, The vessel port 31, 2/3 of the total height is submerged in the water, is installed at least 200m in front of the bridge 51 of the bridge 50 to pass, 상기 수중 운반구 장치(30)는, 상기 선박(10)이 상기 선박 운반구(31) 안에 떠 있는 상태로 들어가 앞 쪽으로 나아갈 때 선수 및 좌우의 부딪힘에 따른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선박 운반구 측면에 설치된 고무 펜더(rubber fender)(35)를 더 포함하고, The underwater conveying device 30, the rubber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hip conveying device in order to prevent the impact of the collision between the bow and left and right when the ship 10 enters the floating state in the ship conveying device 31 to move forward Further includes a fender (rubber fender) 35, 상기 선수가이드(32)는 상기 선박(10)이 밀고 갈 수 있는 게이트의 모양의 구조이면서 물의 유속에 따른 저항을 적게 받는 오픈 구조물로 만들어지고, The bow guide 32 is made of an open structure that is a structure in the form of a gate to which the vessel 10 can push, and receives less resistance according to the flow rate of water, 상기 측면 가이드(34), 상기 윈치(41), 상기 계선 로울러(43) 및 상기 선수 가이드 개폐 장치(33)는 수면 상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통과 장치. The side guide (34), the winch (41), the mooring roller (43) and the foremen gu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33)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unted on the water surface.
KR2020090015749U 2009-12-04 2009-12-04 Water passage device KR20046012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749U KR200460123Y1 (en) 2009-12-04 2009-12-04 Water passag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749U KR200460123Y1 (en) 2009-12-04 2009-12-04 Water passag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784U KR20110005784U (en) 2011-06-10
KR200460123Y1 true KR200460123Y1 (en) 2012-05-16

Family

ID=46607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749U KR200460123Y1 (en) 2009-12-04 2009-12-04 Water passag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123Y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157Y1 (en) * 2001-03-22 2001-10-08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Collision absorbing apparatus for a brid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157Y1 (en) * 2001-03-22 2001-10-08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Collision absorbing apparatus for a b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784U (en)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180B1 (en) guide system for rail type canal
CN102535400A (en) Overwater ship-stopping device
KR100895246B1 (en) Apparatus of course vessel
CN203836379U (en) Device for stopping lifting cable of ship from swinging
DK3116618T3 (en) Water slide with variable water level
KR200460123Y1 (en) Water passage device
CN103981800B (en) A kind of pontoon bridge system and pontoon bridge construction method
CN210391496U (en) Special sinking ship for immersed tube tunnel
KR101016638B1 (en) Lifting device for a small boat
KR101400800B1 (en) Enterance apparatus for land canal system
RU2640051C1 (en) Transport vessel transportation system
US20080038060A1 (en) Mooring Arrangement Provided with Floating Mobile Systems for Moving Booms
CN201459701U (en) Perpendicular ship elevator
KR100516997B1 (en) Auto-driving fish way using mono-rail
KR101426067B1 (en) land canal system
CN201280218Y (en) Anchor system of self-dragging moving liter boat and moving boat
CN209816791U (en) Dam-crossing ship berthing device
CN109914374A (en) The bridge rail ferryboat device in river is crossed in Canal Waterway
CN202244020U (en) Mechanism used for driving ship-lifting hydraulic trolley to move transversally
CN114973771B (en) Active ship collision prevention method for bridge
CN210884399U (en) Hollow iron wharf
KR101454337B1 (en) Mooring apparatus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CN218951991U (en) Pier kuppe water installation platform
JP4036535B2 (en) Boat storage device
RU2725998C1 (en) Submersible ribbon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