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844Y1 - 포링 베이신 턴오버 장치 - Google Patents

포링 베이신 턴오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844Y1
KR200458844Y1 KR2020060031793U KR20060031793U KR200458844Y1 KR 200458844 Y1 KR200458844 Y1 KR 200458844Y1 KR 2020060031793 U KR2020060031793 U KR 2020060031793U KR 20060031793 U KR20060031793 U KR 20060031793U KR 200458844 Y1 KR200458844 Y1 KR 2004588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ing
basin
frame
turning
turn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7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1943U (ko
Inventor
이학희
장종달
하제표
김태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317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844Y1/ko
Publication of KR200800019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9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8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8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5/00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B22C5/10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by dust sepa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3/00Centrifugal casting; Casting by using centrifugal force
    • B22D13/10Accessories for centrifugal casting apparatus, e.g. moulds, linings therefor, means for feeding molten metal, cleansing moulds, removing castings
    • B22D13/108Removing of c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링 베이신 턴오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포링 베이신의 터닝 작업을 자동화하여 크레인의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작업장의 안전도를 높이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포링 베이신 턴오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마주하는 한쌍의 바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포링 베이신이 놓여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닝 프레임; 상기 터닝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터닝 프레임의 좌우 양측과 연결되어 터닝 프레임을 밀거나 당겨 회동시킴으로써 포링 베이신을 터닝 시키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터닝용 실린더; 상기 터닝 프레임에 설치되어 터닝 프레임 상에 놓여진 포링 베이신을 고정하는 클램핑 수단; 및 상기 터닝 프레임에 고정된 포링 베이신의 주입구에 대응하는 위치를 갖도록 터닝 프레임에 설치되며, 포링 베이신의 주입구로 삽입되는 푸시로드가 구비되어 주입구의 탈사작업을 진행하는 파쇄용 실린더;로 구성된 포링 베이신 턴오버 장치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베이스 프레임, 터닝 프레임, 터닝용 실린더, 클램핑 수단, 파쇄용 실린더

Description

포링 베이신 턴오버 장치{Turn over apparatus for pouring basin}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턴오버 장치의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턴오버 장치의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턴오버 장치의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클램핑 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터닝 프레임이 회전되었을 때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베이스 프레임 (111) : 회전축
(120) : 터닝 프레임 (121) : 프레임
(122) : 안전 난간 (123) : 연결축
(130) : 터닝용 실린더 (140) : 클램핑 수단
(141) : 고정용 실린더 (142) : 클램프
(150) : 파쇄용 실린더 (151) : 푸시로드
본 고안은 턴오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조작업에 사용된 포링 베이신의 탈사작업을 위해 포링 베이신의 터닝 작업을 수행하는 포링 베이신 턴오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용 디젤엔진을 구성하는 여러 부품들 중, 실린더 라이너(cylinder liner)는 피스톤이 원활하게 운동을 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피스톤 링과 함께 연소 가스의 기밀을 유지하고 적정량의 유막 형성 및 엔진 작동 중 연소 행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적절히 방열 및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실린더 헤드, 피스톤과 함께 내연기관의 연소실을 구성하는 중요 부품으로, 주로 주조공정을 통해 제작된다.
한편 상기 주조공정은 용해로로부터 공급되는 용탕이 포링 베이신을 통해 주형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주조공정에 사용된 포링 베이신은 탈사 피트로 이동시켜 내부의 모래를 제거하는 작업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은 탈사 작업을 위해서는 크레인을 이용해 포링 베이신을 터닝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햄머를 이용하여 주입구를 비롯한 내부의 탈사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매일 일정수량의 포링 베이신을 탈사작업 하는 현장에서는 탈사작업을 위한 해머 작업시 발생하는 분진에 작업자가 그대로 노출되어 작업자의 심폐기능을 손상시키는 원인이 되며, 또한 잦은 크레인의 사용으로 작업자의 안전확보에 보다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함과 더불어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포링 베이신의 터닝 작업을 자동화하여 크레인의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작업장의 안전도를 높이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포링 베이신 턴오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고안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마주하는 한쌍의 바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포링 베이신이 놓여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닝 프레임;
상기 터닝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터닝 프레임의 좌우 양측과 연결되어 터닝 프레임을 밀거나 당겨 회동시킴으로써 포링 베이신을 터닝시키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터닝용 실린더;
상기 터닝 프레임에 설치되어 터닝 프레임 상에 놓여진 포링 베이신을 고정하는 클램핑 수단;
상기 터닝 프레임에 고정된 포링 베이신의 주입구에 대응하는 위치를 갖도록 터닝 프레임에 설치되며, 포링 베이신의 주입구로 삽입되는 푸시로드가 구비되어 주입구의 탈사작업을 진행하는 파쇄용 실린더;
상기 터닝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포링 베이신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개의 롤러; 및
상기 다수개의 롤러들 중 일부 또는 전부와 연결되어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포링 베이신을 이동시키도록 터닝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모터로 구성된 포링 베이신 턴오버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턴오버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턴오버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턴오버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턴오버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터닝 프레임(120)과, 터닝용 실린더(130)와, 클램핑 수단(140)과, 파쇄용 실린더(150)로 구성된다. 이러한 턴오버 장치는 미도시된 포링 베이신의 주입구 탈사작업을 자동화함과 더불어 포링 베이신의 터닝작업을 크레인에 의존하지 않고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터닝 프레임(12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마주하는 한쌍의 바가 구비된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터닝 프레임(120)은 포링 베이신이 놓여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프레임(121)과 안전 난간(122) 및 연결축(12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21)은 L-형상으로 포링 베이신의 두면과 대면하는 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포링 베이신이 놓여지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전 난간(122)은 프레임(121)의 양측에 형성되어 예기치 못한 원인으로 인해 포링 베이신이 프레임(1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축(123)은 프레임(121)의 양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터닝용 실린더(130)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터닝 프레임(120)은 베이스 프레임(110)과 회전축(111)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가능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터닝용 실린더(130)는 터닝 프레임(12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터닝 프레임(12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10)에 설치되며, 터닝 프레임(120)의 양측으로 돌출된 연결축(123)에 연결되어 터닝 프레임(12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터닝용 실린더(130)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힌지결합되어 터닝 프레임(120)의 회전시 터닝 프레임(120)에 대응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터닝용 실린더(130)는 터닝용 프레임(121)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일측에만 설치되어 터닝용 프레임(121)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터닝용 프레임(121)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1과 같이 터닝용 프레임(121)의 전후방 양측에서 터닝용 프레임(121)의 전방과 후방에 모두 설치된다. 이 경우 터닝 프레임(120)이 회전될 방향의 반대쪽에 위치한 터닝용 실린더(130)가 작동하여 터닝 프레임(120)의 회전축을 밀어내는 것에 의해 터닝 프레임(120)을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터닝 프레임(120)에는 포링 베이신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롤러(124) 및 구동모터(1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러(124)는 다수개가 일정 한 간격을 갖도록 포링 베이신이 놓여지는 터닝 프레임(120) 상에 설치된다. 따라서 터닝 프레임(120) 상에 놓여지는 포링 베이신은 롤러(124)들의 회전에 의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125)는 터닝 프레임(120)에 설치되어 롤러(124)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125)는 다수개의 롤러(124)들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도 3에서는 어느 하나의 롤러가 구동모터(125)와 연결되고, 이 롤러가 나머지 일부 롤러들과 회전축 및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일부 롤러만이 회전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클램핑 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클램핑 수단(140)은 터닝 프레임(120)에 놓여진 포링 베이신을 고정하는 것으로, 고정용 실린더(141)와 클램프(14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용 실린더(141)는 터닝 프레임(120) 상에서 롤러(124)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되, 롤러(124)들에 의해 지지된 포링 베이신의 이동방향과 평행하도록 설치되며, 포링 베이신의 양측을 고정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이 제공된다. 상기 클램프(142)는 고정용 실린더(141)에 설치되어 이동됨과 더불어 포링 베이신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고정홈(142a)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파쇄용 실린더(150)는 포링 베이신의 주입구 탈사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클램핑 수단(140)에 의해 터닝 프레임(120)에 고정된 포링 베이신의 주입구로 삽입되어 주입구의 탈사작업을 수행하는 푸시로드(151)가 구비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턴오버 장치를 이용한 포링 베이신의 탈사작업 진행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의 터닝 프레임이 회전되었을 때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주조작업에 사용된 포링 베이신을 별도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터닝 프레임(120) 상에 놓는다. 이때 터닝 프레임(120)은 다수개의 롤러(124)가 설치된 부분이 수평상태에 있고, 나머지 부분이 수직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터닝 프레임(120) 상에 놓이는 포링 베이신은 다수개의 롤러(124)들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놓이게 된다. 한편 포링 베이신이 놓여진 후, 고정용 실린더(141)가 작동하여 클램프(142)를 잡아당기게 되면, 포링 베이신의 일부분이 클램프(142)의 고정홈(142a)에 걸려져 터닝 프레임(120)의 수직한 부분으로 당겨짐으로써 포링 베이신은 터닝 프레임(120)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터닝 프레임(120) 상에 포링 베이신이 고정되면, 터닝 프레임(120)의 전방에 설치된 터닝용 실린더(130)가 작동하여 터닝 프레임(120)의 양측에 구비된 연결축(123)을 밀어냄으로써 포링 베이신을 터닝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포링 베이신이 탈사작업 위치로 터닝된 상태에서 파쇄용 실린더(150)를 이용해 푸시로드(151)를 작동함으로써 포링 베이신의 주입구 탈사작업을 진행하게 되며, 이후 포링 베이신의 내부는 작업자가 해머로 가격하여 탈사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포링 베이신의 탈사작업이 완료되면, 터닝 프레임(120)의 후방에 설치된 터닝용 실린더(130)가 작동하여 연결축(123)을 밀어냄으 로써 터닝 프레임(120) 및 포링 베이신을 원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후 고정용 실린더(141)는 클램프(142)를 이동시켜 포링 베이신의 고정을 해제하게 되며, 구동모터(125)가 작동하여 포링 베이신을 지지하는 롤러(124)들을 회전시킴으로써 포링 베이신을 다음 처리공정으로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로 이동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포링 베이신의 탈사 작업시 포링 베이신의 턴오버 작업 및 주입구의 탈사작업을 기계화하여 크레인의 사용을 줄이고, 이로 인해 작업시간을 단축시킴과 더불어 작업장의 안전도를 높일 수 있게 되었다.

Claims (4)

  1.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마주하는 한쌍의 바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110);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포링 베이신이 놓여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닝 프레임(120);
    상기 터닝 프레임(120)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설치되며, 터닝 프레임(120)의 좌우 양측과 연결되어 터닝 프레임(120)을 밀거나 당겨 회동시킴으로써 포링 베이신을 터닝시키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터닝용 실린더(130);
    상기 터닝 프레임(120)에 설치되어 터닝 프레임(120) 상에 놓여진 포링 베이신을 고정하는 클램핑 수단(140);
    상기 터닝 프레임(120)에 고정된 포링 베이신의 주입구에 대응하는 위치를 갖도록 터닝 프레임(120)에 설치되며, 포링 베이신의 주입구로 삽입되는 푸시로드(151)가 구비되어 주입구의 탈사작업을 진행하는 파쇄용 실린더(150);
    상기 터닝 프레임(120) 상에 설치되어 포링 베이신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개의 롤러(124); 및
    상기 다수개의 롤러(124)들 중 일부 또는 전부와 연결되어 롤러(124)를 회전시킴으로써 포링 베이신을 이동시키도록 터닝 프레임(120)에 설치된 구동모터(12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링 베이신 턴오버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140)은,
    상기 다수개의 롤러(124)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되, 롤러(124)들에 의해 지지된 포링 베이신의 이동방향과 평행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고정용 실린더(141);
    상기 고정용 실린더(141)에 설치되어 이동하며, 포링 베이신의 일부가 삽입되는 고정홈(142a)이 구비되어 고정용 실린더(141)에 의해 이동하여 포링 베이신을 고정하는 클램프(1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링 베이신 턴오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프레임(120)은,
    L-형상으로 포링 베이신의 두면과 대면하는 두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포링 베이신이 놓여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121);
    상기 프레임(121)의 좌우 양측에서 설치된 안전 난간(122); 및
    상기 프레임(121)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터닝 용 실린더(130)가 연결되는 연결축(12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링 베이신 턴오버 장치.
KR2020060031793U 2006-12-15 2006-12-15 포링 베이신 턴오버 장치 KR2004588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793U KR200458844Y1 (ko) 2006-12-15 2006-12-15 포링 베이신 턴오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793U KR200458844Y1 (ko) 2006-12-15 2006-12-15 포링 베이신 턴오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943U KR20080001943U (ko) 2008-06-19
KR200458844Y1 true KR200458844Y1 (ko) 2012-03-15

Family

ID=41325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793U KR200458844Y1 (ko) 2006-12-15 2006-12-15 포링 베이신 턴오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8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231B1 (ko) 2014-06-05 2015-09-07 권용현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의 터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23257A (zh) * 2010-03-24 2010-09-08 无锡锡南铸造机械有限公司 多功能大型机械手臂
CN112753365A (zh) * 2019-11-06 2021-05-07 广西农业机械研究院有限公司 整杆式甘蔗收割机集蔗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2273A (en) * 1983-10-26 1986-02-25 Naniwa Products Co. Ltd. Blow plate and/or blow nozzle automatic cleaning device
KR200332278Y1 (ko) * 2003-08-19 2003-11-05 주식회사 화인 주물탈사용 햄머링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2273A (en) * 1983-10-26 1986-02-25 Naniwa Products Co. Ltd. Blow plate and/or blow nozzle automatic cleaning device
KR200332278Y1 (ko) * 2003-08-19 2003-11-05 주식회사 화인 주물탈사용 햄머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231B1 (ko) 2014-06-05 2015-09-07 권용현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의 터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943U (ko)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8821B2 (en) Quick submergence molten metal pump
KR200458844Y1 (ko) 포링 베이신 턴오버 장치
ATE409090T1 (de) Mechanischer schälentbarter zum entfernen von sauerstoffschneidbärten und -schneidperlen nach dem thermochemischen querteilen oder längsteilen von stählernen werkstücken wie brammen, blöcken und knüppeln
CN103406512B (zh) 连铸结晶器自动加渣装置
US9086242B2 (en) Slag clearing system and method
CN208554556U (zh) 一种破碎机自动送料导轨
NO170240B (no) Fremgangsmaate for restaurering av en ildfast foring for gjentatt bru
CN205403505U (zh) 扒渣机
JP2018105567A (ja) スラグ除去装置
CN211588337U (zh) 具有气动伸缩机构的钢筋弯曲机
CN108405838A (zh) 一种砂型铸造用浇注机械手
JP2987407B2 (ja) 連続鋳造機のロングノズル自動清掃装置
KR101515433B1 (ko) 생활폐기물 파쇄기 유지보수장치
CN108971473A (zh) 一种通用型浇注包结构
CN205183765U (zh) 一种钢水包转移装置
CN110773916A (zh) 一种自动焊机用夹持移载机构
JP2007061847A (ja) 鋳造設備における金型鋳造装置
JP3028025B2 (ja) タンディッシュ補修用反転機のクランプ装置
KR101028266B1 (ko) 저압주조용 세라믹 스토크의 슬래그 제거장치
CN216299228U (zh) 一种用于钢结构加工的翻转装置
EA201201477A1 (ru) Плавильная печь
CN212526733U (zh) 一种拆辊机的卸料装置
CN205115528U (zh) 吹气赶渣枪枪头夹持装置
CN101564765A (zh) 镶圈类铝活塞毛坯铸造机反倾转随动浇注工艺及其装置
CN220177671U (zh) 一种金属件喷塑加工的除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