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724Y1 - 튜브 연결용 노즐 및 상기 노즐을 포함한 튜브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튜브 연결용 노즐 및 상기 노즐을 포함한 튜브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724Y1
KR200458724Y1 KR2020110005299U KR20110005299U KR200458724Y1 KR 200458724 Y1 KR200458724 Y1 KR 200458724Y1 KR 2020110005299 U KR2020110005299 U KR 2020110005299U KR 20110005299 U KR20110005299 U KR 20110005299U KR 200458724 Y1 KR200458724 Y1 KR 2004587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nozzle
connecting portion
inclined por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완
Original Assignee
(주) 이레머티리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레머티리얼스 filed Critical (주) 이레머티리얼스
Priority to KR2020110005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7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7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7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rrosive chemic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장용기의 용기 입구에 설치되는 튜브 연결용 노즐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원통형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의 외경은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연결부로 갈수록 줄어들며, 상기 연결부의 하단부 내부로 튜브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튜브가 상기 연결부에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연결용 노즐을 제시한다.

Description

튜브 연결용 노즐 및 상기 노즐을 포함한 튜브 어셈블리{Nozzle for Connecting Tube and Tube Assembly Having the Nozzle}
본 고안은 케미컬(화학약품)을 저장하는 저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미컬 저장 용기에 사용되는 튜브 연결용 노즐 및 상기 노즐을 포함한 튜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 LCD패널 등을 제조하는 공정에는 다양한 종류의 케미컬(화학약품)이 공급되고 있다. 이들 케미컬은 통상 별도의 저장 용기에 일정량이 저장되어 반도체 제조설비의 공급 파이프에 결합되고 필요시 마다 공급 파이프를 통해 제조설비에 공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1a는 종래의 케미컬 저장용기 어셈블리(100)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1b는 저장용기 어셈블리(100)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저장용기 어셈블리(100)는 캐니스터(canister:10), 튜브(40), 노즐(50), 라이너(liner:20), 리테이너(13), 클로저(15) 등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캐니스터(10)는 저장용기의 외부 하우징 역할을 하고, 라이너(20)는 케미컬이 직접 담기는 저장백 역할을 한다. 라이너(20)는 주입구인 피트먼트(fitment:21)를 가지며 피트먼트(21)는 후술하는 노즐(50)을 지지한다.
튜브(40)와 노즐(50)의 조립품을 '튜브 어셈블리'라고 하며 '딥튜브'(dip-tube)로 칭하기도 한다. 튜브 어셈블리는 라이너(20) 내부로 삽입되어 케미컬을 상부로 뽑아내는 통로 역할을 하고, 노즐(50)은 튜브(40)의 상단부와 결합하여 튜브 어셈블리를 형성하고 라이너(20)의 피트먼트(21)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리테이너(retainer:13)는 피트먼트(21)를 지지하며 캐니스터(10)의 입구부에 결합된다.
저장용기의 마개 역할을 하는 클로저(closure:15)는 일반적으로 상/하부 세트로 저장용기의 입구부 상부에 장착된다. 케미컬을 저장용기에 충진하고 클로저(15)를 체결하면 각 부분의 모든 기밀이 유지되고 조립이 완료되어 최종 사용자 측으로 이송된다.
그 후 도1b에 도시한 것처럼, 저장용기 내 케미컬의 사용시에는 상부 클로저(15)를 분리하고 디스펜스 커넥터(17)를 체결하여 케미컬을 뽑아낸다. 이 때 디스펜스 커넥터(17)의 프로브(probe)가 노즐(5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노즐(50)은 이 가압력에 의해 라이너의 피트먼트(21)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피트먼트(21)에 의해 지지된다.
도2a는 튜브(40)와 노즐(50)로 이루어진 종래의 튜브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2b는 튜브 어셈블리 중 노즐(50)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2a를 참조하면, 노즐(50)은 본체부(51), 상기 본체부에서 연장되고 직경이 아래로 갈수록 줄어드는 경사부(53), 상기 경사부(53)에서 연장되어 돌출되고 튜브(40)와 결합하는 부분인 연결부(55)로 구성된다. 본체부(51)의 상부에는 O-링(이하에서 '오링'이라고 한다)(61)을 장착하는 오링 홈(57)이 있고, 경사부(53)에는 저장용기 내부에서 가스 발생시 이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벤트 슬롯(59)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노즐은 불소수지인 PFA 재질로 형성된다.
튜브(40)는 소정 직경의 스트로우 형상이고 노즐(50)의 연결부(55)와 결합하여 일체로 조립되며, 튜브(40)의 하단부에는 케미컬의 원활한 흡입을 위해 측면에 홀(4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된 것처럼 튜브(40)의 직경이 일정하지만 노즐과의 결합부, 즉 튜브(40)의 상단부(43)는 직경이 확대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튜브(40)의 직경을 확대하여 노즐(50)과 결합시키는 방식을 '확관방식' 이라 한다. 그러나 종래 튜브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확관 방식
종래기술에서는 구조적으로 노즐(50)의 연결부(55) 외측으로 튜브(40)가 결합되는 방식이어서 튜브(40)의 확관 작업이 필수적이다. 확관 공정은 튜브(40) 가열 후 확관 툴을 삽입하고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이 공정에서 사용되는 전용 장비가 필요하고 구성도 간단하지 않아 독립적으로 사용해야 하므로 전공정 자동화를 실현하기에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며 비용도 많이 든다. 더욱이 확관된 튜브(40)를 노즐(50)에 결합할 때 확관부(43)의 크랙이나 갈라짐 등 파손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튜브 어셈블리의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2) 오링 이탈
도2b의 노즐(50)의 부분 확대도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부(51)의 직경이 경사부(53)의 최대 직경보다 작고 이 작은 직경의 본체부(51)에 오링 홈(57)이 형성되어 있는데, 최종 사용차 측에서 디스펜스 커넥터(17)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물리적 조건의 차이 및 상기 구조적 특성에 의해 테프론 재질인 본체부(51)의 상단부가 뒤집히는 등의 이유로 오링(61)이 홈(57)을 이탈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3) 노즐 밀림
수작업으로 디스펜스 커넥터(17)를 체결시에 피트먼트(21)에 걸려서 지지되는 노즐(50)이 간헐적으로 아래로 관통되어 라이너(20) 내부로 빠지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4) 청정도 저하
종래 튜브 어셈블리는 비교적 높은 가격대의 포장재이기 때문에 매회 세정하여 재사용을 하는 것이 현실인데, 재사용에 의해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커지고, 이물질이 반도체 소자나 패널 제조 공정으로 유입될 경우 제품의 불량을 야기시킨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튜브 어셈블리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신규한 튜브 어셈블리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확관 방식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노즐 및 이 노즐을 포함한 튜브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오링을 안정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오링이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노즐 및 이 노즐을 포함한 튜브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버팀강도를 상승시켜 피트먼트와의 결합시 노즐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노즐 및 이 노즐을 포함한 튜브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생산비용을 절감하여 최종 사용자 측에서 저장용기의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노즐 및 이 노즐을 포함한 튜브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용기의 용기 입구에 설치되는 튜브 연결용 노즐에 있어서, 원통형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원통형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의 외경은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연결부로 갈수록 줄어들며, 상기 연결부의 하단부 내부로 튜브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튜브가 상기 연결부에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연결용 노즐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용기의 용기 입구에 설치되는 튜브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의 튜브 연결용 노즐; 및 상기 연결부의 내경과 동일한 치수의 외경을 갖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가 상기 연결부의 하단부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튜브 연결용 노즐과 상기 튜브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확관 방식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의 강성을 증가시켜 오링이 쉽게 이탈하지 않고 피트먼트와의 결합시 노즐이 밀리는 현상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은 생산비용을 절감하여 최종 사용자 측에서 저장용기의 유지보수 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가진다.
도1a는 종래의 케미컬 저장용기 어셈블리(100)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1b는 저장용기 어셈블리(100)의 결합 단면도.
도2a는 종래의 튜브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2b는 튜브 어셈블리 중 노즐(60)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어셈블리의 정면도이고, 도3b는 튜브 어셈블리의 수직 단면도.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고안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고안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어셈블리의 정면도이고, 도3b는 튜브 어셈블리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3a를 참조하면, 노즐 어셈블리는 튜브(70) 및 노즐(80)을 포함한다. 튜브(70)는 소정 직경을 갖는 스트로우 형상이고, 하단부에 케미컬의 원활한 흡입을 위해 측면 홀(7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튜브(70)는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전체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확관 구조가 아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80)은 본체부(81),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경사부(83), 상기 경사부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85)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81), 경사부(83), 및 연결부(85)는 단일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재질로서는 PE(폴리에틸렌)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81)는 원통 형상이고, 상부 둘레에 O-링(오링)(61)을 끼우기 위한 오링홈(87)이 형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사부(83)는 본체부(81)에서 연결부(85)로 갈수록 외경이 줄어드는 형상이고, 경사부(83)의 최대 외경, 즉 본체부(81)와 바로 접하는 부분의 외경은 본체부(81)의 외경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2b의 종래 구성에 비해 본체부(81)의 외경 치수를 키움으로써 오링홈(87)은 상대적으로 더 깊어졌고,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오링(61)을 눌러줄 수 있다.
한편 노즐(80)이 라이너(20)의 피트먼트(21)에 장착될 때 본체부(81)와 경사부(83)가 피트먼트(21)의 내측면과 맞물려 접하면서 피트먼트(21)에 의해 지지되는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노즐(80)에 종전의 불소수지 대신 상대적으로 고강도인 PE 재질을 사용한다. 이에 따라 노즐(80)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어 피트먼트(21) 내측과의 버팀강도를 상승시키고, 노즐(80)이 피트먼트(21) 아래로 관통되어 버리는 노즐 밀림 현상이 줄어드는 개선점을 가진다.
다시 도3a를 참조하면,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경사부(83)의 표면에는 세로 방향으로 복수개의 슬롯(89)이 형성되어 있고, 슬롯(89)은 저장 용기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따라, 슬롯(89)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고, 슬롯(89)이 형성되는 경우 슬롯의 개수는 4개, 10개, 16개, 18개 등 임의의 개수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슬롯(89)은 경사부(83)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노즐의 연결부(85)는 경사부(83)에서 연장되어 뻗어나온 원통 형상이고, 튜브(70)가 연결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연결부(85)의 내경이 튜브(70)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치수를 가진다. 이에 따라, 튜브(70)의 제조시 별도의 확관 공정이 필요없고 단순하게 튜브(70)를 소정 길이만큼 절단만 하면 바로 사용가능한 상태가 되고, 튜브(70)를 특별한 가공 없이 연결부(85)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다.
단, 연결부(85)의 내경이 튜브(70)의 외경 보다 클 경우 튜브(70)가 연결부(85)에 제대로 결합되지 않고 리크(leak)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연결부(85)의 내경이 작을 경우에는 조립 후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정한 토크로 튜브(70)와 노즐(80)의 연결부(85)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이 두 치수 사이에 적절한 수치범위의 설정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연결부(85) 내경이 튜브(70) 외경보다 0.0mm 초과하여 크다면 튜브(70)가 노즐(80)에 헐겁게 연결되어 쉽게 빠져버릴 수 있으므로 조립부위의 리크가 발생한다. 또한, 본 고안자의 실험에 의하면, 이 두 수치간의 겹침 치수가 1.0mm 이상으로 과도하게 되면 연결부(85) 내측면과 튜브(70) 외측면에 마찰이 크고 빡빡하게 되어 조립이 원활하지 않았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85)의 내경이 튜브(70)의 외경보다 같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 차이가 0.0mm 이상 1.0mm 미만인 경우 연결부(85)와 튜브(70)가 가장 최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어셈블리에서는, 저장용기 내의 유체(케미컬)가 튜브(70)를 타고 노즐(80)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유체에 불필요한 압력이 가해지거나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 튜브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2a를 참조하면, 확관 방식에 의한 결합의 경우, 튜브의 확관부(43)와 노즐의 연결부(55)가 결합되는 부위의 유체 통로가 심리스(seamless)하게 연결되지 않고 연결부(55)의 단부 둘레로 오목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튜브(40)를 타고 올라가는 유체 중 일부는 이 오목한 공간에 들어가서 더 이상 노즐(50)로 올라갈 수 없고 주위에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도시된 것처럼, 튜브(40)의 내경보다 연결부(55)의 내경이 더 작으므로, 튜브(40)를 타고 올라가던 유체가 연결부(55)의 단부에서 압력을 받게 되어 외부로 공급되는 유체 흐름을 방해하게 된다.
이에 대해 도3b에 도시된 본 고안의 튜브 어셈블리에서는, 본체부(81)의 내경, 튜브(70)의 상단부와 바로 이어지는 연결부(85)의 내경, 및 경사부(83)의 내경이 튜브(7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튜브(70)로부터 연결부(85) 방향으로 이동하는 유체에 불필요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고 와류도 발생하지 않으며, 저장용기 외부로 유체가 원활하게 이동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어셈블리 구조에 의하면 종래대비 다음과 같은 개선점 및 효과가 있다.
(1) 확관 방식 문제점 제거
종래 튜브 어셈블리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확관 작업이 필수적이었다. 확관 공정은 튜브를 가열 후 확관 툴을 삽입하고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전용장비 및 별도 공정이 필요하므로 작업시간의 증가와 비용 증가를 가져왔다. 또한 도2에서 처럼 확관된 튜브(40)를 노즐(50)에 결합할 때 확관부(43)의 갈라짐 등 파손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 확관 공정의 제어가 어려웠고, 이에 따라 불량에 대한 리스크를 내재하고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노즐 어셈블리에서는 노즐 연결부(85)의 내측으로 튜브(70)가 삽입되도록 조립 방식을 최대한 단순화하여 확관 공정을 제거하였고, 이 조립 공정에는 특별하게 무리한 가공을 하지 않으므로 크랙 등 물리적 불량 발생율을 현저히 줄여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제조 시간과 비용이 줄어드는 효과를 가진다.
(2) 오링 이탈 방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본체부(81)의 외경 치수를 경사부(83)의 최대 외경 치수와 동일하게 맞추었고 이에 따라 오링홈(87)을 상대적으로 더 깊이 형성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오링(61)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노즐(80)의 재질을 종래의 테프론(PFA)에 비해 강성인 폴리에틸렌(PE)로 변경하여, 본체부(81)의 상단부가 뒤집하는 것을 방지하여 오링(61)의 이탈을 막을 수 있고, 또한 동시에 본체부(81), 경사부(83), 및 연결부(85)로 구성된 노즐(80)의 디자인이 종래 노즐(도2a의 50)에 비해 단순화되었으므로 노즐 제조시 관리 치수 포인트가 줄어드는 효과도 가진다.
(3) 노즐 밀림현상 제거
종래에는 디스펜스 커넥터(17)를 저장용기에 체결할 때 디스펜스 커넥터(17)의 프로브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노즐(도2의 50)이 피트먼트(21)에 걸리지 않고 아래로 관통해버리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본 고안에서는 노즐(80)을 상대적으로 고강도인 PE 재질로 제조함으로써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켰고, 이에 따라 피트먼트(21) 내측과의 버팀강도를 상승시켜 밀림 현상을 현저히 줄였다.
(4) 청정도 증가
종래 튜브 어셈블리는 높은 비용으로 인해 최종 사용자가 매회 세정하여 재사용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재사용에 의해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크고 이 이물질이 반도체 소자나 패널의 제조 공정에 유입되면 제품 불량을 야기할 수도 있어 전체적인 관리비용은 오히려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어셈블리는 종래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강도는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공정 단순화, 장비 자동화, 및 생산 및 관리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고, 또한 1회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도 튜브 어셈블리를 포함한 저장용기의 유지보수 및 전체적인 관리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실용신안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캐니스터 13: 리테이너
15: 클로저 17: 디스펜스 커넥터
20: 라이너 40,70: 튜브
50,80: 노즐 61: 오링
100: 저장용기 어셈블리

Claims (8)

  1. 저장용기의 용기 입구에 설치되는 튜브 연결용 노즐에 있어서,
    원통형의 본체부(81);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경사부(83); 및
    상기 경사부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원통형의 연결부(85);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의 외경은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연결부로 갈수록 줄어들며,
    상기 연결부의 하단부 내부로 튜브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튜브가 상기 연결부에 결합가능하고,
    상기 경사부의 표면에 세로 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의 내경, 경사부의 내경, 및 연결부의 내경의 각각이 상기 튜브의 내경과 같거나 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연결용 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최대 외경은 상기 본체부의 외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연결용 노즐.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경사부, 및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연결용 노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부 둘레에 O-링(오링)을 끼우기 위한 오링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연결용 노즐.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복수개 이고, 상기 복수개의 슬롯이 상기 경사부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연결용 노즐.
  8. 저장용기의 용기 입구에 설치되는 튜브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튜브 연결용 노즐; 및
    상기 연결부의 내경과 동일한 치수의 외경을 갖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가 상기 연결부의 하단부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튜브 연결용 노즐과 상기 튜브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어셈블리.
KR2020110005299U 2011-06-15 2011-06-15 튜브 연결용 노즐 및 상기 노즐을 포함한 튜브 어셈블리 KR2004587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299U KR200458724Y1 (ko) 2011-06-15 2011-06-15 튜브 연결용 노즐 및 상기 노즐을 포함한 튜브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299U KR200458724Y1 (ko) 2011-06-15 2011-06-15 튜브 연결용 노즐 및 상기 노즐을 포함한 튜브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724Y1 true KR200458724Y1 (ko) 2012-03-07

Family

ID=53676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299U KR200458724Y1 (ko) 2011-06-15 2011-06-15 튜브 연결용 노즐 및 상기 노즐을 포함한 튜브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7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507B1 (ko) * 2014-02-05 2014-09-12 (주) 이레머티리얼스 화학 물질 저장용 압력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962B1 (ko) 2000-06-01 2007-12-17 잔 에세배걸스 흡입관을 갖는 탄산 음료 용기를 위한 유출 방지 유량 제어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962B1 (ko) 2000-06-01 2007-12-17 잔 에세배걸스 흡입관을 갖는 탄산 음료 용기를 위한 유출 방지 유량 제어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507B1 (ko) * 2014-02-05 2014-09-12 (주) 이레머티리얼스 화학 물질 저장용 압력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6988B2 (ja) 剛体容器内に収容された変形可能なバッグ内に気密状態で含まれた流体物質をポンプによって吐出する装置
KR101714650B1 (ko) 화장품 용기
US20080237370A1 (en) Liquid reservoir, and kit, spray assembly and method using same
EP3050821B1 (en) A mounting assembly for mounting an adapter to a valve stem
JP6164937B2 (ja) エアレス容器
CN105776116A (zh) 分配头
JP2002059993A (ja) 接続器具
JP6568070B2 (ja) 分配システムのための継手と継手アダプタおよびそれらを製造する方法
TWI628121B (zh) 內袋複合容器用分配裝置及其製造方法
KR200458724Y1 (ko) 튜브 연결용 노즐 및 상기 노즐을 포함한 튜브 어셈블리
US10070759B2 (en) Dispenser
JP6200484B2 (ja) 口栓システム、口栓および口栓付き容器
JP5436342B2 (ja) 吐出ポンプ
JP2012158360A (ja) 液体噴出器
KR20160102189A (ko) 약액 보관병 및 그 제조방법
JP2009022935A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
CN104858080B (zh) 一种喷雾泵
CN106414266B (zh) 泵塞
US202203318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directional spray bottle nozzle
WO2021230234A1 (ja) 連結システム
JP7171624B2 (ja) 閉止装置、バルブユニットおよび容器
JP6789104B2 (ja) ポンプ付き噴出器及び液体噴出容器
JP5836065B2 (ja) 吐出ポンプ
WO2024040775A1 (zh) 一种分配器的顶芯
KR20170002044U (ko) 수분증발방지가 가능한 절약용 펌핑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