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911Y1 - 멀티탭 스위치 - Google Patents
멀티탭 스위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7911Y1 KR200457911Y1 KR2020110008628U KR20110008628U KR200457911Y1 KR 200457911 Y1 KR200457911 Y1 KR 200457911Y1 KR 2020110008628 U KR2020110008628 U KR 2020110008628U KR 20110008628 U KR20110008628 U KR 20110008628U KR 200457911 Y1 KR200457911 Y1 KR 20045791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support
- movable
- side guide
- terminal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8—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24—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two operating posi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Landscapes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멀티탭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멀티탭에 적용되는 멀티탭 스위치에 관한 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가동널판을 격벽판과 케이스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킴으로써 가동널판이 지지단자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으로 스위칭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효과로서는 볼형상의 스틸볼 대신에 말단이 둥근 봉형상을 사용하므로 가동널판 표면과 마찰을 적게 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동작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가동널판을 격벽판과 케이스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킴으로써 가동널판이 지지단자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으로 스위칭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효과로서는 볼형상의 스틸볼 대신에 말단이 둥근 봉형상을 사용하므로 가동널판 표면과 마찰을 적게 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동작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멀티탭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멀티탭에 적용되는 멀티탭 스위치에 관한 대한 것이다.
현재 사용 중인 멀티탭 스위치는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의 분리와 접촉으로 전류의 단전과 통전을 조절하였다. 이는 사용 중에 스위치가 전기회로와 직접 연결이 되어 단자와 전류가 연결되는 즉 스위치로 전류 흐름을 직접 통제하는 현상도 발생한다.
스위치의 지시등이 사실상 전선의 전류 흐름을 통제하므로 전선은 항상 전자제품과 연결 상태를 유지하여 전자제품이 통전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는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되게 한다.
따라서, 파워소켓의 전선(회로) 교차가능성을 방지하고, 전류의 흐름 여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 멀티탭 스위치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멀티탭 스위치로서는 한국등록실용 제20-0408609호를 들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 제20-0408609호를 이해하기 쉽게 도시한 도면이 도 1에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멀티탭 스위치는, 버튼(1), 단자 받침대(6), 케이스(5)로 구성된 케이스 본체와; 단자 받침대 안쪽의 두 개의 가동널판, 고정단자와 지지단자로 구성된 두 개의 온/오프 절환장치를 포함하는 시소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서로 평행되는 가동널판(11)(9)의 양쪽 끝이 맞닿아 있고, 위쪽 끝에 가동접점(12)(1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널판은 각각 지지단자(10)(10')를 받침대로 하여 아래쪽 고정단자(14)의 고정접점(13)과 위쪽 고정단자(8)의 고정접점(13')과 서로 대응하며, 상기 버튼(1) 아래쪽의 스틸볼(4)(4')의 압력으로 가동널판(11)이 아래로 내려가면 가동널판(9)이 튀어 올라 또는 가동널판(11)이 위로 튀어 오르면 가동널판(9)이 아래로 내려가 가동접점(12)과 그 아래쪽의 고정접점(13), 가동접점(12')과 그 위쪽의 고정접점(13')이 동시에 닫히고 열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버튼 아래쪽에 전원표시등 수납대(3)가 설치되고, 전원표시등 수납대(3) 안쪽의 네온등(16)이 구비된다. 또한, 고정단자(14)(8)는 전류의 진입 단자로 하고, 지지단자(10)(10')는 전류의 출구 단자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가동널판(11,11')의 양쪽에는 각각 U자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U자 홈과 결합되기 위해 지지단자(10,10')의 말단측에도 집게 모양이 형성되어 있어, 가동널판(11,11')이 지지단자(10,10')로부터 이탈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프링(4,4')에 의해 압착되어 이 가동널판(11,11')과 접촉되는 스틸볼(5,5')의 경우, 사용이 길어지면 마모로 인해 동작이 원활하지 않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6)의 상단면에 형성된 타원형 테두리의 경우, 접촉면적이 적어 실제 멀티탭 스위치가 멀티탭과 조립되는 경우 불완전하게 되어 멀티탭 스위치가 멀티탭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위에서 제기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가동널판이 지지단자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안정적으로 동작되는 스위칭 구조를 갖는 멀티탭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가동널판과 접촉되는 스틸볼의 마모에 따른 불안전한 동작을 방지하는 스위칭 구조를 갖는 멀티탭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실제 멀티탭 스위치가 멀티탭과 조립되는 경우 케이스와 멀티탭 내부의 접촉이 더 밀착되게 하는 구조를 갖는 멀티탭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위에서 제시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가동널판이 지지단자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멀티탭 스위치를 제공한다.
이 멀티탭 스위치는, 내벽 양측에 복수의 케이스측 가이드홈(510-3)이 형성되는 케이스(210);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 삽입되며 공간을 복수로 격벽시키고, 상기 복수의 케이스측 가이드홈(510-3)과 대향하는 복수의 격벽판측 가이드홈(213-3)이 형성되는 격벽판(213); 상기 케이스측 가이드홈(510-3)과 격벽판측 가이드홈(213-3)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게 일자 형상의 걸림부(410-1,410-2)가 형성되는 복수의 가동널판(214-1,214-2); 상기 가동널판(214-1,214-2)을 지지하는 지지 말단부(212-1',212-2')가 각각 형성된 지지단자(212-1,212-2); 상기 지지단자(212-1,212-2)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복수의 가동널판(214-1,214-2)을 고정하는 고정단자(212-3,212-4); 상기 가동널판(214-1,214-2)이 상기 지지단자(212-1,212-2)의 지지 말단부(212-1',212-2')상에서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스위치 버튼(218)을 수납하는 버튼 수납대(217); 및 상기 지지단자(212,212-2), 고정단자(212-3,212-4)와 조립되어 고정하는 단자 받침대(2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 말단(212-1',212-2')은 상기 가동널판(214-1,214-2)과 접촉하는 면이 돌출된 매끈한 일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 수납대(217)에는, 스프링(216-1,216-2)과 스틸봉(215-1,215-2)을 외삽하는 스틸봉 안착부(217-1,217-2)가 각각 하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210)의 상단은 평평한 면을 갖는 타원형 테두리(520)가 특징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가동널판을 격벽판과 케이스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킴으로써 가동널판이 지지단자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으로 스위칭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효과로서는 볼형상의 스틸볼 대신에 말단이 둥근 봉형상을 사용하므로 가동널판 표면과 마찰을 적게 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동작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케이스의 상단면을 평평한 면을 갖는 구조로 하므로 멀티탭 스위치가 멀티탭과 조립되는 경우 케이스가 멀티탭 내부에 더 밀착되게 조립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탭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 스위치의 사시 외관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가동널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A-A'축으로 절개한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B-B'축으로 절개한 멀티탭 스위치의 단면도로서 스위칭되기전의 상태이다.
도 7은 도 3에서 B-B'축으로 절개한 멀티탭 스위치의 단면도로서 스위칭후의 상태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 스위치의 사시 외관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가동널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A-A'축으로 절개한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B-B'축으로 절개한 멀티탭 스위치의 단면도로서 스위칭되기전의 상태이다.
도 7은 도 3에서 B-B'축으로 절개한 멀티탭 스위치의 단면도로서 스위칭후의 상태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고안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멀티탭 스위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 스위치(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10)와, 이 케이스(210) 내에 삽입 조립되는 단자 받침대(211)와, 이 단자 받침대(211)에 삽입 조립되는 단자(212-1 내지 212-4)와, 단자(212-1 내지 212-4)의 상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격벽판(213)과, 이 격벽판(213)의 양쪽면과 조립되어 단자(212-1 내지 212-4)와 접촉되어 스위칭되는 가동널판(214-1,214-2)과, 이 가동널판(214-1,214-2)을 스위칭되도록 동작시키는 버튼 수납대(217)와, 이 버튼 수납대(217)내에 삽입되는 스위치 버튼(21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자 받침대(211)와 조립되는 단자(212-1 내지 212-4)는 4쌍으로 구성되며, 제 1 지지 단자(212-1), 제 2 지지 단자(212-2), 제 1 고정 단자(212-3), 제 2 고정 단자(212-4) 순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여기서, 제 1 지지 단자(212-1) 및 제 2 지지 단자(212-2)는 각각 제 1 가동널판(212-1) 및 제 2 가동널판(212-2)을 지지한다.
부연하면, 제 1 지지단자(212-1) 및 제 2 지지단자(212-2)의 상단 말단부(212-1',212-2')상에 각각 제 1 가동널판(214-1) 및 제 2 가동널판(214-2)이 놓이게 된다. 이를 위해, 제 1 지지 말단부(212-1') 및 제 2 지지 말단부(212-2')의 면은 돌출되어 매끈한 일자 형태가 된다. 따라서, 가동널판(214-1,214-2)의 스위칭 동작을 더 유연하게 한다.
또한, 제 1 가동널판(214-1) 및 제 2 가동널판(214-2)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 1 고정단자(212-3) 및 제 2 고정단자(212-4)가 설치된다. 즉, 제 1 가동널판(214-1)과 제 2 가동널판(214-2)의 우측 말단과 접촉하기 위한 수단이 된다.
따라서, 제 1 가동널판(214-1) 및 제 2 가동널판(214-2)은 제 1 고정단자(212-3) 및 제 2 고정단자(212-4)와 접촉 및/또는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 가동널판(214-1,214-2)이 축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격벽판(213)과 케이스(210)의 내측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부연하면, 격벽판(213)의 벽면에는 격벽판측 가이드홈(213-3)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격벽판(213)의 벽면에는 제 1 격벽판측 가이드부(213-1)와 제 2 격벽판측 가이드부(213-2)가 구성된다. 물론, 도 2에서는 한 쪽면만을 도시하였으나, 반대쪽면에도 유사한 구조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격벽판측 가이드부(213-1,213-2)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러한 격벽판측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하지 않고, 격벽판(213) 표면에 가이드홈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이러한 격벽판측 가이드홈(213-3)과 대향하게 케이스(210)의 내측에도 케이스측 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 5에 도시된다. 도 5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를 계속 참조하면, 이러한 케이스측 가이드홈(미도시)과 격벽판측 가이드홈(213-3) 사이에 가동널판(214-1,214-2)이 끼어서 삽입된다. 이를 위해 제 1 가동널판(214-1) 및 제 2 가동널판(214-2)의 구조도 독특한 형상을 갖는다. 즉, 양쪽 측면에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이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 도 4에 도시된다. 도 4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를 계속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가동널판(214-1,214-2)이 지지단자(212-1,212-2)의 지지 말단부(212-1',212-2')상에서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스위치 버튼(218)을 수납하는 버튼 수납대(217)이 구성된다.
이 버튼 수납대(217)에는, 스프링(216-1,216-2)과 스틸봉(215-1,215-2)을 외삽하는 스틸봉 안착부(217-1,217-2)가 각각 하단에 형성된다. 부연하면, 수납대(217)의 하단부에는 제 1 스틸봉 안착부(217-1) 및 제 2 스틸봉 안착부(217-2)가 형되며, 이 제 1 스틸봉 안착부(217-1)에는 순서대로 스프링(216-1) 및 스틸봉(215-1)이 조립되며, 제 2 스틸봉 안착부(217-2)에는 스프링(216-1) 및 스틸봉(215-2)이 조립된다.
스틸봉(215-1,215-2)은 끝단이 미끈하고 둥근 봉형상이 된다. 따라서, 회전성이 없어지므로, 마모가 없게 되며, 스프링(216-1,216-2)의 변형도 방지할 수 있다.
버튼 수납대(217) 내에는 스위치 버튼(218)이 내삽될 수 있으며, 이 스위치 버튼(218) 내에 네온등과 같은 전원표시등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 스위치의 사시 외관도이다. 부연하면, 도 3은 도 2에 의해 조립된 멀티탭 스위치(200)의 외관이 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가동널판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동널판(214-1)에는 일자 형상의 제 1 걸림부(410-1) 및 제 2 걸리부(410-2)가 형성된다. 물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가동널판(214-1,214-2) 중 제 1 가동널판(214-1)을 도시하고 있으나, 제 2 가동널판(214-2)도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 5는 도 2에 A-A'축으로 절개한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스(210)의 내측에는 가동널판(214-1,214-2)의 걸림부(410-1,410-2)가 삽입되는 케이스측 가이드홈(510-3)이 형성된다. 물론, 이러한 케이스측 가이드홈(510-3)은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측 가이드부(510-1) 및 제 2 케이스측 가이드부(510-2)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케이스측 가이드부(510-1,510-2)를 이용하여 가이드홈을 형성하지 않고, 직접 케이스(210)의 내측에 가이드홈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케이스측 가이드홈(510-3)과 도 2에 도시된 격벽판측 가이드홈(213-3)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동널판(도 2의 214-1,214-2)의 걸림부(도 4의 410-1,410-2)가 이 케이스측 가이드홈(510-3)과 격벽판측 가이드홈(213-3)에 삽입되므로, 가동널판(214-1,214-2)이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스(210)의 상단면에는 멀티탭 스위치(도 3 참조의 200)가 멀티탭 내측에 조립되는 경우, 멀티탭 내부의 표면과 밀착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평평한 면을 갖는 타원형 테두리(520)가 형성된다.
도 6은 도 3에서 B-B'축으로 절개한 멀티탭 스위치의 단면도로서 스위칭되기전의 상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동널판(214-1)이 제 2 고정 단자(212-4)와 접촉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7은 도 3에서 B-B'축으로 절개한 멀티탭 스위치의 단면도로서 스위칭후의 상태이다. 만일 도 6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위치 버튼(218)의 좌측을 누르게 되면 스틸봉(215-1)이 좌측으로 윤활하면서 가동널판(214-1)의 좌측을 누르게 된다. 이 경우, 가동널판(214-1)의 좌측은 제 2 고정 단자(212-4)로부터 분리되고, 우측단이 제 1 지지단자(212-1)와 접촉된다.
200: 멀티탭 스위치 210: 케이스
211: 단자 받침대 212-1: 제 1 지지 단자
212-1': 제 1 지지 말단부 212-2: 제 2 지지 단자
212-2': 제 2 지지 말단부
212-3: 제 1 고정 단자 212-4: 제 2 고정 단자
213: 격벽판
213-1: 제 1 격벽판측 가이드부
213-2: 제 2 격벽판측 가이드부
213-3: 격벽판측 가이드홈
214-1: 제 1 가동널판 214-2: 제 2 가동널판
215-1: 제 1 스틸봉 215-2: 제 2 스틸봉
216-1: 제 1 스프링 216-2: 제 2 스프링
217: 버튼 수납대 217-1: 제 1 스틸봉 안착부
217-2: 제 2 스틸봉 안착부 218: 스위치 버튼
410-1: 제 1 걸림부 410-2: 제 2 걸림부
510-1: 제 1 케이스측 가이드부
510-2: 제 2 케이스측 가이드부
510-3: 케이스측 가이드홈
211: 단자 받침대 212-1: 제 1 지지 단자
212-1': 제 1 지지 말단부 212-2: 제 2 지지 단자
212-2': 제 2 지지 말단부
212-3: 제 1 고정 단자 212-4: 제 2 고정 단자
213: 격벽판
213-1: 제 1 격벽판측 가이드부
213-2: 제 2 격벽판측 가이드부
213-3: 격벽판측 가이드홈
214-1: 제 1 가동널판 214-2: 제 2 가동널판
215-1: 제 1 스틸봉 215-2: 제 2 스틸봉
216-1: 제 1 스프링 216-2: 제 2 스프링
217: 버튼 수납대 217-1: 제 1 스틸봉 안착부
217-2: 제 2 스틸봉 안착부 218: 스위치 버튼
410-1: 제 1 걸림부 410-2: 제 2 걸림부
510-1: 제 1 케이스측 가이드부
510-2: 제 2 케이스측 가이드부
510-3: 케이스측 가이드홈
Claims (4)
- 내벽 양측에 복수의 케이스측 가이드홈(510-3)이 형성되는 케이스(210);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 삽입되며 공간을 복수로 격벽시키고, 상기 복수의 케이스측 가이드홈(510-3)과 대향하는 복수의 격벽판측 가이드홈(213-3)이 형성되는 격벽판(213);
상기 케이스측 가이드홈(510-3)과 격벽판측 가이드홈(213-3)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게 일자 형상의 걸림부(410-1,410-2)가 형성되는 복수의 가동널판(214-1,214-2);
상기 가동널판(214-1,214-2)을 지지하는 지지 말단부(212-1',212-2')가 각각 형성된 지지단자(212-1,212-2);
상기 지지단자(212-1,212-2)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복수의 가동널판(214-1,214-2)을 고정하는 고정단자(212-3,212-4);
상기 가동널판(214-1,214-2)이 상기 지지단자(212-1,212-2)의 지지 말단부(212-1',212-2')상에서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스위치 버튼(218)을 수납하는 버튼 수납대(217); 및
상기 지지단자(212,212-2), 고정단자(212-3,212-4)와 조립되어 고정하는 단자 받침대(21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스위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말단부(212-1',212-2')는 상기 가동널판(214-1,214-2)과 접촉하는 면이 돌출된 일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스위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수납대(217)에는, 스프링(216-1,216-2)과 스틸봉(215-1,215-2)을 외삽하는 스틸봉 안착부(217-1,217-2)가 각각 하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스위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10)는 상단이 평평한 면을 갖는 타원형 테두리(520)가 특징인 멀티탭 스위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8628U KR200457911Y1 (ko) | 2011-09-26 | 2011-09-26 | 멀티탭 스위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8628U KR200457911Y1 (ko) | 2011-09-26 | 2011-09-26 | 멀티탭 스위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57911Y1 true KR200457911Y1 (ko) | 2012-01-12 |
Family
ID=45842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8628U KR200457911Y1 (ko) | 2011-09-26 | 2011-09-26 | 멀티탭 스위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7911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5357B1 (ko) * | 2018-01-25 | 2019-03-07 | (주)대성 | 멀티탭 콘센트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5680A (ko) * | 2001-08-17 | 2003-02-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내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
KR200315680Y1 (ko) | 2003-03-18 | 2003-06-09 | 이오환 | 2극 스위치 |
KR20040050095A (ko) * | 2002-12-09 | 2004-06-16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하이 파워 증폭기용 펄스 모듈레이터의 오버슈트 방지회로 |
KR20060027840A (ko) * | 2006-02-20 | 2006-03-28 |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 라커 스위치 |
KR20090002870A (ko) * | 2007-07-04 | 2009-01-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KR20100008170A (ko) * | 2008-07-15 | 2010-01-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클러스터 구조 |
KR200450095Y1 (ko) | 2007-10-24 | 2010-09-03 | 지아 밍 양 | 병렬 투웨이스위치 전도단자의 위치고정구조 |
-
2011
- 2011-09-26 KR KR2020110008628U patent/KR200457911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5680A (ko) * | 2001-08-17 | 2003-02-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내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
KR20040050095A (ko) * | 2002-12-09 | 2004-06-16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하이 파워 증폭기용 펄스 모듈레이터의 오버슈트 방지회로 |
KR200315680Y1 (ko) | 2003-03-18 | 2003-06-09 | 이오환 | 2극 스위치 |
KR20060027840A (ko) * | 2006-02-20 | 2006-03-28 |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 라커 스위치 |
KR20090002870A (ko) * | 2007-07-04 | 2009-01-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KR200450095Y1 (ko) | 2007-10-24 | 2010-09-03 | 지아 밍 양 | 병렬 투웨이스위치 전도단자의 위치고정구조 |
KR20100008170A (ko) * | 2008-07-15 | 2010-01-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클러스터 구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5357B1 (ko) * | 2018-01-25 | 2019-03-07 | (주)대성 | 멀티탭 콘센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24340B2 (ja) | 電磁接触器 | |
JP2020136102A (ja) | リレー | |
KR200457911Y1 (ko) | 멀티탭 스위치 | |
KR20110065800A (ko) | 멀티탭 콘센트 | |
KR101741586B1 (ko) | 전자접촉기 크로스바 구조 | |
KR101810213B1 (ko) | 일체형 다중 스위치 | |
JP4851477B2 (ja) | 空気絶縁バスダクトの導体保持用絶縁物 | |
CN211150366U (zh) | 灭弧装置和断路器 | |
JP6318378B2 (ja) | 切替開閉器 | |
CN103681070B (zh) | 电磁铁装置及使用该电磁铁装置的开关 | |
KR102349754B1 (ko) | 아크 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 |
US2951922A (en) | Electrical contactor assembly | |
KR102316687B1 (ko) | 디바이스 | |
KR102524503B1 (ko) | 전자 접촉기 | |
CN217773195U (zh) | 游戏手柄的外壳及游戏手柄 | |
KR102303548B1 (ko) | 커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 |
CN209843610U (zh) | 一种可实现灭弧的大电流继电器 | |
JP2018152295A (ja) | トリガースイッチ | |
KR101800730B1 (ko) | 일체형 다중 스위치 | |
KR101947261B1 (ko) | 전원 연결 장치 | |
KR20160137706A (ko) | 복합 접점 스위치 | |
CN109686600A (zh) | 一种电开关的底座总装 | |
JP2015011878A (ja) | コンセント | |
KR20080086240A (ko) | 접속단자의 가감이 가능한 단자대용 접속단자 구조 | |
KR101570103B1 (ko) | 전자접촉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