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706A - 복합 접점 스위치 - Google Patents

복합 접점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7706A
KR20160137706A KR1020150070156A KR20150070156A KR20160137706A KR 20160137706 A KR20160137706 A KR 20160137706A KR 1020150070156 A KR1020150070156 A KR 1020150070156A KR 20150070156 A KR20150070156 A KR 20150070156A KR 20160137706 A KR20160137706 A KR 20160137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s
push rod
contact switch
contact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영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영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영넉스
Priority to KR1020150070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7706A/ko
Publication of KR20160137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7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2Control devices non-automatic
    • B66D1/46Control devices non-automatic elec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름 동작에 의해 작동하는 2개의 접점 스위치(100,200)가 인접 배치된 복합 접점 스위치(30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2개의 접점 스위치(100,200) 각각은, 몸체(110,210)와; 상기 몸체(110,210)의 중앙에 상하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수직 배치되는 푸쉬 로드(120,220)를 구비하고, 하나의 접점 스위치(100,200) 조작 시 다른 접점 스위치(100,200)의 조작을 제한하도록 상기 푸쉬 로드(120,220)가 왕복운동하는 아래 방향의 푸쉬 로드(120,220)의 중간 지점에 배치되되, 상기 어느 하나의 푸쉬 로드(120,220)가 눌러지면 눌러진 푸쉬 로드(120,220)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다른 푸쉬 로드(120,220)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다른 푸쉬 로드(120,220)가 눌러지는 것을 제한하는 본체(312)와; 상기 본체(312)가 슬라이딩되기 이전의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본체(312)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탄성체(314)를 포함하는 인터락부(3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락부가 깨지는 문제를 해소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여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푸쉬 로드의 마모 현상을 해소시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접점 스위치{A COMPLEX CONTACT SWITCH}
본 발명은 복합 접점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누름 동작에 의해 작동하는 접점 스위치 2개가 인접 배치된 복합 접점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이스트용 접점 스위치는 물건을 일정한 위치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접점 스위치를 하나 이상 복합적으로 배치하여 호이스트를 상하, 좌우 또는 상,하,좌,우 운동을 위한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호이스트용 접점 스위치는 제어전원과 주전원의 공급을 위한 다수의 전선을 접점블럭스위치 몸체에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고정단자구의 일단에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그 중앙에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고정단자구와 분리되어 차단상태를 유지하다가 외부의 물리력에 의해 상기 고정단자구로부터 접촉되어 제어전원과 주전원의 공급하는 접촉단자구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접점 스위치가 복합 배치되어 사용되는 호이스트용 스위치에서는 하나의 스위치 조작 시 복합 사용되는 다른 스위치의 조작을 제한하여 오동작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하나의 스위치 조작 시 조작자가 조작 상태를 감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조작 안전성을 도모하면서 편리하고 실용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 복합 접점 스위치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 동작에 의해 작동하는 2개의 접점 스위치(10,20)가 인접 배치되고, 상기 2개의 접점 스위치(10,20) 각각은, 몸체(11,21)와; 상기 몸체(11,21)의 중앙에 상하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수직 배치되는 푸쉬 로드(12,22)를 구비한다.
그리고, 하나의 접점 스위치(10,20) 조작 시 다른 접점 스위치(10,20)의 조작을 제한하도록, 인터락부(30)가 상기 푸쉬 로드(12,22)가 왕복운동하는 아래 방향의 푸쉬 로드(12,22)의 중간 지점에 배치된다.
이러한 인터락부(30)는 중앙을 핀 등으로 고정시켜 놓고 양측단이 오르내리도록 시소 형태로 구성되어 푸쉬 로드(12,22)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그런데, 접점 스위치(10,20)를 조작하여 푸쉬 로드(12,22)가 눌러질 때 경우에 따라서는 시소 형태의 인터락부(30)가 깨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관련 분야 특허 기술로서, 본체의 일측 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을 마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점블럭스위치의 대응면에 양단이 상기 결합홈과 결합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와 상부 일측이 대응하는 이동대가 중앙에 배치된 상기 메인스프링에 의하여 복원력을 가지도록 본체 내에 배치하고 상기 고정단자구와 대응하며 보조스프링에 의하여 복원력을 가지는 접촉단자부를 포함하는 호이스트용 접점블럭스위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국내공개실용 20-2009-000441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터락부가 깨지는 문제를 해소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복합 접점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접점 스위치는, 누름 동작에 의해 작동하는 2개의 접점 스위치가 인접 배치된 복합 접점 스위치로서, 상기 2개의 접점 스위치 각각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에 상하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수직 배치되는 푸쉬 로드를 구비하고, 2개의 접점 스위치 중 어느 하나의 접점 스위치 조작 시 다른 접점 스위치의 조작을 제한하도록 상기 푸쉬 로드가 왕복운동하는 아래 방향의 푸쉬 로드의 중간 지점에 배치되되, 상기 2개의 푸쉬 로드 중 어느 하나의 푸쉬 로드가 눌러지면 눌러진 푸쉬 로드에 의해 일측면이 가압됨으로써 다른 푸쉬 로드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다른 푸쉬 로드가 눌러지는 것을 제한하는 본체와;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본체가 슬라이딩되기 이전의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본체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인터락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2개의 접점 스위치 각각은, 상기 푸쉬 로드를 탄성 지지하도록 푸쉬 로드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스프링과; 상기 푸쉬 로드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조 스프링과; 상기 보조 스프링의 양단에 보조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배치되는 볼과; 상기 푸쉬 로드를 가이드하면서 상기 볼이 밀착되고 푸쉬 로드의 정해진 위치에서 볼이 안착되도록 상기 푸쉬 로드가 왕복운동하는 좌우 위치에 수직 배치되는 좌우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 플레이트에는 상기 푸쉬 로드의 안착에 따른 다단 동작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요철 형태로 캠선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 플레이트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락부가 깨지는 문제를 해소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여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푸쉬 로드의 마모 현상을 해소시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복합 접점 스위치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복합 접점 스위치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접점 스위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스위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스위치의 일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접점 스위치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스위치의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접점 스위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스위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스위치의 일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접점 스위치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스위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접점 스위치는, 인터락부가 깨지는 문제를 해소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접점 스위치(300)는, 누름 동작에 의해 작동하는 2개의 접점 스위치(100,200)가 인접 배치된 형태의 복합 접점 스위치이다.
상기 2개의 접점 스위치(100,200) 각각은, 몸체(110,210) 및 상기 몸체(110,210)의 중앙에 상하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수직 배치되는 푸쉬 로드(120,2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접점 스위치(100,20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접점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다른 접점 스위치의 조작을 제한하도록 상기 푸쉬 로드(120,220)가 왕복운동하는 아래 방향의 푸쉬 로드(120,220)의 중간 지점에는 인터락부(310)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인터락부(310)는 크게 본체(312) 및 탄성체(314)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312)는 일정한 형체로 구성되어 상기 2개의 푸쉬 로드(120,220) 중 어느 하나의 푸쉬 로드가 눌러지면 눌러진 푸쉬 로드에 의해 일측면이 가압됨으로써 다른 푸쉬 로드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다른 푸쉬 로드가 눌러지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어느 하나의 푸쉬 로드가 눌러지게 되면 눌러진 푸쉬 로드에 의해 본체(312)의 일측면이 가압되어 본체(312)가 측면으로 밀림에 따라 다른 푸쉬 로드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다른 푸쉬 로드가 눌러지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체(314)는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본체(312)가 슬라이딩되기 이전의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본체(312)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좌우 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한편,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접점 스위치(100,200) 각각은, 메인 스프링(130,230), 보조 스프링(140,240), 볼(150,250) 및 좌우 플레이트(160,260)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스프링(130,230)은 상기 푸쉬 로드(120,220)를 탄성 지지하도록 푸쉬 로드(120,220)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보조 스프링(140,240)은 상기 푸쉬 로드(120,220)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볼(150,250)은 상기 보조 스프링(140,240)의 양단에 보조 스프링(140,240)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좌우 플레이트(160,260)는 상기 푸쉬 로드(120,220)를 가이드하면서 상기 볼(150,250)이 밀착되고 또한 푸쉬 로드(120,220)가 작동할 때 정해진 위치에서 볼(150,250)이 안착되도록 상기 푸쉬 로드(120,220)가 왕복운동하는 좌우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좌우 플레이트(160,260)에는 상기 푸쉬 로드(120,220)의 안착에 따른 다단 동작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요철 형태로 캠선(162,262)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 플레이트(160,26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2단 동작 가능하도록 2개의 요철 형태를 가진 캠선(162,262)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접점 스위치(3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의 경우, 2개의 접점 스위치(100,200)가 조작되지 않은 상태로서 인터락부(310)가 푸쉬 로드(120,220)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
도 6(b)의 경우, 좌측의 접점 스위치(100)가 조작되어 푸쉬 로드(120)가 눌러진 상태로서 인터락부(31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우측의 접점 스위치(200)가 조작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도 6(c)의 경우, 우측의 접점 스위치(200)가 조작되어 푸쉬 로드(220)가 눌러진 상태로서 인터락부(310)가 좌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좌측의 접점 스위치(100)가 조작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스위치(100,2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푸쉬 로드(120,220)가 눌러지면 볼(150,250)이 좌우 플레이트(160,260)의 캠선(162,262)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볼(150,250)이 캠선(162,262)의 첫번째 요철 홈부에 도달하게 되면 볼(150,250)이 걸림 현상없이 홈부에 부드럽게 안착되어 1단 동작하게 된다.
이후, 푸쉬 로드(120,220)가 더 눌러지게 되면 볼(150,250)이 좌우 플레이트(160,260)의 캠선(162,262)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더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캠선(162,262)의 두번째 요철 홈부에 도달하게 되면 볼(150,250)이 걸림 현상없이 홈부에 부드럽게 안착되어 2단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푸쉬 로드(120,220)가 작동하게 되면 볼(150,250)이 좌우 플레이트(160,260)의 캠선(162,262)을 따라 걸림 현상없이 부드럽게 이동하면서 안착되게 되어 조작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마모 현상을 해소시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접점 스위치를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200 : 접점 스위치 110,210 : 몸체
120,220 : 푸쉬 로드 130,230: 메인 스프링
140,240 : 보조 스프링 150,250 : 볼
160,260 : 플레이트 162,262 : 캠선
300 : 복합 접점 스위치 310 : 인터락부
312 : 본체 314 : 탄성체

Claims (3)

  1. 누름 동작에 의해 작동하는 2개의 접점 스위치(100,200)가 인접 배치된 복합 접점 스위치(300)로서,
    상기 2개의 접점 스위치(100,200) 각각은,
    몸체(110,210)와;
    상기 몸체(110,210)의 중앙에 상하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수직 배치되는 푸쉬 로드(120,220)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접점 스위치(100,200) 중 어느 하나의 접점 스위치 조작 시 다른 접점 스위치의 조작을 제한하도록 상기 푸쉬 로드(120,220)가 왕복운동하는 아래 방향의 푸쉬 로드(120,220)의 중간 지점에 배치되되,
    상기 2개의 푸쉬 로드(120,220) 중 어느 하나의 푸쉬 로드가 눌러지면 눌러진 푸쉬 로드에 의해 일측면이 가압됨으로써 다른 푸쉬 로드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다른 푸쉬 로드가 눌러지는 것을 제한하는 본체(312)와;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본체(312)가 슬라이딩되기 이전의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본체(312)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탄성체(314)를 포함하는 인터락부(310)를 구비한 복합 접점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접점 스위치(100,200) 각각은,
    상기 푸쉬 로드(120,220)를 탄성 지지하도록 푸쉬 로드(120,220)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스프링(130,230)과;
    상기 푸쉬 로드(120,220)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조 스프링(140,240)과;
    상기 보조 스프링(140,240)의 양단에 보조 스프링(140,240)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배치되는 볼(150,250)과;
    상기 푸쉬 로드(120,220)를 가이드하면서 상기 볼(150,250)이 밀착되고 푸쉬 로드(120,220)의 정해진 위치에서 볼(150,250)이 안착되도록 상기 푸쉬 로드(120,220)가 왕복운동하는 좌우 위치에 수직 배치되는 좌우 플레이트(160,2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접점 스위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우 플레이트(160,260)에는 상기 푸쉬 로드(120,220)의 안착에 따른 다단 동작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요철 형태로 캠선(162,262)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 플레이트(160,26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접점 스위치.
KR1020150070156A 2015-05-20 2015-05-20 복합 접점 스위치 KR20160137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156A KR20160137706A (ko) 2015-05-20 2015-05-20 복합 접점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156A KR20160137706A (ko) 2015-05-20 2015-05-20 복합 접점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706A true KR20160137706A (ko) 2016-12-01

Family

ID=57577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156A KR20160137706A (ko) 2015-05-20 2015-05-20 복합 접점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77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089A (ko) 2020-10-26 2022-05-03 유준혁 스마트 엘리베이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417U (ko) 2007-11-06 2009-05-11 주식회사 케이지오토 호이스트용 접점블럭스위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417U (ko) 2007-11-06 2009-05-11 주식회사 케이지오토 호이스트용 접점블럭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089A (ko) 2020-10-26 2022-05-03 유준혁 스마트 엘리베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03236A (en) Electrical switch having a one-piece actuator and spring arm structure
CN203882845U (zh) 键盘按键的按键模块的按键挺杆和按键模块
US9378903B2 (en) Keyswitch structure and balance link thereof
KR100937817B1 (ko) 스위치 및 접점 모듈
CN103247454B (zh) 电气开关
EP1160815A3 (en) Multidirectional switch whose stem can be tilted and pushed
US9959993B2 (en) Key connecting module
CN104768800B (zh) 用于操作元件的操纵组件、转向柱开关杆以及转向柱组件
KR20160137706A (ko) 복합 접점 스위치
JP5821032B2 (ja) 電動工具用スライドスイッチ
CN104157494B (zh) 磁吸式按键
CN107658172B (zh) 一种平推式多方向开关结构
CN201383448Y (zh) 按钮开关
TWM482833U (zh) 按鍵結構
US6759608B2 (en) Electrical switch
KR20160137702A (ko) 접점 스위치
CN111566770B (zh) 开关
CN109219862B (zh) 电开关
CN104658793A (zh) 数据输入设备、其按键钮、按键开关、按键框、电路板和减少其按键开关的开关行程的方法
KR200442411Y1 (ko)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US9633805B2 (en) Pushbutton switch
KR20160070020A (ko) 전기 푸시버튼 스냅 스위치
US4160138A (en) Switch with indexing detent block
CN102577847A (zh) 具有改进型扳机的手持式电动工具
CN202977246U (zh) 一种手感可调节型座椅调节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