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225Y1 - 콘센트 장치 - Google Patents

콘센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225Y1
KR200457225Y1 KR2020100001401U KR20100001401U KR200457225Y1 KR 200457225 Y1 KR200457225 Y1 KR 200457225Y1 KR 2020100001401 U KR2020100001401 U KR 2020100001401U KR 20100001401 U KR20100001401 U KR 20100001401U KR 200457225 Y1 KR200457225 Y1 KR 2004572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late
coupling
outlet
suppor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4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8042U (ko
Inventor
장효정
오수근
성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남
주식회사 한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남, 주식회사 한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남
Priority to KR20201000014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22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80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0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2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2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콘센트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콘센트 장치는, 플러그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접속부를 구비하는 콘센트 유닛; 콘센트 유닛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면서 콘센트 유닛을 지지하되 적어도 일 영역에서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한 다수의 단위몸체를 구비하는 유닛 지지 몸체; 및 플러그 접속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플러그 접속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판면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유닛 지지 몸체의 일측 개구부 영역에서 유닛 지지 몸체와 조립되는 전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하며, 획일화된 기존 제품에서 벗어나 외관이 미려한 디자인을 가지기에 주변 구조물과의 조화에 따른 인테리어 소품으로서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콘센트 장치{RECEPTACLE}
본 고안은,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하며, 획일화된 기존 제품에서 벗어나 외관이 미려한 디자인을 가지기에 주변 구조물과의 조화에 따른 인테리어 소품으로서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Receptacle)는 전기의 옥내 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삽입하는 기구의 총칭이다.
콘센트의 정격 전압은 100V 또는 220V이며, 정격 전류는 10~50A이다. 보통 10A용의 1∼3 구멍형 소용량 콘센트가 가장 많이 사용되나 이 외에도 세탁기 등의 감전 방지를 위한 접지 단자붙이 콘센트, 옥외나 목욕탕 등의 방수형 콘센트, 냉장고 등에 사용되되 플러그가 빠지지 않게 하는 걸침형 콘센트, 환풍기 등의 스위치붙이 콘센트, 그리고 정격전류가 큰 대용량 콘센트 등 그 종류는 다양하다.
이러한 콘센트는 벽체나 바닥에 설치되는 방식에 따라 노출형과 매립형으로 나뉘고, 다시 사용 용도에 따라 고정형과 이동형으로 나뉜다.
따라서 콘센트는 사용 대상, 방(room)의 넓이, 설치 장소 등 그 용도 및 조건에 따라 적절한 것이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종전만 하더라도 콘센트는 방이나 거실의 벽면에 하나 또는 두 서너 개가 매립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서는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아파트 등의 주거 공간이 발전됨에 따라 콘센트는 방이나 거실의 벽면 외에도 예컨대, 싱크대나 욕실 등의 서랍장 등에도 설치되고 있다. 욕실 등의 서랍장에 설치되는 경우는 예컨대, 전기면도기 등의 전원으로 아니면 샴푸 후에 드라이기의 전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런데, 기존에 알려진 콘센트의 경우에는 그 대부분이 모듈화된 일체형 제품이기 때문에 방이나 거실의 벽면 외의 다른 장소, 즉 전술한 싱크대나 욕실 등의 서랍장 등에 설치하기가 불편하다. 이는 기존의 콘센트가 근본적으로 설치 및 조립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인데, 그렇다고 하더라도 복잡한 구조로서 이를 대체하기에는 제조 비용상 다소 무리가 따른다.
뿐만 아니라 기존 콘센트의 대부분은 플라스틱의 사출 성형에 의한 획일화된 디자인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지 전원 공급이라는 본래 기능만을 제공할 뿐 하나의 인테리어 소품으로서의 가치를 제공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하며, 획일화된 기존 제품에서 벗어나 외관이 미려한 디자인을 가지기에 주변 구조물과의 조화에 따른 인테리어 소품으로서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콘센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플러그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접속부를 구비하는 콘센트 유닛; 상기 콘센트 유닛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면서 상기 콘센트 유닛을 지지하되 적어도 일 영역에서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한 다수의 단위몸체를 구비하는 유닛 지지 몸체; 및 상기 플러그 접속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플러그 접속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판면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닛 지지 몸체의 일측 개구부 영역에서 상기 유닛 지지 몸체와 조립되는 전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단위몸체는,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단위몸체; 및 상기 한 쌍의 측면 단위몸체의 후면에서 상기 한 쌍의 측면 단위몸체와 각각 조립되는 후면 단위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 단위몸체는, 직선형 후판부; 및 상기 후판부의 양단부에서 상기 한 쌍의 측면 단위몸체를 향해 상호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형 측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형 측판부와 상기 측면 단위몸체가 상호 맞닿는 영역의 어느 일측에는 맞물림 돌기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맞물림 돌기부가 맞물림되면서 조립되는 맞물림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면 단위몸체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되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상호간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단위몸체는, 상기 콘센트 유닛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되게 결합되는 콘센트 유닛 삽입결합부; 상기 콘센트 유닛 삽입결합부의 일측에서 상기 직선형 후판부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직선구간부; 상기 직선구간부가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직선구간부와의 내부 각도가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는 제1 경사구간부; 및 상기 제1 경사구간부가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경사형 측판부와 나란하게 절곡 형성되는 제2 경사구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단위몸체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단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 삽입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삽입결합부는 상기 제1 경사구간부와 상기 제2 경사구간부가 맞닿는 지점에서 상기 제1 경사구간부 쪽으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플레이트는, 판면에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가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제1 경사구간부와 나란하게 절곡되어 상기 플레이트 삽입결합부에 부분적으로 삽입 결합되는 측면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센트 유닛 삽입결합부의 전면은 상기 직선구간부보다 상기 전면 플레이트를 향해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구간부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닛 지지 몸체의 양 단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사이드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캡은,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캡 플레이트의 판면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캡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유닛 지지 몸체에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단위몸체는, 상기 콘센트 유닛 삽입결합부, 상기 직선구간부 및 상기 제1 경사구간부 사이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다수의 결합리브 중에서 제1 결합리브가 결합되는 제1 결합리브 결합부; 상기 콘센트 유닛 삽입결합부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다수의 결합리브 중에서 제2 결합리브가 결합되는 제2 결합리브 결합부; 및 상기 제1 경사구간부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다수의 결합리브 중에서 제3 결합리브가 결합되는 제3 결합리브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리브 결합부는 상기 콘센트 유닛 삽입결합부, 상기 직선구간부 및 상기 제1 경사구간부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및 제3 결합리브 결합부는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플레이트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유닛 지지 몸체는 알루미늄(Aluminum)압출 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압출재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하며, 획일화된 기존 제품에서 벗어나 외관이 미려한 디자인을 가지기에 주변 구조물과의 조화에 따른 인테리어 소품으로서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닛 지지 몸체와 전면 플레이트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사이드 캡의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평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닛 지지 몸체와 전면 플레이트의 분해도이고, 도 6은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7 및 도 8은 각각 사이드 캡의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콘센트 장치(1)는, 전기/전자 제품의 플러그(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플러그 접속부(110)를 갖는 콘센트 유닛(100)과, 콘센트 유닛(100)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면서 콘센트 유닛(100)을 지지하되 다수의 영역에서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한 다수의 단위몸체(210,220)를 구비하는 유닛 지지 몸체(200)와, 콘센트 유닛(100)의 플러그 접속부(11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플러그 접속부(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330)이 형성되며 유닛 지지 몸체(200)의 일측 개구부(A, 도 5 참조) 영역에서 유닛 지지 몸체(200)와 조립되는 전면 플레이트(300)와, 유닛 지지 몸체(200)의 양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사이드 캡(400)을 포함한다.
각 구성들에 대해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콘센트 유닛(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플러그 접속부(110)와, 플러그 접속부(110)로의 전원을 공급하는 다수의 전원공급용 내장부품(120,도 4 참조)을 구비한다. 전원공급용 내장부품(120)은 통상적인 콘센트에 적용되는 예컨대, 단자, 칩, 블록 등으로 마련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콘센트 유닛(100)은 유닛 지지 몸체(200)에 부분적으로 지지된다. 즉 본 실시예의 콘센트 유닛(100)은 전면 플레이트(300)에 미리 결합된 상태에서 콘센트 유닛(100)과 함께 유닛 지지 몸체(200)에 슬라이딩 조립되는데, 이때 콘센트 유닛(100)의 전원공급용 내장부품(120)들 중의 어느 한 플랜지부(130)가 콘센트 유닛 삽입결합부(211)에 슬라이딩 삽입 결합됨으로써 콘센트 유닛(100)은 유닛 지지 몸체(200)에 부분적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콘센트 유닛(100)의 조립 작업 역시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콘센트 유닛(100)에는 도 3에 도시된 상하 방향을 따라 4개의 플러그 접속부(110)가 마련되나 이의 수치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유닛 지지 몸체(2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 유닛(100)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면서 콘센트 유닛(100)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 지지 몸체(200)는 다수의 영역(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영역)에서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한 다수의 단위몸체(210,220)를 구비한다.
다수의 단위몸체(210,220)는, 전면 플레이트(300)의 전면부(310)가 배치되는 개구부(A, 도 5 참조)를 사이에 두고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단위몸체(210)와, 한 쌍의 측면 단위몸체(210)의 후면에서 한 쌍의 측면 단위몸체(210)와 각각 조립되는 후면 단위몸체(220)를 구비한다.
이처럼 단위몸체(210,220)가 한 쌍의 측면 단위몸체(210)와 후면 단위몸체(220)로 마련되고, 이들이 해당 위치에서 상호간 조립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본 실시예의 콘센트 장치(1)는 어떠한 공간 및 장소일지라도 그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특히, 한 쌍의 측면 단위몸체(210)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설치 작업 역시 수월해지는 이점을 겸한다.
편의를 위해 후면 단위몸체(220)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후면 단위몸체(220)는 예컨대 본 실시예의 콘센트 장치(1)가 서랍장 등의 코너 영역에 설치될 때 코너 영역의 좁은 공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후면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즉 본 실시예의 후면 단위몸체(220)는 직선형 후판부(221)와, 직선형 후판부(221)의 양 단부에서 한 쌍의 측면 단위 몸체(210)를 향해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형 측판부(222)를 포함한다.
직선형 후판부(221)에는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개된 절개부(221a, 도 6 참조)가 형성된다. 절개부(221a)는 사이드 캡(400)과의 조립, 혹은 콘센트 유닛(100)으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선의 통로로 활용될 수 있다.
경사형 측판부(222)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단위 몸체(210)가 맞닿는 부분인 양단부 영역에 맞물림 돌기부(223)가 마련된다. 맞물림 돌기부(223)는 후술하는 측면 단위 몸체(2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맞물림 홈부(224)와 맞물림된다. 따라서 후면 단위몸체(220)한 쌍의 측면 단위몸체(210) 간이 조립 작업은 매우 수월하다.
경사형 측판부(222)의 내면 일측에는 다수의 노치(222a, 도 5 참조)가 형성되며, 노치(222a)의 주변에는 통공(222b)이 형성된다. 노치(222a)는 디자인 혹은 강도 보강용일 수 있고, 통공(222b)은 후면 단위몸체(220)를 설치 벽면에 스크루 고정시키기 위한 부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측면 단위 몸체(21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측면 단위 몸체(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 유닛(100)의 측면 일부인 플랜지부(130)가 슬라이딩 삽입 결합되는 콘센트 유닛 삽입결합부(211)와, 콘센트 유닛 삽입결합부(211)의 일측에서 직선형 후판부(221)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직선구간부(212)와, 직선구간부(212)의 단부에서 직선구간부(212)와의 내부 각도가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는 제1 경사구간부(213)와, 제1 경사구간부(213)의 단부에서 경사형 측판부(222)와 나란하게 절곡 형성되는 제2 경사구간부(214)를 구비한다.
뿐만 아니라 측면 단위 몸체(210)는, 제1 경사구간부(213)와 제2 경사구간부(214)가 맞닿는 지점에서 제1 경사구간부(213)쪽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플레이트 삽입결합부(215)와, 콘센트 유닛 삽입결합부(211)의 일면에 돌출된 부분을 형성하고 직선구간부(212) 및 제1 경사구간부(213) 사이의 영역에 마련되는 제1 결합리브 결합부(217)와, 콘센트 유닛 삽입결합부(211)의 내면에 마련되는 제2 결합리브 결합부(218)와, 제1 경사구간부(213)의 내면에 마련되는 제3 결합리브 결합부(219)를 포함한다.
측면 단위 몸체(210)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콘센트 유닛 삽입결합부(211)는 콘센트 유닛(100)의 측면 일부인 플랜지부(130)가 슬라이딩 삽입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때 콘센트 유닛 삽입결합부(211)의 양 단부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돌출부(211a,211b)가 형성되고, 콘센트 유닛(100)의 플랜지부(130)에도 이에 대응되는 구성이 마련되기 때문에 콘센트 유닛(100)은 해당 위치에서 이탈 없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직선구간부(212)는 전면 플레이트(300)를 기준으로 하여 콘센트 유닛 삽입결합부(211)의 전면보다 후방으로 치우치게 단차 형성된 부분으로서, 후술할 제1 경사구간부(213)의 돌출부(216)와 함께 전면 플레이트(300)의 양쪽 부분이 플레이트 삽입결합부(215)에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결합 될 때 쉽게 분리되지 않고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경사구간부(213)의 내면에는 제3 결합리브 결합부(219)가 형성되며, 그 전면에는 전면 플레이트(300) 방향으로는 돌출부(216)가 형성된다. 제3 결합리브 결합부(219)에는 사이드 캡(400)의 제3 결합리브(440)가 결합된다. 그리고 돌출부(216)는 전면 플레이트(300)의 양쪽 부분이 플레이트 삽입결합부(215)에 슬라이딩 삽입 결합될 때 전면 플레이트(300)의 복원 탄성력을 이용하여 전면 플레이트(300)가 플레이트 삽입결합부(215)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부여한다.
플레이트 삽입결합부(215)는 제1 경사구간부(213)와 제2 경사구간부(214)가 맞닿은 지점에서 제1 경사구간부(213)쪽으로 제1 경사구간부(213)와 나란하게 형성되어 전면 플레이트(300)의 단부가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조립되도록 하는 장소를 이룬다. 이와 같은 전면 플레이트(300)의 결합 시 직선구간부(212)의 형성 위치와 돌출부(216)에 의하여 견고히 삽입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2 경사구간부(214)는 후면 단위 몸체(220)의 경사형 측판부(222)와 나란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단부 영역에서 전술한 경사형 측판부(222)와 조립된다. 이를 위해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2 경사구간부(214)의 단부에는 경사형 측판부(222)의 맞물림 돌기부(223)와 맞물림 결합되는 맞물림 홈부(224)가 형성된다. 이처럼 맞물림 돌기부(223)와 맞물림 홈부(224)가 맞물림됨에 따라 후면 단위 몸체(220)와 측면 단위 몸체(210)가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다.
제1 결합리브 결합부(217)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 유닛 삽입결합부(211), 직선구간부(212) 및 제1 경사구간부(213)에 의하여 둘러싸지는 사이 영역에 마련된다. 이러한 제1 결합리브 결합부(217)는 사이드 캡(400)의 제1 결합리브(420)가 조립되는 장소를 이룬다.
그리고 제2 결합리브 결합부(218)와 제3 결합리브 결합부(219)는 각각 제2 결합리브(430)와 제3 결합리브(440)와의 결합을 위해 측면 단위 몸체(210)에 일체로 마련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1 결합리브 결합부(217)는 콘센트 유닛 삽입결합부(211), 직선구간부(212) 및 제1 경사구간부(213)에 의하여 둘러싸지는 사이 영역에 마련되어 있는데 반해 제2 결합리브 결합부(218)와 제3 결합리브 결합부(219)는 각각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마련된다. 물론, 이의 구조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도면의 형상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유닛 지지 몸체(200)는 강도 및 성형이 우수하고 대량 생산에 적합한 알루미늄(Aluminum) 압출 성형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면 플레이트(3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전면 플레이트(300)는 콘센트 유닛(100)의 플러그 접속부(11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플러그 접속부(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330, 도 3 참조)이 형성되는 전면부(310)와, 전면부(310)가 끝나는 지점에서 제1 경사구간부(213)와 나란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면경사부(320)를 포함한다.
전면부(310)는 본 실시예의 콘센트 장치(1)에서 전면을 형성하는 부분인데 반해 측면경사부(32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삽입결합부(215)에 삽입되면서 전면 플레이트(300)를 유닛 지지 몸체(200)에 조립시키는 부분이다.
이러한 전면 플레이트(300)는 유닛 지지 몸체(200)와 달리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의 사출 혹은 판금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으며, 제작 후에 표면이 유광처리 혹은 코팅처리될 수 있다.
특히, 전면 플레이트(300)의 전면부(310)는 외부에서 보이는 정면을 형성하는데, 이처럼 전면 플레이트(300)가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되면서 유광 혹은 코팅처리되면 플라스틱의 사출 성형에 의한 획일화된 디자인을 가지던 종래의 콘센트와 달리 하나의 인테리어 소품으로서의 가치를 제공하기에 충분하여 심미감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이드 캡(400)에 대해 알아보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캡(400)은 캡 플레이트(410)와 캡 플레이트(410)의 판면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캡 플레이트(410)로부터 돌출되어 측면 단위 몸체(210)의 제1 결합리브 결합부(217), 제2 결합리브 결합부(218)와 제3 결합리브 결합부(219)에 각각 대응되면서 결합되는 제1 내지 제3 결합리브(420,430,440)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결합리브(420,430,440)의 구성과 역할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이러한 사이드 캡(400)은 유닛 지지 몸체(200)와 전면 플레이트(300)가 상호 조립되고 나서 그 한쪽 또는 양쪽 끝부분에 조립됨에 따라 마감 처리 기능을 부여하면서도 먼지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콘센트 장치(1)의 작용, 특히 조립 과정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면 플레이트(300)와 콘센트 유닛(100)을 조립한다. 즉 콘센트 유닛(100)의 플러그 접속부(11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 즉, 콘센트 유닛(100)의 플러그 접속부(110)가 전면 플레이트(300)의 관통공(330, 도 3 참조) 영역에 대응되도록 하면서 전면 플레이트(300)와 콘센트 유닛(100)을 조립하여 이들일 일체화시킨다.
다음, 후면 단위몸체(220)와 한 쌍의 측면 단위몸체(210)를 도 5처럼 배치시킨 후에 이들을 조립하여 유닛 지지 몸체(200)를 조립한다.
유닛 지지 몸체(200)가 조립되고 나면, 일체화된 전면 플레이트(300)와 콘센트 유닛(100)을 유닛 지지 몸체(200)의 해당 부분으로 슬라이딩 결합시킨다.
그러면, 전면 플레이트(300)의 측면경사부(320)는 유닛 지지 몸체(200)의 플레이트 삽입결합부(215)에 슬라이딩 삽입되고, 동시에 콘센트 유닛(100)의 플랜지부(130)는 유닛 지지 몸체(200)의 콘센트 유닛 삽입결합부(211)에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전면 플레이트(300), 콘센트 유닛(100) 및 유닛 지지 몸체(200)의 조립 작업이 일단락된다.
그런 다음에, 도시 않은 전선을 정리하면서 미리 조립된 전면 플레이트(300), 콘센트 유닛(100) 및 유닛 지지 몸체(200)의 양쪽에 사이드 캡(400)을 조립하면 된다. 즉, 사이드 캡(400)의 제1 내지 제3 결합리브(420,430,440) 각각이 유닛 지지 몸체(200)의 제1 결합리브 결합부(217), 제2 결합리브 결합부(218)와 제3 결합리브 결합부(219)에 각각 대응되면서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콘센트 장치(1)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물론, 이와는 달리 일체화된 전면 플레이트(300)와 콘센트 유닛(100)을 한 쌍의 측면 단위몸체(210)에 먼저 조립하고, 이어서 한 쌍의 측면 단위몸체(210)에 후면 단위몸체(220)를 조립하여도 무방한데, 이렇듯 조립 방법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위의 조립 방법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의 콘센트 장치(1)에 의하면,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하며, 획일화된 기존 제품에서 벗어나 외관이 미려한 디자인을 가지기에 주변 구조물과의 조화에 따른 인테리어 소품으로서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콘센트 장치(1)는 예컨대, 싱크대나 욕실 등의 서랍장 등에 설치하기가 수월한데, 만약 본 실시예의 콘센트 장치(1)를 서랍장 내의 코너 영역에 치우치게 설치하고, 서랍장 내의 다른 벽면에 거치대 등을 장착하여 드라이기 혹은 전기면도기를 거치시켜 놓으면 서랍장의 공간 활용이 극대화되면서도 필요 시 손쉽게 드라이기나 전기면도기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할 것임에 틀림이 없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콘센트 장치 100: 콘센트 유닛
110: 플러그 접속부 200: 유닛 지지 몸체
210: 측면 단위 몸체 211: 콘센트 유닛 삽입결합부
212: 직선구간부 213: 제1 경사구간부
214: 제2 경사구간부 215: 플레이트 삽입결합부
216: 돌출부 217: 제1 결합리브 결합부
218: 제2 결합리브 결합부 219: 제3 결합리브 결합부
220: 후면 단위 몸체 221: 직선형 후판부
222: 경사형 측판부 223: 맞물림 돌기부
224: 맞물림 홈부 300: 전면 플레이트
310: 전면부 320: 측면 경사부
330: 관통공 400: 사이드 캡
410: 캡 플레이트 420: 제1 결합리브
430: 제2 결합리브 440: 제3 결합리브

Claims (16)

  1. 플러그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접속부를 구비하는 콘센트 유닛;
    상기 콘센트 유닛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면서 상기 콘센트 유닛을 지지하되 적어도 일 영역에서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한 다수의 단위몸체를 구비하는 유닛 지지 몸체; 및
    상기 플러그 접속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플러그 접속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판면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닛 지지 몸체의 일측 개구부 영역에서 상기 유닛 지지 몸체와 조립되는 전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단위몸체는,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단위몸체; 및
    직선형 후판부와, 상기 후판부의 양단부에서 상기 한 쌍의 측면 단위몸체를 향해 상호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형 측판부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측면 단위몸체의 후면에서 상기 한 쌍의 측면 단위몸체와 각각 조립되는 후면 단위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형 측판부와 상기 측면 단위몸체가 상호 맞닿는 영역의 어느 일측에는 맞물림 돌기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맞물림 돌기부가 맞물림되면서 조립되는 맞물림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 단위몸체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되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상호간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단위몸체는,
    상기 콘센트 유닛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되게 결합되는 콘센트 유닛 삽입결합부;
    상기 콘센트 유닛 삽입결합부의 일측에서 상기 직선형 후판부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직선구간부;
    상기 직선구간부가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직선구간부와의 내부 각도가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는 제1 경사구간부; 및
    상기 제1 경사구간부가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경사형 측판부와 나란하게 절곡 형성되는 제2 경사구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단위몸체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단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 삽입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삽입결합부는 상기 제1 경사구간부와 상기 제2 경사구간부가 맞닿는 지점에서 상기 제1 경사구간부 쪽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는,
    판면에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가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제1 경사구간부와 나란하게 절곡되어 상기 플레이트 삽입결합부에 부분적으로 삽입 결합되는 측면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유닛 삽입결합부의 전면은 상기 직선구간부보다 상기 전면 플레이트를 향해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구간부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지지 몸체의 양 단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사이드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캡은,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캡 플레이트의 판면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캡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유닛 지지 몸체에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단위몸체는,
    상기 콘센트 유닛 삽입결합부, 상기 직선구간부 및 상기 제1 경사구간부 사이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다수의 결합리브 중에서 제1 결합리브가 결합되는 제1 결합리브 결합부;
    상기 콘센트 유닛 삽입결합부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다수의 결합리브 중에서 제2 결합리브가 결합되는 제2 결합리브 결합부; 및
    상기 제1 경사구간부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다수의 결합리브 중에서 제3 결합리브가 결합되는 제3 결합리브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리브 결합부는 상기 콘센트 유닛 삽입결합부, 상기 직선구간부 및 상기 제1 경사구간부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2 및 제3 결합리브 결합부는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유닛 지지 몸체는 알루미늄(Aluminum)압출 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압출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
KR2020100001401U 2010-02-08 2010-02-08 콘센트 장치 KR2004572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401U KR200457225Y1 (ko) 2010-02-08 2010-02-08 콘센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401U KR200457225Y1 (ko) 2010-02-08 2010-02-08 콘센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042U KR20110008042U (ko) 2011-08-17
KR200457225Y1 true KR200457225Y1 (ko) 2011-12-09

Family

ID=45596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401U KR200457225Y1 (ko) 2010-02-08 2010-02-08 콘센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22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5524A (ja) 2000-08-25 2002-03-15 Kawamura Electric Inc 配線ダクトのコンセント
KR200392571Y1 (ko) * 2005-05-20 2005-08-19 오남용 코너용 멀티 콘센트기구
KR200404075Y1 (ko) 2005-09-22 2005-12-16 채장준 콘센트
KR100771505B1 (ko) 2006-12-28 2007-10-30 (주)펄스일렉트로닉스 220v용 콘센트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5524A (ja) 2000-08-25 2002-03-15 Kawamura Electric Inc 配線ダクトのコンセント
KR200392571Y1 (ko) * 2005-05-20 2005-08-19 오남용 코너용 멀티 콘센트기구
KR200404075Y1 (ko) 2005-09-22 2005-12-16 채장준 콘센트
KR100771505B1 (ko) 2006-12-28 2007-10-30 (주)펄스일렉트로닉스 220v용 콘센트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042U (ko)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9214B2 (ja) 家庭、事業所または工業用の設備向けの電気ガイドに沿って摺動するブラシまたはピンを有するコネクタ
CN2694564Y (zh) 可换插脚的电源插头
US8226444B2 (en) Modular power strip
US20140295691A1 (en) Mounted electrical receptacle
KR200457225Y1 (ko) 콘센트 장치
KR20170088541A (ko) 패널 벽면 매립형 복합 전기단자박스
KR200485071Y1 (ko) 조립식 멀티 콘센트 박스
KR200205433Y1 (ko) 띠벽지형 이동 콘센트
CN205004366U (zh) 应用于电子锁上的电池盒组件和电子锁
KR101710648B1 (ko) 다전원 통합분전반
KR101971050B1 (ko)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 구조
JP3085686U (ja) 多方向式コンセント
CA3149255A1 (en) Snap-fit type self-locking combined upper cover for a power strip
KR19980052843U (ko)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
KR200283186Y1 (ko) 회전되는 매립형 콘센트
CN219418817U (zh) 嵌入式开关盒、多联排嵌入式开关盒和开关组件
KR200404075Y1 (ko) 콘센트
KR200462353Y1 (ko) 벽체 매립형 콘센트 조립구조
CN204517033U (zh) 电源插座及插头结构
US12003055B2 (en) Snap-fit type self-locking combined upper cover for a power strip
CN209544710U (zh) 一种橱柜内插座结构
CN212299173U (zh) 一种壳体及电暖器
CN212649875U (zh) 底盒及智能面板
CN216648702U (zh) 一种可自由拼接的底盒
KR101293192B1 (ko)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