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192B1 -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 - Google Patents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192B1
KR101293192B1 KR1020120149708A KR20120149708A KR101293192B1 KR 101293192 B1 KR101293192 B1 KR 101293192B1 KR 1020120149708 A KR1020120149708 A KR 1020120149708A KR 20120149708 A KR20120149708 A KR 20120149708A KR 101293192 B1 KR101293192 B1 KR 101293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buried box
box
fixing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권
최은식
Original Assignee
(주)신성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성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신성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20149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건물의 벽면에 매입되는 매입박스의 전면에 스위치 본체 또는 콘센트 본체가 겸용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및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며, 특히 매입박스의 위치 변경 시공이 필요할 경우 매입박스의 재시공을 하지 않고도 스위치 본체 또는 콘센트 본체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에 매입되는 매입박스의 내측에 고정플레이트와 고정봉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고, 매입박스의 전면에 설치되는 스위치 본체 또는 콘센트 본체의 후면에 지지부재를 형성하여 간편하게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지지부재의 내부에 고정봉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스위치 또는 콘센트의 위치의 변경이 필요할 경우 스위치 본체 또는 콘센트 본체를 좌/우측 또는 상/하부로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스위치 및 콘센트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Buy boxes for telecommunications}
본 발명은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건물의 벽면에 매입되는 매입박스의 전면에 스위치 본체 또는 콘센트 본체가 겸용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및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며, 특히 매입박스의 위치 변경 시공이 필요할 경우 매입박스의 재시공을 하지 않고도 스위치 본체 또는 콘센트 본체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신축할 경우 건물의 내외부에 설치된 조명장치를 점소등하거나 실내외에서 사용하는 각종 전기기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건물의 벽면에 매입박스를 매입하고, 매입박스 전면에 스위치 혹은 콘센트를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매입박스는 건물의 벽면에 매입되어 상면 또는 측면 등에 파이프를 연결하여 그 내부로 전선이나 전화선 등을 인입시키도록 되어 있고, 매입박스의 연결부위에는 파이프를 삽입할 수 있는 연결구를 먼저 고정한 후, 상기 파이프를 삽입 연결하며, 상기 연결구는 별도로 사출하여 매입박스와 같이 포장판매하면 시공자들이 작업시에 매입박스에 조립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매입박스의 전면에 설치되는 스위치 또는 콘센트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품들이 존재하고 있으나, 대부분은 볼트에 의해 나사 결합되어 벽면에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콘센트조립체와 매입박스의 구조 및 결합관계는 도1과 같다. 이를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콘센트조립체(10)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사각의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 내에 삽입 고정되는 콘센트본체(1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1)의 중앙에는 콘센트본체(12)를 강제로 삽입·고정하기 위한 콘센트본체홀(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11)의 상하단 중앙에는 콘센트조립체(10)를 매입박스(20)에 결합하기 위한 제1볼트공(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볼트공(14)의 상하단 외곽으로는 벽면에 부착된 콘센트조립체(10)를 미려하게 꾸미기 위해서 플라스틱커버를 고정부착하기 위한 제2볼트공(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콘센트조립체(10)는 상기 프레임(11)에 형성된 콘센트본체홀(13)에 콘센트본체(12)를 삽입하므로서 완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콘센트조립체(10)를 매입박스(2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콘센트조립체(10)를 콘센트박스(20)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콘센트조립체(10)의 제1볼트공(14)을 매입박스(20)에 돌출 형성된 고정부(21)에 있는 제3볼트공(22)과 일치시킨 후, 볼트(30)를 제1볼트공(14)과 제3볼트공(22)에 삽입한 후 이를 조여서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콘센트조립체(10)를 새로 설치하거나 이를 교체하려고 할 경우 제1볼트공(14)이 제3볼트공(22)과 어긋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콘센트조립체(10)를 한 손으로 붙들고 다른 한 손으로는 제1볼트공(14) 및 제3볼트공(22)에 볼트(30)를 삽입한 후 드라이버로 볼트(30)를 조여서 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립과정이 대단히 번거롭고 불편하였다.
또한 콘센트조립체(10)를 매입박스(20)와 조립하거나 분리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로 볼트(30)가 튕겨나가 작업이 지연되는 일이 잦았으며 이로 인해 전체적인 작업능률이 크게 저하되는 등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이 많았다.
특히, 화장실 배관시 매입박스시공 및 거실 등 마감재가 있는 곳의 스위치 및 콘센트의 시공이 잘못되어 위치를 조금 이동하는 시공이 필요할 경우 종래에는 조적 및 콘크리트 벽면을 파손하여 매입박스를 다시 재시공해야 되는 불편함과, 재시공으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벽면에 매입되는 매입박스의 전면에 스위치 본체 또는 콘센트 본체가 겸용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및 설치에 따른 시간과 인건비를 절감하고, 스위치 및 콘센트의 시공이 잘못되어 위치를 조금 이동시키는 시공이 필요할 경우 매입박스의 전면에 설치된 스위치 본체 또는 콘센트 본체를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스위치 본체 또는 콘센트 본체의 이동이 가능하여 매입박스를 재시공하는 불편함을 개선시킨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입박스의 전면 내측에 고정플레이트를 절곡시킨 다음 전면에 고정봉을 결합하고, 고정봉에 대응되는 스위치 본체 또는 콘센트 본체의 후면에 고정봉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부재를 형성하여 매입박스의 재시공으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매입박스와 스위치 본체 및 콘센트 본체를 규격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매입박스에 설치되는 고정봉과 스위치 본체 또는 콘센트 본체에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상/하부 또는 좌/우측에 형성하여 시공조건에 따라서 스위치 본체 또는 콘센트 본체를 상/하부 또는 좌/우측으로 신속하게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는 건물의 벽면에 매입되는 매입박스의 전면에 스위치 본체 또는 콘센트 본체가 볼트로 고정되는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에 있어서, 벽면에 매입되는 매입박스의 전면에 스위치 본체 또는 콘센트 본체가 겸용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매입박스의 상/하부 중간부분을 내측으로 절곡시켜 고정플레이트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내부에 고정홈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홈에 고정돌기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고정돌기의 타단에는 고정봉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에 대응되는 스위치 본체 또는 콘센트 본체의 후면에 지지부재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의 벽면에 매입되는 매입박스의 전면에 스위치 본체 또는 콘센트 본체가 겸용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및 설치에 따른 시간과 인건비를 절감하고, 스위치 및 콘센트의 시공이 잘못되어 위치를 조금 이동시키는 시공이 필요할 경우 매입박스의 전면에 설치된 스위치 본체 또는 콘센트 본체를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스위치 본체 또는 콘센트 본체의 이동이 가능하여 매입박스를 재시공하는 불편함을 개선한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스위치 본체와 콘센트 본체의 후면에 형성되는 지지부재의 지지편에 매입박스의 고정봉이 착탈식으로 결합 및 분리되어 유지보수 작업이 간편하고, 스위치 본체 또는 콘센트 본체를 좌/우측 또는 상/하부로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고정봉의 설치방향을 따라서 지지편이 이동하면서 스위치와 콘센트의 위치를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매입박스와 스위치 본체 및 콘센트 본체를 규격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원가를 절감하는 동시에 매입박스에 결합되는 스위치 본체 및 콘센트 본체는 끼움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여 종래에 볼트로 고정시키는 번거로움과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에 스위치 본체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리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에 콘센트 본체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리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에 스위치 본체가 결합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에 스위치 본체가 결합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매입박스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매입박스에 스위치 본체가 결합되어 이동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상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에 매입되는 매입박스(100)와, 매입박스(100)의 전면에 설치되는 스위치 본체(200)와 콘센트 본체(200a)가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스위치 본체(200)와 콘센트 본체(200a)의 후면에 지지부재(210)가 일체로 형성되어 매입박스(100)와 억지끼움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건물의 벽면에 매입되는 매입박스(100)는,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밀폐되는 구조를 가지면서 둘레면에 전선이나 전화선 등이 인입된 파이프가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배관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매입박스(100)의 상/하부 중간부분을 내측으로 절곡시켜 고정플레이트(110)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의 내부에 고정홈(120)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홈(120)에는 매입박스(100)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고정봉(140)의 고정돌기(150)가 삽입되도록 고정하되, 상기 고정봉(140)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전면으로 돌출되어 후술할 지지부재(210)의 지지편(220)이 삽입되어 좌/우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고정봉(140)의 후면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150)는 고정홈(120)의 내부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부에 걸림턱(16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매입박스(100)의 고정플레이트(110)는 내측으로 절곡되면서 안착부(130)가 형성되어 고정봉(140)과 지지부재(210)가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매입박스(100)의 전면에 결합되는 스위치 본체(200) 또는 콘센트 본체(200a)는 매입박스(100)의 전면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판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전면에 스위치와 콘센트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면서 스위치 본체(200) 또는 콘센트 본체(200a)의 후면 상/하부에 지지부재(210)가 후면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210)는 원형의 고정봉(140)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되면서 내부가 중공된 지지편(220)이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편(220)의 내부에는 가이드홈(230)을 형성하여 매입박스(100)의 고정봉(140)을 따라서 스위치 본체(200) 또는 콘센트 본체(200a)를 밀어주면 좌/우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스위치 또는 콘센트의 시공이 잘못되어 시공위치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스위치 본체(200) 또는 콘센트 본체(200a)를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서 간편하게 시공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도 7참조)
본 발명의 매입박스(100)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110)와 고정봉(140)의 위치와 스위치 본체(200) 및 콘센트 본체(200a)에 형성되는 지지부재(210)를 좌/우측에 형성하여 스위치 본체(200) 또는 콘센트 본체(200a)를 상/하부로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서 스위치 및 콘센트의 위치를 변경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도 6 내지 도 8참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는 스위치 또는 콘센트의 시공이 잘못되어 위치를 조금 이동시켜야 할 경우 종래에는 조적 및 콘크리트 벽면을 파손하여 다시 시공해야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스위치 본체(200) 또는 콘센트 본체(200a)를 좌/우측 또는 상/하부로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지지편(220)의 내부에 삽입된 고정봉(140)의 설치방향을 지지편(220)의 가이드홈(230)이 이동을 하면서 최대 매입박스(100)의 1/2의 길이만큼 이동이 가능하여 현장에서 작업자가 스위치 본체(200) 또는 콘센트 본체(200a)의 위치를 신속하게 변경하여 시공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위치 본체(200) 또는 콘센트 본체(200a)는 매입박스(100)에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건물의 벽면에 매입된 매입박스(100)에 스위치 본체(200) 또는 콘센트 본체(200a)를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간편하게 결합이 가능하며, 유지보수 작업시 스위치 본체(200) 또는 콘센트 본체(200a)를 매입박스(100)에서 분리시키지 않고도 스위치 본체(200) 또는 콘센트 본체(200a)를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매입박스(100)의 내부에 형성된 전선의 단락상태를 간편하게 점검할 수 있는 특징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매입박스 110 : 고정플레이트
120: 고정홈 130 : 안착부
140 : 고정봉 150 : 고정돌기
160 : 걸림턱 200 : 스위치 본체
200a : 콘센트 본체 210 : 지지부재
220 : 지지편 230 : 가이드홈

Claims (5)

  1. 건물의 벽면에 매입되는 매입박스의 전면에 스위치 본체 또는 콘센트 본체가 볼트로 고정되는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에 있어서,
    벽면에 매입되는 매입박스(100)의 전면에 스위치 본체(200) 또는 콘센트 본체(200a)가 겸용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매입박스(100)의 상/하부 중간부분을 내측으로 절곡시킨 고정플레이트(110)의 전면에 안착부(130)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의 내부에 고정홈(120)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홈(120)에 결합되도록 원형으로 이루어진 고정봉(140)의 후면에 고정돌기(15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150)의 끝 부분에 걸림턱(160)을 형성하여 고정홈(120)의 후면에 밀착되며, 상기 스위치 본체(200) 또는 콘센트 본체(200a)의 후면에 형성된 지지부재(210)의 내부에 고정봉(14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10)는 스위치 본체(200) 또는 콘센트 본체(200a)의 후면 상/하부에 지지편(22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220)은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면서 내부에 고정봉(1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230)이 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스위치 본체(200) 또는 콘센트 본체(200a)에 형성된 지지편(220)과 가이드홈(230)은 고정봉(140)을 따라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벽면에 매입된 매입박스(100)의 위치 변경 시공이 필요할 경우 매입박스(100)를 재시공하지 않고도 스위치 본체(200)와 콘센트 본체(200a)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
  5. 삭제
KR1020120149708A 2012-12-20 2012-12-20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 KR101293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708A KR101293192B1 (ko) 2012-12-20 2012-12-20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708A KR101293192B1 (ko) 2012-12-20 2012-12-20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3192B1 true KR101293192B1 (ko) 2013-08-05

Family

ID=49219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708A KR101293192B1 (ko) 2012-12-20 2012-12-20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1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287Y1 (ko) * 2005-09-20 2006-01-10 김경은 방수 콘센트
KR100682724B1 (ko) * 2006-11-08 2007-02-16 주식회사 에디슨전기 회전형 전기 콘센트
KR100758340B1 (ko) 2007-02-28 2007-09-14 (주)대광기술단 공동주택의 실내 전기공급 콘센트 단자함
KR101150377B1 (ko) 2011-12-30 2012-06-08 손금태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287Y1 (ko) * 2005-09-20 2006-01-10 김경은 방수 콘센트
KR100682724B1 (ko) * 2006-11-08 2007-02-16 주식회사 에디슨전기 회전형 전기 콘센트
KR100758340B1 (ko) 2007-02-28 2007-09-14 (주)대광기술단 공동주택의 실내 전기공급 콘센트 단자함
KR101150377B1 (ko) 2011-12-30 2012-06-08 손금태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0994B1 (en) Electrical socket apparatus
KR101093898B1 (ko) 건축물용 매입형 전기스위치박스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101293192B1 (ko)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
JP5942249B2 (ja) 電線引込支柱及びそれを用いた配電システム
KR20170088541A (ko) 패널 벽면 매립형 복합 전기단자박스
KR20180072094A (ko) 케이블 배관부를 구비한 조명레일 시스템
KR20080005068U (ko) 턱트 겸용 케이블 트레이
KR20070120338A (ko) 콘센트 구조
KR101268194B1 (ko)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
KR20120000449A (ko) 조립식 배전함
KR101511952B1 (ko) 모듈 확장 및 교체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유닛
KR100607035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단자함
KR101553026B1 (ko) 배선 닥트
CN206060103U (zh) 一种接线盒
KR200318130Y1 (ko) 배선용 접속함
CN103560453A (zh) 母线槽插接箱快速固定卡板
KR100640697B1 (ko)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 박스
KR101380772B1 (ko) 노출형 전기계량기 함
KR101461645B1 (ko) 공기조화기용 매립형 배관 접속함
CN216488694U (zh) 一种多卡位暗装底盒
KR100396425B1 (ko) 원형 전선관박스
KR100836192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구조
KR101150377B1 (ko)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
KR20100009340A (ko) 아우트렛 박스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