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204Y1 - 비상탈출용 가방 - Google Patents

비상탈출용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204Y1
KR200457204Y1 KR2020080013349U KR20080013349U KR200457204Y1 KR 200457204 Y1 KR200457204 Y1 KR 200457204Y1 KR 2020080013349 U KR2020080013349 U KR 2020080013349U KR 20080013349 U KR20080013349 U KR 20080013349U KR 200457204 Y1 KR200457204 Y1 KR 2004572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binder
emergency escape
bound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3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955U (ko
Inventor
정성일
Original Assignee
정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일 filed Critical 정성일
Priority to KR20200800133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204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9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9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2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Abstract

본 고안은 비상탈출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 자일, 자일의 일단에 결속되는 제 1 결속기, 자일의 일부와 결속되는 하강기, 하강기에서 상기 자일이 삽입되지 않은 타단과 결속되는 제 2 결속기 및 일면에 한 쌍의 가방끈이 구비되고, 이 한 쌍의 가방끈에 상기 제 2 결속기가 결속되는 가방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완강기가 구비되지 않은 고층 건물이나 산과 같은 고지대에서 재난발생시 지면으로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완강기, 재난, 사고, 가방, 비상탈출

Description

비상탈출용 가방 {BAG FOR EMERGENCY ESCAPING FROM A HIGH PLACE}
본 고안은 가방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방에 자일과 이 자일에 결속되는 결속구 및 하강기와 같은 하강부재를 구비하여 건물등에서 화재나 유독가스의 유출 등과 같은 재난이 발생한 경우, 건물의 창문등을 통해 용이하게 지상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탈출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생활이 대도시 주변에 밀집되면서 대도시에는 많은 아파트 및 빌딩 등과 같은 고층건물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고층건물들은 건축법 및 소방법상 화재 등의 재난 상황에 대비하여 비상계단이나 화재 진화시설과 같은 재난 대비용 시설을 갖추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재난 대비용 시설들은 고층 건물에서 생활하고 있는 모든 사람들의 안전성을 만족스럽게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건물의 각 층에는 완강기나 이와 유사한 비상탈출 장치들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 건물등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많은 사람들이 재난 대비용 시설로 몰리면서 주변의 사람들을 잡아당기거나 밀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건물등에 구비된 비상탈출 장치들은 낙하 충격을 완충하는 장치가 없으므로 재난 발생시 건물 외부로 탈출하는 탈출자가 낙하시 지면과 부딪히는 충격에 의해 부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건물내 화재 발생시 비상탈출 장치가 구비된 지역이 화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실질적으로 비상탈출 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등에서 재난 상황발생시 완강기의 구비 여부에 관계없이 건물 창문등을 통하여 건물 외부로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는 비상탈출용 가방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부로 탈출하는 사용자가 낙하에 의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완충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비상탈출용 가방을 제공함에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건물에서 화재 발생시 비상탈출 장치가 구비된 지역이 화재의 범위에 있다 하더라도 건물내 화재가 심하지 않은 지역을 통해 건물 외부로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는 비상탈출용 가방을 제공함에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비상탈출용 가방은 자일, 상기 자일의 일단에 결속되는 제 1 결속기, 상기 자일의 일부와 결속되는 하강기, 상기 하강기에서 상기 자일이 삽입되지 않은 타단과 결속되는 제 2 결속기 및 일면에 한 쌍의 가방끈이 구비되고, 이 한 쌍의 가방끈에 상기 제 2 결속기가 결속되는 가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결속기 및 상기 제 2 결속기는 카라비너 및 퀵드로우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방은, 내부 또는 외부의 일측에 상기 자일, 상기 제 1 결속기, 상기 하강기 및 상기 제 2 결속기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구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는, 책과 필기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제 1 수납부와 상기 자일과 상기 자일에 상기 제 1 결속기, 상기 하강기 및 상기 제 2 결속기가 결속된 하강부재를 수납되는 제 2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비상탈출용 가방은 완강기가 구비되지 않은 건물등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건물의 기둥 또는 창틀과 같은 지지대에 자일을 고정한 후 창문을 통해 안전하게 저지대로 탈출할 수 있으므로 비상계단등에서 탈출하는 사람들에게 밀려 부상을 입을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비상탈출용 가방은 가방이 둔부에 밀착되어 건물등에서 낙하하는 사용자가 둔부부터 지면에 낙하한다 하더라도 둔부에 밀착된 가방에 의해 낙하에 의한 충격을 완충하여 부상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비상탈출용 가방은 건물내 화재 발생시 화재의 영향이 적은 지역에서 창문등을 통해 건물 외부로 탈출할 수 있으므로 인명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무게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여 일상생활에서 휴대가 가능한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 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가방의 정면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비상탈출용 가방은 가방(100) 및 이에 결속된 하강부재(300)를 포함한다.
가방(100)은 가방 몸체(110), 가방끈(120), 가방걸이(130), 좌·우고정끈(150,170) 및 수납부(190)로 구성된다.
가방 몸체(110)는 그 내부에 일련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제 1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다. 학생들의 경우 제 1 수납부에 책과 필기구 등을 수납할 수 있으며 등에 매기 편하도록 등과 맞닿는 부분이 평평하게, 그리고 푹신하게 형성된다.
가방 끈(120)은 가방(100)에 한 쌍으로 형성되며 가방(100)이 등과 맞닿는 부분에 구비된다. 통상적으로는 가방(100)을 휴대할 때 가방 몸체(110)를 등에 메어 신체에 가방 몸체를 결속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방 끈(120)에 제 2 결속기(370)가 결속된다.
가방 걸이(130)는 가방(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책상의 일측에 형성된 고리등에 가방(100)을 걸어 둘 수 있는 고리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좌·우 고정 끈(150,170)은 가방(100)의 좌·우측에 구비되어 일반적으로 가방 몸체(110)를 허리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좌측 고정 끈(150)은 일측이 가방 몸체(110)에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걸쇠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우측 고정 끈(170)은 좌측 고정끈(130)이 형성된 위치와 대향되도록 가방 몸체(110)의 우측에 형성되며 일측이 가 방 몸체(110)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에는 잠금쇠부(171)가 형성될 수 있다.
좌측 고정 끈(150)의 걸쇠부(151)는 우측 고정 끈(170)에 형성된 잠금쇠부(171)와 결속하여 가방 몸체(110)를 신체의 일부에 고정할 수 있다. 즉 잠금쇠부(171)가 걸쇠부(151)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잠금쇠부(171) 좌우측에 돌출된 잠금돌기(173)가 걸쇠부(151)의 좌우측에 함몰되어 형성된 걸쇠홀(153)에 결속되면서 잠금쇠부(171)가 임의로 걸쇠부(15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가방(100)의 일측에는 미도시되었으나 하강부재(300)을 가방 몸체(110)에 결속하는 방법 및 가방 몸체(110)와 결속된 하강부재(300)을 이용하여 건물 외부로 탈출하는 방법을 기재한 사용설명서가 부착될 수 있다.
가방 몸체(110)의 일측에 형성된 수납부(190)는 상술한 하강 수단(300)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며 지퍼와 같은 개폐수단을 이용하여 내부에 수납된 하강 수단(300)을 꺼내거나 다시 보관할 수 있다. 이 수납부(190)는 가방 몸체(110)에 형성된 수납공간과는 별도로 구비되며 본 고안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가방 몸체(110)의 외부면에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책과 필기구등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에도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가방의 하강부재의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하강부재(300)를 설명한다.
하강부재(300)는 자일(310), 제 1 결속기(330), 하강기(350) 및 제 2 결속기(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하강부재(300) 중 자일(310)은 강한 내구성과 인장력을 형성하기 위해 다수의 끈이 얽어서 하나의 자일(310)을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자일(310)은 본 고안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지름이 10.2mm에 길이가 10M 정도인 등산용 자일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등산용 자일을 단지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상술한 지름과 길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지름과 길이를 가진 자일(310)을 사용할 수 있다.
제 1 결속기(330)는 자일(310)의 일단에 결속된다. 이 제 1 결속기는(330) 카라비너 및 두 개의 카라비너를 결합한 형태인 퀵드로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카라비너와 퀵드로우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고층 건물에서 지상으로 내려오는 사용자의 무게를 용이하게 지탱할 수 있다.
하강기(350)에는 자일(310)의 일부가 결속될 수 있다. 하강기(350)에는 적에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관통공에는 자일(310)의 일부가 삽입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8자형 하강기(350)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하강기(350)를 이용할 수 있다.
제 2 결속기(370)는 하강기(350)에서 자일(310)이 삽입되지 않은 타단의 관통공에 결속된다. 제 2 결속기(370)로는 상술한 제 1 결속기(330)와 동일하게 카라비너 또는 퀵드로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제 1 결속기(33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가방의 제 1 결속기의 정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제 1 결속기(330)는 본체(331), 제 1 걸쇠(333), 지지부(335), 힌지부(337) 및 제 2 걸쇠(339)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체(331)는 자일(310)의 일단이 결속되어 자일(310)로부터 하중이 전달되면 이를 지지할 수 있으며 그 일측이 개방되어 마치 'C'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본체(331)의 개방된 일단에는 고리모양의 제 1 걸쇠(333)가 형성된다.
지지부(335)는 본체(331)에서 제 1 걸쇠(333)가 형성되지 않은 개방된 타단에 형성되며, 힌지부(337)는 이 지지부(335)에 회동가능하도록 결속된다. 즉 힌지부(337)와 지지부(335)의 일부가 서로 접촉한 부분을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관통시켜서 이 고정수단을 축으로 힌지부(337)가 회동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제 2 걸쇠(339)는 힌지부(337)에서 지지부(335)와 결속되지 않은 부분에, 즉 본체(331)의 개방된 일단에 형성된 제 1 걸쇠(333)와 대향하게 형성된다. 이 제 2 걸쇠(339)는 제 1 걸쇠(333)와 서로 맞물리면서 본체(331)에 결속된 자일(310)이 본체(331)의 면을 따라 이동할 때 본체(331)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미도시되었으나 힌지부(337)에 고정구가 더 구비되어 제 2 걸쇠(339)와 제 1 걸쇠(333)가 서로 맞물린 부분이 고정되는 것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결속부(330)에 자일(310)을 삽입하고 매듭에 의해 자일(310)과 제 1 결속부(330)를 결속한 후 제 1 걸쇠(333)와 제 2 걸쇠(339)를 개폐하여 자일(310)과 제 1 결속부(330)의 결속을 더욱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결속기(3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결속기(35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카라비너 또는 퀵드로우 등을 사용 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이 신체에 장착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한다.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가방의 신체 장착도로서 먼저 가방(100)에 형성된 한 쌍의 가방끈(120)을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한 후, 하강부재(300)의 제 2 결속기(370)를 이용하여 이 한 쌍의 가방 끈(130)을 마치 'X'의 형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가방(100)에 위치한 가방 걸이(130)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가방 몸체(110)를 회전하여 가방(100)의 상하가 뒤집힌 형상이 되도록 하고 'X' 형상으로 고정된 가방 끈(120)에 두 다리를 각각 삽입하여 가방 몸체(110)가 신체에 걸쳐지도록 한다.
그리고 'X' 형상의 가방 끈(120)을 허벅지까지 끌어올리면 가방 몸체(110)가 착용자의 다리를 타고 올라오면서 둔부에 걸쳐져 일종의 쿠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가방 몸체(110)가 착용자의 둔부에 걸쳐진 상태에서 좌측 고정 끈(150)과 우측 고정 끈(170)에 각각 구비된 걸쇠부(151)와 잠금쇠부(171)를 결속하여 가방 몸체(110)를 착용자의 둔부에 더욱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예로써 비상탈출용 가방을 착용한 착용자가 건물 외부로 탈출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가방을 착용한 착용자가 건물의 지지대에 자일(310)의 일측을 묶은 상태에서 제 1 결속구(330)를 이용하여 자일(310)이 지지대를 이탈하지 않도록 결속한다. 그리고 지지대에 결속된 자일(310)의 일부를 착용자가 왼손에 파지하고 지지대에 묶이지 않은 자일(310)의 일부를 건물 외부로 늘어뜨린 후 건물 외부로 늘어뜨린 자일(310)의 일부를 오른손에 파지한다. 그리고 건물의 창문등을 통해 건 물 외부로 나가서 다리로 건물 벽면을 지지하며 오른손에 잡은 자일(310)을 쥐었다가 펴는 것을 반복하면서 이와 같은 반복 동작에 따라 지지대에 결속한 자일(310) 또한 왼손으로 쥐었다가 펴는 것을 반복한다. 그러면 오른손에 파지한 자일(310)이 하강기(350)를 통해 왼손으로 이동하면서 신체 하중에 의해 신체가 지면으로 하강한다. 이 경우 자일(310)이 오른손에서 왼손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열은 하강기(350)에 흡수되어 사용자의 손에 마찰열에 의한 화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왼손과 오른손에 각각 파지한 자일(310)을 쥐었다가 펴는 속도를 조절하여 하강하는 속도를 조절하며 지상으로 하강한다. 또한 가방 몸체(110)가 사용자의 둔부에 밀착되므로 하강시 둔부가 지상과 충돌한다 하더라도 가방 몸체(110)에 의해 사용자가 받을 수 있는 낙하 충격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재난이 발생한 건물의 내부에 미처 대피하지 못한 다수의 사람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물의 일부가 붕괴하여 비상구가 차단되거나 비상계단등이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비상탈출용 가방을 착용한 착용자가 지상으로 안전하게 착지 한 후, 착용했던 비상탈출용 가방을 탈의하면 건물에 남아 있는 사람들이 탈의된 비상탈출용 가방을 끌어올려 다시 재 사용 함으로써 다수의 사람들이 한 개의 비상탈출용 가방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건물 외부로 탈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다수의 사람들이 건물의 지지대에 고정된 자일의 일측을 잡아 확실하게 고정함으로서 비상탈출용 가방을 착용한 착용자가 더욱 안전하게 지상으로 착지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이 때는 비상탈출용 가방을 착용한 착용자가 하강기(350)의 사용법을 모르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자일(310)의 일측을 잡고 있는 다 수의 사람들이 지상으로 하강하는 자일(310)의 속도를 조정하여 착용자를 안전하게 지상으로 착지시킬 수 있다.
상기 도면과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단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제시한 예시로서 의미를 한정하거나 실용신안등록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가방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가방의 하강부재의 도면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가방의 제 1 결속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가방의 신체 장착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예로써 비상탈출용 가방을 착용한 착용자가 건물 외부로 탈출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3)

  1. 자일;
    상기 자일의 일단에 결속되는 제 1 결속기;
    상기 자일의 일부와 결속되는 하강기;
    상기 하강기에서 상기 자일이 삽입되지 않은 타단과 결속되는 제 2 결속기; 및
    가방 몸체와, 상기 가방 몸체의 일면에 구비된 한 쌍의 가방끈과, 상기 가방 몸체의 좌·우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방 몸체를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하는 좌·우 고정끈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가방끈에 함께 상기 제 2 결속기가 결속되는 가방;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결속기 양쪽의 상기 한 쌍의 가방끈과 상기 가방 몸체 사이로 사용자의 두 다리를 삽입하여 상기 가방을 끌어올려 사용자의 둔부에 상기 가방 몸체를 밀착시키고, 상기 좌·우 고정끈으로 상기 가방을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용 가방.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속기 및 상기 제 2 결속기는,
    카라비너 및 퀵드로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용 가방.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은,
    내부 또는 외부의 일측에 상기 자일에 상기 제 1 결속기, 상기 하강기 및 상기 제 2 결속기가 결속된 하강부재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용 가방.
KR2020080013349U 2008-10-06 2008-10-06 비상탈출용 가방 KR2004572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349U KR200457204Y1 (ko) 2008-10-06 2008-10-06 비상탈출용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349U KR200457204Y1 (ko) 2008-10-06 2008-10-06 비상탈출용 가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955U KR20100003955U (ko) 2010-04-15
KR200457204Y1 true KR200457204Y1 (ko) 2011-12-13

Family

ID=44450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349U KR200457204Y1 (ko) 2008-10-06 2008-10-06 비상탈출용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204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4135A (en) 1986-01-22 1987-12-22 Rappel Rescue Systems, Inc. Rappel rescue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4135A (en) 1986-01-22 1987-12-22 Rappel Rescue Systems, Inc. Rappel rescu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955U (ko)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5792B2 (en) Firefighter rapid emergency extraction device
US20040140152A1 (en) Convertible harnes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KR870006912A (ko) 안전하강 시스템
US20050194211A1 (en) Footholds for fall protection devices
JP2009515567A (ja) 個人用緊急救助ベルト
US5671822A (en) Self-belaying descending apparatus
US20070102240A1 (en) Bail out device
US6308335B1 (en) Extrication harness apparatus having suspender assembly
US20040182644A1 (en) Rescue harness for injured person and rescuer
JPH05504494A (ja) 安全防止および降下装置、その使用方法及びそれと共に使用可能な身体係留手段
CN107126646A (zh) 一种电力工人高空坠落悬吊自救系统及方法
US9873005B1 (en) Fireman's carry strap
JP6869381B2 (ja) 安全ハーネス装置
US20160206902A1 (en) Fire escape emergency descent system (eds)
WO2007146020A2 (en) Emergency egress carrier for child or pet
EP3704978B1 (de) Schutzbekleidung
KR200457204Y1 (ko) 비상탈출용 가방
DK2468119T3 (en) Protection Jacket, especially fire protection jacket with an integrated belt
CN208710851U (zh) 一种高楼逃生装置
CN206152129U (zh) 杆塔登高防坠落缓冲装置
CN210472831U (zh) 集成坠落缓震保护和坠落悬挂后自救的坠落安全防护装置
KR200493565Y1 (ko) 비상탈출 장비보관용 기능성 가방
CN201959429U (zh) 高楼逃生保护装备
CN201988071U (zh) 高楼逃生安全座篮
KR100873784B1 (ko) 배낭형 완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