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994Y1 - 모터의 진동흡수장치 - Google Patents

모터의 진동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994Y1
KR200456994Y1 KR2020090002721U KR20090002721U KR200456994Y1 KR 200456994 Y1 KR200456994 Y1 KR 200456994Y1 KR 2020090002721 U KR2020090002721 U KR 2020090002721U KR 20090002721 U KR20090002721 U KR 20090002721U KR 200456994 Y1 KR200456994 Y1 KR 2004569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otor
vibration absorbing
substrate
absorbing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7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166U (ko
Inventor
권오범
Original Assignee
권오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범 filed Critical 권오범
Priority to KR20200900027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994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1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1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9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9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터의 진동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터를 장착하는 진동흡수패드의 저면에 부가된 돌기에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코일스프링을 부가하여 본체에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하여 무소음으로 원활하게 구동되는 모터의 진동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양측을 상향으로 절곡하여 모터의 양측을 고정하는 협지편과, 상기 기판의 저면에 하부로 돌출된 돌기를 갖는 진동흡수패드와; 상기 통공에 삽입되어 캡이 부가된 피스를 체결하여 진동흡수패드를 보일러 본체에 일체로 고정하는 지지대로 구성된 것이다.
진동흡수패드

Description

모터의 진동흡수장치{Vibration absorb apparatus of motor}
본 고안은 모터의 진동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터를 장착하는 진동흡수패드의 저면에 부가된 돌기에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코일스프링을 부가하여 보일러 본체에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하여 무소음으로 원활하게 구동되는 모터의 진동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수매트에서 핵심적 기능을 수행하는 순환모터는 일정온도로 상승한 온수를 매트로 순환시키는 것으로서, 이는 제품의 특성상 소음이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순환모터는 휀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보일러 본체에 전달되어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소음은 취침시에 적지않은 지장을 초래하여 사용자가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모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소음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줄인 모터의 진동흡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주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양측을 상향으로 절곡하여 모터의 양측을 고정하는 협지편과, 상기 기판의 저면에 하부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를 갖는 진동흡수패드와; 상기 돌기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통공에 삽입되어 캡이 부가된 피스를 체결하여 진동흡수패드를 보일러 본체에 일체로 고정하는 지지대로 구성된 것이다.
또 상기 기판에 형성된 통공과 지지대와, 기판의 상면과 지지대에 체결되는 피스와의 사이에 간극을 유지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 및 이로부터 얻게 되는 특유의 효과 등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이다.
동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진동흡수패드(10)와, 상기 진동흡수패드(10)의 하부에 부가되어 진동을 저감하는 코일스프링(15)과 상기 진동흡수패드(10)를 보일러 본체(30)에 고정하는 지지대(25)로 구성된다.
또 진동흡수패드(10)는 모터(20)를 고정함과 아울러 진동을 흡수하기위한 것으로서, 이는 진동의 흡수가 우수한 기판(1)과, 이 기판(1)의 양측을 상향으로 절곡하여 내측에 모터(20)를 고정하는 협지편(2)과, 상기 기판(1)의 저면에 부가되는 돌기(3)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기판(1)의 중앙에는 통공(1a)을 형성하여 이에 후술하는 지지대(25)를 삽입하여 보일러 본체(30)와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판(1)의 양측을 상향으로 절곡한 협지편(2)에 부가되어 있는 삽입공(2a)에는 모터(20)의 양측을 삽입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기판(1)의 저면에 복수개 형성된 돌기(3)는 단부를 침형상으로 뾰족하게 성형한 침부(3a)가 형성된 것으로서, 이는 보일러 본체(30)와 접촉시에 면접촉을 최소한으로 하여 진동의 전달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또 이러한 돌기(3)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15)은 모터(2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한 진동흡수패드(10)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상부는 진동흡수패드(10)의 저면에 하부는 보일러 본체(30)를 구성하는 바닥판에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한 진동흡수패드(10)를 보일러 본체(3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보일러 본체(30)를 구성하는 바닥판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지지대(25)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기판(1)에 형성된 통공(1a)을 지지대(25)에 삽입한 후, 상부에는 캡(16a)이 부가된 피스(16)를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대(25)와 통공(1a)과의 사이에는 미세한 간극이 형성되고, 또 진동흡수패드(10)와 피스(16)를 구성하는 캡(16a)의 저면에도 간극(D)을 유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모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진동흡수패드에서 흡수하고, 이 진동흡수패드에서 흡수한 진동을 보일러 본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코일스프링을 더 부가하므로서 모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즉 진동흡수패드(10)에 장착된 모터(20)의 구동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며, 이 진동은 고무로 성형된 진동흡수패드(10)에서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모터(2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패드(10)는 상/하/좌/우로 떨림현상이 발생한다.
상기 진동흡수패드(10)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진동은 기판(1)의 저면에 부가된 돌기(3)에 결합된 코일스프링(15)에서 흡수하게 된다.
또한 좌/우의 떨림은 지지대(25)와 통공(1a)과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D)에 의해서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진동흡수패드(1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보일러 본체(30)에 전달되기 전에 모두 차단하여 흡수하므로서 모터(20)의 구동중에 발생되는 소음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는 본 고안의 진동흡수패드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진동흡수패드에 코일스프링을 결합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진동흡수패드를 보일러 본체에 결합한 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도 4는 진동흡수패드의 모터를 결합한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지지대에 진동흡수패드를 결합한 상태를 예시한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 2 : 협지편
3 : 돌기 10 : 진동흡수패드
15 : 코일스프링 16 : 피스
20 : 모터 25 : 지지대
30 : 보일러 본체

Claims (2)

  1.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양측을 상향으로 절곡하여 모터의 양측을 고정하는 협지편과, 상기 기판의 저면에 하부로 돌출된 돌기를 갖는 진동흡수패드와; 상기 돌기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통공에 삽입되어 캡이 부가된 피스를 체결하여 진동흡수패드를 보일러 본체에 일체로 고정하는 지지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진동흡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형성된 통공과 지지대와, 기판과 지지대에 체결되는 피스와의 사이에 간극을 확보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진동흡수장치.
KR2020090002721U 2009-03-10 2009-03-10 모터의 진동흡수장치 KR2004569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721U KR200456994Y1 (ko) 2009-03-10 2009-03-10 모터의 진동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721U KR200456994Y1 (ko) 2009-03-10 2009-03-10 모터의 진동흡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166U KR20100009166U (ko) 2010-09-20
KR200456994Y1 true KR200456994Y1 (ko) 2011-12-02

Family

ID=45569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721U KR200456994Y1 (ko) 2009-03-10 2009-03-10 모터의 진동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9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100B1 (ko) * 2023-03-08 2024-03-21 썬에스지엠 주식회사 점자 패턴 형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53098B (zh) * 2021-01-28 2022-11-08 无锡安可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自适应电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1046A1 (fr) 1995-12-04 1997-06-12 Eiichi Kakisako Appareil amortissant les vibrations
KR200158909Y1 (ko) 1994-02-25 1999-10-15 전주범 세탁기 진동 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8909Y1 (ko) 1994-02-25 1999-10-15 전주범 세탁기 진동 흡수장치
WO1997021046A1 (fr) 1995-12-04 1997-06-12 Eiichi Kakisako Appareil amortissant les vibra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100B1 (ko) * 2023-03-08 2024-03-21 썬에스지엠 주식회사 점자 패턴 형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166U (ko) 2010-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57636B (zh) 硬盘固定结构及采用该硬盘固定结构的电脑主机
CN101742876B (zh) 组合式风扇框架
KR200456994Y1 (ko) 모터의 진동흡수장치
KR101096158B1 (ko) 콤프레서 마운팅 구조
US20120063886A1 (en) Anti-Vibration Fan
KR20220076494A (ko) 진동 감쇠 브래킷 및 전자 장치
JP2005138818A (ja) 車両のパワープラントマウントアセンブリー
CN212392966U (zh) 一种喇叭减震结构及智能交互设备
JP5481948B2 (ja) ハードディスク装置
KR200477623Y1 (ko) 진동방지 및 조립성이 향상되는 전동공구
CN110730395A (zh) 减震装置及音箱
CN203354474U (zh) 一种振动地拖
CN108618729B (zh) 洗碗机洗涤电机的安装结构及洗碗机
JP2008294270A (ja) 空冷ファン付電子装置およびファンユニット
CN216877724U (zh) 一种前后端减震的跑步机
CN212033914U (zh) 一种家用电器电机散热风扇防抖降噪结构
CN218094961U (zh) 一种改进型家电用弹簧减震器
CN110351972A (zh) 一种双面电路板定位装置
KR100609893B1 (ko) 팬 어셈블리
CN215686756U (zh) 烹饪器具
CN201198889Y (zh) 减震悬吊机构
CN218387441U (zh) 一种低噪声晶体振荡器
CN210686443U (zh) 一种减振风机安装座
CN113258711B (zh) 一种带有减震降噪机构的电机端盖
CN211607123U (zh) 一种板件安装固定结构及家用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