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924Y1 - 귀고리 - Google Patents

귀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924Y1
KR200456924Y1 KR2020080015606U KR20080015606U KR200456924Y1 KR 200456924 Y1 KR200456924 Y1 KR 200456924Y1 KR 2020080015606 U KR2020080015606 U KR 2020080015606U KR 20080015606 U KR20080015606 U KR 20080015606U KR 200456924 Y1 KR200456924 Y1 KR 2004569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ry
fixing part
pin
fixing
ear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6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619U (ko
Inventor
최윤호
Original Assignee
(주)비비드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비드펄 filed Critical (주)비비드펄
Priority to KR20200800156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924Y1/ko
Publication of KR201000056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6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9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3Ear-studs or their catc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08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emovable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귀고리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전통적인 보석난집을 이용한 귀고리 제작공정과 달리 난집을 뒤집어 난집발을 하측에 형성함으로 착용중 걸려 변형됨을 방지하고 난집발의 변형으로 인한 보석 장식부재의 분실을 방지하며 난집발 중 하나이면서 보석 장식부재의 저면을 고정하고 귓불의 통증을 방지함과 동시에 난집과 고정핀을 연결지지하도록 구조를 형성하여 보석 장식부재를 견고히 고정시키면서 저면으로부터 많은 빛이 유입되어 보석 장식부재의 밝기가 향상되고 귀금속 재료량을 줄여 제조단가를 절감하며 제조과정을 단순화함으로 작업효율이 높아 가격경쟁력이 우수한 귀고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보석 장식부재가 다수의 난집발로 고정된 장식부와 그 일측으로부터 핀형으로 신장된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과 결합되는 핀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귀고리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10)는, 상면에 개구(11a)가 형성된 링형이되 저면에서 상기 개구(11a)까지 개구(11a)보다 큰 지름을 갖는 안착홈(11b)이 개구(11a)와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저면으로부터 최소 1개 이상의 난집발(12)이 하향하여 형성되는 상측고정부(11)와; 상기 보석 장식부재의 원뿔형 하단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귓불에 장식부재가 직접닿아 발생되는 통증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측고정부(11)로부터 소정간격 하측으로 이격된 링형으로 형성되고 일측 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고정핀(20)이 하향으로 신장되는 하측고정부(13)와; 상기 상측고정부(11)와 하측고정부(13)가 동일 축상에 위치되고 동일측 외주면을 연결하되 보석 장식부재의 원뿔면과 밀착을 도모하도록 상측고정부(11)와 하측고정부(13)의 외주면을 따라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연결지지부(14);로 이루어지는 귀고리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귀고리, 난집, 난집발, 상측고정부, 하측고정부, 연결지지부

Description

귀고리{EARRING}
본 고안은 귀고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통적인 보석난집을 이용한 귀고리 제작공정과 달리 난집을 뒤집어 난집발을 하측에 형성함으로 착용중 걸려 변형됨을 방지하고 난집발의 변형으로 인한 보석 장식부재의 분실을 방지하며 난집발 중 하나이면서 보석 장식부재의 저면을 고정하고 귓불의 통증을 방지함과 동시에 난집과 고정핀을 연결지지하도록 구조를 형성하여 보석 장식부재를 견고히 고정시키면서 저면으로부터 많은 빛이 유입되어 보석 장식부재의 밝기가 향상되고 귀금속 재료량을 줄여 제조단가를 절감하며 제조과정을 단순화함으로 작업효율이 높아 가격경쟁력이 우수한 귀고리에 관한 것이다.
통상, 귀고리(EARRING)이라고 하면, 귀를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식부재를 고리 또는 핀을 이용하여 귓불의 구멍에 삽입하여 착용하거나 클립을 이용하여 귓불에 물려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귀고리의 장식부재는 주로 하나 이상의 보석과 귀금속을 이용하여 아름 답게 형성하되, 진주, 큐빅, 다이아몬드, 에메랄드 등의 보석을 귀금속에 안착시켜 고정하기 위해서 난집을 형성하고 보석을 안착시킨 뒤 다수의 난집발(보석을 물기 위한 절첩가능한 돌출부)을 휘어 고정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난집발은 보석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고정되기는 하나 돌출되어 있고 얇고 뽀족하여 사용자의 옷자락이나 머리카락 등에 걸리면 벌어지면서 변형되기가 매우 용이하여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난집발의 변형은 단순한 변형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부러지는 경우 많으며 이로 인해 보석이 난집으로부터 이탈되어 보기 흉한 장신구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장신구 중 귀에 착용되는 귀고리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여서, 머리카락이나 목도리, 목폴라 등에 걸리는 회수가 잦으며 이로 인해 불편함을 겪은 적이 누구나 한 두 번 있을 정도로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또한, 다이아몬드와 같은 보석 장식부재의 경우, 배면측에서 유입되는 빛의 정도에 따라 더욱 밝게 빛날 수 있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난집을 변형하여 배면측으로부터 유입되는 빛의 양을 증가시키는 구조로 제조하기도 하였으나, 이 귀고리도 마찬가지로 머리카락이나 옷가지에 걸리는 일이 잦고 걸림으로 인해 난집발이 변형되거나 부러져 고가의 보석이 분실되는 일이 잦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통형 난집에 보석을 안착시키고 난집발을 눌러 고정함으로 보석이 분실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이 또한 함체 형상의 난집에 보석을 안착시키고 전면 가장자리에 형 성된 난집발을 핀셋 등으로 오므려 보석을 고정하는 제조방법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여 난집발이 보석 전면을 감싸도록 위치하고 있어 머리카락이나 옷가지 등에 걸리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원통형 난집으로 인해 배면측으로부터 유입되는 빛의 양이 현저히 감소되어 보석의 밝기가 어두워지는 문제점까지 추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또한 무엇보다도 제조에 사용되는 귀금속의 양이 증가되어 제조단가가 상승되므로 가격경쟁력이 없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귀고리를 귓불에 착용시 장식부재가 직접 귓불에 닿아 장시간 착용시 통증을 호소하거나 충격발생시 상처가 생기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전통적인 보석난집을 이용한 귀고리 제작공정과 달리 난집을 뒤집어 난집발을 하측에 형성함으로 착용중 걸려 변형됨을 방지하고 난집발의 변형으로 인한 보석 장식부재의 분실을 방지하며 난집발 중 하나이면서 보석 장식부재의 저면을 고정하고 귓불의 통증을 방지함과 동시에 난집과 고정핀을 연결지지하도록 구조를 형성하여 보석 장식부재를 견고히 고정시키면서 저면으로부터 많은 빛이 유입되어 보석 장식부재의 밝기가 향상되고 귀금속 재료량을 줄여 제조단가를 절감하며 제조과정을 단순화함으로 작업효율이 높아 가격경쟁력이 우수한 귀고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보석 장식부재가 다수의 난집발로 고정된 장식부와 그 일측으로부터 핀형으로 신장된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과 결합되는 핀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귀고리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10)는, 상면에 개구(11a)가 형성된 링형이고 외주면을 따라 저면으로부터 최소 1개 이상의 난집발(12)이 하향하여 형성되는 상측고정부(11)와; 상기 보석 장식부재의 원뿔형 하단부의 고정을 도모하도록 상기 상측고정부(11)로부터 소정간격 하측으로 이격된 링형으로 형성되고 일측 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고정핀(20)이 하향으로 신장되는 하측고정부(13)와; 상기 상측고정부(11)와 하측고정부(13)가 동일 축상에 위치되고 동일측 외주면을 연결하되 보석 장식부재의 원뿔면과 밀착을 도모하도록 상측고정부(11)와 하측고정부(13)의 외주면을 따라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연결지지부(14);로 이루어지는 귀고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귀고리에 있어서, 상기 상측고정부(11)는 저면에서 상기 개구(11a)까지 개구(11a)보다 큰 지름을 갖는 안착홈(11b)이 개구(11a)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귀고리에 있어서, 상기 상측고정부(11)의 링형상은 상측에서 바라볼 때 원, 사각, 별, 하트 또는 물방울 모양으로 형성되되 이와 동일한 모양의 보석 장식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고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전통적인 보석난집을 이용한 귀고리 제작공정과 달리 난집을 뒤집어 난집발을 하측에 형성함으로 착용중 걸려 변형됨을 방지하고 난집발의 변형으로 인한 보석 장식부재의 분실을 방지하며 난집발 중 하나이면서 보석 장식부재의 저면을 고정하고 귓불의 통증을 방지함과 동시에 난집과 고정핀을 연결지지하도록 구조를 형성하여 보석 장식부재를 견고히 고정시키면서 저면으로부터 많은 빛이 유입되어 보석 장식부재의 밝기가 향상되고 귀금속 재료량을 줄여 제조단가를 절감하며 제조과정을 단순화함으로 작업효율이 높아 가격경쟁력이 우수한 귀고리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은 본 고안을 적용한 귀고리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을 적용한 귀고리의 정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을 적용한 귀고리의 제작공정을 보이는 참고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을 적용한 귀고리에 빛이 유입되는 모습을 보이는 상태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을 적용한 귀고리의 상면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한 모습을 보이는 참고도이다.
본 고안은 보석 장식부재가 다수의 난집발로 고정된 장식부와 그 일측으로부터 핀형으로 신장된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과 결합되는 핀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귀고리로서, 보석 장식부재를 고정하는 장식부(10)가 상측고정부(11)와 하측고정부(13)로 나뉘되 이들을 연결지지부(14)로 연결하고 고정핀(20)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측에 보석 장식부재(40)를 고정하는 장식부(10)가 형성되고, 그 하측에 고정핀(20)을 형성하되 장식부(10)와 일체형으로 형성한다.
이때, 도 1 내지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고정부(11) 및 하측고정부(13)를 얇은 링형으로 형성하고, 이를 연결하는 연결지지부(14)도 난집발 역할과 동시에 상측고정부(11) 및 하측고정부(13)를 연결하면서 지지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전체 소요되는 귀금속의 량을 현저히 감소시켜 제조단가를 절감하였다.
상기 장식부(10)는 상측고정부(11)와 하측고정부(13)와 이들을 연결지지하는 연결지지부(14)로 구성된다.
상기 상측고정부(11)는 상면에 개구(11a)가 형성된 링형이되 외주면을 따라 저면으로부터 2개의 난집발(12)이 하향하여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상측고정부(11)는 저면에서 상기 개구(11a)까지 개구(11a)보다 큰 지름을 갖는 안착홈(11b)이 개구(11a)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변형이 가능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구조와 세련된 미감을 연출할 수 있다.
다음, 상기 하측고정부(13)는 보석 장식부재(40)의 원뿔형 하단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귓불에 장식부재가 직접닿아 발생되는 통증을 방지하도록 라운드진 링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상측고정부(11)로부터 소정간격 하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일측 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고정핀(20)이 하향으로 신장된다.
또한, 상기 상측고정부(11)의 난집발(12)은 2개가 형성되되 상기 연결지지부(14)로부터 외주연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다음, 상기 연결지지부(14)는 상측고정부(11)와 하측고정부(13)가 동일 축상에 위치되고 동일측 외주면을 연결하되 보석 장식부재의 원뿔면과 밀착을 도모하도록 상측고정부(11)와 하측고정부(13)의 외주면을 따라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연결지지부(14)는 난집발(12)의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상측고정부(11)와 하측고정부(13)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1개의 바(bar) 모양으로 형성됨으로 보석 장식부재(40)의 배면측으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가리는 량이 매우 감소되고 이로 인하여 보석 장식부재(40)에 유입되는 빛의 량이 종래 난집에 비하여 증가하게 되어 보다 밝은 귀고리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측고정부(11)의 링형상은 상측에서 바라볼 때 원, 사각, 별, 하트 또는 물방울 모양으로 형성되되, 현재 생산 중인 이와 동일한 모양의 보석 장식부재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고안의 귀고리(1)에 보석 장식부재(40)를 삽입하고 귀고리(1)를 완성하는 제작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장식부재(40)가 미결합된 귀고리(1)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고정부(11)가 소정각도로 우측으로 회전된 채로 벌려져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장식부재(40)가 미결합된 귀고리(1)와 귀고리(1)의 상측고정부(11)의 저면이나 안착홈(11b)이 형성된 경우 안착홈(11b)에 맞는 외경을 갖는 보석 장식부재(40)를 준비한다.
다음, 상기 보석 장식부재(40)의 상면을 귀고리(1)의 상측고정부(11)의 저면이나 안착홈(11b)에 삽입한다.
다음, 상기 보석 장식부재(40)의 저면 원뿔이 링형상의 하측고정부(13)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귀고리(1)의 고정핀(20)을 잡고 회전시킨다. 이때 상측고정부(11)와 하측고정부(13)를 연결하는 연결지지부(14)는 보석 장식부재(40)의 원뿔형 저면을 감싸면서 고정하도록 밀착된다.
다음, 상기 상측고정부(11)의 저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2개의 난집발(12)을 순차적으로 휘어 보석 장식부재(40)의 원뿔형 저면에 밀착고정시킨다.
다음, 상기 고정핀(20)이 상측고정부(11)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위치되었는지 정렬하고 난집발(12)이 잘 밀착되었는지를 확인하여 마감한다.
물론, 상기 고정핀(20)의 하부에 결합홈(20a)을 형성하고 관통공(30a)이 형성된 핀고정부재(30)를 결합시켜 하나의 귀고리를 완성하는 작업 등은 종래와 동일한 제작공정들의 상세한 설명한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보석 장식부재(40)를 상측고정부(11)에 안착시키고 하측고정부(13)가 보석 장식부재(40)의 저면을 고정하도록 고정핀(20)을 잡고 연결지지부(14)를 회전시켜 결합시킨 뒤, 2개의 난집발(12)을 휘어서 밀착 고정시키는 3가지 공정으로 작업공정을 단순화시킴으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본 고안의 귀고리(1)를 귓불에 착용시 둥그렇게 라운드진 링형의 하측고정부(13)가 귓불에 닿아 장식부재(40)가 귓불에 직접 닿게되어 귓불을 찌르거나 압박을 가하여 장시간 착용시 상처가 발생되거나 피로를 배가시키고 이질감을 형성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고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전통적인 보석난집을 이용한 귀고리 제작공정과 달리 난집을 뒤집어 난집발을 하측에 형성함으로 착용중 걸려 변형됨을 방지하고 난집발의 변형으로 인한 보석 장식부재의 분실을 방지하며 난집발 중 하나이면서 보석 장식부재의 저면을 고정하고 귓불의 통증을 방지함과 동시에 난집과 고정핀을 연결지지하도록 구조를 형성하여 보석 장식부재를 견고히 고정시키면서 저면으로부터 많은 빛이 유입되어 보석 장식부재의 밝기가 향상되고 귀금속 재료량을 줄여 제조단가를 절감하며 제조과정을 단순화함으로 작업효율이 높아 가격경쟁력이 우수한 귀고리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을 적용한 귀고리의 전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을 적용한 귀고리의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을 적용한 귀고리의 제작공정을 보이는 참고도
도 4 는 본 고안을 적용한 귀고리에 빛이 유입되는 모습을 보이는 상태도
도 5 는 본 고안을 적용한 귀고리의 상면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한 모습을 보이는 참고도
도 6 은 종래 빛이 많이 유입되는 구조를 갖는 귀고리를 보이는 참고도
도 7 은 종래 견고한 구조를 갖는 귀고리를 보이는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귀고리 10: 장식부
11: 상측고정부 11a: 개구
11b: 안착홈 12: 난집발
13: 하측고정부 14: 연결지지부
20: 고정핀 20a: 결합홈
30: 핀고정부재 30a: 관통공
40: 장식부재

Claims (3)

  1. 보석 장식부재가 다수의 난집발로 고정된 장식부와 그 일측으로부터 핀형으로 신장된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과 결합되는 핀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귀고리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10)는,
    상면에 개구(11a)가 형성된 링형이고 외주면을 따라 저면으로부터 최소 1개 이상의 난집발(12)이 하향하여 형성되는 상측고정부(11)와;
    상기 보석 장식부재의 원뿔형 하단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귓불에 장식부재가 직접닿아 발생되는 통증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측고정부(11)로부터 소정간격 하측으로 이격된 링형으로 형성되고 일측 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고정핀(20)이 하향으로 신장되는 하측고정부(13)와;
    상기 상측고정부(11)와 하측고정부(13)가 동일 축상에 위치되고 동일측 외주면을 연결하되 보석 장식부재의 원뿔면과 밀착을 도모하도록 상측고정부(11)와 하측고정부(13)의 외주면을 따라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연결지지부(1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고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고정부(11)는 저면에서 상기 개구(11a)까지 개구(11a)보다 큰 지름을 갖는 안착홈(11b)이 개구(11a)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고 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고정부(11)의 링형상은 상측에서 바라볼 때 원, 사각, 별, 하트 또는 물방울 모양으로 형성되되 이와 동일한 모양의 보석 장식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고리.
KR2020080015606U 2008-11-25 2008-11-25 귀고리 KR2004569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606U KR200456924Y1 (ko) 2008-11-25 2008-11-25 귀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606U KR200456924Y1 (ko) 2008-11-25 2008-11-25 귀고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619U KR20100005619U (ko) 2010-06-04
KR200456924Y1 true KR200456924Y1 (ko) 2011-11-28

Family

ID=44451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606U KR200456924Y1 (ko) 2008-11-25 2008-11-25 귀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924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811A (ja) 1999-07-01 2002-02-19 Seiji Mukai 宝飾品装飾具および装身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811A (ja) 1999-07-01 2002-02-19 Seiji Mukai 宝飾品装飾具および装身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619U (ko) 201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44508A1 (en) Hoop earring and enhancer mechanism
US20070006615A1 (en) Jewel holder and jewelry using the same
US20110113826A1 (en) Gemstone setting
KR101971171B1 (ko) 장식보석의 심미감이 개선된 난집
GB1571533A (en) Ornamenting article
WO2013131360A1 (zh) 嵌钻结构及嵌钻方法以及嵌钻眼镜
KR200456924Y1 (ko) 귀고리
US20090013722A1 (en) Earring
JP2009005938A (ja) 宝石用台座およびこの台座を使用した装身具用ペンダントの製造方法
KR200418686Y1 (ko) 귀고리
CN214127319U (zh) 一种可调节项链长度的吊坠
CN208002261U (zh) 一种首饰
KR200443779Y1 (ko) 장신구용 보석난집
JP2005058371A (ja) 揺動式装身具
KR20110039701A (ko) 보석 난집 및 그 보석 세팅 방법
US20100307194A1 (en) Jewelry setting
CN214047818U (zh) 一种佩戴稳固的耳饰
JP3774815B2 (ja) 装身具用ペンダント
JP3056360U (ja) ファセットカット宝石の宝石固定金具
US20110289965A1 (en) Ear Ring having a Pivotable Member
KR20130115662A (ko) 난집형 난발 보석세팅방법 및 그 구조물
KR200193482Y1 (ko) 치장품용 보석 고정구조
KR200286030Y1 (ko) 장신구용 보석고정구
CN210726898U (zh) 宝石托架及耳钉
CN210382923U (zh) 首饰配件以及具有该首饰配件的首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