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444Y1 - 인라인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인라인 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444Y1
KR200456444Y1 KR2020090009898U KR20090009898U KR200456444Y1 KR 200456444 Y1 KR200456444 Y1 KR 200456444Y1 KR 2020090009898 U KR2020090009898 U KR 2020090009898U KR 20090009898 U KR20090009898 U KR 20090009898U KR 200456444 Y1 KR200456444 Y1 KR 200456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member
boot
plunge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8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214U (ko
Inventor
정진욱
Original Assignee
정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욱 filed Critical 정진욱
Priority to KR20200900098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444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2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2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4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츠의 유격면의 처짐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재의 플런저가 상·하로 힘을 받으므로 장력이 증가하여 효과적을 처짐현상을 방지하고, 지지부재의 플런저와 부츠의 유격면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때 바퀴 및 지지부재를 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없이 장력조절볼트를 조여줌으로써 높이 조절 및 세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는 복수개의 바퀴(50)가 결합되는 프레임(20)과, 프레임(2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에 착용되는 부츠(30)를 포함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있어서, 프레임(20)은 복수개의 바퀴(50)가 일렬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지면과 구름접촉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고정단(24)과, 고정단(24)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체결면(26) 및 전후방향에 형성되는 체결면(26) 사이에 위치하여 볼트공(29)이 형성되는 지지프레임(28)을 가지며, 부츠(30)는 바닥면(32) 상에 프레임(20)의 체결면(26)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고착면(34)과, 고착면(34) 사이에서 프레임(20)의 지지프레임(28)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이격되므로써 프레임(20)에 밀착되지 않는 유격면(36)을 가지고, 지지프레임(28)에 체결되어 부츠(30)의 유격면(36)이 프레임(20)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유격면(36)의 변형을 방지하는 지지부재(40)를 구비하되; 지지부재(40)는 상면에 천공된 관통공(41) 및 하면에 천공된 볼트공(43)과 연결되는 내부공간(45)이 형성되는 하우징(42)과; 하우징(42)의 내부공간(45)에 위치되어 상면의 관통공(4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외부로 돌출되는 상단부가 구면을 이루는 플런저(44)와; 하우징(42)의 내부공간(45)에 위치되고, 플런저(44)의 하부에 설치되어 플런저(44)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46) 및; 하우징(42)의 하면에 천공된 볼트공(43)에 설치되는 장력조절볼트(4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라인 스케이트

Description

인라인 스케이트{A in-line skates}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프레임과 결합되지 않고 이격되어 있는 부츠 바닥면 부위를 탄성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프레임과 부츠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단순한 구성으로 부츠 바닥면의 처짐현상이 방지되어 부츠의 내구성이 증대되고, 인라인 스케이트의 착용감이 좋아지는 한편 종래의 프레임과 결합되는 종래의 부츠를 본 고안에 호환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스케이팅 과정에서 방향전환이나 속도가감을 위해 힘이 부여되어 변형되는 부츠의 바닥면이 지지부재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곧바로 복원됨으로써 인라인 스케이트의 조작성과 안정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스케이팅에 따른 사용자의 근력소모량도 감소되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부츠의 유격면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교체없이 조정 및 세팅이 간편하고 용이하도록 한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라인 스케이트는 하단부에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고정단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체결면이 형성된 몸체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고정단에 일렬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지면과 구름접촉하게 되는 복수개의 바퀴 및, 상기 체결면에 바닥면이 밀착되어 장착되는 부츠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프레임의 체결면에 밀착되어 장착되는 부츠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닥면이 처지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와 같은 처짐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고안되었다.
이와 같이 부츠의 바닥면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는 본 고안자가 선출원한 대한민국 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05920호 "인라인 스케이트"에서는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고정단이 형성되고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체결면이 형성된 몸체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고정단에 일렬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지면과 구름접촉하게 되는 복수개의 바퀴 및, 프레임의 체결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고착면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는 유격면을 가진 바닥면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부츠로 이루어진 인라인 스케이트가 있다.
이와 같은 인라인 스케이트는 프레임과 결합되지 않고 이격되어 있는 부츠 바닥면 부위를 탄성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프레임에 구비되는 단순한 구성으로도 부 츠 바닥면의 처짐현상이 방지되어 부츠의 내구성이 증대되고, 인라인 스케이트의 착용감이 좋아지게 된다. 더불어 종래의 프레임과 결합되는 종래의 부츠를 본 고안에 호환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케이팅 과정에서 방향전환이나 속도가감을 위해 힘이 부여되어 변형되는 부츠의 바닥면이 지지부재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곧바로 복원됨으로써 인라인 스케이트의 조작성과 안정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스케이팅에 따른 사용자의 근력소모량도 감소된다.
이와 같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츠의 유격면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는 부츠의 유격면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시간이 더 지남에 따라 탄성 지지력이 약해져 교체를 해야할 때 바퀴 및 지지부재를 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켜 교체하고, 다시 결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부츠의 유격면의 처짐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재의 플런저가 상·하로 힘을 받으므로 장력이 증가하여 효과적을 처짐현상을 방지하고, 지지부재의 플런저와 부츠의 유격면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때 바퀴 및 지지부재를 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없이 장력조절볼트를 조여줌으로써 높이 조절 및 세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복수개의 바퀴(50)가 결합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에 착용되는 부츠(30)를 포함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복수개의 바퀴(50)가 일렬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지면과 구름접촉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고정단(24)과, 상기 고정단(24)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체결면(26) 및 상기 전후방향에 형성되는 체결면(26) 사이에 위치하여 볼트공(29)이 형성되는 지지프레임(28)을 가지며, 상기 부츠(30)는 바닥면(32) 상에 상기 프레임(20)의 체결면(26)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고착면(34)과, 상기 고착면(34)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20)의 지지프레임(28)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이격되므로써 상기 프레임(20)에 밀착되지 않는 유격면(36)을 가지 고, 상기 지지프레임(28)에 체결되어 상기 부츠(30)의 유격면(36)이 상기 프레임(20)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유격면(36)의 변형을 방지하는 지지부재(40)를 구비하되; 상기 지지부재(40)는 상면에 천공된 관통공(41) 및 하면에 천공된 볼트공(43)과 연결되는 내부공간(45)이 형성되는 하우징(42)과; 상기 하우징(42)의 내부공간(45)에 위치되어 상기 상면의 관통공(4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외부로 돌출되는 상단부가 구면을 이루는 플런저(44)와; 상기 하우징(42)의 내부공간(45)에 위치되고, 상기 플런저(44)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44)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46) 및; 상기 하우징(42)의 하면에 천공된 볼트공(43)에 설치되는 장력조절볼트(49)를 포함하여 상기 장력조절볼트(49)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체(46)의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에서 상기 지지부재(40)의 하우징(42)은 상기 지지프레임(28)의 볼트공(29)에 체결되도록 하측에 볼트(47)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47)의 내측에서 하면에 천공되어 상기 장력조절볼트(49)가 설치되도록 볼트공(43)을 갖는 하부단(42b)과; 상기 하부단(42b)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면에 천공되어 상기 플런저(44)가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41)을 갖는 상부단(42a)으로 이루어져 상기 장력조절볼트(49)가 상기 볼트공(43)의 하측에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에서 상기 장력조절볼트(49)는 하 단부에 렌치용 홈(491)이 형성된 무두렌치볼트가 사용되어 렌치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에서 상기 지지부재(40)는 상기 하우징(42)의 내부공간(45)에 설치되는 탄성체(46)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장력조절볼트(49)를 조임으로써 상승하여 상기 탄성체(46)의 탄성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지지판(48)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에 의하면, 부츠의 유격면의 처짐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재의 플런저가 상·하로 힘을 받으므로 장력이 증가하여 효과적을 처짐현상을 방지하고, 지지부재의 플런저와 부츠의 유격면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때 바퀴 및 지지부재를 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없이 장력조절볼트를 조여줌으로써 높이 조절 및 세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5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 인 인라인 스케이트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10)는 복수개의 바퀴가 결합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에 착용되는 부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프레임과 결합되지 않고 이격되어 있는 부츠의 바닥면 부위를 탄성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프레임과 부츠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는 지지부재가 프레임과 부츠 사이에 구비되는 단순한 구성으로도 부츠의 바닥면의 처짐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스케이팅 과정에서 방향전환이나 속도가감을 위해 힘이 부여되어 변형되는 부츠의 바닥면이 지지부재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곧바로 복원됨으로써 인라인 스케이트의 조작성과 안정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스케이팅에 따른 사용자의 근력소모량도 감소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림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림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에 사용되는 지지부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림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에 사용되는 지지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림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에 사용되는 지지부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10)는 프레임(20)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고정단(24)에 복수개의 바퀴(50)가 일렬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단(24)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프레임(20)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체결면(26)에 부츠(30) 바닥면(32)이 밀착되어 부츠(30)가 장착되는 것이다.
한편, 부츠(30)의 바닥면(32)은 프레임(20)의 체결면(26)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고착면(34)과, 이와 같은 고착면(34) 사이에서 프레임(20)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써 프레임(20)에 밀착되지 않는 유격면(36)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10)의 기술적 특징은 부츠(30)의 유격면(36)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40)를 부츠(30)와 프레임(20) 사이에 설치하는데 있다.
즉, 지지부재(40)는 인라인 스케이트(10)의 부츠(30)와 프레임(20)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데, 지지부재(40)는 일단이 프레임(20)의 체결면(26) 사이에 위치되고 타단이 부츠(30)의 고착면(34)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면(36)에 위치되어 부츠(30)의 유격면(36)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40)는 일단을 부츠(30)의 유격면(36)과 대응되는 프레임(20)의 체결면(26) 사이에 고정시키고, 타단은 부츠(30)의 유격면(36)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스케이팅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힘이 부과되어 부츠(30)의 바닥면(32)이 불규칙하게 변형되더라도 지지부재(40)가 원활하고 안정되게 자신의 위치를 유지하며 부츠(30)의 바닥면(32)을 지속적으로 탄성지지하도록 한다. 물론, 지지부재(40)는 일단이 부츠(30)의 유격면(36)에 고정되고, 타단이 부츠(30)의 유격면(36)과 대응되는 프레임(20)의 체결면(26) 사이에 접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10)는 지지부재(40)가 프레 임(20)과 부츠(30) 사이에 설치되어 부츠(30)의 유격면(36)에 접하도록 하는 단순한 구성으로도 부츠(30)의 바닥면(32)이 지지되어 부츠의 처짐이 방지되고, 부츠(30)에 발생되는 유연성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인라인 스케이트(10)의 착용시 착용 안정감이 높아지고, 인라인 스케이트(10)의 사용과정에서 부츠(30)의 바닥면(32) 중 프레임(20)으로부터 이격된 유격면(36)이 점차 처지면서 부츠(30)가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부츠의 내구성이 증대된다.
그리고, 지지부재(40)는 탄성이 부여되어 부츠(30)의 유격면(36)을 탄성지지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스케이팅 과정에서 부츠(30)에 힘이 가해져 부츠(30)의 유격면(30)이 변형하게 되면 곧바로 지지부재(40)의 탄성에 의한 반발력이 부츠(30)의 유격면(36)에 작용하여 부츠(30)의 유격면(36)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10)는 부츠(30)가 안정되게 지지됨으로써 방향전환이나 속도가감 등의 스케이팅 동작시 부츠(30)에 부여되는 힘이 원활하게 신속하게 프레임(20)으로 전달됨으로써 인라인 스케이트(10)의 조작성이 증대되고, 스케이팅을 위한 근력소모량이 줄어들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40)는 하우징(42)과 탄성체(46)와 플런저(44) 및 장력조절볼트(4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42)은 프레임(20) 몸체(22)의 체결면(26) 사이에 볼트공(29)을 갖는 지지프레임(28)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부단(42a)과 하부단(42b)으로 이루어진다. 하부단(42b)은 지지프레임(28)의 볼트공(29)에 체결되도록 하측에 볼트(47)가 형성되고, 볼트(47)의 내측에서 하면에 천공되어 볼트공(43)이 형성된다. 상부단(42a)은 하부단의 상측에 나사결합되고, 상면에 천공되어 후술하는 플런저(44)가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도록 관통공(41)이 형성된다.
한편, 탄성체(46)는 탄성력을 가진 스프링을 사용한다.
플런저(44)는 몸체부(44a)의 상측에 형성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상단부(44b)가 구면으로 이루어져 부츠(30)의 바닥면(32)과 접촉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부츠(30)의 바닥면(32)과 지지부재(40)의 플런저(44)가 일정면적에 걸쳐 접촉됨으로써 응력집중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부츠(30)나 플런저(44)의 손상이 방지된다. 이와 더불어, 스케이팅 과정에서 부츠(30)를 착용한 사용자의 발동작에 의해 부츠(30)가 불규칙하게 변형되더라도 지지부재(40)의 플런저(44)이 구면으로 이루어져 부츠(30)의 바닥면(32)에 대한 접촉면적이 균일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은 플런저(44)는 하우징(42)의 내부공간(45)에 삽입되는 것으로, 탄성체(46)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방향으로 밀리면서 하우징(42) 상면의 관통공(4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장력조절볼트(49)는 하단부에 렌치용 홈(491)이 형성되고, 상술한 하우징(42)의 하부단(42b)의 볼트공(43)에 설치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츠(30) 바닥면(32)의 유격면(36)이 처지게 되면 이 장력조절볼트(49)의 렌치용 홈(491)에 렌치를 끼워 조여 줌으로써 유격면의 처짐을 방지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에서 지지부재(40)는 하우징(42)의 내부공간(45)에 설치되는 탄성체(46)의 하부에 위치되고, 장력조절볼트(49)를 조임으로써 상승하여 탄성체(46)의 장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지지판(48)을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10)에서 지지부재(40)는 하부단(42b)의 내부공간(45)에 지지판(48)이 설치되고, 지지판(48)의 상측에 탄성체(46)가 위치하게 된다. 이후, 탄성체(46)의 상측에 플런저(44)가 설치되고, 플런저(44)의 상단부(44b)가 상부단(42a)의 관통공(41)을 통해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부단(42b)과 상부단(42a)을 나사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지지부재(40)는 탄성체(46)의 탄성력으로 플런저(44)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츠(30) 바닥면(32)의 유격면(36)의 처짐 현상을 방지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격면(36)이 더 처지더라도 하우징(42)의 하부단(42b) 볼트공(43)에 설치되는 장력조절볼트(49)를 상측으로 돌리면 탄성체(46)의 탄성력은 올라가기 때문에 유격면(36)의 처짐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바퀴(50) 및 부츠(30)를 분리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림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림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에 사용되는 지지부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림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에 사용되는 지지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림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에 사용되는 지지부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인라인 스케이트 20 : 프레임
22 : 몸체 24 : 고정단
26 : 체결면 28 : 지지프레임
29 : 볼트공 30 : 부츠
32 : 바닥면 34 : 고착면
36 : 유격면 40 : 지지부재
41 : 관통공 42 : 하우징
42a : 상부단 42b : 하부단
43 : 볼트공 44 : 플런저
45 : 내부공간 46 : 탄성체
47 : 볼트 48 : 지지판
49 : 장력조절볼트 50 : 바퀴

Claims (4)

  1. 복수개의 바퀴(50)가 결합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에 착용되는 부츠(30)를 포함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복수개의 바퀴(50)가 일렬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지면과 구름접촉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고정단(24)과, 상기 고정단(24)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체결면(26) 및 상기 전후방향에 형성되는 체결면(26) 사이에 위치하여 볼트공(29)이 형성되는 지지프레임(28)을 가지며,
    상기 부츠(30)는 바닥면(32) 상에 상기 프레임(20)의 체결면(26)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고착면(34)과, 상기 고착면(34)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20)의 지지프레임(28)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이격되므로써 상기 프레임(20)에 밀착되지 않는 유격면(36)을 가지고,
    상기 지지프레임(28)에 체결되어 상기 부츠(30)의 유격면(36)이 상기 프레임(20)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유격면(36)의 변형을 방지하는 지지부재(40)를 구비하되;
    상기 지지부재(40)는 상면에 천공된 관통공(41) 및 하면에 천공된 볼트공(43)과 연결되는 내부공간(45)이 형성되는 하우징(42)과;
    상기 하우징(42)의 내부공간(45)에 위치되어 상기 상면의 관통공(4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외부로 돌출되는 상단부가 구면을 이루는 플런저(44)와;
    상기 하우징(42)의 내부공간(45)에 위치되고, 상기 플런저(44)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44)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46) 및;
    상기 하우징(42)의 하면에 천공된 볼트공(43)에 설치되는 장력조절볼트(49)를 포함하여 상기 장력조절볼트(49)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체(46)의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지지부재(40)의 하우징(42)은 상기 지지프레임(28)의 볼트공(29)에 체결되도록 하측에 볼트(47)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47)의 내측에서 하면에 천공되어 상기 장력조절볼트(49)가 설치되도록 볼트공(43)을 갖는 하부단(42b)과;
    상기 하부단(42b)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면에 천공되어 상기 플런저(44)가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41)을 갖는 상부단(42a)으로 이루어져 상기 장력조절볼트(49)가 상기 볼트공(43)의 하측에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볼트(49)는 하단부에 렌치용 홈(491)이 형성된 무두렌치볼트가 사용되어 렌치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0)는 상기 하우징(42)의 내부공간(45)에 설치되는 탄성체(46)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장력조절볼트(49)를 조임으로써 상승하여 상기 탄성체(46)의 탄성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지지판(48)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KR2020090009898U 2009-07-28 2009-07-28 인라인 스케이트 KR2004564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898U KR200456444Y1 (ko) 2009-07-28 2009-07-28 인라인 스케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898U KR200456444Y1 (ko) 2009-07-28 2009-07-28 인라인 스케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214U KR20110001214U (ko) 2011-02-08
KR200456444Y1 true KR200456444Y1 (ko) 2011-10-31

Family

ID=44206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898U KR200456444Y1 (ko) 2009-07-28 2009-07-28 인라인 스케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44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485Y1 (ko) 2005-01-03 2005-08-17 안치권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의 하부구조
KR100535717B1 (ko) 2004-03-04 2005-12-12 안치권 인라인 스케이트
KR100805920B1 (ko) 2007-08-17 2008-02-21 정진욱 인라인 스케이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717B1 (ko) 2004-03-04 2005-12-12 안치권 인라인 스케이트
KR200392485Y1 (ko) 2005-01-03 2005-08-17 안치권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의 하부구조
KR100805920B1 (ko) 2007-08-17 2008-02-21 정진욱 인라인 스케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214U (ko) 201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8983B1 (ko) 착용 가능한 장치
JPH105387A (ja) インラインローラースケート
US6053512A (en) Suspension system for in-line roller skates
JP2002037173A (ja) 自転車の自動ペダル
KR200456444Y1 (ko) 인라인 스케이트
EP1541202A4 (en) ROLLER SKATES
US20140117633A1 (en) Drift skate
US20100032917A1 (en) Inline roller skate configurations
US10315096B2 (en) Ice skate blade arrangement
KR101216459B1 (ko) 인라인 스케이트
US6722670B1 (en) Roller skate provided with means to absorb shock
US20110057400A1 (en) Wheeled platform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ith wheeled footwear
KR100805920B1 (ko) 인라인 스케이트
US20080238007A1 (en) inline skate with a braking system
US8657302B1 (en) Skate sole assembly
EP2036595B1 (en) Ice skate
CN219373944U (zh) 一种可调式高弹鞋底及跑鞋
KR200405988Y1 (ko) 아우트라인스케이트
KR200340595Y1 (ko) 롤러기구의 착탈 구조
KR200390407Y1 (ko) 인라인스케이트겸용 신발
KR200342328Y1 (ko) 아우트라인스케이트
KR100806643B1 (ko) 인라인 스케이트 보드
KR200356788Y1 (ko) 인라인 스케이트
GB2526076A (en) Cantilever leaf spring truck assembly
CN2559382Y (zh) 三轮溜冰鞋的底座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