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5717B1 - 인라인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인라인 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717B1
KR100535717B1 KR10-2004-0014516A KR20040014516A KR100535717B1 KR 100535717 B1 KR100535717 B1 KR 100535717B1 KR 20040014516 A KR20040014516 A KR 20040014516A KR 100535717 B1 KR100535717 B1 KR 100535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s
wheels
pair
frames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9212A (ko
Inventor
조철우
Original Assignee
안치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치권 filed Critical 안치권
Priority to KR10-2004-0014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717B1/ko
Publication of KR20050089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면 전/후방에 각각 보강판이 동일하게 위치되는 한쌍의 프레임을 서로 대칭되도록 하되, 마주보는 상기 한쌍의 프레임 사이의 상부 전/후방에 위치가변수단을 장착시켜 상기 한쌍의 프레임 및 보강판를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시킨 다음 상기 위치가변수단의 상부에 볼트로 고정되는 부츠의 후단부 하측에는 높이조절구를 일체로 체결하여 그 높이를 상승시키고, 상기 한쌍의 프레임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축공에 바퀴의 수를 임의로 선택하여 고정축에 의해 축설시킬 수 있도록 한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하므로서 파손에 의한 프레임 교체시 파손된 부분만의 교체가 가능할 수 있으므로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부츠의 후단부(뒤꿈치)가 높이조절구에 의해 높게 형성되므로 안정된 자세를 용이하게 취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바퀴의 수와 크기를 임의대로 조정하여 지면상태에 대한 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로 구비되는 다른 종류의 인라인 스케이트의 구매비용을 절감시켜 저렴하게 다양한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인라인 스케이트{Inline skate}
본 발명은 건강증진 및 레저스포츠에 사용되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퀴의 수와 크기를 지면 상태에 알맞게 조절하여 프레임에 회전자재하게 체결시켜 지면에 대한 적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체결되는 부츠의 중심 위치를 용이하게 가변시켜 설치.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부츠의 뒤축을 임의의 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구를 일체로 체결하여 신체의 중심하중이 전방을 향하도록 하므로서 초보자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며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라인 스케이트는 ""형 프레임의 양측에 다수의 고정공을 형성한 다음 상기 고정공에 각각 삽입.체결되는 고정축에 바퀴가 회전자재하게 축설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 플레이트의 전/후단부 즉, 부츠의 선단부(앞꿈치) 및 후단부(뒷꿈치)의 위치에 각각 체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로부터 체결공에 체결수단인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부츠의 선단부(앞꿈치)와 후단부(뒷꿈치)를 각각 견고하게 고정시켜서 된 것으로 그 체결구조 및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켜 저가의 제품을 공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형성된 인라인 스케이트는 장기간 사용시 다수의 바퀴가 고정된 프레임이 다른 물질과 충돌하며 그 충격으로 인해 어느 한 부분 특히 전방 및 측면부분이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프레임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교체비용의 부담과 교체된 프레임에 다시 다수의 바퀴를 축설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체결공은 그 상부에 올려지는 부츠의 사이즈에 따라 그 위치가 변동되어야만 하는 바, 종래에는 작업자가 상기 플레이트 상의 적정 위치에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체결공을 일일이 형성시켜야 하므로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인라인 스케이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몸의 무게 중심을 전방을 향하도록 무릎을 앞으로 기울여 안정된 자세를 취해야 하는데 상기 체결공을 통해 플레이트 상에 수평되게 체결된 부츠의 선/후단부 높이가 동일하기 때문에 무릎을 기울이기가 곤란하여 안정된 자세를 취할 수 없었으며, 특히 초보자인 경우 많은 연습에도 불구하고 숙련되기까지의 기간이 장기간 소요되므로 싫증을 빨리 느낄 수 있고, 연습하는 과정에서 부상을 입을 수 있는 우려가 있었 다.
한편,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의 종류에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자재하게 축설되는 바퀴의 수에 따라 4륜 또는 5륜으로 구별되며, 상기 4륜이 적용된 인라인 스케이트는 지면이 불균형할 경우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바퀴의 크기가 5륜과 비교하여 크게 형성되므로 불균형한 지면에 대한 적응력이 뛰어나며, 상기 5륜이 적용된 인라인 스케이트는 평탄성이 유지된 상태의 지면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바퀴의 크기가 4륜과 비교하여 작게 형성되어 숙련된 사용자가 스피드를 즐기기 위해 사용하는 것인 바, 사용자가 지면상황에 알맞게 스케이팅을 즐기려면 4륜과 5륜으로 된 인라인 스케이트를 각각 구비하여야 하므로 그에 따른 구입비용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발명은 일측면 전/후방에 각각 보강판이 동일하게 위치되는 한쌍의 프레임을 서로 대칭되도록 하되, 마주보는 상기 한쌍의 프레임 사이의 상부 전/후방에 위치가변수단을 장착시켜 상기 한쌍의 프레임 및 보강판를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시킨 다음 상기 위치가변수단의 상부에 볼트로 고정되는 부츠의 후단부 하측에는 높이조절구를 일체로 체결하여 그 높이를 상승시키고, 상기 한쌍의 프레임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축공에 바퀴의 수를 임의로 선택하여 고정축에 의해 축설시킬 수 있도록 한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하므로서 파손에 의한 프레임 교체시 파손된 부분만의 교체가 가능할 수 있으므로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부츠의 후단부(뒤꿈치)가 높이조절구에 의해 높게 형성되므로 안정된 자세를 용이하게 취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 고, 상기 바퀴의 수와 크기를 임의대로 조정하여 지면상태에 대한 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로 구비되는 다른 종류의 인라인 스케이트의 구매비용을 절감시켜 저렴하게 다양한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측 선/후단부에는 각각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바퀴가 축설된 고정축이 각각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축공이 형성된 한쌍의 프레임과; 상기 한쌍의 프레임 일측면의 전/후방에 각각 부착되며 상기 체결공 및 축공과 동일하게 체결공과 축공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강성 및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판과; 상기 한쌍의 프레임이 서로 대칭되며 일체로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공에 양측단이 각각 삽입되어 체결수단인 너트로 긴밀하게 체결되는 위치가변수단과; 상기 위치가변수단의 상부와 소정 치수를 갖는 부츠의 후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부츠의 후단부(뒤꿈치) 높이를 상승시키는 높이조절구의 중앙에는 삽입공을 수직되게 형성시켜 상기 위치가변수단의 하부로부터 상기 삽입공을 통해 체결수단인 볼트를 삽입하여 부츠의 하부판과 견고하게 체결.고정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위치가변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면 예시도, 도 4a, 4b, 4c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구를 도시해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인라인 스케이트(100)의 프레임(10)(10')은 서로 대칭되도록 한쌍으로 구비되며 강성이 우수하고 가벼운 합금으로 사출.성형되는 것으로 그 상측 선/후단부에는 다수의 체결공(12)(12')이 통공되어 있고, 하측에는 다수의 축공(14a~14g)이 일체로 통공되어 형성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한쌍의 프레임(10)(10')의 일측면 전/후방에 각각 밀착.설치되는 보강판(20)(20')은 상기 프레임(10)(1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동일 합금으로 사출성형되며 프레임(10)(10')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12)(12') 및 축공 (14a~14g)과 동일하게 체결공(22)(22')과 축공(24a~24g)이 다수 통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프레임(10)(10') 선/후단부에 형성된 체결공(12)(12')에 삽입.체결되어 상기 프레임(10)(10')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위치가변수단(30)은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34)가 양측에 일체로 돌출된 육면체인 몸체(32)와, 상기 몸체(32)의 중앙에는 상/하부가 관통.개방되도록 형성된 중공(36)과, 상기 중공(36)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턱(38)과, 상기 중공(36)의 상/하부로 각각 삽입되어 지지턱(38)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중앙에 길게 장공(42)(42')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 결합공(44)(44')이 일체로 통공된 제 1 ~ 2고정판(40)(40')과, 상기 제 1 ~ 2고정판(40)(40')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44)(44')을 동일하게 위치시켜 체결나사 (46)로 긴밀하게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위치가변수단(30)의 상부 즉, 상기 제 1고정판(40) 상에 위치되는 높이조절구(5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원통형으로 성형되며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된 삽입공(52)이 형성되고, 상측부는 부츠(70)의 하부판(72)과의 접지면을 넓게하기 위해 확장시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쌍의 프레임(10)(10')과 보강판(20)(20') 하측에 형성된 다수의 축공(14a~14g)에는 각각 바퀴(60)가 축설된 고정축(62)이 삽입.체결되게 되는데 상기 바퀴(60)의 크기는 4륜인 경우 그 지름이 약 100㎜정도이고, 5륜인 경우에는 그 지름이 약 84㎜정도가 바람직하며 사용자는 상기의 4륜과 5륜의 바퀴(60)만을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10)(10')의 적절한 축공(14a~14g)의 위치에 체결시켜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부품으로 이루어진 인라인 스케이트(100)의 조립.체결은 먼저, 한쌍의 프레임(10)(10') 선/후단부의 상측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12) (12') 중 어느 하나의 체결공(12)(12')을 각각 선택하여 위치가변수단(30)의 몸체 (32)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34)를 각각 삽입시키고, 상기 체결공(12) (12')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보강판(20)(20')의 체결공(22)(22')에 상기 돌출부(34)를 각각 삽입시킨 다음 상기 돌출부(34)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수단인 너트(N)를 긴밀하게 체결.고정시키면 상기 한쌍의 프레임(10)(10')과 보강판(20)(20')의 하측에 형성된 다수의 축공(14a~14g)(24a~24g)이 일치되며 일체로 조립.체결되게 된다.
이때, 프레임(10)(10')의 선/후단부에 각각 장착된 상기 위치가변수단(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2)의 중공(36)에 형성된 지지턱(38)을 경계로 서로 대칭되게 제 1 및 제 2고정판(40)(40')이 삽입되어 결합공(44)(44')에 체결된 체결나사(46)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 상태이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고정판(40) (40') 상의 장공(42)(42')은 특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장공(42) (42')은 볼트(B)가 삽입되는 통로인 관계로 제공되는 부츠(70)의 사이즈에 따라 그 위치가 조절되어야만 하는 바, 상기 장공(42)(42')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먼저, 체결나사(46)를 풀어 견고하게 체결된 제 1 및 제 2고정판(40)(40')을 헐겁게 한 다음 상기 부츠(70)의 하부판(72) 선/후단부에 형성된 고정공(74)의 위치와 동일하게 장공(42)(42')이 위치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고정판(40)(40')을 지지턱 (38) 상에서 회전시켜 위치되게 한 이후 헐겁게 체결된 체결나사(46)를 결합공(44) (44')에 다시 긴밀하게 체결시켜 중공(36) 내부의 지지턱(38)에 상기 제 1 및 제 2고정판(40)(40')이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한쌍의 프레임(10)(10') 사이의 선/후단부에 각각 장착된 상기 위치가변수단(30) 중 후단부에 장착된 위치가변수단(30) 즉, 부츠(70)의 뒤꿈치 부분에 위치되는 제 1고정판(40)상의 장공(42)에 소정 높이를 갖는 높이조절구(50)의 삽입공(52)이 일치되게 위치시킨 다음 상기 제 1고정판(40)과 체결나사(46)에 의해 일체로 체결된 제 2고정판(40')의 장공(42')을 통해 소정 길이의 볼트(B)를 삽입하여 상기 제 1고정판(40)의 장공(42)과 높이조절구(50)의 삽입공(52)을 관통하여 상기 부츠(70)의 하부판(72)에 형성된 고정공(74)에 긴밀하게 체결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구(50)의 높이는 도 4a~c에 도시된 바와 같이 5㎜, 10㎜, 15㎜로 각각 개별되게 구비되는데 이러한 높이조절구(50)는 지면의 상황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간단하게 체결하면 되는 것으로 선택된 상기 높이조절구(50)를 용이하게 체결시키기 위해서는 그 높이에 비례되는 길이를 갖는 볼트(B)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한쌍의 프레임(10)(10')에 형성된 다수의 축공(14a~14g)과 보강판에 형성된 다수의 축공(14a~14g)이 일치된 상태에서 고정축(62)에 회전자재하게 축설된 바퀴(60)를 상기 한쌍의 프레임(10)(10') 사이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상기 고정축(62)의 양측단을 다수의 축공(14a~14g)에 각각 삽입.고정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0)(10')의 축공(14a~14g)에 체결되는 바퀴(60)의 수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의 상황에 따라 4개 내지 5개의 바퀴(60)를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체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4륜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4개의 바퀴(60)가 고정축(62)에 각각 축설되게 구비한 다음 상기 프레임(10) (10')과 보강판(20)(20')의 하측에 형성된 다수의 축공(14a~14g)(24a~24g)중 적정한 축공(14a, 24a)(14c, 24c)(14e, 24e)(14g, 24g)의 위치에 상기 고정축(62)의 양측단을 긴밀하게 삽입.체결하여 사용하므로서 불규칙한 상태의 지면 등에서 스케이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10)(10')에 5륜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5개의 바퀴(60)가 고정축(62)에 각각 축설되게 구비한 다음 상기 다수의 축공(14a~14g)(24a~24g)중 적정한 축공(14a, 24a)(14b, 24b)(14d, 24d)(14f, 24f)(14g, 24g)의 위치에 상기 고정축(62)의 양측단을 삽입.체결하여 평탄성이 유지된 상태의 지면에서 스피드를 즐기며 스케이팅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프레임 사이에 장착된 위치가변수단에 의해 그 상부에 체결되는 부츠를 종래와 같이 상부프레임에 직접 체결공을 형성시키지 않고 제 1, 2고정판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용이하게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부츠 사이즈에 제한되지 않으며 작업의 효율성 향상과 대량생산을 꾀할 수 있으며, 높이조절구에 의해 사용자의 뒤꿈치 높이를 상승시켜 자연스럽게 안정된 자세를 취할 수 있어 타는 요령을 쉽게 습득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는 바퀴의 수와 크기를 지면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정.적용할 수 있으므로 활용범위를 확대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도록 하여 댜양한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당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적 실시예가 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위치가변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면 예시도.
도 4a, 4b, 4c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구를 도시해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 프레임 12, 12', 22, 22' : 체결공
14a~14g, 24a~24g : 축공 20, 20' : 보강판
30 : 위치가변수단 32 : 몸체 34 : 돌출부
36 : 중공 38 : 지지턱 40, 40' : 제 1, 2고정판
42, 42' : 장공 44, 44' : 결합공 46 : 체결나사
50 : 높이조절구 52 : 삽입공 60 : 바퀴
62 : 고정축 70 : 바퀴 72 : 하부판
B, N : 볼트, 너트

Claims (4)

  1. 상측 선/후단부에는 각각 다수의 체결공(12)(12')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바퀴(60)가 축설된 고정축(62)이 각각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축공(14a~14g)이 형성된 한쌍의 프레임(10)(10')과;
    상기 한쌍의 프레임(10)(10') 일측면의 전/후방에 각각 부착되며 상기 체결공(12)(12') 및 축공(14a~14g)과 동일하게 체결공(22)(22')과 축공(24a~24g)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0)(10')의 강성 및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판(20)(20')과;
    상기 한쌍의 프레임(10)(10')이 서로 대칭되며 일체로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공(12)(12')에 양측단이 각각 삽입되어 체결수단인 너트(N)로 긴밀하게 체결되는 위치가변수단(30)과;
    상기 위치가변수단(30)의 상부와 소정 치수를 갖는 부츠(70)의 후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부츠(70)의 후단부(뒤꿈치) 높이를 상승시키는 높이조절구(50)의 중앙에는 삽입공(52)을 수직되게 형성시켜 상기 위치가변수단(30)의 하부로부터 상기 삽입공(52)을 통해 체결수단인 볼트(B)를 삽입하여 부츠(70)의 하부판(72)과 견고하게 체결.고정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변수단(30)은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 (34)가 양측에 일체로 돌출된 육면체 형태인 몸체(32)와, 상기 몸체(32)의 중앙에는 상/하부가 관통.개방되도록 형성된 중공(36)과, 상기 중공(36)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턱(38)과, 상기 중공(36)의 상/하부로 각각 삽입되어 지지턱(38)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중앙에 길게 장공(42)(42')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 결합공(44)(44')이 일체로 통공된 제 1 ~ 2고정판(40)(40')과, 상기 제 1 ~ 2고정판 (40)(40')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44)(44')을 동일하게 위치시켜 체결나사(46)로 긴밀하게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구(50)는 그 높이가 각각 5㎜, 10㎜, 15㎜로 개별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프레임(10)(10') 사이에 위치되는 바퀴(60)의 수가 4륜일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10)(10')과 보강판(20)(20')의 축공(14a, 24a) (14c, 24c)(14e, 24e)(14g, 24g)에 바퀴(60)가 축설된 각각의 고정축(62)이 삽입.체결되고, 5륜일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10)(10')과 보강판(20)(20')의 축공(14a, 24a)(14b, 24b)(14d, 24d)(14f, 24f)(14g, 24g)에 바퀴(60)가 축설된 각각의 고정축(62)을 삽입.체결하여 4륜과 5륜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KR10-2004-0014516A 2004-03-04 2004-03-04 인라인 스케이트 KR100535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516A KR100535717B1 (ko) 2004-03-04 2004-03-04 인라인 스케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516A KR100535717B1 (ko) 2004-03-04 2004-03-04 인라인 스케이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762U Division KR200353035Y1 (ko) 2004-03-04 2004-03-04 인라인 스케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212A KR20050089212A (ko) 2005-09-08
KR100535717B1 true KR100535717B1 (ko) 2005-12-12

Family

ID=37271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516A KR100535717B1 (ko) 2004-03-04 2004-03-04 인라인 스케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7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444Y1 (ko) 2009-07-28 2011-10-31 정진욱 인라인 스케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444Y1 (ko) 2009-07-28 2011-10-31 정진욱 인라인 스케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212A (ko) 2005-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0886A (en) Frame for an in-line skate
EP0858819A1 (en) Eccentric spacer for an in-line skate
US4304417A (en) Adjustable plastic roller skate
US6880833B2 (en) Modular roller skate apparatus
US11944896B2 (en) Skateboard and skateboard trucks
US6883812B1 (en) Size adjustable in-line skates
KR100535717B1 (ko) 인라인 스케이트
KR200353035Y1 (ko) 인라인 스케이트
US6276695B1 (en) In-line skate
US5527049A (en) Digger for in-line roller skate
US10524533B2 (en) Roller skate system having a rail and a boot
US20120313336A1 (en) Unicycle roller skate
US20040084861A1 (en) Adjustable frame assembly for skates
KR200348269Y1 (ko) 다목적 인라인 스케이트
KR200256799Y1 (ko)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결합구
KR100806643B1 (ko) 인라인 스케이트 보드
KR200412194Y1 (ko) 후진차단 역방향 기어가 부착된 인라인스케이트
KR20040028833A (ko) 다목적 인라인 스케이트
KR200216734Y1 (ko) 클랙 스케이트
US20150321074A1 (en) Binding system and method with interchangeable frames having sporting blades or rollers thereon
KR200458649Y1 (ko) 스케이트 부츠
KR200405998Y1 (ko) 인라인 스케이트 보드
KR200367992Y1 (ko) 인라인스케이트 프레임
KR200333034Y1 (ko) 인라인 스케이트
KR200192244Y1 (ko) 인라인 스케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