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390Y1 -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 - Google Patents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390Y1
KR200456390Y1 KR2020090005455U KR20090005455U KR200456390Y1 KR 200456390 Y1 KR200456390 Y1 KR 200456390Y1 KR 2020090005455 U KR2020090005455 U KR 2020090005455U KR 20090005455 U KR20090005455 U KR 20090005455U KR 200456390 Y1 KR200456390 Y1 KR 2004563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ody frame
motor
wheel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138U (ko
Inventor
손동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주웰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주웰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주웰딩
Priority to KR2020090005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390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1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1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3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3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4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parallel 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구동바퀴가 설치되어 몸체프레임에 장착된 용접토치를 이송시키게 되는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는 몸체프레임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체인에 의해 구동바퀴가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던 종래 용접 캐리지와 달리 몸체프레임 상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기어에 의해 구동바퀴가 연결되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용접 캐리지의 크기가 축소되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접 캐리지의 이동이 가능해지게 되고, 용접 캐리지가 경량화되어 용접 캐리지의 기동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가 수동식 용접토치에 적용되어 작업자의 판단과 필요에 따라 수동식 용접토치를 장착시켜 이송시킬 경우 작업자가 용접 캐리지를 용접이 요구되는 위치로 반복적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는 경량화되어 있음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피로감이 저감될 수 있고, 작업자의 근골격계 상해가 최소화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100)는 용접토치가 장착되는 토치장착부(50)가 형성된 몸체프레임(10), 몸체프레임(10)에 전후방향 양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바퀴(20), 몸체프레임(10)에 고정되어 구동바퀴(20)를 회전시키게 되는 구동모터(30), 구동모터(3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되는 컨트롤러(60)를 포함하는데, 구동모터(30)와 구동바퀴(20) 사이에 기어박스(40)가 설치되어 구동모 터(30)의 회전력이 기어박스(40)에 의해 구동바퀴(20)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캐리지, 용접, 기어, 체인

Description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Welding carriage drived by gear}
본 고안은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구동모터와 구동바퀴가 기어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이 제공됨에 따라 용접 캐리지의 크기가 축소되고, 용접 캐리지의 중량이 감소될 수 있는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에 관한 것이다.
용접 캐리지는 용접토치를 몸체프레임에 장착시켜 이송시키게 되는 것으로, 주로 선박건조작업과 같이 용접작업이 수시로 수행되는 조선업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어 용접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용접 캐리지는 별도로 구비되는 레일을 타고 이동하게 되거나, 모터와 연동되어 회전하게 되는 구동바퀴에 의해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구동바퀴에 의해 이동하게 되는 용접 캐리지와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94434호 "서브머지드 용접용 자동캐리지",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8-0098697호 "4면용접캐리지",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10838호 "자동 용접 캐리지" 등이 안출되 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접 캐리지(100')는 구동모터가 몸체프레임 상에 수직으로 장착됨에 따라 수평하게 설치되는 구동바퀴(1)가 고정되는 휠샤프트(2)와 구동모터의 모터축 사이에는 베벨기어(3)가 설치되어 서로 직각을 이루는 구동모터와 구동바퀴(1) 사이에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종래의 용접 캐리지(100')는 도 1에서와 같이 몸체프레임(4)의 전후방향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휠샤프트(2)(2')가 체인(5)이나 벨트로 연결되도록 하는데, 구동축에 해당되는 휠샤프트(2)는 상기와 같이 구동모터와 베벨기어(3)로 연결되도록 하고, 종동축에 해당되는 휠샤프트(2')는 상기와 같이 체인(5)이나 벨트로 연결되어 구동축에 해당되는 휠샤프트(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용접 캐리지는 체인이나 벨트로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성이어서 이를 위한 공간확보를 위하여 몸체프레임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협소한 공간에서는 용접 캐리지를 운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용접 캐리지가 수동식 용접토치에 적용되어 작업자의 판단과 필요에 따라 수동식 용접토치를 장착시켜 이송시킬 경우 작업자가 용접 캐리지를 용접이 요구되는 위치로 반복적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용접 캐리지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용접 캐리지가 고중량이 되어 용접 캐리지 이동시 작업자의 작업 피로감이 증대되고, 작업자의 근골격계 상해 발생률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몸체프레임 상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기어에 의해 구동바퀴가 연결되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용접 캐리지의 크기가 축소되고, 용접 캐리지가 경량화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은 용접토치를 장착시켜 이송시키게 되는 용접 캐리지(100)에 있어서, 상기 용접토치가 장착되는 토치장착부(50)가 형성된 몸체프레임(10)과; 상기 몸체프레임(10)에 전후방향 양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바퀴(20)와; 상기 몸체프레임(10)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바퀴(20)를 회전시키게 되는 구동모터(30) 및; 상기 구동모터(3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되는 컨트롤러(60)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모터(30)와 구동바퀴(20) 사이에 기어박스(40)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이 상기 기어박스(40)에 의해 상기 구동바퀴(20)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에서 상기 몸체프레임(10)은 개방면(14)을 가진 모터장착공간(12)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30)가 상기 몸체프레임(10)의 모터장착공간(12)에 수평하게 장착되어 모터축(32)이 수평 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기어박스(40)는 중심이 상기 구동모터(30)의 모터축(32)과 일직선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구동모터(30)의 모터축(32)과 결합되는 모터기어(42)와, 상기 몸체프레임(10)의 전후방향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휠샤프트 삽입홀(16)에 관통되게 삽입되어 상기 몸체프레임(10)의 양측면으로 돌출되는 휠샤프트(22)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 휠기어(44)와, 상기 모터기어(42)와 휠기어(4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기어(42)와 휠기어(44)에 동시에 맞물리게 되고 상기 몸체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기어(46)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바퀴(20)는 상기 휠샤프트(22)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모터기어(42), 연결기어(46), 휠기어(44)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휠샤프트(22)와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에서 상기 구동모터(30)는 상기 몸체프레임(10)의 상측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기어(42)가 상기 몸체프레임(10)의 상측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기어(46)와 휠기어(44)는 상기 모터기어(42)의 양측으로 '∧'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몸체프레임(10)의 전후방향 길이가 축소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에서 상기 몸체프레임(10)은 일측면에 상기 모터장착공간(12)의 개방면(14)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구동모터(30)의 선단부는 상기 몸체프레임(10)의 일측면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모터장착 공간(12)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30)의 후단부는 상기 몸체프레임(10)의 일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프레임(10)의 좌우방향 길이가 축소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모터기어(42), 연결기어(46) 및, 휠기어(44)는 상기 몸체프레임(10)의 타측면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프레임(10)의 타측면과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체결볼트(78)에 의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기어커버(70)에 의해 보호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기어(46)는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회전축(462)이 상기 몸체프레임(10)의 타측면과 상기 기어커버(70)에 각각 형성된 고정홀(7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에 의하면, 구동모터와 구동바퀴가 기어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이 제공됨에 따라 용접 캐리지의 크기가 축소되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접 캐리지의 이동이 가능해지게 되고, 용접 캐리지가 경량화되어 용접 캐리지의 기동성이 향상된다.
또한, 용접 캐리지가 수동식 용접토치에 적용되어 작업자의 판단과 필요에 따라 수동식 용접토치를 장착시켜 이송시킬 경우 작업자가 용접 캐리지를 용접이 요구되는 위치로 반복적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는 경량화되어 있음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피로감이 저감될 수 있고, 작업자의 근골격계 상해가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100)는 구동모터(30)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구동바퀴(20)가 설치되어 몸체프레임(10)에 장착된 용접토치를 이송시키게 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직접 온오프동작을 조작하게 되는 수동식 용접토치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100)는 몸체프레임(10) 상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구동모터(30)와 기어(42)(44)(46)에 의해 구동바퀴(20)가 연결되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용접 캐리지(100)의 크기가 축소되고, 용접 캐리지(100)의 중량이 저감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100)는 도 2에서와 같이 몸체프레임(10), 구동바퀴(20), 구동모터(30), 기어박스(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프레임(10)은 토치장착부(50)가 형성되어 용접토치가 장착되도록 하고, 용접 캐리지(100)를 구성하는 토치장착부(50), 구동바퀴(20), 구동모터(30), 컨트롤러(60), 기어박스(40)가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은 몸체프레임(10)은 용접토치의 화염과 고온의 용가재에 노출되는 작업환경을 고려하여 내열성의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정해진 형상의 블록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바퀴(20)는 몸체프레임(10)의 전후방향 양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구동바퀴(20)는 몸체프레임(10)의 전후방향 양단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휠샤프트(22)에 고정되어 회전하게 된다.
구동모터(30)는 몸체프레임(10)에 고정되어 구동바퀴(20)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구동모터(30)는 몸체프레임(10)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구동모터(30)의 모터축(32)이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트롤러(60)는 구동모터(30)의 온온프동작, 구동모터(30)의 속도와 같은 구동모터(3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용접 캐리지(1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 것으로, 몸체프레임(10)에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어박스(40)는 구동모터(30)와 구동바퀴(20)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30)와 구동바퀴(20)에 동시에 접속하게 되는 것으로,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을 구동바퀴(20)로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어박스(40)는 구동모터(30)의 모터축(32)과 결합되는 모터기어(42), 구동바퀴(20)의 휠샤프트(22)와 결합되는 휠기어(44)를 포함한 다수개의 기어(42)(44)(46)가 서로 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구동모터(30)가 몸체프레임(10)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모터축(32)이 휠샤프트(22)와 동일하게 수평을 이룰 경우 기어박스(40)를 이루는 기어(42)(44)(46)는 스퍼기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100)는 구동바퀴(20)와 구동모터(30)가 기어박스(40)를 통해 서로 접속됨에 따라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이 원활하게 구동바퀴(20)로 전달되고, 몸체프레임(10)의 전후방향 양측으로 설치되는 구동바퀴(20)가 고정되는 휠샤프트(22)가 모두 구동모터(30)와 기어박스(40)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성이어서, 용접 캐리지(100)의 구동이 안정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몸체프레임의 전후방향 양단부에 설치되는 휠샤프트 중 어느 하나는 구동축으로 구동모터와 접속되고, 나머지 어느 하나는 종동축으로 체인이나 벨트에 의해 구동축인 휠샤프트와 접속하게 되는 종래 용접 캐리지와 달리 몸체프레임(10)의 크기가 축소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용접 캐리지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 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의 주요부 결합 사시도이고, 도 5의 (a), (b), (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를 이루는 기어박스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100)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몸체프레임(10), 구동모터(30), 기어박스(40), 구동바퀴(20)를 주요부로 하여 구성된다.
몸체프레임(10)은 개방면(14)을 가진 모터장착공간(12)이 내부에 형성되어 구동모터(30)가 고정설치되도록 하는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몸체프레임(10)에서는 모터장착공간(12)의 개방면(14)이 일측면에 형성되어 몸체프레임(10)의 측방향으로 구동모터(30)가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몸체프레임(10)은 전후방향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휠샤프트 삽입홀(16)이 형성되어 휠샤프트(22)가 삽입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몸체프레임(10)은 모터장착공간(12)의 개방면(14)이 형성된 일측면의 반대편, 즉 몸체프레임(10)의 타측면으로 기어커버(70)가 결합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기어커버(70)는 몸체프레임(10)의 타측면과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체결볼트(78)에 의해 착탈식으로 몸체프레임(10)과 결합되는 것으로 몸체프레임(10)의 타측면과 기어커버(70) 사이에 기어박스(40)가 위치되어 기어박스(40)가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한다.
구동모터(30)는 몸체프레임(10)의 모터장착공간(12)에 수평하게 장착되어 모터축(32)이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30)는 상기와 같이 몸체프레임(10)의 일측면에 형성된 모터장착공간(12)의 개방면(14)을 통해 삽입되어 모터장착공간(12)에 장착되는데, 모터장착공간(12)의 측방향 길이는 구동모터(30)의 전체길이보다 작도록 하여 구동모터(30)의 선단부(30a)만이 모터장착공간(12)에 장착되고, 구동모터(30)의 후단부(30b)는 몸체프레임(10)의 일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몸체프레임(10)의 측방향, 즉 좌우방향 길이가 축소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30)는 몸체프레임(10)의 상측 중앙부에 설치되어 모터축(32)이 몸체프레임(10)의 상측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기어박스(40)는 구동모터(30)와 구동바퀴(20)를 서로 연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40)는 모터기어(42), 휠기어(44), 연결기어(46)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와 같은 모터기어(42), 휠기어(44), 연결기어(46)는 몸체프레임(10)의 타측면 외측에서 서로 접속하게 된다.
모터기어(42)는 구동모터(30)의 모터축(32)과 결합되어 구동모터(30)와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 기어로서, 모터기어(42)의 중심은 구동모터(30)의 모터축(32)과 일직선 상에 위치된다.
휠기어(44)는 몸체프레임(10)의 휠샤프트 삽입홀(16)에 관통되게 삽입되어 몸체프레임(10)의 양측면으로 돌출되는 휠샤프트(22)와 결합되어 휠샤프트(22)와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 기어이다.
연결기어(46)는 모터기어(42)와 휠기어(44) 사이에 설치되어 모터기어(42)와 휠기어(44)에 동시에 맞물리게 되는 기어로서, 이와 같은 연결기어(46)는 몸체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연결기어(46)는 양측으로 돌출되게 회전축(462)이 형성되도록 하여 몸체프레임(10)의 타측면과 기어커버(70)에 각각 형성된 고정홀(72)에 고정되는 베어링(76)에 연결기어(46)의 회전축(462)에 삽입되면서 회전가능하게 몸체프레임(10)에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100)는 도 5의 (a), (b), (c)에서와 같이 몸체프레임(10)의 상측 중앙부에 위치한 모터기어(42)를 중간에 두고 연결기어(46)와 휠기어(44)가 모터기어(42)의 양측으로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데, 이에 따라 몸체프레임(10)의 전후방향 길이가 축소될 수 있게 된다.
구동바퀴(20)는 몸체프레임(10)의 휠샤프트 삽입홀(16)에 관통되게 삽입되어 몸체프레임(10)의 양측면으로 돌출되는 휠샤프트(22)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휠 샤프트(22)와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100)는 기어박스(40)를 보호하게 되는 기어커버(70)의 전후방향 양단부에 관통홀(74)이 형성되도록 하여 관통홀(74)을 관통하면서 기어커버(7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휠샤프트(22)의 끝단부에 구동바퀴(20)가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100)는 몸체프레임(10)에 체결볼트(78)에 의해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구동바퀴(20)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는 스패터(spatter) 커버(80)가 더 구비되도록 하여 구동바퀴(20)가 용접시 스패터(spatter)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100)는 구동모터(30)가 몸체프레임(10)의 일측면에 형성된 개방면(14)을 통해 삽입되어 돌출되게 몸체프레임(10)에 고정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몸체프레임(10)의 좌우방향 길이가 축소되도록 하는 한편, 기어박스(40)를 이루는 모터기어(42), 휠기어(44), 연결기어(46)가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몸체프레임(10)의 전후방향 길이가 축소되도록 하는데, 이에 따라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100)의 전체 크기가 축소될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접 캐리지(100)의 이동이 가능해지게 되고, 용접 캐리지(100)가 경량화되어 용접 캐리지의 기동성이 향상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100)는 수동식 용접토치에 적용되어 작업자의 판단과 필요에 따라 수동식 용접토치를 장착시켜 이송시킬 경우 작업자가 용접 캐리지(100)를 용접이 요구되는 위치로 반복적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100)는 경량화되어 있음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피로감이 저감될 수 있고, 작업자의 근골격계 상해가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체인구동식 용접 캐리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의 주요부 결합 사시도;
도 5의 (a), (b), (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를 이루는 기어박스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프레임 12 : 모터장착공간
14 : 개방면 16 : 휠샤프트 삽입홀
20 : 구동바퀴 22 : 휠샤프트
30 : 구동모터 30a : 선단부
30b : 후단부 32 : 모터축
40 : 기어박스 42 : 모터기어
44 : 휠기어 46 : 연결기어
462 : 회전축 50 : 토치장착부
60 : 컨트롤러 70 : 기어커버
72 : 고정홀 74 : 관통홀
76 : 베어링 78, 82 : 체결볼트
80 : 스패터 커버 100 : 용접 캐리지

Claims (4)

  1. 용접토치를 장착시켜 이송시키게 되는 용접 캐리지(100)에 있어서,
    상기 용접토치가 장착되는 토치장착부(50)가 형성된 몸체프레임(10)과;
    상기 몸체프레임(10)에 전후방향 양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바퀴(20)와;
    상기 몸체프레임(10)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바퀴(20)를 회전시키게 되는 구동모터(30) 및;
    상기 구동모터(3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되는 컨트롤러(60)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모터(30)와 구동바퀴(20) 사이에 기어박스(40)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이 상기 기어박스(40)에 의해 상기 구동바퀴(20)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몸체프레임(10)은 개방면(14)을 가진 모터장착공간(12)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30)가 상기 몸체프레임(10)의 모터장착공간(12)에 수평하게 장착되어 모터축(32)이 수평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기어박스(40)는 중심이 상기 구동모터(30)의 모터축(32)과 일직선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구동모터(30)의 모터축(32)과 결합되는 모터기어(42)와, 상기 몸체프레임(10)의 전후방향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휠샤프트 삽입홀(16)에 관통되게 삽입되어 상기 몸체프레임(10)의 양측면으로 돌출되는 휠샤프트(22)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 휠기어(44)와, 상기 모터기어(42)와 휠기어(4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기어(42)와 휠기어(44)에 동시에 맞물리게 되고 상기 몸체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기어(46)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바퀴(20)는 상기 휠샤프트(22)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모터기어(42), 연결기어(46), 휠기어(44)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휠샤프트(22)와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30)는 상기 몸체프레임(10)의 상측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기어(42)가 상기 몸체프레임(10)의 상측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기어(46)와 휠기어(44)는 상기 모터기어(42)의 양측으로 '∧'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몸체프레임(10)의 전후방향 길이가 축소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프레임(10)은 일측면에 상기 모터장착공간(12)의 개방면(14)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구동모터(30)의 선단부는 상기 몸체프레임(10)의 일측면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모터장착공간(12)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30)의 후단부는 상기 몸체프레임(10)의 일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프레임(10)의 좌우방향 길이가 축소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모터기어(42), 연결기어(46) 및, 휠기어(44)는 상기 몸체프레임(10)의 타측면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프레임(10)의 타측면과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체결볼트(78)에 의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기어커버(70)에 의해 보호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기어(46)는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회전축(462)이 상기 몸체프레임(10)의 타측면과 상기 기어커버(70)에 각각 형성된 고정홀(7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
KR2020090005455U 2009-05-06 2009-05-06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 KR2004563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455U KR200456390Y1 (ko) 2009-05-06 2009-05-06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455U KR200456390Y1 (ko) 2009-05-06 2009-05-06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138U KR20100011138U (ko) 2010-11-16
KR200456390Y1 true KR200456390Y1 (ko) 2011-10-27

Family

ID=44203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455U KR200456390Y1 (ko) 2009-05-06 2009-05-06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3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368B1 (ko) 2012-12-13 2014-06-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직 필렛 용접 캐리지 장치
KR20150109974A (ko) * 2014-03-21 2015-10-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위빙 서브머지드 용접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567A (ko) * 2000-03-07 2000-06-05 정홍준 용접기용 마이크로 케리저
JP2006026668A (ja) * 2004-07-13 2006-02-02 Kokuho:Kk 溶接台車
KR200418906Y1 (ko) * 2006-03-30 2006-06-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필렛 용접장치의 주행 및 위빙 제어구조
KR100692098B1 (ko) * 2006-02-08 2007-03-12 한국원자력연구소 핵연료 교환기 램 비상구동 이동로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567A (ko) * 2000-03-07 2000-06-05 정홍준 용접기용 마이크로 케리저
JP2006026668A (ja) * 2004-07-13 2006-02-02 Kokuho:Kk 溶接台車
KR100692098B1 (ko) * 2006-02-08 2007-03-12 한국원자력연구소 핵연료 교환기 램 비상구동 이동로봇
KR200418906Y1 (ko) * 2006-03-30 2006-06-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필렛 용접장치의 주행 및 위빙 제어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368B1 (ko) 2012-12-13 2014-06-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직 필렛 용접 캐리지 장치
KR20150109974A (ko) * 2014-03-21 2015-10-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위빙 서브머지드 용접 장치
KR101581323B1 (ko) * 2014-03-21 2015-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위빙 서브머지드 용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138U (ko) 201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234B1 (ko) 염전용 전동 밀대
US20130055842A1 (en) Robot
US20100299944A1 (en) Cutting or sawing machine
KR101221485B1 (ko) 농업용 관리기
KR200456390Y1 (ko) 기어구동식 용접 캐리지
SE1051150A1 (sv) Brytanordning vid en fjärrstyrd med manöverbar arm utrustad arbetsmaskin och användande av sådan vid restaurering av metallurgiska kärl
WO2010127701A1 (en) Pitch and roll robot joint and industrial robot
JP2008279495A (ja) ロンジ突合継手自動溶接ロボット
SE543074C2 (en) Weld cutting machine
KR101178957B1 (ko) 후판 적용 양면 모서리 가공 장치
WO2011058689A1 (ja) メンテナンス作業用の足場を有する建設機械
KR20170100860A (ko) 곡선 및 직선 주행이 가능한 서브머지드 아크용접 캐리지
JP5427122B2 (ja) 自走式溶接台車
WO2006045134A8 (de) Einrichtung zum führen und spannen von versorgungsleitungen
KR20100013210A (ko) 오버헤드 작업용 리프팅장치
JP6555913B2 (ja) 作業車
JP5819333B2 (ja) 電動アシスト台車
JP3157235U (ja) 自走式溶接台車
KR101254482B1 (ko) 족장 피스 제거 장치
CN101909811B (zh) 焊接用台架
KR200465985Y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하이브리드형 절단기
KR20130051215A (ko) 무레일 용접장치
JP4611043B2 (ja) 切断機
WO2016015368A1 (zh) 双链电链锯
CN206427256U (zh) 手动、自动双模式方向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