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215Y1 -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215Y1
KR200456215Y1 KR2020090003163U KR20090003163U KR200456215Y1 KR 200456215 Y1 KR200456215 Y1 KR 200456215Y1 KR 2020090003163 U KR2020090003163 U KR 2020090003163U KR 20090003163 U KR20090003163 U KR 20090003163U KR 200456215 Y1 KR200456215 Y1 KR 200456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water
purified water
outlet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498U (ko
Inventor
히데오 나까조
Original Assignee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3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215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4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4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2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로서,제빙장치(300)와, 정수장치(200)로 이루어지는 정수기에 있어서,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출구(112)를 형성한 외부 케이싱(110)과, 얼음취출신호용 제1스위칭부재(121)와,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용 제2스위칭부재(122)와, 정수 취출용 제3스위칭부재(123)들과, 저빙고(130)의 측하방으로 얼음취출통로(131), 이로 부터 연통됨과 아울러 분기된 제1,제2얼음통로(132)(133), 상기 얼음취출통로(131)측의 제1액츄에이터(134), 제1개폐도어(135), 상기 제1,제2얼음취출통로(132)(133)측의 제2액츄에이터(136),제2개폐도어(137)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수장치(200)의 음용수용 급수파이프(141)는 제1,제2급수파이프(142)(143)로, 이 급수파이프(142)(143)는 각각 음용급수밸브(144)(145)를, 상기 얼음취출용 제1스위칭부재(121),혼합취출용 제2스위칭부재(122), 정수 취출용 제3스위칭부재(123)들은 각각 제1,제2개폐도어(135)(137), 제1,제2액츄에이터(134)(136)와 함께 제어반(150)통하여 제어되게 하여, 얼음과 정수의 독립적인 취출수단과 함께 정수와 얼음이 동시에 취출되게 하는 취출수단을 마련한 특징을 갖는다.
정수기,얼음취출구,제빙기.

Description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Water purifier for having ice and water combination dispense}
본 고안은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 얼음만의 취출과 냉,온수만의 취출이 이루어지던 냉장고 혹은 정수기를 개선하여 얼음과 정수와의 혼합 취출구조를 구현한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정수기등의 제빙장치는, 압축기를 통한 냉매의 순환과 동시에 증발기를 통하여 실린더(제빙접시)내 물을 냉동시켜 얼음을 얻는 냉동사이클로 이루어지고, 얼음의 생성에 따라 여러가지 증발방식을 갖는 제빙장치가 보급되어 있다.
일예로는 냉동시스템과 연결되고 하부에 냉각돌기를 형성한 증발관과, 이 증발관의 냉각돌기가 잠기도록 물을 공급하는 수관을 구비하여 상기 제빙기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냉각돌기를 수용하되 베이스 프레임 하방에서 소정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양측 상방으로 수직 연장부를 형성한 제빙박스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서 미끄럼/접촉 되고, 가운데에 장공을 형성하며 상기 제빙박스의 연장부에 연결되는 요동프레임과, 상기 요동프레임에 탑재되고 그 하측에서 회동하는 편심축을 가진 액츄에이터와, 상기 편심축이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어 편심/회동하므로서 요동프레임이 전,후진 요동되게 하는 링크부재로서 이루어진 제빙장치가 알려져 있으며, 혹은 오거식 제빙장치도 알려져 있다.
한편, 이러한 제빙장치와 더불어 널리 혼합하여 사용되는 정수기도 많이 알려져 있고 이들중 특히, 등록실용신안 제20-0243161호는 수도물 등의 원수를 정수하는 각종 필터수단과 정수된 물을 각각 저장하는 냉온수 탱크 및 상기 냉수탱크의 냉각수단,온수탱크의 가열수단, 정수를 결빙시키는 제빙수단, 제빙된 얼음조각들을 저장탱크로 하락시키는 하락수단이 구비된 통상의 제빙기능을 가진 냉온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의 공지한 얼음 저장탱크의 전방 취출구에 솔레노이드에 의해 개폐 작동되는 도어가 장착되고, 얼음 저장탱크의 내부 바닥에는 상기 저장탱크의 외부에 별도 장착한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하여 회전되게 한 코일을 장착하며, 상기의 솔레노이드와 모터는 얼음 취출용 푸쉬 버튼의 가압이나 해제상태에 따라 전원이 ON/OFF 되게 한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그 작동이 개시되거나 정지되게 하여 적량의 얼음조각 취출작동이 가능하게 한 것이 있다. 이것은 푸쉬 버튼을 가압 작동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얼음 저장고내에 보관된 얼음조각들을 필요한 만큼 자동 취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 알려진 냉장고 혹은 독립적인 디스펜서 혹은 정수기의 디스펜서들중 첨부 도면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개특허 제10-2007-0054281호의 것이 알려져 있으며, 이것은 도어 일측에 구비되는 디스펜서에는 다양한 종류의 저장물을 취출 가능한 다수의 취출수단이 구비된 냉장고의 멀티 디스펜서이다.
그러나, 이것들이 실제 사용되는 가정에서는 빈번하게 얼음의 취출과 정수된 물의 혼합사용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냉장고나 디스펜서,정수기등은 오로지 정수된 물만, 혹은 냉수만, 혹은 온수만, 혹은 얼음만 취출되는 취출수단을 독립적으로 아니면 몇개 조합하여 취출수단을 마련하고 있으며, 도 1과 같이 단지 음료수를 다양하게 취출되도록 다수 취출수단이 마련된 음료 취출장치도 알려져 있을 뿐 정수된 물과 얼음이 혼합취출되는 수단을 구현한 냉장고나 정수기나 디스펜서는 알려진 바 없다.
왜냐하면 종래 다수의 음료취출수단을 마련한 취출장치들 혹은 냉,온수취출수단과 얼음 취출수단이 마련된 정수기,혹은 냉장고등의 취출방식은 필요한 정수를 별도 취출구를 통하여 컵에 담은 뒤 다시 얼음이 취출되는 취출구에 가서 스위칭하여 취출토록 하므로서 그 혼합되는 정수량과 얼음량의 조절이 용이 하지 않고,임의로 담기 때문에 때때로 담겨진 정수가 넘치거나 얼음량을 많이 넣을 수 없거나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얼음만의 취출구 혹은 냉수,온수 취출구를 동시에 마련한 냉장고,디스펜서 및 정수기가 갖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정수취출과 동시에 얼음이 취출되는 혼합 취출수단이 마련된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정수장치와,제빙장치를 한군데에 집합시켜 가정이나 업소등에서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냉,온수 취출수단과 얼음의 취출수단을 마련함과 아울러 얼음 및 정수의 동시 취출이 이루어지는 취출수단을 구현하되 정수량과 얼음량이 일정하게 혼합 조절되어 취출토록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정수기의 제빙장치가 오거식 제빙장치로서 구현되게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정수기의 제빙장치가 제빙돌기 침지식 제빙장치로서 구현되게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는,
제빙장치와, 정수장치로 이루어지는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빙장치와 정수장치를 수용하여 결합하고, 얼음취출구와,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출구와, 정수만이 취출되는 정수취출구를 형성한 외부 케이싱과, 상기 얼음취출구측에 설치된 얼음취출신호용 제1스위칭부재와, 상기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용 제2스위칭부재와, 상기 정수 취출용 제3스위칭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얼음취출구의 상방에는 상기 제빙장치의 저빙고의 측하 방으로 얼음취출통로를 이루되, 이로 부터 연통됨과 아울러 분기된 제1,제2얼음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얼음취출통로측에는 저빙고와의 사이에 제1액츄에이터로서 개폐 구동되는 제1개폐도어를 형성하고, 상기 제1,제2얼음취출통로사이에는 제2액츄에이터로서 개폐 구동되는 제2개폐도어를 형성하며, 상기 정수장치의 음용수용 급수파이프는 제1,제2급수파이프로 각각 분기되고, 이 급수파이프에는 각각 음용급수밸브를 설치하며, 상기 얼음취출용 제1스위칭부재,혼합취출용 제2스위칭부재, 정수 취출용 제3스위칭부재들은 상기 제1,제2개폐도어, 제1,제2액츄에이터와 함께 제어반을 통하여 제어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로서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의 상기 제빙유닛은,
상기 냉매순환파이프을 통하여 의 하부에 냉각돌기를 형성한 증발관 및 수관을 구비한 상부 프레임과, 이 상부 프레임의 냉각돌기들이 공급수에 잠기도록 소정의 깊이를 형성한 제빙접시와, 상기 상부 프레임 하방에 위치하고 소정의 얼음적재공간을 형성한 하부 프레임과, 상기 제빙접시를 회동하기 위하여 캠에 접설되는 지렛대 레버, 상기 캠의 중심에 연결되어 회동력을 주기 위한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져 상기 제빙접시를 회동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로서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의 상기 제빙부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실린더와, 실린더 외주면에 면접촉시켜 감아 장착한 증발기와, 이 실린더내에서 액츄에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나선날을 갖는 스크류와, 증발기를 외기로부터 차단하도록 실린더 전체를 피복하는 냉동 케이싱으로 이루어진 오거식 제빙기인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로서 달성된다.
본 고안은 냉,온수 취출수단과 얼음의 취출수단을 동시에 마련함과 아울러 얼음 및 정수의 동시 취출이 이루어지는 취출수단을 구현한 정수기를 제공하므로서 그동안 얼음과 정수를 사용자가 일일이 얼음의 취출후 정수(냉수)취출수단에서 다시 정수를 취출하던 번거로움을 개선하여 한번의 작동으로 간단히 얼음과 정수가 혼합하여 취출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들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의 내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개략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고안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본 고안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는,
크게 얼음 및 정수 취출장치 본체(100)와, 정수장치(200)와, 제빙장치(3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얼음 및 정수 취출장치 본체(100)는,
제빙장치(300)와 정수장치(200)를 수용하여 결합하고, 얼음취출구(111)와,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출구(112)와, 정수만이 취출되는 정수취출구(113)를 포함하여 외부 케이싱(110)을 이룬다.
외부 케이싱(110)의 정면에는 상기 얼음취출구(111)측에 설치된 얼음취출신호용 스위칭부재(121)와, 상기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용 스위칭부재(122)와, 상기 정수 취출용 스위칭부재(123)가 설치된다.
이 스위칭부재들은 사용중인 푸쉬레버등이 바람직하며, 푸쉬레버의 푸슁작동에 의하여 접촉되는 순간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칭신호 발생장치로 이루어진다.
외부 케이싱(110)의 얼음취출구(111),혼합출구(112)의 상방에는 제빙장치(300)의 저빙고(130)의 측하방으로 얼음취출통로(131)와, 이로 부터 연통됨과 아울러 분기된 제1,제2얼음통로(132)(133)가 형성된다.
또한, 이 얼음취출통로(131)측에는 저빙고와의 사이에 제1액츄에이터(134)로서 개폐 구동되는 제1개폐도어(135)를 형성하고, 상기 제1,제2얼음취출통로(132)(133) 상방에는 제2액츄에이터(136)로서 개폐 구동되는 제2개폐도어(137)를 형성하여서 된다.
상기 외부 케이싱(110)내부의 상기 정수장치(200)에 연결된 음용수용 급수파이프(141)는 제1,제2급수파이프(142)(143)으로 각각 분기되고, 이 급수파이프(142)(143)에는 각각 음용급수밸브(144)(145)를 설치하여서 된다.
얼음취출용 스위칭부재(121),혼합취출용 스위칭부재(122), 정수 취출용 스위칭부재(123)들은 상기 제1,제2개폐도어(135)(137), 제1,제2액츄에이터(134)(136)를 제어하는 제어반(150)을 통하여 모든 입력신호에 따른 동작신호를 인가하거나 제어 하게 된다. 제어반의 구체적인 작동은 일반적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정수장치(200)는 침전필터(210)와, 카본필터(220)와, 중공사막멤브레인 필터(230)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제빙장치(300)로 급수되는 원수가 상기 침전필터(210)만을 거쳐 급수파이프(146)를 통하여 급수되게 함과 아울러 카본필터(220)와 중공사막 멤브레인필터(230)를 거친 급수는 응용수용 급수파이프(141)로 공급되게 하여서 된다.
제빙장치(300)는 증발기(311),압축기(312),응축기(313)와 팬모터(314),팽창밸브(315),냉매순환파이프(316)로이루어져 응축,팽창,증발,압축의 냉동사이클 과정을 통하여 제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동사이클부(310)와, 냉동사이클부(310)의 증발기(311)을 통하여 제빙이 이루어지는 제빙부(320)와, 이 제빙부(320)을 통하여 얻어진 얼음이 일시 저장되는 제빙유닛(330)으로 이루어진다.
첨부 도면중 도 5a,5b는 본 고안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 구를 갖는 정수기의 제빙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b에서 도시하는 본 고안의 제빙부(32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실린더(321)와, 실린더(321) 외주면에 면접촉시켜 감아 장착한 증발기(311)와, 이 실린더(321)내에서 액츄에이터(322)에 의해 회전하는 나선날(323)을 갖는 스크류(324)와, 증발기(311)를 외기로부터 차단하도록 실린더(321) 전체를 피복하는 냉동 케이싱(325)으로 이루어진 오거식 제빙장치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 5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의 제빙유닛(330)은 상기 냉매순환파이프(316)에 연결되고 그 하부에 냉각돌기(334)를 형성한 증발관(311) 및 수관(146)을 구비한 상부 프레임(331)과, 이 상부 프레임(331)의 냉각돌기(334)들이 공급수에 잠기도록 소정의 깊이를 형성한 제빙접시(332)와, 상기 상부 프레임(331)하방에 위치하고 얼음 일시적재공간(a)을 형성한 하부 프레임(333)과, 제빙접시(332)를 회동하기 위하여 캠(335)에 접설되는 지렛대 레버(336), 캠(335)의 중심에 연결되어 회동력을 주기 위한 액츄에이터(337)로 이루어져 제빙접시(332)를 회동시켜서 이루어지는 제빙방식도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은 얼음의 취출량과 정수취출량을 각각의 액츄에이터를 통하여 개폐시간을 조절 제어토록하므로서 그 량의 일정한 비율 혼합이 가능하게 하므로서 종래 각각의 취출구를 통하여 임의로 얼음을 취출시킨 뒤 정수취출구를 통하여 혼합할 경우 발생되던 얼음량과 정수량의 혼합 비율이 맞지 않아 넘치거나 쏟아지게 한던 것을 제어반(150)의 타이머 기능을 통하여 개폐시간을 제어시켜 필요한 비율 로 얼음과 정수가 혼합 취출되는 혼합 취출수단을 마련한 정수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첨부 도면 도 6a,6b,6c는 본 고안 알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중 도 6a는 얼음취출용 스위칭부재(121)에 컵을 접촉할 경우 스위칭신호가 발생되며, 이 신호는 제어반(150)에 인가되어 제1음용급수밸브(144)를 소정시간동안 개방하여 정수된 물이 취출된다. 이후 취출이 끝나면 제1음용급수밸브(144)는 그 동작이 정지된다.
이어서 도 6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얼음 및 정수 취출용 스위칭부재(122)가 설치된 레버에 컵을 밀거나 접촉시키면 스위칭부재(122)에서 발생된 신호가 제어반(150)에서 소정의 신호작동을 하여 제2음용급수밸브(145)가 턴온되어 정수가 취출됨과 동시에 얼음취출용 제1개폐도어(135)가 개방되어 얼음이 저장고로 부터 배출되며, 동시에 제2개폐도어(137)는 방향을 바꾸어 얼음통로의 오른쪽을 차단하므로서 정수와 얼음이 동시에 취출된다. 마찬가지로 이후 상기 제2음용급수밸브(145)와 제1개폐도어(135)는 그 동작이 정지되어 제1개폐도어(135)는 저빙고를 차단하게 된다.
한편, 얼음만의 취출을 원하는 경우 도 6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컵을 스위칭부재(123)에 접촉하거나 밀면 신호가 제어반(150)에 전달되어 제1개폐도어(135)를 개방함과 동시에 제2개폐도어(137)의 방향을 바꾸어 왼쪽 통로를 차단하게 된다. 이어서 제1개폐도어(135)가 차단되는 시간동안 제빙된 얼음이 통로를 따라 취출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다양한 종류의 저장물을 취출 가능한 다수의 취출수단이 구비된 냉장고의 멀티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의 내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5a,5b는 본 고안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의 제빙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6a,6b,6c는 본 고안 알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의 작용을 설면하는 도면이다.

Claims (3)

  1. 증발기(311),압축기(312),응축기(313)와 팬모터(314),팽창밸브(315),냉매순환파이프(316)로이루어져 응축,팽창,증발,압축의 냉동사이클 과정을 통하여 상기 증발기에서 제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동사이클부(310), 냉동사이클부(310)를 통하여 제빙이 이루어지는 제빙부(320), 이 제빙부(320)을 통하여 얻어진 얼음이 일시 저장되는 저장고(a)를 형성한 제빙유닛(330)으로 이루어진 제빙장치(300);및 침전필터(210)와, 카본필터(220)와, 중공사막멤브레인 필터(230)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제빙장치(300)로 급수되는 원수가 상기 침전필터(210)만을 거쳐 급수파이프(146)를 통하여 급수되게 함과 아울러 카본필터(220)와 중공사막 멤브레인필터(230)를 거친 급수는 응용수용 급수파이프(141)로 공급되게 하는 정수장치(200)를 포함하는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에 있어서,
    얼음취출구(111)와,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출구(112)와, 정수만이 취출되는 정수취출구(113)를 형성하되, 상기 얼음취출구(111)측에는 얼음취출신호용 제1스위칭부재(121), 혼합출구(112)측에는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용 제2스위칭부재(122), 정수취출구(113)측에는 정수 취출용 제3스위칭부재(123)를 각각 형성하고, 얼음취출구(111),혼합출구(112)의 상방의 저장고(130) 하방에는 얼음취출통로(131)를 이루되, 이로 부터 연통됨과 아울러 분기된 제1,제2얼음통로(132)(133)를 형성하고, 상기 얼음취출통로(131)측에는 저빙고와의 사이에 제1액츄에이터(134)로서 개폐 구동되는 제1개폐도어(135)를 형성하며, 제1,제2얼음취출통로(132)(133)사이에는 제2액츄에이터(136)로서 개폐 구동되는 제2개폐도어(137)를 형성하며, 정수장치(200)의 음용수용 급수파이프(141)는 제1,제2급수파이프(142)(143)으로 각각 분기되고, 이 급수파이프(142)(143)에는 각각 음용급수밸브(144)(145)를 설치하며, 얼음취출용 제1스위칭부재(121),혼합취출용 제2스위칭부재(122), 정수 취출용 제3스위칭부재(123)들은 상기 제1,제2개폐도어(135)(137), 제1,제2액츄에이터(134)(136)을 제어되게 하여,
    얼음과 정수만의 독립적인 취출수단과 함께 정수와 얼음이 동시에 취출되게 하는 취출수단을 마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빙유닛(330)은,
    하부에 냉각돌기(334)를 형성한 증발관(311) 및 수관(146)을 구비한 상부 프레임(331)과, 상부 프레임(331)의 냉각돌기(334)들이 공급수에 잠기도록 소정의 깊이를 형성한 제빙접시(332)와, 상부 프레임(331)하방에 위치하고 임시저장공간을 형성한 하부 프레임(333)과, 제빙접시(332)를 회동하기 위하여 캠(335)에 접설되는 지렛대 레버(336), 캠(335)의 중심에 연결되어 회동력을 주기 위한 액츄에이터(337)로 이루어져 제빙접시(332)내 얼음을 형성함과 아울러 얼음을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제빙부(32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실린더(321)와, 실린더(321) 외주면에 면접촉시켜 감아 장착한 증발기(311)와, 이 실린더(321)내에서 액츄에이터(322)에 의해 회전하는 나선날(323)을 갖는 스크류(324)와, 증발기(311)를 외기로부터 차단하도록 실린더(321) 전체를 피복하는 냉동 케이싱(325)으로 이루어진 오거식 제빙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
KR2020090003163U 2009-03-19 2009-03-19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 KR200456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163U KR200456215Y1 (ko) 2009-03-19 2009-03-19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163U KR200456215Y1 (ko) 2009-03-19 2009-03-19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498U KR20100009498U (ko) 2010-09-29
KR200456215Y1 true KR200456215Y1 (ko) 2011-10-20

Family

ID=44199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163U KR200456215Y1 (ko) 2009-03-19 2009-03-19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21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097B1 (ko) * 2021-07-06 2023-05-08 양영호 제빙기의 얼음 저장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867B1 (ko) 2001-09-18 2003-12-01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제빙기를 가진 냉온정수기
KR100795293B1 (ko) 2006-09-19 2008-01-15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알칼리 얼음 제조 기능을 구비한 냉온 얼음 정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867B1 (ko) 2001-09-18 2003-12-01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제빙기를 가진 냉온정수기
KR100795293B1 (ko) 2006-09-19 2008-01-15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알칼리 얼음 제조 기능을 구비한 냉온 얼음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498U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4187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с ледогенератором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льда
US7698900B2 (en) Ice 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JPH0532668B2 (ko)
KR20060013721A (ko) 투명빙 제조 장치 및 방법
JPH0544587B2 (ko)
KR20100081038A (ko) 냉장고
JPH01210778A (ja) 自動製氷機の除氷構造
KR200456215Y1 (ko) 얼음과 정수가 동시에 취출되는 혼합 취출구를 갖는 정수기
KR19990066209A (ko) 냉장고
KR20180020844A (ko) 눈꽃 제빙기
KR100246392B1 (ko) 냉장고의 자동제빙 장치
KR200317455Y1 (ko) 개방형 조각얼음 제빙장치
KR102035506B1 (ko) 제빙과 냉수 형성 겸용 제빙기구
US8336326B2 (en) Dispenser
KR20190124834A (ko) 제빙드럼이 내장된 냉장고
KR20170000272A (ko) 얼음 제조용 먹는물 공급장치
KR100246430B1 (ko) 복합냉장고의 디스펜스기능 관련 배관시스템 구조
CN104110923A (zh) 一种用于制口味雪花的装置
KR20130067220A (ko) 탈빙이 용이한 제빙기구
KR100266594B1 (ko) 복합냉장고용 제빙기의 얼음분리 제어방법
KR200160599Y1 (ko) 자동판매기용 제빙기의 얼음투출장치
KR102524581B1 (ko) 드럼 제빙기의 원료공급 개폐장치
KR100266592B1 (ko) 복합냉장고용 제빙기의 얼음이송 제어방법
KR101741735B1 (ko) 냉장고의 제빙기 급수장치
KR20060004548A (ko) 얼음 가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