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585Y1 -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배면지지체 - Google Patents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배면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585Y1
KR200455585Y1 KR2020080015172U KR20080015172U KR200455585Y1 KR 200455585 Y1 KR200455585 Y1 KR 200455585Y1 KR 2020080015172 U KR2020080015172 U KR 2020080015172U KR 20080015172 U KR20080015172 U KR 20080015172U KR 200455585 Y1 KR200455585 Y1 KR 2004555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nel
wall
prefabricated bathroom
flexible foam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1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286U (ko
Inventor
윤현식
Original Assignee
이현배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배쓰(주) filed Critical 이현배쓰(주)
Priority to KR20200800151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585Y1/ko
Publication of KR201000052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2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5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5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7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with connections using a special adhe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욕실 시공 시에 벽판넬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한 후 사용하던 중에, 벽판넬의 중간부위에서의 꿀렁임(굴곡지게 되는 것을 말함.)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배면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배면지지체는, 조립식 욕실 시공 시에 벽판넬을 벽면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시켜서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벽면에서 이격되는 일정간격에 맞는 폭을 가지면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연질 발포폼; 상기 연질 발포폼의 폭방향에 대향되는 전측면과 후측면에 형성되어서 상기 벽판넬의 배면 및 상기 벽면에 부착시킬 수 있게 하는 접착면; 및 상기 연질 발포폼의 일정부위에서 폭방향으로 형성된 경질부로 이루어져, 상기 벽판넬과 벽면 사이에서, 벽판넬의 배면 중간부위를 포함한 여러 위치에 다수개를 개재하여 설치함으로써 벽판넬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립식 욕실, 벽판넬, 벽면, 간격, 배면지지체.

Description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배면지지체 {WALL PANELS OF A PREFABRICATED BATHROOM}
본 고안은 조립식 욕실 시공 시에 벽판넬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한 후 사용하던 중에, 벽판넬의 중간부위에서의 꿀렁임(굴곡지게 되는 것을 말함.)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배면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건식공법에 의해 시공하는 욕실은 일명 '조립식 욕실(Unit Bath Room; UBR)'이라 불리는데, 상기 조립식 욕실은 욕실의 바닥, 벽면 및 천장의 형성에 필요한 자재를 공장에서 미리 생산하여 현장에서 단순 조립하여 완성하는 욕실을 말한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지지철편을 적용한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설치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욕실 시공 시, 벽면(5)에 설치하는 벽판넬(1)은 외곽을 둘러서 사각 형태로 프레임(3)이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3)이 이루는 사각 공간에 는 충진재가 내재되며 일면에는 타일(2)이 부착되어 이루어진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립식 욕실 시공 시에 벽판넬(1)을 벽면(5)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시켜서 설치하고 있는데, 이때 벽판넬(1)과 벽면(5) 사이에는 당업계에서 '지지철편(100)'이라고 불리고 있는 것을 이용하여 벽판넬(1)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있다.
종래 지지철편(100)은 금속판을 절곡시켜서 형성된 'L'자형 철편 한쌍으로 구성되는데, 한쌍의 'L'자형 철편 중 하나는 "┛" 형태로 벽면(5)에 배치하고, 다른 것은 "┏" 형태로 벽판넬(1)에 배치한 상태에서, 각각의 'L'자형 철편의 수평면(110b)(120b)을 맞대고, 각각 그 수평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도면부호 미표기)을 통해 나사(130c)에 의해 한쌍의 'L'자형 철편 상호간을 결합하게 된다.
상기 "┏" 형태로 배치하는 'L'자형 철편의 수직면(110a)은, 하층에 위치하는 벽판넬(1)의 상부에 있는 프레임(3) 배면에서 나사(130a)로 결합하게 되고, "┛" 형태로 배치하는 'L'자형 철편의 수직면(120a)은 나사(130b)에 의하여 벽면(5)에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한쌍의 'L'자형 철편의 결합에 의하여 벽판넬(1)의 배면이 지지되도록 하는데, 한쌍의 'L'자형 철편 상호간을 나사로 고정하여 지지철편(100)을 작업에 필요한 만큼 다수개를 만드는 선행작업을 실시한 상태에서, 설치하기 위한 벽판넬(1)의 상부에 있는 프레임(3)의 배면에 한쪽 'L'자형 철편 다수개를 고정하여야 하고, 이후 벽판넬(1)을 적층하면서 다른 쪽 'L'자형 철편 다수개를 벽면(5)에 고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작업은 또 다른 벽판넬(1)을 적층하면서 반복하여 실시하여 벽판넬(1)을 설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지지철편(100)은 'L'자형 철편 상호간을 결합하는데 따른 작업시간과, 'L'자형 철편을 벽판넬(1)과 벽면(5)에 나사로 고정하는데 따른 작업시간으로 인하여 벽판넬(1)의 설치작업이 지연되어 결국에는 조립식 욕실을 시공하는 공사기간이 길어지게 되는 한편, 다수개의 지지철편을 나사로 고정하기 때문에 작업상 불편함도 따랐다.
한편, 종래 지지철편(100)은 벽판넬(1)의 배면에 고정함에 있어, 프레임(3)에만 고정할 수 밖에 없는데, 그 이유는 프레임(3)이 이루는 사각 공간에 내재된 충진재 면에 나사로 고정하면, 충진재가 파손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벽판넬(1)의 상부에 있는 프레임(3)의 배면에 고정하여 벽판넬(1)을 설치하고 있다.
조립식 욕실을 시공완료 한 후, 종래 지지철편(100)은 벽판넬(1)의 중간부위인 충진재가 내재된 부위에는 고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던 중에 벽판넬(1)에 부착되어 있는 타일(2)에 기대거나 힘을 가해서 누르게 되는 경우, 벽판넬(1)의 중간부위에서의 꿀렁임(굴곡지게 되는 것을 말함.) 현상이 발생되어 보수작업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지지철편(100)은 금속판으로 된 'L'자형 철편 한쌍으로 구성되고 많이 필요하고, 상호간을 결합하면서 벽판넬(1) 및 벽면(5)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도 매우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구매단가가 비싸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조립식 욕실을 시공완료 한 후, 종래 지지철편(100)은 벽판넬(1)의 중간부위인 충진재가 내재된 부위에는 고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던 중에 벽 판넬(1)에 부착되어 있는 타일(2)을 살짝 때렸을 때 공명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고,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한쌍의 'L'자형 철편 상호간을 결합하고 있는 나사가 이완되면서 맞대어져 있던 수평면의 사이가 떨어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었고, 이로 인하여 욕실을 이용하던 중에 벽판넬(1)에 부착된 타일(2)에 기대거나 치게 될 경우에는 한쌍의 'L'자형 철편 결합부위에 발생된 유격으로 인하여 금속 마찰로 인한 마찰음이 생기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벽판넬(1)의 길이가 2m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설치하기 위한 벽판넬(1)에 'L'자형 철편을 고정해 둔 상태에서, 설치하면서 벽판넬(1)이 어느 정도 휘어지게 됨에 따라 그 배면에 고정된 'L'자형 철편의 절곡된 형태에도 변형이 가해지게 되는 경우도 발생되어 벽판넬(1)의 설치작업을 더욱이나 지연되게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립식 욕실 시공 시에 벽판넬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한 후 사용하던 중에, 벽판넬에 부착되어 있는 타일에 기대거나 힘을 가해서 누르게 되는 경우에, 벽판넬의 중간부위에서의 꿀렁임(굴곡지게 되는 것을 말함.)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배면지지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고, 종래의 지지철편으로 사용하고 있는 금속재 'L'자형 철편에 비해서 그 가격면에도 매우 저렴한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배면지지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벽판넬의 중간부위인 충진재가 내재된 부위를 비롯한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설치하여 벽판넬을 보다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있고, 조립식 욕실을 시공완료 한 후, 공명현상을 비롯한 소음이 발생할 우려가 전혀 없는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배면지지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배면지지체는, 조립식 욕실 시공 시에 벽판넬을 벽면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시켜서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벽면에서 이격되는 일정간격에 맞는 폭을 가지면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연질 발포폼; 상기 연질 발포폼의 폭방향에 대향되는 전측면과 후측면에 형성되어서 상기 벽판넬의 배면 및 상기 벽면에 부착시킬 수 있게 하는 접착면; 및 상기 연질 발포폼의 일정부위에서 폭방향으로 형성된 경질부로 이루어져, 상기 벽판넬과 벽면 사이에서, 벽판넬의 배면 중간부위를 포함한 여러 위치에 다수개를 개재하여 설치함으로써 벽판넬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연질 발포폼은 양면에 접착면을 가지는 양면접착 스펀지 테이프를 사용하되, 상기 접착면에는 벽판넬을 설치할 때, 떼어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보호 지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질부는 상기 연질 발포폼의 상부면에서 전측면 및 후측면까지 절개된 경질부 형성홈이 형성되며, 상기 경질부 형성홈에 열경화성 수지를 충전시켜서 경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질부를 형성하는 열경화성 수지는 에폭시 수지이며, 상기 경질부의 폭 길이는, 조립식 욕실 시공 시에 벽판넬과 벽면 사이의 간격이 2 ~ 15Cm로 설치되는 경우, 그 간격에 맞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벽판넬의 배면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벽면에 밀어붙여 벽판넬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조립식 욕실의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어 시공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 벽판넬의 중간부위인 충진재가 내재된 부위를 비롯한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한 후 사용하던 중에, 벽판넬에 부착되어 있는 타일에 기대거나 힘을 가해서 누르게 되는 경우에, 벽판넬의 중간부위에서의 꿀렁임(굴곡지게 되는 것을 말함.)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양면접착 스펀지 테이프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종래의 지지철편로 사용하고 있는 금속재 'L'자형 철편에 비해서 그 가격면에도 매우 저렴하여 조립식 욕실 시공자를 비롯하여 시공을 의뢰한자에게도 경제적 이득을 줄 수 있다.
또한, 벽판넬의 중간부위인 충진재가 내재된 부위를 비롯한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벽판넬을 보다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연질 발포폼으로 이루어져 소음이 발생할 우려도 전혀 없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배면지지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배면지지체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배면지지체(10)는 조립식 욕실 시공 시에 벽판넬(1)을 벽면(5)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시켜서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벽판넬(1)과 벽면(5) 사이에서, 벽판넬(1)의 배면 중간부위를 포함한 여러 위치에 다수개를 개재하여 설치함으로써 벽판넬(1)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배면지지체(10)는 그 재질이 연질 발포폼(11)으로 이루어지며, 벽면(5)에서 이격되는 일정간격에 맞는 폭을 가지면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욕실을 시공할 때, 벽판넬(1)은 벽면(5)과의 간격이 2 ~ 3Cm 정도가 되게 설치하는 것이 보편적인데, 이에 따라, 상기 배면지지체(10)는 그에 맞게 2 ~ 3Cm 정도의 폭 길이를 가지게 형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조립식 욕실을 시공할 때, 벽판넬(1)은 벽면(5)과 15Cm 이내의 간격으로 넓게 설치하기도 한다. 이럴 경우, 상기 배면지지체(10)의 폭길이를 벽판넬(1)과 벽면(5) 사이의 간격에 맞게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면지지체(10)를 이루는 연질 발포폼(11)은 그 폭방향에 대향되는 전측면과 후측면에 접착면(12a)(12b)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접착면(12a)(12b)에 의하여 상기 배면지지체(10)를 벽판넬(1)의 배면 및 벽면(5)에 간편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면(12a)(12b)은 조립식 욕실 시공현장에서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연질 발포폼(11)의 일정부위에는 폭방향으로 경질부(15)가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경질부(15)는 말 그대로 딱딱한 부위로서, 이렇게 경질부(15)가 연질 발포폼(11)의 폭방향에 걸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연질 발포폼(11)이 폭방향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신축성이 딱딱한 경질부(15)에 의해 발휘되지 못하게 되어 고정된 폭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경질부(15)의 폭 길이는, 조립식 욕실 시공 시에 벽판넬(1)과 벽면(5) 사이의 간격이 2 ~ 15Cm로 설치되는 경우, 그 간격에 맞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질 발포폼(11)은 벽판넬(1)과 벽면(5)에 접착면(12a)(12b)에 의해 부착하였을 때,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는 것이 좋은데, 연질 발포폼(11)의 길이와 접착면(12a)(12b)을 이루는 전측면과 후측면의 면적이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상기 연질 발포폼(11)은 유연성이 좋은 연질(軟質) 발포폼으로써, 제조하는 원료의 종류에 따라 스펀지, 우레탄폼 등 여러가지가 있으나, 그 가격면에서 매우 저렴한 스펀지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시중에서 롤형태로 말려져서 유통되고 있는 일명 '양면접착 스펀지 테이프'라 불리고 있는 것을 일정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질 발포폼(11)으로 사용하는 양면접착 스펀지 테이프는 양면에 접착면(12a)(12b)을 가지며, 상기 접착면에는 접착면을 보호하는 보호지(13a)(13b)가 부착되어 있어, 필요한 곳에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보호지(13a)(13b)는 벽판넬(1)을 벽면(5)에 설치할 때, 떼어내어 제거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질부(15)는 연질 발포폼(11)의 상부면에서 전측면 및 후측면까지 절개시켜 경질부 형성홈(14)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경질부 형성홈(14)에 열경화성 수지를 충전시켜서 경화되도록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질부(15)를 형성하는 열경화성 수지는 페놀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등 여러가지가 있는데, 경화후 딱딱한 정도가 좋은 에폭시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경질부 형성홈(14)은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연질 발포폼(11)으로 사용하는 양면접착 스펀지 테이프의 상부면을 'V'자 형태로 잘라내어서 간편하게 형성 할 수 있다.
도 2에서 연질 발포폼(11)으로 사용하는 양면접착 스펀지 테이프의 상부면에 'V'자 형태의 경질부 형성홈(14)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보호지(13a)(13b)를 먼저 떼낸 상태에서 연질 발포폼(11)에 경질부 형성홈(14)을 형성한 다음, 떼어낸 보호지(13a)(13b)를 다시 접착면(12a)(12b)에 부착시켜 두고서 벽판넬(1) 시공 시에는 보호지(13a)(13b)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양면접착 스펀지 테이프에 경질부 형성홈(14)을 형성할 때 보호지(13a)(13b)가 접착면(12a)(12b)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V'자 형태로 경질부 형성홈(14)을 보호지(13a)(13b) 부분과 일체로 절단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경질부(15)를 형성하기 위하여 경질부 형성홈(14)에 열경화성 수지를 충전함에 있어, 그 충전된 상태가 접착면(12a)(12b)과 일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판재를 접착면(12a)(12b)에 부착하여 그에 따라 내측 공간을 가지게 된 경질부 형성홈(14)에 열경화성 수지를 충전시켜 경화된 후 판재를 떼내고 보호지(13a)(13b)를 다시 접착면(12a)(12b)에 부착시켜 둘 수 있다.
상기 경질부(15)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질 발포폼(11)의 상부면 가운데 한 곳만 형성하여도 적당하나, 본 고안에 따른 배면지지체(10)가 보다 확실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연질 발포폼(11)의 상부면에서 좌,우측 양편에서 가장자리 가까운 두 부분에 경질부(15)를 형성하여 연질 발포폼(11)의 폭을 유지하고 있게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배면지지체의 설치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면지지체를 적용한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설치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배면지지체의 설치 방법 및 그에 따른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설명하기에 앞서, 도 2에서 배면지지체(10)가 벽면(5)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벽면(5)에 배면지지체(10)가 부착된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일 뿐, 이와 같이 벽면(5)에 배면지지체(10)를 미리 반드시 부착해 두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본 고안에 따른 배면지지체(10)는 벽판넬(1)을 벽면(5)에 설치하기 전에, 설치하기 위한 벽판넬(1)의 배면에서 중간부위인 충진재가 내재된 부위를 비롯한 원하는 위치에 다수개를 부착할 수 있는데, 이때 한쪽 보호지(13a)를 제거하여 접착면(12a)에 의해 부착하고, 다른 쪽 면에 부착되어 있는 보호지(13b)를 제거한 상태에서 벽판넬(1)을 적층하면 벽면(5)에 자연스럽게 부착되어진다.
상기 배면지지체(10)를 벽판넬(1)의 배면에 부착하는 위치는, 구체적으로 벽판넬(1)이 이루고 있는 사각형의 모서리부에 가까운 곳과, 벽판넬(1)의 배면 한폭판에 몇 개를 부착해 둘 수 있다.
이렇게 벽판넬(1)과 벽면(5) 사이에 배면지지체(10)가 개재되고, 배면지지체(10)는 한쪽은 벽판넬(1)에 부착되고 다른 쪽은 벽면(5)에 부착되어 고정됨에 따라 배면지지체(10)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경질부(15)에 의해서 벽판넬(1)은 벽 면(5)과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벽판넬(1)을 벽면(5)에 설치하고, 설치된 벽판넬(1)의 상부에 또 다른 벽판넬(1)을 적층시키는데, 이때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배면지지체(10)를 벽판넬(1)에 부착하여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조립식 욕실 시공시 벽판넬(1)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설치하게 되며, 상·하 적층된 벽판넬(1) 상호간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표기되어 있는 미설명부호 (2)는 벽판넬(1)에 부착된 '타일'이며, 미설명부호 (3)은 외곽을 둘러서 사각 형태를 이루는 '프레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면지지체(10)는 도 1과 같은 형태로 미리 제작한 것을 가지고 시공현장에서 설치할 수 있고, 시공현장에서 직접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양면접착 스펀지 테이프를 사용하여 경질부 형성홈(14)을 형성시킨 다음 에폭시수지로 경질부(15)를 형성함으로써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벽판넬(1)을 설치하기 전의 선행 작업에 대해서는 본 고안의 요지를 분명히 하기 위해서 설명하지 않았으나, 본 출원인의 특허등록 제865483호에 의한 방수판재를 사용하며, 상기 방수판재는 해당하는 욕실 바닥의 형상 및 규격에 맞게, 즉 욕실의 바닥층 전체를 커버하도록 제작되어 슬래브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그 위에 벽판넬(1)을 설치함을 밝혀둔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배면지지체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배면지지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배면지지체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배면지지체의 설치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면지지체를 적용한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설치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지지철편을 적용한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설치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벽판넬 2 : 타일
3 : 프레임
10 : 배면지지체 11 : 연질 발포폼
12a, 12b : 접착면 13a, 13b : 보호지
14 : 경질부 형성홈 15 : 경질부
100 : 종래 지지철편 110a, 120a : 'L'자형 철편의 수직면
110b, 120b : 'L'자형 철편의 수평면
130a, 130b, 130c : 나사

Claims (4)

  1. 조립식 욕실 시공 시에 벽판넬(1)을 벽면(5)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벽판넬(1)이 벽면(5)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되도록 하는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배면지체에 있어서,
    상기 벽판넬(1)과 벽면(5)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전, 후 방향의 폭을 가지면서 좌, 우 방향의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연질 발포폼(11);
    상기 연질 발포폼(11)의 폭방향에 대향되는 전측면과 후측면에 형성되어서 상기 벽판넬(1)의 배면 및 상기 벽면(5)에 부착시킬 수 있게 하는 접착면(12a)(12b); 및
    상기 연질 발포폼(11)의 상부면에서 상기 연질 발포폼(11)의 전, 후 방향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질부 형성홈(14)에 충전, 경화된 경질부(15)를 포함하여,
    상기 연질 발포폼(11)은 벽판넬(1)을 벽면(5)에 대하여 신축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경질부(15)는 벽판넬(1)을 벽면(5)에 대하여 비신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배면지지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발포폼(11)은 양면에 접착면(12a)(12b)을 가지는 양면접착 스펀지 테이프를 사용하되,
    상기 접착면(12a)(12b)에는 벽판넬(1)을 설치할 때, 떼어내어 사용할 수 있 도록 보호지(13a)(13b)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배면지지체.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부(15)를 형성하는 열경화성 수지는 에폭시 수지이며, 상기 경질부(15)의 폭 길이는, 조립식 욕실 시공 시에 벽판넬(1)과 벽면(5) 사이의 간격이2 ~ 15Cm로 설치되는 경우, 그 간격에 맞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배면지지체.
KR2020080015172U 2008-11-13 2008-11-13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배면지지체 KR2004555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172U KR200455585Y1 (ko) 2008-11-13 2008-11-13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배면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172U KR200455585Y1 (ko) 2008-11-13 2008-11-13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배면지지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286U KR20100005286U (ko) 2010-05-24
KR200455585Y1 true KR200455585Y1 (ko) 2011-09-15

Family

ID=44450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172U KR200455585Y1 (ko) 2008-11-13 2008-11-13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배면지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58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1015A (ja) * 1993-03-05 1995-04-04 Kowa Kenshiyou Kk 弾性スペーサを用いた壁面および床面施工法
KR0112808Y1 (ko) * 1994-05-19 1998-04-16 박원배 욕실용 간격유지구
KR200315852Y1 (ko) 2003-03-17 2003-06-11 주식회사 원진 층간 충격음 완충재용 스티로폴
JP2006144439A (ja) * 2004-11-22 2006-06-08 Inax Corp ふかし壁、その構築方法及びスペー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1015A (ja) * 1993-03-05 1995-04-04 Kowa Kenshiyou Kk 弾性スペーサを用いた壁面および床面施工法
KR0112808Y1 (ko) * 1994-05-19 1998-04-16 박원배 욕실용 간격유지구
KR200315852Y1 (ko) 2003-03-17 2003-06-11 주식회사 원진 층간 충격음 완충재용 스티로폴
JP2006144439A (ja) * 2004-11-22 2006-06-08 Inax Corp ふかし壁、その構築方法及びスペー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286U (ko) 2010-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112B1 (ko) 패널조립구조체
KR101027873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리판 고정장치
JP5585997B2 (ja) 軽量鉄骨間仕切り壁
CA2597186C (en) Fastening member and externa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406099B1 (ko) 방음판 고정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벽.
KR101754194B1 (ko) 시공, 철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비접착식 바닥밀착형 조립식 마루판 및 이를 이용한 마루판의 밀착 시공 방법
JPWO2006129801A1 (ja) 内外装材下地兼用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型枠工法
KR200455585Y1 (ko)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배면지지체
KR102262976B1 (ko) 건물 외벽의 복합패널 마감구조
KR20110000268A (ko) 건축용 패널의 시공구조
EP2085535A1 (en) A covering panel with magnetic means for reversible coupling to a metallic supporting surface, in particular a raised floor
KR100624129B1 (ko) 간편시공이 가능한 마루 바닥재
KR101772001B1 (ko) 화장실용 칸막이패널
KR20160023284A (ko) 건축용 조립식 벽체
JP6162626B2 (ja) 断熱パネル、断熱工法、断熱パネル用枠体および断熱パネル構成部材
JP5385477B1 (ja) 上がり框及び床見切材
KR101040234B1 (ko) 데크 어셈블리
JP6598212B2 (ja) パネル用ジョイント材、間仕切り構造および間仕切り施工方法
JP6783565B2 (ja) 乾式床構造
JP6775955B2 (ja) 床構造
JP2007092369A (ja) 木造軸組耐力壁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JPH073102B2 (ja) 建築物の面構造体及びその下地材
KR101616515B1 (ko) 고 강성 샌드위치 패널
JP6195240B2 (ja) 階段装置
JP3598949B2 (ja) 天井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