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415Y1 -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의 두부 보강조립체 - Google Patents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의 두부 보강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415Y1
KR200455415Y1 KR2020080013583U KR20080013583U KR200455415Y1 KR 200455415 Y1 KR200455415 Y1 KR 200455415Y1 KR 2020080013583 U KR2020080013583 U KR 2020080013583U KR 20080013583 U KR20080013583 U KR 20080013583U KR 200455415 Y1 KR200455415 Y1 KR 2004554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concrete
concrete pile
wire
reinforcemen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5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125U (ko
Inventor
장병성
Original Assignee
장병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성 filed Critical 장병성
Priority to KR2020080013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415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1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1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4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4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3Details of top sections of foundation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10Follow-blocks of pile-drivers or like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08Improving by compacting by inserting stones or lost bodies, e.g. compaction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6Protect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0Piles with protecting c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Abstract

본 고안은 기초공사용 중공형 파일의 캡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약지반의 지반 안정을 위해 박아 넣는 콘크리트 파일들의 두부 정리후 기초 콘크리트의 타설시 타설물이 파일내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기초 구조물을 보강하기 위해 설치되는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의 두부 보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파일, 두부. 보강조립체, 원형판, 파일받침대, 철선

Description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의 두부 보강조립체{A pile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of concrete pile}
본 고안은 기초공사용 중공형 파일의 캡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약지반의 지반 안정을 위해 박아 넣는 콘크리트 파일들의 두부 정리후 기초 콘크리트의 타설시 타설물이 파일내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기초 구조물을 보강하기 위해 설치되는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의 두부 보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교량을 축조할 때, 또는 연약 지반위에 구축물을 축조할 때 지지력을 보강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콘크리트 파일을 일정 간격으로 항타하여 지반을 보강하고 그 위에 구조물을 축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파일 지반 공법은 해머 등으로 강관을 대상 지면에 항타하여 기초를 다지며, 강관의 상부에 다수개의 수직 연결 철근과 띠철근을 배근하고 이에 수평연결철근(주철근 및 배력철근)을 배근한 다음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반을 보강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고안은 지반을 보강하기 위해 매입된 콘크리트 파일에 다수개의 수직 연결철선 을 배근하여 콘크리트 파일의 두부를 보강하는 두부 보강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 콘크리트 파일의 두부 보강 방법으로는 여러가지 것들이 있으며, 그 일예로, 콘크리트 파일의 내주면에 보강판을 용접하고, 덮개판을 강관파일의 상단에 용접하고 철근을 덮개판 둘레에 용접하는 방식으로 덮개판을 콘크리트 파일의 상단에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현장에서 작업자가 덮개판 및 철근을 일일이 용접해야 함으로 노동력과 생산비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용접열로 인해 용접부의 변형, 균열, 조직 약화 및 부식이 유발될 수 있고, 적은 용접 면적으로 인해 용접이 탈락될 수 있고, 수직 하중에 취약하여 구조물의 부실을 야기할 수 있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또 다른 예로는, 볼트식 강관말뚝 두부보강 공법이 있으며, 이것은 유압 타공기로 강관파일 측면에 다수개의 볼트구멍을 타공하고 볼트식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을 강관내부에 삽입하고, 강관파일 측면에 볼트를 조립하고, 지반에서 버팀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확대기초 하부 주철근과 배력철근을 조립하고, 통상 보강철근의 나사부를 원형 덮개판에 체결하고, 확대 기초 잔여 철근의 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하는 방법을 볼 수 있으나, 이 공법에 있어서는, 현장 용접 과정이 없으며, 미리 만들어진 덮개판을 사용함으로 시공시간의 단축효과는 기대되나, 덮개판의 운반 및 수송이 곤란하며, 이로 인한 시공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과중한 중량으로 이를 취급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갖는 단점을 갖게 된다.
또한 강관파일 내측에 십자형 보강판을 삽입하고 이를 강관 내부와 용접하고, 원형 덮개판과 강관말뚝 두부를 서로 용접하며, 다수개의 수직 철근을 강관파일의 바깥 측면 둘레에 필렛 용접하고, 그 후 확대 기초 철근을 조립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강관파일은 내측으로 콘크리트 채움이 불필요하지만 현장에서 용접을 하는 번거로움과 확대 기초 철근조립이 힘들며, 수송이 곤란하며, 공사비가 많이 드는 단점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두부 보강 방법들이 갖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종래 공법에서 볼 수 있는 용접에 의한 조립 방식을 탈피하고, 각 구성요소간의 조립시 강한 밀착력과 견고성을 바탕으로 견고한 결합력을 주는 밀착 또는 구성요소의 물리적인 변화(충격)방식으로 조립 및 설치가 간단하게 제공하며, 이로 인해 비숙련자라도 이를 용이하게 조립 설치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콘크리트 파일 내측으로 수직연결된 철선의 버팀(지지)으로 사용되는 원형판을 설치하되, 상기 원형판과 철선 끝단과의 연결을 더욱 강한 밀착력에 의한 체결과, 상기 철선을 통과한 파일받침대가 콘크리트 파일 상단면을 받쳐줌으로서 콘크리트 파일의 두부 보강의 목적에 준하는 두부 보강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콘크리트 파일의 중공부 상단에 끼워져 상면에 수직상향 돌출형의 체결구가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소정 깊이의 위치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원형판과, 상기 체결구를 통해 소정 길이만큼 수직으로 구비되며, 외주에 수직의 등간격으로 돌출턱이 형성된 철선과, 상기 철선 중간부에 부착되어 “¬” 형상의 원형링구조를 가지며 수평면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된 파일받침대로 구성되는 공지의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의 두부 보강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원형판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구의 단면에 있어 철선의 두께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하측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측공간부보다 더 넓은 직경을 가진 상향으로 연장된 상측공간부를 가지는 단면이 “
Figure 112011020624134-utm00001
” 형상을 가지며, 상/하측공간부 내주면에 돌출된 체결링이 형성된 체결구와,
상기 원형판의 상부에 원주방향으로 상향 축설된 다수개의 철선을 통과한 파일받침대에 상기 파일받침대가 철선 상향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상기 파일받침대가 설치된 철선의 상위에 양측으로 걸림턱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 두부 보강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콘크리트 파일 두부 보강조립체는 콘크리트 파일의 중공부에 콘크리트를 타설경화되어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저항할 수 있는 두부 보강조립체를 제공함과 용접이 필요 없는 두부 보강조립체로서 용접에 의한 열화현상 및 강도저하가 없는 것으로서 원형판, 철선, 연결와이어 및 파일받침대가 제작조립이 간단하며, 시공시 간단한 구조로 인해 설치가 용이하며 결합력이 더 강화된 두부 보강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콘크리트 파일(10)의 중공부(11) 상단에 끼워져 상면에 수직상향 돌출형의 체결구(210)가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소정 깊이의 위치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원형판(200)과, 상기 원형판(200)의 체결구(210)를 통해 소정 길이만큼 수직으로 구비되며, 외주에 수직의 등간격으로 돌출턱(301)이 형성된 철선(300)과, 상기 철선(300) 중간부에 부착되어 “¬” 형상의 원형링구조를 가지며 수평면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삽입공(410)이 형성된 파일받침대(400)로 구성되는 공지의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의 두부 보강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원형판(200)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구(210)의 단면에 있어 철선(300)의 두께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하측공간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하측공간부(212)보다 더 넓은 직경을 가진 상향으로 연장된 상측공간부(211)를 가지는 단면이 “
Figure 112008070927119-utm00002
” 형상을 가지며, 상/하측공간부(211, 212) 내주면에 돌출된 복수의 체결링(213)이 형성된 체결구(210)와,
상기 원형판(200)의 상부에 원주방향으로 상향 축설된 다수개의 철선(300)을 통과한 파일받침대(400)에 상기 파일받침대(400)가 철선(300) 상향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상기 파일받침대(400)가 설치된 철선(300)의 상위에 양측으로 걸림턱(310)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 두부 보강조립체(이하, ‘두부 보강조립체’라 칭함.)(100)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원형판(200)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구(210)에 철선(300)이 수직으로 가설되어 있으며, 상기 원형판(200)과 철선(300)이 콘크리트 파일(10)의 중공부(11)에 내속되어 일정 깊이의 위치에 설치됨을 위해 콘크리트 파일(10)의 상단면 외주면에 수평면이 면착되고, 상기 수평면과 직각으로 연장된 수직면이 콘크리트 파일(10) 중공부(11) 내면에 내속되어 이루어진 파일받침대(400)에 있어 상기 파일받침대(400) 수평면에 수직의 철선(300)이 통과되도록 관통된 다수개의 삽입공(410)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410)을 통해 철선(300)이 상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철선(300)의 중간에 내속된 파일받침대(400)가 철선(300) 상향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상기 철선(300)의 중간에 양측으로 걸림턱(310)이 일체로 형성됨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철선(300)에 걸림턱(310)을 줌으로서 상기 파일받침대(400)는 원형판(200)의 체결구(210)에 내삽된 철선(300)에서 상기 걸림턱(310)이 형성된 철선(300)의 지점까지 이동할 수 있으나 상기 걸림턱(310)이 형성된 철선(300)에 의해 파일받침대(400)는 철선(300)의 상부방향으로 이탈을 할 수 없게 된다.
이에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중공부(11)에 상기 두부 보강조립체(100)를 내삽시켜 상기 파일받침대(400)가 콘크리트 파일(10)의 상단면에 결속되며 동시에 철선(300)에 형성된 걸림턱(310)에 의해 원형판(200)과 철선(300)이 중공부(11) 내부에 일정 깊이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 철선(300)의 일정지점에 양측으로 돌설된 걸림턱(310)을 주기 위해 철선(300)을 상하측방향으로 철근용 압착기계에 의해 강하게 압착시켜줌으로서 철선(300)이 양측으로 밀려나가 걸림턱(310)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형판(200)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구(210) 단면에 있어 철선(300)의 두께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하측공간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하측공간부(212)보다 더 넓은 직경을 가진 상향으로 연장된 상측공간부(211)를 가지는 것으로 단면이 “
Figure 112008070927119-utm00003
” 형상을 가지며, 상/하측공간부(211, 212) 내주면에 돌출된 복수의 체결링(213)을 가진 체결구(210)가 이루어짐으로서 상기 철선(300)이 “
Figure 112008070927119-utm00004
” 형상을 가진 체결구(210)의 하측공간부(212)에 밀착시켜 고정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파일(10)의 중공부(11)에 소정의 깊이만큼 설치한 다음 상기 콘크리트 파일(10)의 중공부(11)에 콘크리트 타설을 하게 되며 이때 상기 콘크리트 타설물이 상기 “
Figure 112008070927119-utm00005
” 형상을 가진 체결구(210)의 상측공간부(211) 즉, 상기 철선(300)과 상측공간부(211) 내측 공간 사이로 콘크리트 타설물이 유입되어 철선(300)과 체결구(210) 상측공간부(211)와의 견고한 결합력을 향상시켜 주는 매개물의 역할로 수행하게 된다. 이에 철선(300)이 상기 체결구(210) 하측공간부(212)의 밀착 및 체결링(213)에 의한 철선(300) 걸림에 의한 강한 결속력이 있는 동시에 상기 체결구(210)의 상측공간부(211)에 유입된 콘크리트 타설물에 따른 철선(300)과의 강한 결속력을 주는 이중적인 결속수단으로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구(210)의 상측공간부(211)에 형성된 체결링(213)은 돌출형성됨 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물을 이탈시키지 못하는 역할로 작용한다.
더구나 상기 “
Figure 112008070927119-utm00006
” 형상을 가진 체결구(210)를 가진 두부 보강조립체(100)를 콘크리트 파일(10)의 중공부(11)에 설치함에 파일 중공부(11)에서의 원형판(200) 수평율(평활도)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
Figure 112008070927119-utm00007
” 형상을 가진 체결구(210)의 상측공간부(211)에 철선(300)과의 격차를 주는 공간을 가짐으로서 철선(300)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여 콘크리트 파일(10) 중공부(11)내에서 원형판(200)의 수평율을 조절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의 두보 보강조립체는 다양하게 설계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시 실시예를 통하여 그 원리를 본 고안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되 그 원리를 통한 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계변경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 두부 보강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 두부 보강조립체의 분리도.
도 3은 도 2의 “A”부위에서 본 고안에 따른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 두부 보강조립체의 철선에 형성된 걸림턱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 두부 보강조립체가 콘크리트 파일 중공부에 설치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부위에서 본 고안에 따른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 두부 보강조립체의 철선의 걸림턱에 걸린 파일받침대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 두부 보강조립체의 원형판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본 고안에 따른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 두부 보강조립체의 원형판 구조도.
도 8은 도 7의 “C”부위에서 본 고안에 따른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 두부 보강조립체의 원형판 체결구 확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 두부 보강조립체를 콘크리트 파일 중공부에 설치하는 구성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두부 보강조립체 100 원형판 200 체결구 210 상측공간부 211 하측공간부 212 체결 링 213 철선 300 걸림턱 310 파일받침대 400 삽입공 410

Claims (1)

  1. 콘크리트 파일(10)의 중공부(11) 상단에 끼워져 상면에 수직상향 돌출형의 체결구(210)가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소정 깊이의 위치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원형판(200)과, 상기 원형판의 체결구(210)를 통해 소정 길이만큼 수직으로 구비되며, 외주에 수직의 등간격으로 돌출턱(301)이 형성된 철선(300)과, 상기 철선(300) 중간부에 부착되어 “¬” 형상의 원형링구조를 가지며 수평면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삽입공(410)이 형성된 파일받침대(400)로 구성되는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의 두부 보강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210)는,
    상기 철선(300)의 두께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하측공간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하측공간부(212)보다 더 넓은 직경을 가진 상향으로 연장된 상측공간부(211)를 가지는 단면이 “
    Figure 112011020624134-utm00018
    ” 형상을 가지되, 상기 상/하측공간부(211, 212) 내주면에 돌출된 복수의 체결링(213)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 두부 보강조립체.
KR2020080013583U 2008-10-11 2008-10-11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의 두부 보강조립체 KR2004554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583U KR200455415Y1 (ko) 2008-10-11 2008-10-11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의 두부 보강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583U KR200455415Y1 (ko) 2008-10-11 2008-10-11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의 두부 보강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125U KR20100004125U (ko) 2010-04-21
KR200455415Y1 true KR200455415Y1 (ko) 2011-09-02

Family

ID=44450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583U KR200455415Y1 (ko) 2008-10-11 2008-10-11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의 두부 보강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41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465A (ko) 2015-08-25 2017-03-07 주식회사 비비엠코리아 강관 복합 두부 보강을 위한 말뚝의 두부 보강장치
CN111501818A (zh) * 2020-05-08 2020-08-07 江苏海洋大学 一种软土区水泥杆基础及其快速施工方法
CN111719546A (zh) * 2020-06-04 2020-09-29 江苏文博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稳定性高的管桩构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684Y1 (ko) * 2002-04-16 2002-07-22 비비엠코리아(주) 조립식 덮개판으로 보강되는 강관말뚝용 머리 보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684Y1 (ko) * 2002-04-16 2002-07-22 비비엠코리아(주) 조립식 덮개판으로 보강되는 강관말뚝용 머리 보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465A (ko) 2015-08-25 2017-03-07 주식회사 비비엠코리아 강관 복합 두부 보강을 위한 말뚝의 두부 보강장치
CN111501818A (zh) * 2020-05-08 2020-08-07 江苏海洋大学 一种软土区水泥杆基础及其快速施工方法
CN111719546A (zh) * 2020-06-04 2020-09-29 江苏文博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稳定性高的管桩构造
CN111719546B (zh) * 2020-06-04 2021-09-07 江苏文博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稳定性高的管桩构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125U (ko) 201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0899B2 (ja) 杭頭部の接合構造及び施工方法
JP4844928B2 (ja) 杭頭部の接合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954967B1 (ko) 건축용 파일의 조립식 두부보강장치
JP3754698B1 (ja) 鉄塔の基礎構造
KR102268071B1 (ko) 말뚝의 두부 보강장치
KR200455415Y1 (ko)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의 두부 보강조립체
JP2003232033A (ja) 基礎杭構造
JP5077865B2 (ja) 既製杭及び基礎杭構造
KR101176030B1 (ko) 강관말뚝 두부 보강구조
KR200201561Y1 (ko) 강관파일 두부보강구조
JP3649717B2 (ja) 鋼管杭の頭部とコンクリート基礎との結合のための結合具および結合構造
JP2018115514A (ja) 杭支持構造物の構築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補強部材
KR200386881Y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KR20110026206A (ko) 콘크리트 파일용 조인트
JP5253316B2 (ja) 既製コンクリート杭のせん断耐力強化方法
KR200422931Y1 (ko) 강관 파일의 두부 보강구조
KR101304501B1 (ko) 강관파일 두부 보강장치
KR100901291B1 (ko) 콘크리트 파일의 두부 보강조립체
KR20120042025A (ko) Phc 파일의 단부 결합장치
KR100657228B1 (ko) 강관말뚝 두부보강 장치
KR101845870B1 (ko) 중공 내부의 강관 설치에 의한 phc 말뚝의 보강구조 및 이를 구비한 phc 말뚝과 그 시공방법
KR200448755Y1 (ko) 건축용 파일의 조립식 두부보강장치
JP4502192B2 (ja) 鋼管柱の柱脚接合部の構造および施工方法
KR200359072Y1 (ko) 강관말뚝 두부보강 장치
KR102560642B1 (ko) 마이크로파일을 이용한 복합파일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