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412Y1 - 버킷 엘리베이터의 체인핀 제거용 지그 - Google Patents

버킷 엘리베이터의 체인핀 제거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412Y1
KR200455412Y1 KR2020080014359U KR20080014359U KR200455412Y1 KR 200455412 Y1 KR200455412 Y1 KR 200455412Y1 KR 2020080014359 U KR2020080014359 U KR 2020080014359U KR 20080014359 U KR20080014359 U KR 20080014359U KR 200455412 Y1 KR200455412 Y1 KR 2004554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jig
plate
bucket elevato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681U (ko
Inventor
김정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4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41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6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6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4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4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6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킷 엘리베이터의 체인핀 제거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앞판(11)과 뒷판(10); 상기 앞판(11)과 뒷판(10)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고 전체의 중간높이에 해당되는 지점에 체인핀(4c)이 자유로이 통과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원형의 제거공(12a)이 형성된 연결판(12) 및;
유압작기(20)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앞판(11)과 뒷판(10)의 일측 단부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핀홀을 관통하여 설치된 연결핀(13a,13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그를 이용함으로써 체인으로부터 체인을 쉽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인에 동요를 주지 않아 분진이 날리지 않게 된다.
버킷 엘리베이터, 체인 해체, 버킷 해체, 지그

Description

버킷 엘리베이터의 체인핀 제거용 지그{jig for removing a chain pin of bucket elevator}
본 고안은 버킷 엘리베이터의 버킷 및 체인 수리를 위해 체인핀을 제거할 때 체인핀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버킷 엘리베이터의 체인핀 제거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버킷 엘리베이터는 다양한 형상의 상부 개방형 용기를 상하 방향으로 무한 회전하는 로프, 와이어, 체인 등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하측의 이송 목적물을 용기에 담아 연속적으로 상측으로 운반하는 기계장치의 총칭으로서, 제조 및 건설 분야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된다.
제철공장에서도 다양한 종류의 집진물 등을 효율적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버킷 엘리베이터가 사용되고 있다.
도 1과 이의 I-I선 단면도인 도 2에 버킷 엘리베이터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집진물 운반시 분진이 외부 공간으로 날리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주변공간과 차단하는 케이스(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케이스(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스프로켓(2)과 하부스프로켓(3)이 설치되며, 이 스프로켓들이 체인(4)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상부스프로켓(2)을 구동하는 모터(5)가 구비되어, 모터(5)의 작동에 의해 체인(4)이 회전함으로써 체인(4)에 장착된 버킷(6)이 집진물을 운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버킷 엘리베이터는 대형 설비로서, 케이스(1)의 하부에는 내부로 작업자가 직접 진입하여 낙하 분진을 제거하거나, 변형 또는 손상된 체인(4) 및 버킷(6)을 교체할 수 있도록 작업도어(1a)가 설치되어 있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인(4)은 각각 쌍을 이루는 인너플레이트(4a)와 아웃터플레이트(4b)가 연속 반복되면서 체인핀(4c)으로 연결된 구조로서, 체인핀(4c)에는 체인롤러가 구비되어 스프로켓의 구동력을 받아들이고 상기 인너플레이트(4a)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아웃터플레이트(4b)에는 그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운팅플레이트(4d)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마운팅플레이트(4d)에 체결공(4da)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4d)에 버킷(6)을 볼트 체결하게 된다.
한편, 버킷 엘리베이터의 가동이 지속되면 피로누적, 충격, 진동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상기 체인(4)이나 버킷(6)이 변형 및 파손되어 교체를 해야만 하는데, 이를 위해서 상기 체인핀(4c)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오염되고 고하중 상태에서 오랜 기간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체인핀(4c)이 고착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아 주로 산소절단을 통해 체인 해체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작업 강도가 셀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이 오래 걸려 생산성 제고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간혹, 망치로 체인핀을 가격하여 분리를 시도하기도 하지만 그럴 경우 체인 전체에 진동을 일으켜 엄청난 양의 분진을 발생시키는 바, 작업을 진행하기가 거의 불가능한 지경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산소절단기를 이용하지 않고, 또한 체인에 충격을 주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체인핀을 제거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또한 분진이 날리지 않는 상대적으로 쾌적한 작업환경에서 체인핀 제거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버킷 엘리베이터의 체인핀 제거용 지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앞판과 뒷판;
상기 앞판과 뒷판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고 전체의 중간높이에 해당되는 지점에 체인핀이 자유로이 통과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원형의 제거공이 형성된 연결판 및;
유압작기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앞판과 뒷판의 일측 단부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핀홀을 관통하여 설치된 연결핀;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앞판에 상기 연결핀이 설치된 쪽의 단부로부터 상기 체인핀과 유압작기의 피스톤로드가 맞대어지는 부분에 해당되는 위치까지 절개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뒷판에 지그 정위치시 버킷 엘리베이터 체인의 버킷 마운팅플레이트에 대응되는 부분이 절단되어 간섭회피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판은 지그 정위치시 버킷 엘리베이터 체인의 버킷 마운팅플레이트에 대응되는 부분을 침범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지그를 이용함으로써 유압작기를 사용하여 체인으로부터 체인핀을 용이하고 빠르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 강도가 낮아질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이 크게 감소된다.
또한, 체인에 큰 충격 및 진동을 유발시키지 않으므로 분진이 비산되지 않아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쾌적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의 (a),(b),(c)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체인핀 제거용 지그의 정면도와, 배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는 앞판(11)과 뒷판(10) 및 상기 앞판(11)과 뒷판(10)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판(12) 및 유압작기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앞판(11)과 뒷판(10)의 일측 단부의 모서리 부분(정확히는 모서리 인접 부분)을 관통하여 구비된 연결핀(13a,13b)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연결핀(13a,13b)의 관통 설치를 위해 앞판(11)과 뒷판(10)의 일측 단부 모서리 부분에는 핀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면의 연결판(12)에는 지그의 중간 높이에 해당되는 지점에 상기 체인핀(4c)이 자유로이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을 갖는 원형의 제거공(12a) 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거공(12a)으로 체인핀(4c)의 헤드가 노출되도록 연결판(12)의 내측면을 체인(4)의 일측면에 밀착시키는 상태로 지그를 설치하고, 상기 지그의 연결핀(13a,13b)을 이용하여 유압작기(20)에 지그를 일체로 연결하며, 그 상태에서 유압작기(20)의 조작부(21)를 조작하여 피스톤로드(22)를 돌출시키면 피스톤로드(22)에 의해 체인핀(4c)의 단부가 헤드 쪽으로 밀려져 체인(4)으로부터 체인핀(4c)이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지그와 유압작기를 연결하고, 이들을 작업위치에 유지한 뒤, 유압작기를 작동시키기만 하면 체인핀(4c)을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체인핀 제거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작업에 의해 체인(4)에 별도의 충격이나 진동이 크게 가해지지 않으므로 분진이 비산될 염려도 없어 종래에 비하여 한층 쾌적한 상태에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유압작기와 지그를 연결하는 작업은 종래 산소절단기를 사용하기 위한 준비 작업에 비하여 한층 단순할 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한 체인핀 제거 작업은 체인핀이나 체인을 직접 산소 절단하는 것에 비해 작업 소요 시간이 매우 적다.
한편, 상기 지그를 이용하여 체인핀을 제거할때는 지그에 연결된 유압작기(20)의 피스톤로드(22) 단부를 체인핀(4c)의 바디 단부에 정확히 맞대어지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지그의 앞판(11)에는 상기 연결핀(13a,13b)이 설치된 쪽의 단부로부터 상기 체인핀(4c)과 피스톤로드(22)가 맞대어지는 부분에 해당되는 위치까 지 절개부(11a)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1a)는 체인핀과 피스톤로드의 맞대어지는 부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개구되어지기만 하면 되므로 그 형상에 제한은 없으나 지그의 필요 강성을 유지하고, 중량 감소 효과도 적절히 있으면서, 외관을 깔끔하게 하기 위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 또는 직사각형의 안쪽 변이 둥글게 라운드진 형상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앞판(11)의 전체적인 형상은 대략 디귿자와 유사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지그가 설치될 때 연결판(12)의 제거공(12a)으로 체인핀(4c)의 헤드가 정확히 삽입되어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즉, 지그가 정확한 작업위치에 위치되기 위해서는 체인의 아웃터플레이트(4b)에 형성된 버킷 마운팅플레이트(4d)와, 이에 체결되는 볼트에 지그의 뒷판(10)이 간섭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뒷판(10)에는 지그의 정위치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4d)에 대응되는 부분이 절단되어 간섭회피부(10a)가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플레이트(4d)에 대응되는 부분은 뒷판(10)의 연결판(12)쪽 모서리 부분을 포함하는데 마운팅플레이트(4d)의 형상에 따라 직사각형으로 절단되므로 간섭회피부(10a)가 형성된 뒷판(10)의 모양은 대략 기역자와 유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뒷판(10)에 간섭회피부(10a)가 형성되었다 할지라도 상기 연결판(12)의 길이가 마운팅플레이트(4d)의 영역을 침범하는 길이로 형성되면 연결판(12)과 마운팅플레이트(4d)가 간섭되므로, 상기 연결판(12)은 상기 간섭회피 부(10a)의 상변과 동일한 지점에 하단이 위치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뒷판(10)의 간섭회피부(10a)와 이에 호응하는 연결판(12)의 하단 위치에 의하여 지그 정위치시에 지그와 상기 버킷 마운팅플레이트(4d) 및 버킷 체결 볼트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됨으로써 지그를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켜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체인핀 제거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그를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해 상기 유압작기(20)의 몸체 외주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고정단(23a,23b)이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단(23a,23b)과 상기 지그의 연결핀(13a,13b)을 연결플레이트(24a,24b)로 연결함으로써 지그와 유압작기의 연결을 이룬다.
상기 연결플레이트(24a,24b)의 유압작기(20)측 단부는 상기 고정단(23a,23b)에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견고히 고정되고, 지그측 단부는 핀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핀(13a,13b)을 관통시킴으로써 지그와의 연결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므로 분해할 때는 상기 연결핀(13a,13b)을 손으로 뽑아서 지그와 유압작기를 분리하는 것이 보다 편리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지그를 이용함으로써 유압작기를 이용하여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체인으로부터 체인핀을 제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강도가 저하되고, 체인에 충격이나 진동을 줄 필요가 없으므로 과도한 분진을 발생시키지 않게 되어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정비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버킷 엘리베이터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의 I-I선 단면도,
도 3은 체인의 버킷 장착 상태도,
도 4는 체인의 평면도,
도 5의 (a),(b),(c)는 본 고안에 따른 버킷 엘리베이터의 체인핀 제거용 지그의 정면도, 배면도 및 우측면도,
도 6은 상기 지그와 유압작기를 이용하여 체인핀을 제거하는 작업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3 : 상,하부 스프로켓
4 : 체인 4c : 체인핀
5 : 모터 6 : 버킷
10 : 뒷판 10a : 간섭회피부
11 : 앞판 11a : 절개부
12 : 연결판 12a : 제거공
13a,13b : 연결핀 20 : 유압작기

Claims (4)

  1. 앞판과 뒷판;
    상기 앞판과 뒷판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고 전체의 중간높이에 해당되는 지점에 체인핀이 자유로이 통과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원형의 제거공이 형성된 연결판 및;
    유압작기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앞판과 뒷판의 일측 단부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핀홀을 관통하여 설치된 연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은 지그 정위치시 버킷 엘리베이터 체인의 버킷 마운팅플레이트와 간섭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 엘리베이터의 체인핀 제거용 지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앞판에 상기 연결핀이 설치된 쪽의 단부로부터 상기 체인핀과 유압작기의 피스톤로드가 맞대어지는 부분에 해당되는 위치까지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 엘리베이터의 체인핀 제거용 지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뒷판에 지그 정위치시 버킷 엘리베이터 체인의 버킷 마운팅플레이트에 대응되는 부분이 절단되어 간섭회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 엘리베이터의 체인핀 제거용 지그.
  4. 삭제
KR2020080014359U 2008-10-28 2008-10-28 버킷 엘리베이터의 체인핀 제거용 지그 KR2004554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359U KR200455412Y1 (ko) 2008-10-28 2008-10-28 버킷 엘리베이터의 체인핀 제거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359U KR200455412Y1 (ko) 2008-10-28 2008-10-28 버킷 엘리베이터의 체인핀 제거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681U KR20100004681U (ko) 2010-05-07
KR200455412Y1 true KR200455412Y1 (ko) 2011-09-02

Family

ID=44199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359U KR200455412Y1 (ko) 2008-10-28 2008-10-28 버킷 엘리베이터의 체인핀 제거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412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4913A (ja) 1983-04-19 1984-11-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バケツトチエ−ンコンベヤ
US20070193247A1 (en) * 2006-02-21 2007-08-23 Daniels Michael K Fluid activated connecting pin removal to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4913A (ja) 1983-04-19 1984-11-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バケツトチエ−ンコンベヤ
US20070193247A1 (en) * 2006-02-21 2007-08-23 Daniels Michael K Fluid activated connecting pin removal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681U (ko) 201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3362B2 (ja) 破砕ハンマと、破砕ハンマの固定要素、側板および保護ケーシング
US10260207B2 (en) Method of repairing an edge guard for a road milling machine
JP4510717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の構造
JP5516658B2 (ja) コンプレッサ取付用ブラケ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建設機械
JP4430145B2 (ja) 液圧式破砕機械に関する装置
KR200455412Y1 (ko) 버킷 엘리베이터의 체인핀 제거용 지그
KR20110123068A (ko) 못 제거장치
KR20110105238A (ko) 파쇄장치
JP4845206B2 (ja) 建設機械のアンダーカバー装置
JP2011063233A (ja) 解体方法、旅客車解体方法及び解体システム
US11077450B2 (en) Service platform and jaw crushing assembly including same
KR100615922B1 (ko) 중장비를 이용한 노후된 건축 구조물 철거용 장치 구조
JP2018123543A (ja) 床版部材の解体方法
JP6294992B1 (ja) 小割用破砕機
KR200422739Y1 (ko) 고속화 도로용 잡물 제거장치
JP2006089989A (ja) 建設機械
KR20130059722A (ko) 굴삭기 설치용 조립식 핸드레일
KR102122899B1 (ko) 버킷 엘리베이터의 버킷 및 체인 교체 방법
JP5430606B2 (ja) 双腕型作業機
JP2013221280A (ja) 解体機用キャブ及びこれに用いるキャブガード
CN105798588A (zh) 销引出装置
WO2008080306A1 (en) Work machine
KR200216316Y1 (ko) 맨홀보수용 리프터
KR100883823B1 (ko) 실린더 보호기능을 갖는 스크랩 슈트
KR19980066117U (ko) 공작기계의 도어 분해 및 조립을 위한 분리형 써포트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