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316Y1 - 수원지의 취수장치 - Google Patents

수원지의 취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316Y1
KR200455316Y1 KR2020080015953U KR20080015953U KR200455316Y1 KR 200455316 Y1 KR200455316 Y1 KR 200455316Y1 KR 2020080015953 U KR2020080015953 U KR 2020080015953U KR 20080015953 U KR20080015953 U KR 20080015953U KR 200455316 Y1 KR200455316 Y1 KR 2004553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mp
guide rail
intake
water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9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860U (ko
Inventor
송양석
양명승
Original Assignee
광주광역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광역시 filed Critical 광주광역시
Priority to KR20200800159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316Y1/ko
Publication of KR201000058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8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3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3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surface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5/00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원지의 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댐, 저수지 등의 상수원지로부터 물을 취수하기 위한 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원지의 취수탑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펌프 베이스와, 펌프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수원지의 물을 취수관으로 펌핑하는 수중펌프와, 취수탑에 설치되어 펌프 베이스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원지의 수위의 변동에 따라 수중펌프의 높이를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시킬 수 있어 취수위의 조정 및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상수도, 가이드레일, 취수, 수중펌프, 수원지

Description

수원지의 취수장치{Apparatus for introducing water in waterworks}
본 고안은 수원지의 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댐, 저수지 등의 상수원지로부터 물을 취수하기 위한 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수지의 수심이 10m 미만일 경우에는 용수의 취출을 위한 단일 취수구를 저수지의 저수위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그러나, 저수지의 수위가 수십 미터에 달할 경우에는 수위의 변동에 따른 표층수의 취수를 위하여 취수탑에 다수개의 취수문을 수층별로 설치하고, 수위의 변동에 따라 각 수층별 취수문을 인위적인 조작에 의해 개폐함으로써 표층수를 취수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이 취수탑을 통하여 표층수를 취수하는 이유는 이를 농업용수로 이용할 경우 냉해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며, 상수도 및 공업용수로 사용할 경우에는 양질의 용수를 취수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취수탑에 의한 표층수의 취수방식은 취수탑의 관리자가 저수지의 수위변화를 수시 또는 정기적으로 육안을 통해 확인해 가면서 필요한 시기마다 각 수층별로 설치된 각 취수문을 인위적으로 개폐하지 않으면 안되 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관리자의 관리소홀이나 실수로 인하여 적기에 취수문을 개폐하지 않을 경우에는 필요로 하는 용수를 원활히 공급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특히, 수중펌프를 이용하여 취수하는 경우 주기적으로 펌프를 점검하고, 수리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수리를 위해 펌프를 해체하는 경우 수중에서 작업하여야 하는 관계로 상대적으로 보수 및 관리에 큰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수위의 변동에 따라 용이하게 표층수의 취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취수 수심층의 조정이 용이하고, 펌프의 유지 보수가 간편한 취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원지 취수장치는 수원지의 취수탑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펌프 베이스와; 상기 펌프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수원지의 물을 취수관으로 펌핑하는 수중펌프와; 상기 취수탑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 베이스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펌프 베이스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전면에 위치하는 플레이트 판과, 상기 플레이트 판의 후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지지되는 롤러와, 상기 플레이트 판에 형성되어 상기 수중 펌프가 장착되는 수평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펌프베이스와 연결된 로프와, 상기 취수탑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프를 감거나 풀어주는 윈치부와, 상기 윈치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수동 또는 전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축과 나란하게 설치된 제 1종동축과, 상기 제 1종동축 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 1종동축에 결합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에 치합하는 웜휠과, 상기 웜휠과 결합하는 제 2종동축과, 상기 웜휠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 2종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윈치부와 연결되는 벨트가 장착되는 풀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수원지의 수위의 변동에 따라 수중펌프의 높이를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시킬 수 있어 취수위의 조정이 매우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수중펌프의 수리시 승강수단에 의해 수중펌프를 취수탑의 상부로 끌어올려 수리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수중펌프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원지의 취수장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원지의 취수장치가 취수탑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취수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취수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취수장치의 구동부와 윈치부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수원지의 취수장치(10)는 댐이나 저수지 등의 수원지에 콘크리트 구조물로 설치된 취수탑(5)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수원지의 표층수를 취수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취수장치(10)는 크게 가이드레일(20)과, 펌프베이스(30)와, 수중펌프(40)와, 승강수단을 구비한다.
가이드 레일(20)은 취수탑(5)의 상부에서부터 시작되어 수원지의 일정 깊이까지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20)은 취수깊이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가이드 레일이 수직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가이드 레일(20)은 왼쪽부터 상층 취수용, 중층취수용, 하층 취수용을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달리 취수탑(5)의 상부에서부터 최하부까지 연장된 하나의 가이드 레일(20)만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0)은 내부가 중공인 사각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일면에는 일정한 너비로 절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23)을 갖는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20)은 평판형의 금속소재를 절곡하여 형성한다. 도시된 가이드 레일(20) 외에도 펌프베이스(3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이드 레일(20)은 취수탑(5)의 정면에 다수의 고정 브라켓(25)에 의해 취수탑(5)에 고정된다. 고정 브라켓(25)의 일측은 가이드 레일(20)에 용접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앵커볼트 등에 의해 취수탑(5)에 고정된다. 고정 브라켓(25)은 설명한 바와 달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용접 또는 앵커볼트 외에도 다양한 고정방식에 의해 가이드 레일을 고정할 수 있다.
펌프베이스(30)는 수중펌프(40)가 장착되는 것으로서, 가이드 레일(20)을 따 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 레일(20)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펌프베이스(30)는 가이드 레일(20)의 전면에 위치하는 플레이트 판(31)과, 플레이트 판(31)의 전면에 형성되어 수평으로 돌출된 수평프레임(33)으로 이루어진다. 수평프레임(33)에는 통상적인 수중펌프(40)가 장착된다. 수평프레임(33)의 중앙에는 수중펌프(40)의 하부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됨으로써 수중펌프(33)가 수평프레임(33)에 고정된다. 수중펌프(40)의 토출구는 플랙시블한 호스(47)와 연결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호스(47)는 취수탑(5)의 상부로 연장되어 취수탑의 내부 또는 상수도용 수로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 판(31)의 후면에는 롤러(35)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롤(35)러는 원주방향을 따라 내부로 인입된 삽입홈(36)이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느 총 4개의 롤러(35)가 설치된다. 베이스 판(31)의 좌측에 상하로 이격된 2개의 롤러가 일직선상으로 설치되고, 베이스 판(31)의 우측에 상호로 이격된 2개의 롤러가 일직선상으로 설치된다. 이 경우 좌측에 설치된 2개의 롤러와 우측에 설치된 2개의 롤러는 각각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어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펌프 베이스(30)는 가이드 레일(20)에 장착시 좌우 롤러(35)의 삽입홈(36)으로 가이드 레일의 양 단부(24)가 각각 삽입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펌프베이스(30)는 가이드레일(20)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승강수단은 펌프베이스(30)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펌프베이스(30)와 연결된 로프(55)와, 취수탑(5)의 상부에 설치되어 로프(55)를 감거나 풀 어주는 윈치부(60)와, 윈치부(6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70)로 이루어진다.
로프(55)의 일측은 펌프베이스의 플레이트 판(31)의 상단에 형성된 고리(37)와 연결되고, 타측은 취수탑(5)의 상부에 설치된 윈치부(60)로 연장된다. 로프(55)는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와이어 소재를 이용한다.
윈치부(60)는 구동부(70)와 연결되어 로프(55)를 권취하며 지지프레임(61)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드럼(63)과, 드럼(63)에서 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지지바(65)를 구비한다.
드럼(63)은 취수탑(5)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로프(55)를 풀거나 감는다. 드럼(63)의 일측면에는 드럼(63)의 회전축에 축결합되는 풀리(67)가 설치된다. 풀리(67)는 구동부(70)와 벨트(93)로 연결되어 구동부(70)에서 발생한 동력이 드럼(63)까지 전달되도록 한다. 그리고 지지바(65)의 종단은 드럼(63)에 권취되는 로프(55)를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롤러(67)가 설치된다.
윈치부(60)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70)는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가령, 구동부(70)로서 전동모터(미도시)를 드럼(63)과 연결시켜 드럼에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거나 수동에 의해 핸들레버를 회전시킴으로써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일 예로 수동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부(70)를 설명하면, 구동부(70)는 취수탑(5)의 상부에 설치된 하우징(57)에 내장되어 설치된다. 핸들레버와 연결된 구동축과 나란하게 제 1종동축이 설치된다. 그리고 구동축에는 평기어인 구동기어가 설치되고, 제 1종동축에는 구동기어와 치합하며 소정의 감속비를 갖 는 평기어인 종동기어가 축결합되어 구동축의 회전력을 종동축에 전달하게 된다. 종동축에는 종동기어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웜기어가 결합되어 제 2종동축에 축결합되는 웜휠과 치합한다. 그리고 웜휠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제 2종동축에는 풀리가 결합되고, 풀리(91)는 윈치부와 연결되는 벨트(93)가 장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수원지로부터 원수를 취수하기 위한 각종 취수장과 오수와 폐수 등의 배수에 널리 이용 가능하다. 또한, 수원지의 수질검사를 위해 시료를 채취하기 위한 취수장치로 이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원지의 취수장치가 취수탑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취수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취수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취수장치의 구동부와 윈치부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취수탑 20: 가이드 레일
30: 펌프 베이스 40: 수중펌프
55: 로프 60: 윈치부
70: 구동부

Claims (3)

  1. 삭제
  2. 수원지의 취수탑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펌프 베이스와;
    상기 펌프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수원지의 물을 취수관으로 펌핑하는 수중펌프와;
    상기 취수탑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 베이스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펌프 베이스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전면에 위치하는 플레이트 판과, 상기 플레이트 판의 후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지지되는 롤러와, 상기 플레이트 판에 형성되어 상기 수중 펌프가 장착되는 수평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원지의 취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펌프베이스와 연결된 로프와, 상기 취수탑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프를 감거나 풀어주는 윈치부와, 상기 윈치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원지의 취수장치.
KR2020080015953U 2008-12-01 2008-12-01 수원지의 취수장치 KR2004553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953U KR200455316Y1 (ko) 2008-12-01 2008-12-01 수원지의 취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953U KR200455316Y1 (ko) 2008-12-01 2008-12-01 수원지의 취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860U KR20100005860U (ko) 2010-06-10
KR200455316Y1 true KR200455316Y1 (ko) 2011-08-30

Family

ID=44451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953U KR200455316Y1 (ko) 2008-12-01 2008-12-01 수원지의 취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31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44071B (zh) * 2016-12-30 2019-08-16 郑修志 一种便于水泵自动投放收起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1001A (ja) 2003-08-11 2005-03-10 Marsima Aqua System Corp 遮水膜昇降式選択取水設備
JP2006316436A (ja) * 2005-05-10 2006-11-24 Nishida Marine Boiler Co Ltd ポンプ付ゲート設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1001A (ja) 2003-08-11 2005-03-10 Marsima Aqua System Corp 遮水膜昇降式選択取水設備
JP2006316436A (ja) * 2005-05-10 2006-11-24 Nishida Marine Boiler Co Ltd ポンプ付ゲート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860U (ko)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250B1 (ko) 플라스틱 배수관의 구멍 천공장치
KR101128069B1 (ko) 노면 우수배수용 친환경 구조물
KR101348308B1 (ko) 게이트 복열 스크린 장치
KR101328400B1 (ko) 무대설비 승하강용 이동성 구동장치
KR200455316Y1 (ko) 수원지의 취수장치
CN213417753U (zh) 一种水利渠道用闸门
AU2016241146B2 (en) Lifting and carrying system for maintaining building facades
CN209481736U (zh) 一种管件热处理装置
KR101831394B1 (ko) 와이어 로프 인양용 수문
CN218503053U (zh) 一种钢板卷圆装置
CN202834387U (zh) 穿管装置
KR101187670B1 (ko) 높이조절 및 회전수단을 구비한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CN204976277U (zh) 一种生态格网自动调平切断装置
CN220075291U (zh) 一种便于拉出塑料盲沟管装置
CN207743917U (zh) 一种光伏系统支撑架
CN217949106U (zh) 一种抽水支管拆卸的深基坑用降水装置
JP2020159018A (ja) ポンプゲート
CN106223269B (zh) 一种集成式智能景观闸门
CN220433539U (zh) 一种水利工程施工用挡水装置
CN220746814U (zh) 一种水利工程止水装置
CN219567723U (zh) 一种河道曝气装置
KR101553695B1 (ko) 스마트 수문
CN217153520U (zh) 楼宇自控适配交接箱
CN219455236U (zh) 一种高效水域深度测量装置
CN220098765U (zh) 一种河道底泥防搅动微曝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