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128Y1 -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 - Google Patents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128Y1
KR200455128Y1 KR2020110001140U KR20110001140U KR200455128Y1 KR 200455128 Y1 KR200455128 Y1 KR 200455128Y1 KR 2020110001140 U KR2020110001140 U KR 2020110001140U KR 20110001140 U KR20110001140 U KR 20110001140U KR 200455128 Y1 KR200455128 Y1 KR 2004551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holder
ground
phase
groun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1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필조
Original Assignee
코리아그린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그린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그린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11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1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1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1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력케이블용 접지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22.9KV, 154KV, 765KV용 지중(지상 포함)/해저 케이블의 종단접속(중간연결 접속 등을 포함)과 관련한 각종 전력기기와 접속되는 지점에서의 접지를 분리 가능하도록 한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접지 접속함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접속함은, 일정한 규격을 갖고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 가공하되, 상기 접지 접속함 내부에는 인발성형(Pultrusion)된 동부스바(Copper bus-bar)로 접지단자를 설치하며, 압착단자(142)와 결속된 3상(a상, b상, c상) 전력케이블의 접지라인(143a, 143b, 143c)을 제1 체결볼트(140a) 내지 제3 체결볼트(140c)에 의해 밀착ㆍ고정시키는 제1 고정대(110a) 내지 제3 고정대(110c)와; 상기 제1 고정대(110a)와 제2 고정대(110b) 사이에 위치하여 체결볼트(131)로 고정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제1 힌지부(130a)에 의해 상기 제1 고정대(110a)와 분리 및 접속ㆍ연결되는 제1 분리대(120a) 및; 상기 제2 고정대(110b)와 제3 고정대(110c) 사이에 위치하여 체결볼트(131)로 고정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제2 힌지부(130b)에 의해 상기 제2 고정대(110b)와 분리 및 접속ㆍ연결되는 제2 분리대(120b)와; 상기 제1 고정대 내지 제3 고정대(110a 내지 110c)와 상기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를 고정ㆍ지지시키는 합성수지 지지판(200)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구성수단들을 안정적으로 수납ㆍ보호하며, 하나 이상의 3상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을 연결용 접지대(150)를 통해 블록단위로 연결 가능하도록 “ㅁ”자형 홀(Hole, 160)이 형성되도록 하고, 방수 및 방습처리가 가능한 접지박스(3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력기기에 대한 사고 및 점검 시 일괄 분리 및 재 접지 시공이 필요 없으므로 점검의 정확성과 고장점 감지시간을 단축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The Boxs of Seperated Grounding Connection for Power Cable of Underground and Submarine}
본 고안은 전력케이블용 접지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22.9KV, 154KV, 765KV용 지중(지상 포함)/해저 케이블의 종단접속(중간연결 접속 등을 포함)과 관련한 각종 전력기기와 접속되는 지점에서의 접지를 분리 가능하도록 한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단접속재라 함은 전력케이블의 단말 처리를 위한 수단으로, 전기적 스트레스가 심한 전력케이블의 단말부에 설치하여 절연물질의 전기적 방전과 절연파괴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이러한 전력케이블 단말에 설치되는 종단접속재를 취부하고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 등이 사용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특히, 3상 전력케이블의 종단접속재를 사용하여 맨홀 내 3상 전력케이블 접지 접속 시, 3상 전력케이블의 주 시스(Lead Sheath)층인 각 시스(a상, b상, c상)와 케이블을 외부의 물리적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금속 테이프 또는 금속선으로 사용되는 Armour층의 접지선을 공동(공용) 접지선과 함께 접지하고 있다.{도 1의 (가) 참조}
한편, 미국공보 US 6,403,880 B1(2002.6.11)의 전기 박스 접지 스트랩에 의하면, 전기 박스(12)에는 인접한 그라운드 스트랩(14)사이에 확장된 그라운드 스트랩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전기 박스는 대향 종단 벽(16, 18)에 결합 부재(86)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부재는 그라운드 스트랩(14)을 접속하기 위해 대향하는 결합 탭(34)을 포함한다. 또한, 그라운드 스트랩(14)은 커플링의 탭(68) 사이에 고정 결합에 의해 전기 박스에 그라운드 스트랩을 고정하기 위한 부재를 웨지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그라운드 스트랩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 탭(미도시)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는 그라운드 스트랩의 각각 사이에 전기 접속부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박스의 그라운드 스트랩과 바닥 벽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도 1의 (나) 참조}.
이와 같은 접지방식은 모두가 하나의 공통 접지단자를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접지방식은 사고 및 검측 시에 접지선을 일괄 분리 한 후, 재 접지 시공을 해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사고 및 점검과 무관한 전력기기까지 모두 가동 자체를 정지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고 및 검측 전력기기에 대해서만 재 접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혀 새로운 분리 접지 접속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전력기기와 케이블의 접지시스템을 개별로 분리 가능하도록 블록으로 접속함을 구성함으로써, 사고 및 점검 시 일괄 재 접지 시공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점검의 정확성을 높이며, 고장점 감지시간을 단축하고 유지보수가 기존방식보다 저렴하고 편리하도록 한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을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접지 접속함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접속함은, 일정한 규격을 갖고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 가공하되, 상기 접지 접속함 내부에는 인발성형(Pultrusion)된 동부스바(Copper bus-bar)로 접지단자를 설치하며, 압착단자(142)와 결속된 3상(a상, b상, c상) 전력케이블의 접지라인(143a, 143b, 143c)을 제1 체결볼트(140a) 내지 제3 체결볼트(140c)에 의해 밀착ㆍ고정시키는 제1 고정대(110a) 내지 제3 고정대(110c)와; 상기 제1 고정대(110a)와 제2 고정대(110b) 사이에 위치하여 체결볼트(131)로 고정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제1 힌지부(130a)에 의해 상기 제1 고정대(110a)와 분리 및 접속ㆍ연결되는 제1 분리대(120a) 및; 상기 제2 고정대(110b)와 제3 고정대(110c) 사이에 위치하여 체결볼트(131)로 고정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제2 힌지부(130b)에 의해 상기 제2 고정대(110b)와 분리 및 접속ㆍ연결되는 제2 분리대(120b)와; 상기 제1 고정대 내지 제3 고정대(110a 내지 110c)와 상기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를 고정ㆍ지지시키는 합성수지 지지판(200)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구성수단들을 안정적으로 수납ㆍ보호하며, 하나 이상의 3상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을 연결용 접지대(150)를 통해 블록단위로 연결 가능하도록 “ㅁ”자형 홀(Hole, 160)이 형성되도록 하고, 방수 및 방습처리가 가능한 접지박스(3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고정대(110c)는, 우측상부일면에는 제2 접지박스(300b)에 수납된 제1 고정대(미도시)와 체결볼트(152)에 의해 접촉ㆍ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용 접지대(15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고정대(110a) 및 제2 고정대(110b)는, 상기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와 분리 및 접속ㆍ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고정대(110a) 및 제2 고정대(110b)의 우측단부에는 상기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의 볼록부(121)를 수용하고 고정ㆍ지지하는 일정한 경사각을 갖고 테이퍼(Taper)진 오목부(111)와 상기 볼록부(121)의 선단하부에 위치한 걸림 턱(123)을 수용하는 걸림 턱 홈(112) 및 상기 오목부(111) 좌우에 형성된 2 개의 지지 턱(113)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는, 상기 제1 고정대(110a) 및 제2 고정대(110b)와 분리 및 접속ㆍ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의 제1 힌지부(130a) 및 제2 힌지부(130b)와 대향되는 좌측단부에는 상기 제1 고정대(110a) 및 제2 고정대(110b)의 오목부(111)에 밀착 수용될 수 있도록 일정한 경사각으로 테이퍼(Taper, 122)진 볼록부(121)와 상기 볼록부 선단하부에는 걸림 턱 홈(112)에 수용되어 걸리도록 하는 걸림 턱(123) 및 상기 제1 고정대(110a) 및 제2 고정대(110b)에서 상기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를 분리 시 분리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의 하부선단일측면에 형성된 분리용 홈(124)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하여, 각각의 전력기기와 케이블의 접지시스템을 개별로 분리 가능하도록 블록으로 접속함을 구성함으로써,
3상 전원일 경우 각 상별(a상, b상, c상)로 독립적으로 접지 시공이 가능하므로, 사고 및 점검 시 일괄 재 접지 시공이 필요 없으며, 또한, 점검의 정확성과 고장점 감지시간을 단축하고 유지보수가 기존방식보다 저렴하고 편리한 독특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전력케이블 접지 접속함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에 대한 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에 대한 전체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에 대한 A-섹션의 제1 고정대 및 제1 분리대를 상세하게 나타낸 입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에 대한 B-섹션의 제2 고정대 및 제2 분리대를 상세하게 나타낸 입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에 대한 C-섹션의 제2 분리대 및 제3 고정대를 상세하게 나타낸 입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에 대한 동부스바(Copper bus-bar)로 접지단자를 구성ㆍ설치하고 3상 전력케이블 접지라인을 접속ㆍ연결한 일부분의 모습을 확대한 3-D 및 실물사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에 대한 동부스바(Copper bus-bar)로 접지단자를 구성ㆍ설치하고 3상 전력케이블 접지라인을 접속ㆍ연결한 하나의 접지박스를 나타낸 3-D 및 실물사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에 대한 동부스바(Copper bus-bar)로 접지단자를 구성ㆍ설치하고 3상 전력케이블 접지라인을 접속ㆍ연결한 세 개의 접지박스를 나타낸 3-D 및 실물사진
도 10은 상기 도 9에 따른 세 개의 접지박스에 뚜껑을 덮은 모습을 나타낸 3-D 및 실물사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접지 접속함에 대한 핵심 기술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크게는 제1 고정대(110a) 내지 제3 고정대(110c)와,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와, 합성수지 지지판(200) 및 접지박스(300)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제1 고정대(110a) 내지 제3 고정대(110c)는, 3상 전력케이블의 접지라인을 접속ㆍ연결시키기 위해 인발성형(Pultrusion)된 동부스바(Copper bus-bar)로 가공 제작한 고정용 접지단자로서, 일정한 규격을 갖고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 가공되는 접지 접속함 내부에 설치되며, 압착단자(142)와 결속된 3상(a상, b상, c상) 전력케이블의 접지라인(143a, 143b, 143c)을 제1 체결볼트(140a) 내지 제3 체결볼트(140c)에 의해 접속ㆍ연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동부스바(Copper bus-bar)는, 수배전반 등에 사용되며, 구리(Cu) 원재료를 용해하여 주조 및 절단 과정을 거쳐 동빌렛(Copper Billet)을 생성시킨다. 이러한 동빌렛을 가열(Heating)하여 열간압출 후 마무리 공정으로 냉간압연 또는 동부스바 금형설계에 따라 인발성형(引拔成形)을 거쳐 기계적 성질, 화학적 성분, 도전율, 전기전도성 및 굽힘성 등이 양호하고 품질이 균일하여 사용상 결함이 없는 완성품이 만들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고정대(110a) 및 제2 고정대(110b)는, 상기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와 분리 및 접속ㆍ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고정대(110a) 및 제2 고정대(110b)의 우측단부에는 상기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의 볼록부(121)를 수용하고 고정ㆍ지지하는 일정한 경사각을 갖고 테이퍼(Taper)진 오목부(1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볼록부(121)의 선단하부에 위치한 걸림 턱(123)을 수용하는 걸림 턱 홈(112) 및 상기 오목부(111) 좌우에 형성된 2 개의 지지 턱(113)이 각각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도 3, 도 6,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3 고정대(110c)의 우측상부일면에는 제2 접지박스(300b) 혹은 제n 접지박스(300n)에 수납된 제1 고정대(미도시)와 체결볼트(152)에 의해 접촉ㆍ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용 접지대(150)가 포함된다.
다시 말해서, 본 고안에서는 접지박스(300)를 도면상에서는 세 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은 하나 이상의 접지박스(300a, 300b, 300c....300n)를 연결 설치할 수가 있다. 즉 제3 고정대(110c)의 우측상부일면과 제2 접지박스(300b) 혹은 제n 접지박스(300n)의 제1 고정대(미도시)와 접촉ㆍ연결시키는 연결용 접지대(150) 및 체결볼트(152)에 의해 가능해짐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용 접지대(150)의 구성은 3상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을 블록단위로 연결 가능하게 해주는 특징이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는, 3상 전력케이블의 접지라인을 각 상(a상, b상, c상)별로 분리시키기 위해 인발성형(Pultrusion)된 동부스바(Copper bus-bar)로 가공 제작한 분리용 접지단자로서, 상기 제1 분리대(120a)는, 상기 제1 고정대(110a)와 제2 고정대(110b) 사이에 위치하여 체결볼트(131)로 고정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제1 힌지부(130a)에 의해 상기 제1 고정대(110a)와 분리 및 접속ㆍ연결되고, 상기 제2 분리대(120a)는, 상기 제2 고정대(110b)와 제3 고정대(110c) 사이에 위치하여 체결볼트(131)로 고정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제2 힌지부(130b)에 의해 상기 제2 고정대(110b)와 분리 및 접속ㆍ연결된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는, 상기 제1 고정대(110a) 및 제2 고정대(110b)와 분리 및 접속ㆍ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의 제1 힌지부(130a) 및 제2 힌지부(130b)와 대향되는 좌측단부에는 상기 제1 고정대(110a) 및 제2 고정대(110b)의 오목부(111)에 밀착 수용될 수 있도록 일정한 경사각으로 테이퍼(Taper, 122)진 볼록부(121)와 상기 볼록부 선단하부에는 걸림 턱 홈(112)에 수용되어 걸리도록 하는 걸림 턱(123) 및 상기 제1 고정대(110a) 및 제2 고정대(110b)에서 상기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를 분리 시 분리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의 하부선단일측면에 형성된 분리용 홈(124)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를 구성한 것은, 기존의 3상 전력케이블의 접지라인에 대한 접지방식은 각 상(a상, b상, c상)별로 분리 접지된 것이 아니라 3상이 하나의 공통단자에 통합 접지되어 있다.
3상 전력케이블의 접지라인을 하나의 공통단자에 통합하여 접지할 경우, 전력기기 등에서 접지 사고가 발생하거나 점검이 요구될 시 접지 단자를 일괄 분리한 후 재 접지 시공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3상 전력케이블의 접지라인(143a, 143b, 143c)을 제1 체결볼트(140a) 내지 제3 체결볼트(140c)에 의해 접속ㆍ연결시키는 제1 고정대(110a) 내지 제3 고정대(110c)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를 통해 3상 전력케이블의 접지라인(143a, 143b, 143c)을 각 상(a상, b상, c상)별로 분리 및 접속ㆍ연결 가능하도록 독특하게 구성함으로써, 전력기기에 대한 사고 및 점검 시 일괄 재 접지 시공이 필요 없으며, 점검의 정확성과 고장점 감지시간을 단축하고 유지보수가 기존방식보다 저렴하고 편리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합성수지 지지판(200)은, 상기 제1 고정대(110a) 내지 제3 고정대(110c)와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를 고정ㆍ지지시키는 수단으로서, 일정한 규격을 갖는 평판으로 가공 제작된다.
도 2, 도 3,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접지박스(300)는, 하나 이상의 접지박스(300a, 300b, 300c)를 연결하여 설치가 가능하며, 상기 구성수단들인 제1 고정대(110a) 내지 제3 고정대(110c),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 합성수지 지지판(200) 등을 안정적으로 수납ㆍ보호하는 수단으로서, 하나 이상의 3상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을 연결용 접지대(150)를 사용하여 블록단위로 연결 가능하도록 “ㅁ”자형 홀(Hole, 160)이 형성되도록 하고, 방수 및 방습처리가 가능하도록 가공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에 대한 보다 이해를 돕고자 나타낸 3-D 및 실물사진임을 밝혀둔다.
그리고 도 10의 제1 접지박스(300a) 내지 제3 접지박스(300c)에 대한 각각의 뚜껑(310a, 310b, 310c)은 잠금장치(311)가 구비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에 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은 3상 전력케이블의 접지라인을 접속ㆍ연결시키기 위해 인발성형(Pultrusion)된 동부스바(Copper bus-bar)로 가공 제작한 고정용 접지단자인 제1 고정대(110a) 내지 제3 고정대(110c)와, 3상 전력케이블의 접지라인을 각 상(a상, b상, c상)별로 분리시키기 위해 인발성형(Pultrusion)된 동부스바(Copper bus-bar)로 가공 제작한 분리용 접지단자인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와, 상기 제1 고정대(110a) 내지 제3 고정대(110c)와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를 고정ㆍ지지시키는 수단인 합성수지 지지판(200) 및 하나 이상의 접지박스(300a, 300b, 300c)를 연결하여 설치가 가능하며, 상기 구성수단들을 안정적으로 수납ㆍ보호하며, 하나 이상의 3상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을 연결용 접지대(150)를 통해 블록단위로 연결 가능하도록 “ㅁ”자형 홀(Hole, 160)이 형성되도록 하고, 방수 및 방습처리가 가능하도록 가공 제작된 접지박스(300)를 구성함으로써, 전력기기에 대한 사고 및 점검 시 일괄 분리 및 재 접지 시공이 필요 없으므로 점검의 정확성과 고장점 감지시간을 단축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독특한 특징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a ~ 110c : 제1 고정대 내지 제3 고정대
111 : 오목부 112 : 걸림 턱 홈
113 : 지지 턱
120a, 120b : 제1 분리대 및 제2 분리대
121 : 볼록부 123 : 걸림 턱
124 : 분리용 홈
130a, 130b :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
131, 152 : 체결볼트
140a ~ 140c : 제1 체결볼트 내지 제3 체결볼트
141 : 와셔 142 : 압착단자
143a, 143b, 143c : 접지라인
150 : 연결용 접지대 160 : “ㅁ”자형 홀(Hole)
200 : 합성수지 지지판 300 : 접지박스
300a, 300b, 300c : 제1 접지박스 내지 제3 접지박스
310a, 310b, 310c : 제1 접지박스 내지 제3 접지박스 뚜껑
311 : 잠금장치

Claims (4)

  1.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접지 접속함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접속함은, 일정한 규격을 갖고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 가공하되, 상기 접지 접속함 내부에는 인발성형(Pultrusion)된 동부스바(Copper bus-bar)로 접지단자를 설치하며,
    압착단자(142)와 결속된 3상(a상, b상, c상) 전력케이블의 접지라인(143a, 143b, 143c)을 제1 체결볼트(140a) 내지 제3 체결볼트(140c)에 의해 밀착ㆍ고정시키는 제1 고정대(110a) 내지 제3 고정대(110c)와;
    상기 제1 고정대(110a)와 제2 고정대(110b) 사이에 위치하여 체결볼트(131)로 고정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제1 힌지부(130a)에 의해 상기 제1 고정대(110a)와 분리 및 접속ㆍ연결되는 제1 분리대(120a) 및;
    상기 제2 고정대(110b)와 제3 고정대(110c) 사이에 위치하여 체결볼트(131)로 고정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제2 힌지부(130b)에 의해 상기 제2 고정대(110b)와 분리 및 접속ㆍ연결되는 제2 분리대(120b)와;
    상기 제1 고정대 내지 제3 고정대(110a 내지 110c)와 상기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를 고정ㆍ지지시키는 합성수지 지지판(200)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구성수단들을 안정적으로 수납ㆍ보호하며, 하나 이상의 3상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을 연결용 접지대(150)를 통해 블록단위로 연결 가능하도록 “ㅁ”자형 홀(Hole, 160)이 형성되도록 하고, 방수 및 방습처리가 가능한 접지박스(3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고정대(110c)는, 우측상부일면에는 제2 접지박스(300b)에 수납된 제1 고정대(미도시)와 체결볼트(152)에 의해 접촉ㆍ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용 접지대(15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대(110a) 및 제2 고정대(110b)는, 상기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와 분리 및 접속ㆍ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고정대(110a) 및 제2 고정대(110b)의 우측단부에는 상기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의 볼록부(121)를 수용하고 고정ㆍ지지하는 일정한 경사각을 갖고 테이퍼(Taper)진 오목부(111)와 상기 볼록부(121)의 선단하부에 위치한 걸림 턱(123)을 수용하는 걸림 턱 홈(112) 및 상기 오목부(111) 좌우에 형성된 2 개의 지지 턱(113)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는, 상기 제1 고정대(110a) 및 제2 고정대(110b)와 분리 및 접속ㆍ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의 제1 힌지부(130a) 및 제2 힌지부(130b)와 대향되는 좌측단부에는 상기 제1 고정대(110a) 및 제2 고정대(110b)의 오목부(111)에 밀착 수용될 수 있도록 일정한 경사각으로 테이퍼(Taper, 122)진 볼록부(121)와 상기 볼록부 선단하부에는 걸림 턱 홈(112)에 수용되어 걸리도록 하는 걸림 턱(123) 및 상기 제1 고정대(110a) 및 제2 고정대(110b)에서 상기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를 분리 시 분리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분리대(120a) 및 제2 분리대(120b)의 하부선단일측면에 형성된 분리용 홈(124)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
KR2020110001140U 2011-02-10 2011-02-10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 KR2004551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140U KR200455128Y1 (ko) 2011-02-10 2011-02-10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140U KR200455128Y1 (ko) 2011-02-10 2011-02-10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128Y1 true KR200455128Y1 (ko) 2011-08-19

Family

ID=49299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140U KR200455128Y1 (ko) 2011-02-10 2011-02-10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12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781B1 (ko) 2013-04-16 2015-01-09 인천도시가스주식회사 매설 배관의 입상 방식전위 측정함
KR101547018B1 (ko) 2013-09-02 2015-08-24 김민석 개폐기능 및 표시기능을 갖는 지중 및 해저케이블 접지함
KR20210156570A (ko) * 2020-06-18 2021-12-27 한국전력공사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741Y1 (ko) 2002-06-24 2002-09-16 정국헌 접지함
KR200390311Y1 (ko) 2005-04-20 2005-07-22 (주) 센텍정보통신 접지 장치 및 접지 장치가 내부에 설치된 접지함체
KR200435728Y1 (ko) 2006-09-07 2007-02-12 성진욱 타이머를 이용한 차량 수분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741Y1 (ko) 2002-06-24 2002-09-16 정국헌 접지함
KR200390311Y1 (ko) 2005-04-20 2005-07-22 (주) 센텍정보통신 접지 장치 및 접지 장치가 내부에 설치된 접지함체
KR200435728Y1 (ko) 2006-09-07 2007-02-12 성진욱 타이머를 이용한 차량 수분 배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781B1 (ko) 2013-04-16 2015-01-09 인천도시가스주식회사 매설 배관의 입상 방식전위 측정함
KR101547018B1 (ko) 2013-09-02 2015-08-24 김민석 개폐기능 및 표시기능을 갖는 지중 및 해저케이블 접지함
KR20210156570A (ko) * 2020-06-18 2021-12-27 한국전력공사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
KR102367796B1 (ko) 2020-06-18 2022-02-25 한국전력공사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82231B (zh) 电路断路单元及具备该电路断路单元的铁道车辆
CA2775262C (en) Intersystem grounding bridge and system
KR200455128Y1 (ko)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
CN102237825B (zh) 特别用于光电设备的接线盒的熔断器容纳装置
CN103999356B (zh) 用于光伏设备的发电机接线盒
US5199905A (en) Lay-in pedestal connector bar and method
CN101888047B (zh) 电力设备间接续部连接装置
CA2762078A1 (e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for rapid assembly of photovoltaic arrays
EP2804272B1 (en) Mobile unit for high- and medium-voltage electrical interconnection
CN110364975A (zh) 一种通用飞机用电缆固定安装设备
CN212517899U (zh) 数据机房内母线槽
JP2016208807A (ja) 計装フランジ組立体及び計装フランジ組立体の施工方法
SU1554065A1 (ru) Многофазный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шинопровод
CA3080376C (en) Insulator insert for service entrance cap
CN211480307U (zh) 一种弱电线缆接线装置
CN209641420U (zh) 一种易分离的光伏电缆
CN215990435U (zh) 无定子接线盒的风力发电机及风力发电机组
CN205944917U (zh) 车顶电缆装置及轨道车辆
JP7290987B2 (ja) 電力ケーブルの分岐接続部
US4359645A (en) Electrical conversion apparatus for individual tenant metering
CN205543319U (zh) 一种分线母排端子
CN220066104U (zh) 一种中压电缆的穿刺结构
CN213959657U (zh) 一种用于物联网通讯平台的交换机配线箱
CN209948652U (zh) 一种起重机用分舱式高压接线箱
JPH024540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