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6570A -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 - Google Patents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6570A
KR20210156570A KR1020200074295A KR20200074295A KR20210156570A KR 20210156570 A KR20210156570 A KR 20210156570A KR 1020200074295 A KR1020200074295 A KR 1020200074295A KR 20200074295 A KR20200074295 A KR 20200074295A KR 20210156570 A KR20210156570 A KR 20210156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junction box
busbars
prefabricated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7796B1 (ko
Inventor
박태순
김재현
배봉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74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796B1/ko
Publication of KR20210156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8Disposition or arrangement of fu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7Butt joining of bus-bars by means of a common bolt, e.g. splice joi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접속함(30)과 조립식 분기함(40)을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측면끼리 마주하도록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하고, 메인 접속함(30)과 조립식 분기함(40)의 내부에 설치된 상별 제1 및 제 2 부스바(50)(60)들을 접속금구(70)들에 의해 상별로 각각 연결한 후, 메인 접속함(30)의 상별 제1 부스바(50)들의 일측 접속부(52)마다 각 상별로 2차 인하선(12)들이 각각 매칭되도록 연결하고, 조립식 분기함(40)의 상별 제2 부스바(60)들의 일측 접속부(62)마다 각 상별로 인입선(14)들이 각각 매칭되도록 연결하여 조립을 완성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인입개소 추가시마다 별도의 조립식 분기함(40)을 간단한 방법으로 조립하여 설치할 수 이으므로 각 인입선별 작업공간과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상간단락 등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입복잡개소의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도심지에서 공가선과 다수의 인입선 등이 설치된 전주(20)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는 것임.

Description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Structure for Underground Power Line Branch Box of Pelletized Type Large Capacity}
본 발명은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상변압기에 설치되는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에서 2차측 인입개소 추가시마다 별도의 조립식 분기함을 간단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전신주에 설치된 주상변압기를 항상 거치도록 되어 있고, 그 주상변압기는 필요에 따라서 단상, 단상 3선, 3상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1-3개를 설치한다.
특히 분산형전원 증가 등에 따라 주상변압기에서 대용량의 지중인입으로 다수의 고객을 연계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주상변압기 2차측 인입복잡개소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가공공급 능력의 확대를 위하여 분산형전원 주상변압기 연계용량이 기존 300kW에서 500kW로 확대되어 인입복잡개소는 더 증가될 전망이다.
현재 저압 인입복잡개소의 정비를 위하여 사용되는 기자재인 대용량 인입분기함은 변압기 2차 인하선과, 인입선이 1개 구역에서 접속되며 각 상이 격벽 하나로만 분리되어 최초 1회선 신설 및 기존 개소에 추가인입 설치 시 상간단락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그리고, 도 1과 같이 기존의 인입 복잡개소에서 대용량의 지중인입으로 다수의 분산형전원 연계 시 4선 랙크와 입상관의 시공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타 인입선과 착오결선 발생이 우려되고, 인입선 구분이 어려워 유지보수가 곤란한 단점이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기존의 대용량 인입분기함은 작업공간 협소에 따른 상간단락 등 안전사고가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2-0007070호(1992.04.22.)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대용량 인입분기함의 단점인 작업공간 협소에 따른 상간단락 등 안전사고를 예방하고자 인입개소 추가시마다 별도의 분기함을 간단한 방법으로 조립하여 설치함으로써 각 인입선별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는, 주상변압기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메인 접속함과, 상기 메인 접속함의 꽂음부에 대응되게 끼워져 가로 방향으로 조립되도록 요철부가 형성된 조립식 분기함과, 상기 메인 접속함의 내부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주상변압기로부터 인하된 A, B, C, N 상별 2차 인하선과 대응되게 각각 접속되는 상별 제1 부스바들과, 상기 조립식 분기함의 내부에 대해 상기 제1 부스바들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각각 설치되어 외부에서 인입된 상별 인입선과 대응되게 각각 접속되는 상별 제2 부스바들과, 상기 메인 접속함과 조립식 분기함의 측면에 형성된 상별 연결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부스바들과 제2 부스바들을 상별로 각각 접속하는 상별 접속금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메인 접속함과 조립식 분기함의 정면에는 투명창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메인 접속함과 조립식 분기함 내의 후면에는 상기 상별 제1 부스바들과 상기 상별 제2 부스바들의 절연거리가 확보되도록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다수의 격벽들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메인 접속함의 상면 일측에는 상별 인하선삽입홀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조립식 분기함의 하면에는 인입선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조립식 분기함의 내부 후면 일측에는 상기 상별 인입선들의 일측에 각각 설치된 전선퓨즈들을 각각 지지하는 퓨즈지지대들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꽂음부는 상기 조립식 분기함의 양 측면에 형성된 상기 요철부와 수직 방향으로 대응되게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메인 접속함의 양 측면에 각각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요철부는 상기 조립식 분기함의 한쪽 측면에 오목 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식 분기함의 다른쪽 측면에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꽂음부와 요철부는 서로 대응되게 수직 방향으로 끼워져 상기 메인 접속함과 상기 조립식 분기함이 가로 방향의 동일한 높이에 도달될 때 멈추면서 결합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별 제1 부스바들의 중앙 일측과 상기 상별 제2 부스바들의 중앙 일측에는 상기 상별 2차 인하선들과 상별 인입선들의 충전부분이 볼트에 의해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상별 접속부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별 접속금구들은 다수의 볼트에 의해 상기 상별 제1 부스바들과 상기 상별 제2 부스바들을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메인 접속함과 조립식 분기함을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측면끼리 마주하도록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하고, 메인 접속함과 조립식 분기함의 내부에 설치된 상별 제1 및 제 2 부스바들을 접속금구들에 의해 상별로 각각 연결한 후, 메인 접속함의 상별 제1 부스바들의 일측 접속부마다 각 상별로 2차 인하선들이 각각 매칭되도록 연결하고, 조립식 분기함의 상별 제2 부스바들의 일측 접속부마다 각 상별로 인입선들이 각각 매칭되도록 연결하여 조립을 완성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인입개소 추가시마다 별도의 조립식 분기함을 간단한 방법으로 조립하여 설치할 수 이으므로 각 인입선별 작업공간과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상간단락 등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입복잡개소의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도심지에서 공가선과 다수의 인입선 등이 설치된 전주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인입 복잡개소의 현장 사진,
도 2는 기존의 대용량 인입분기함이 설치된 외관 및 내부 현장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의 설치 예상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접속함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분기함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의 메인 접속함과 조립식 분기함의 조립전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의 메인 접속함과 조립식 분기함의 조립후 구성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는, 주상변압기(10)의 하부측 전주(20)에 완금밴드(22)에 의해 설치되는 메인 접속함(30)과, 상기 메인 접속함(30)의 꽂음부(32)에 대응되게 끼워져 가로 방향으로 조립되도록 요철부(42)가 형성된 조립식 분기함(40)과, 상기 메인 접속함(30)의 내부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주상변압기(10)로부터 인하된 A, B, C, N 상별 2차 인하선(12)과 대응되게 각각 접속되는 상별 제1 부스바(50)들과, 상기 조립식 분기함(40)의 내부에 대해 상기 제1 부스바(50)들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각각 설치되어 외부에서 인입된 상별 인입선(14)과 대응되게 각각 접속되는 상별 제2 부스바(60)들과, 상기 메인 접속함(30)과 조립식 분기함(40)의 측면에 형성된 상별 연결홀(34)(44)들을 통해 상기 제1 부스바(50)들과 제2 부스바(60)들을 상별로 각각 접속하는 상별 접속금구(70)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메인 접속함(30)과 조립식 분기함(40)의 정면에는 퓨즈용단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여닫이식 투명창(36)(46)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메인 접속함(30)과 조립식 분기함(40) 내의 후면에는 상기 상별 제1 부스바(50)들과 상기 상별 제2 부스바(60)들의 절연거리가 확보되도록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길게 다수의 격벽(39)(49)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 접속함(30)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A, B, C, N 상별 2차 인하선(12)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메인 접속함(30) 내의 상별 제1 부스바(50)들과 각각 접속되도록 상별 인하선삽입홀(38)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립식 분기함(40)에는 하면 중앙에 상기 상별 인입선(14)들이 삽입되어 상기 상별 제2 부스바(60)들과 각각 접속되도록 인입선삽입홀(48)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 후면 일측에 상기 A, B, C 상별 인입선(14)들의 일측에 각각 설치된 전선퓨즈(16)들을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지지하는 퓨즈지지대(80)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꽂음부(32)는 상기 조립식 분기함(4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상기 요철부(42)와 수직 방향으로 대응되게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메인 접속함(30)의 양 측면에 각각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철부(42)는 상기 조립식 분기함(40)의 한쪽 측면에 오목 형상되고, 상기 조립식 분기함(40)의 다른쪽 측면에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꽂음부(32)와 요철부(42)는 서로 대응되게 수직 방향으로 끼워져 메인 접속함(30)과 조립식 분기함(40)이 가로 방향의 동일한 높이에 도달될 때 멈추면서 결합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별 제1 부스바(50)들의 중앙 일측과 상기 상별 제2 부스바(60)들의 중앙 일측에는 상기 상별 2차 인하선(12)들과 상별 인입선(14)들의 충전부분이 볼트에 의해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상별 접속부(52)(6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별 접속금구(70)들은 다수의 볼트에 의해 상기 상별 제1 부스바(50)들과 제2 부스바(60)들을 연결하도록 체결되거나 비사용시 상기 상별 제1 부스바(50)들 또는 제2 부스바(60)들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어 보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주(20)에 완금밴드(22)를 매개로 설치된 메인 접속함(30)의 꽂음부(32)에 조립식 분기함(40)의 요철부(42)를 상부에서 맞추어 아래로 밀어 체결한다.
그런 후, 조립식 분기함(40)의 투명창(46)을 열어서 조립식 분기함(40)의 내부에 설치된 상별 제2 부스바(60)들에 설치된 접속부(62)들마다 볼트를 사용하여 상별 인입선(14)들을 각각 체결하고, 이어서 A, B, C 상의 인입선(14)에 각각 설치된 퓨즈지지대(80)들을 조립식 분기함(40)의 내부 후면 일측에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퓨즈지지대(80)에 각각 고정시킨다.
그 다음, 메인 접속함(30)의 내부에 설치된 상별 제1 부스바(50)들마다 각각 구비된 상별 접속금구(70)들을 볼트를 풀어 분리한 후, 상별 접속금구(70)들을 메인 접속함(30)과 조립식 분기함(40)의 측면에 형성된 상별 연결홀(34)(44)들을 통해 관통시킨 다음, 조립식 분기함(40)의 상별 제2 부스바(60)들의 끝단과 상별 접속금구(70)들의 일측단을 포개어서 분리된 볼트에 의해 체결하고, 상별 접속금구(70)들들의 타측단은 메인 접속함(30)의 상별 제1 부스바(50)들의 끝단에 포개어 분리된 또 다른 볼트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각 상과 중성선의 회로를 연결한다.
그 다음, 주상변압기(10)의 2차 인하선(12) 중 A상을 메인 접속함(30)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인하선삽입홀 중 하나에 삽입 후 메인 접속함(30)의 상부에 설치된 A상 제1 부스바(50)의 접속부(52)에 볼트로 체결하고, 이어서 주상변압기(10)의 2차 인하선(12) 중 B, C, N상의 수순으로 상기 A상과 같은 반복 작업하여 회로를 연결함으로써 연결작업을 완료한다.
이 처럼, 본 발명의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은 메인 접속함(30)과 조립식 분기함(40)을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측면끼리 마주하도록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하고, 메인 접속함(30)과 조립식 분기함(40)의 내부에 설치된 상별 제1 및 제 2 부스바(50)(60)들을 접속금구(70)들에 의해 상별로 각각 연결한 후, 메인 접속함(30)의 상별 제1 부스바(50)들의 일측 접속부(52)마다 각 상별로 2차 인하선(12)들이 각각 매칭되도록 연결하고, 조립식 분기함(40)의 상별 제2 부스바(60)들의 일측 접속부(62)마다 각 상별로 인입선(14)들이 각각 매칭되도록 연결하여 조립을 완성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인입개소 추가시마다 별도의 조립식 분기함(40)을 간단한 방법으로 조립하여 설치할 수 이으므로 각 인입선별 작업공간과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상간단락 등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입복잡개소의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도심지에서 공가선과 다수의 인입선 등이 설치된 전주(20)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메인 접속함(30) 및 조립식 분기함(40)에는 여닫이식 투명창(36)(46)이 각각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립식 분기함(40)에 설치된 전선퓨즈(16)의 용단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주상변압기 12 : 상별 2차 인하선
14 : 상별 인입선 16: 전선퓨즈
20 : 전주 22 : 완금밴드
30 : 메인 접속함 32 : 꽂음부
34 : 상별 연결홀 36 : 투명창
38 : 상별 인하선삽입홀 39 : 격벽
40 : 조립식 분기함 42 : 요철부
44 : 상별 연결홀 46 : 투명창
48 : 상별 인하선삽입홀 49 : 격벽
50 : 상별 제1 부스바 52 : 상별 접속부
60 : 상별 제2 부스바 62 : 상별 접속부
70 : 상별 접속금구 80 : 퓨즈지지대

Claims (11)

  1. 주상변압기(1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메인 접속함(30)과,
    상기 메인 접속함(30)의 꽂음부(32)에 대응되게 끼워져 가로 방향으로 조립되도록 요철부(42)가 형성된 조립식 분기함(40)과,
    상기 메인 접속함(30)의 내부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주상변압기(10)로부터 인하된 A, B, C, N 상별 2차 인하선(12)과 대응되게 각각 접속되는 상별 제1 부스바(50)들과,
    상기 조립식 분기함(40)의 내부에 대해 상기 제1 부스바(50)들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각각 설치되어 외부에서 인입된 상별 인입선(14)과 대응되게 각각 접속되는 상별 제2 부스바(60)들과,
    상기 메인 접속함(30)과 조립식 분기함(40)의 측면에 형성된 상별 연결홀(34)(44)들을 통해 상기 제1 부스바(50)들과 제2 부스바(60)들을 상별로 각각 접속하는 상별 접속금구(70)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접속함(30)과 조립식 분기함(40)의 정면에는 투명창(36)(46)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접속함(30)과 조립식 분기함(40) 내의 후면에는 상기 상별 제1 부스바(50)들과 상기 상별 제2 부스바(60)들의 절연거리가 확보되도록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다수의 격벽(39)(49)들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접속함(30)의 상면 일측에는 상별 인하선삽입홀(38)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분기함(40)의 하면에는 인입선삽입홀(4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분기함(40)의 내부 후면 일측에는 상기 상별 인입선(14)들의 일측에 각각 설치된 전선퓨즈(16)들을 각각 지지하는 퓨즈지지대(80)들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꽂음부(32)는 상기 조립식 분기함(4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상기 요철부(42)와 수직 방향으로 대응되게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메인 접속함(30)의 양 측면에 각각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42)는 상기 조립식 분기함(40)의 한쪽 측면에 오목 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식 분기함(40)의 다른쪽 측면에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꽂음부(32)와 요철부(42)는 서로 대응되게 수직 방향으로 끼워져 상기 메인 접속함(30)과 상기 조립식 분기함(40)이 가로 방향의 동일한 높이에 도달될 때 멈추면서 결합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별 제1 부스바(50)들의 중앙 일측과 상기 상별 제2 부스바(60)들의 중앙 일측에는 상기 상별 2차 인하선(12)들과 상별 인입선(14)들의 충전부분이 볼트에 의해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상별 접속부(52)(62)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별 접속금구(70)들은 다수의 볼트에 의해 상기 상별 제1 부스바(50)들과 상기 상별 제2 부스바(60)들을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
KR1020200074295A 2020-06-18 2020-06-18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 KR102367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295A KR102367796B1 (ko) 2020-06-18 2020-06-18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295A KR102367796B1 (ko) 2020-06-18 2020-06-18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570A true KR20210156570A (ko) 2021-12-27
KR102367796B1 KR102367796B1 (ko) 2022-02-25

Family

ID=79177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295A KR102367796B1 (ko) 2020-06-18 2020-06-18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79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070A (ko) 1990-09-12 1992-04-28 문정환 자기정열 매몰 콘택트를 이용한 디램 셀의 제조방법
EP1365491A1 (en) * 2002-05-23 2003-11-26 Jeepson Techno Services LLC A modular cabinet
JP2006513547A (ja) * 2003-01-13 2006-04-20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モジュール式取付け装置
KR200455128Y1 (ko) * 2011-02-10 2011-08-19 코리아그린에너지 주식회사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
KR101061861B1 (ko) * 2010-09-06 2011-09-02 주식회사 세원엔테크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 및 이와 일체화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US20200076168A1 (en) * 2018-08-30 2020-03-05 Siemens Industry, Inc. Insulative boots and power distribution assembli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070A (ko) 1990-09-12 1992-04-28 문정환 자기정열 매몰 콘택트를 이용한 디램 셀의 제조방법
EP1365491A1 (en) * 2002-05-23 2003-11-26 Jeepson Techno Services LLC A modular cabinet
JP2006513547A (ja) * 2003-01-13 2006-04-20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モジュール式取付け装置
KR101061861B1 (ko) * 2010-09-06 2011-09-02 주식회사 세원엔테크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 및 이와 일체화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KR200455128Y1 (ko) * 2011-02-10 2011-08-19 코리아그린에너지 주식회사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
US20200076168A1 (en) * 2018-08-30 2020-03-05 Siemens Industry, Inc. Insulative boots and power distribution assembl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796B1 (ko) 202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55596A1 (en) Photovoltaic mounting system with grounding bars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US20200287364A1 (en) 7-Way Crab Joint
US9997897B2 (en) Quick connect and disconnect cable junction box
KR100780081B1 (ko)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
JP2007274841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および太陽光発電プラント
KR101343520B1 (ko)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US10177549B2 (en) Interconnection and insulation module for busbars
CA2762078A1 (e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for rapid assembly of photovoltaic arrays
KR102367796B1 (ko)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
US10404039B2 (en) Energy storage units and systems with segmented branch interconnects
CN103151741B (zh) 一种低压电缆分支箱进出线母线系统及其安装方式
CN206697985U (zh) 一种充电桩的交流输入模块
KR100536754B1 (ko) 조립식 분전반
CN208767748U (zh) 一种密集母线应急专用接头
KR101120596B1 (ko) 조립식 표준 분전반
KR101154493B1 (ko) 저압 공중분기용 지지대
CN110912043A (zh) 一种电缆槽及其配电单元
US20110249420A1 (en) Window mounted electrical outlet system
CN216624987U (zh) 一种便于组装的光伏箱式变电站
JP2008263720A (ja) 引込分岐端子箱及びその連結部材並びに配電方法
CN208955656U (zh) 一种配网低压线路敷设及负荷接入装置
CN214798289U (zh) 一种户外综合配电柜
CN215833468U (zh) 三相模组化背插式计量装置
CN210957631U (zh) 一种电缆槽及其配电单元
CN216312657U (zh) 一种高压电缆分支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