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861B1 -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 및 이와 일체화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 Google Patents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 및 이와 일체화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861B1
KR101061861B1 KR1020100086873A KR20100086873A KR101061861B1 KR 101061861 B1 KR101061861 B1 KR 101061861B1 KR 1020100086873 A KR1020100086873 A KR 1020100086873A KR 20100086873 A KR20100086873 A KR 20100086873A KR 101061861 B1 KR101061861 B1 KR 101061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plate
coupling
loa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원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원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원엔테크
Priority to KR1020100086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2Details of mechanic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화된 조립식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의 증설과 이설이 용이하도록 제공하는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 및 이와 일체화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워크-인(walk-in) 타입의 변전실을 지지하는 지지대에 있어서, 복수개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에 대해 수직하방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는 내하중 부재와, 상기 지지판 내에 구비되어 배선설비가 관통하는 복수개의 배관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지지판을 동일 평면상에서 상호 조립하여 일체화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기술에 따른 지지대는 분할이 불가능한 일체형으로 지면에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형성되기 때문에 지지대 이송 자체가 불가능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는 모듈별로 분할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이송이 간편하고, 변전실의 모듈과 조립 체결되어 일체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변전실 이설시 함께 이설이 가능하다. 또한, 지지대를 모듈로 분할함에 따라 변전실의 증설시에도 이와 대응하여 간편하게 지지대의 모듈을 증설하는 것이 가능하여 변전실의 모듈 증설이 간편하다.

Description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 및 이와 일체화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MODULARIZED KNOCKDOWN-TYPE SUPPORTER AND WALK-IN SUBSTATION FACILITY INTEGRAT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워크-인(walk-in) 타입의 변전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듈화된 조립식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화된 조립식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지지하는 지지대(기초대) 및 이와 일체화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차단기나 소형 발전기 등의 각종 전기장치를 수용하고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옥내에 설치될 경우에는 소형의 캐비넷으로 제작되어 캐비넷의 내부에 각종 전기장치들이 설치되도록 하고 있고, 옥외에 설치될 경우에는 배전반의 상부측으로 지붕을 형성하여 빗물이 배전반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여 침수에 의한 누전 및 화재 등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옥외 배전반은 변전실의 건물 없이 외부의 열악한 환경에 방치되어 기기 및 부품의 열화에 의한 노후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설비의 사용연한이 짧아지고 있고, 설비 사고 및 오동작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설치 후 5년 이상의 경과시점부터 유지·보수비용의 급격한 증가 등 구조적인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또한 현장 사정으로 인하여 악천후에서 작업하는 경우 작업자 안전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며, 향후 증설 및 이설 시에도 복잡하고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옥외 배전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워크-인(walk-in) 타입의 변전실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은 배전반을 눈, 비, 바람 등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지붕과, 배전반을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 골격을 이루는 앵글 프레임과, 이 앵글 프레임에 부착되는 패널(panel)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타입의 변전실에서는 그 내부에 배전반을 탑재함으로써 하우스 개념의 변전실로서 사람이 이동하면서 배전반을 점검 및 관리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은 그 내부 공간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배전반의 개수를 증감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른다. 또한 지붕이 하나로 일체화되기 때문에 지붕의 하중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앵글 프레임과 패널 자체가 뒤틀리거나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은 제작완료된 상태로 이송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향후 증설 및 이설 시에도 복잡하고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2005년 11월 30일자로 특허출원되어 2006년 5월 18일자로 등록공고된 한국등록특허 제10-0579908호(등록일 : 2006.05.08)가 제안된 바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79908호는 "조립가능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발명은 변전실 설치에 필요한 앵글 프레임을 착탈가능하도록 복수개로 모듈화함으로써 변전실을 증설 및 축소가능하고, 또한 변전실 설치시에 앵글 프레임의 이송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으며, 그리고 윈도우 개념의 플레이트를 앵글 프레임에 장착함으로써, 플레이트의 뒤틀림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조립가능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은 펜스로 마감처리되는 기존의 옥외 변전실에 비해 면적을 20% 이상 절감하여 효율적인 부지 활용이 가능하다. 야간이나 악천후 시에도 최적 환경에서 운전 및 보수 작업을 수행하므로 작업자의 절대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유지·보수 비용을 기존의 옥외 배전반의 80% 수준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설비의 신뢰성은 2배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종래기술에 따른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의 증설 및 이설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변전실이 설치되는 지지대(기초대)에 있다. 변전실을 옥외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변전실이 설치되는 바닥면의 기초가 평탄해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변전실을 옥외에 설치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옥외의 지면을 평탄하게 다지고 그 상부에 시멘트를 재료로 일정 두께의 지지대를 제작한 후 지지대 상부에 변전실을 설치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변전실이 설치되는 지지대는 변전실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시멘트를 이용하여 비교적 두껍게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옥외에 설치하고자 하는 변전실의 크기에 대응하여 변전실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거푸집을 제작한 후 그 내부에 시멘트를 타설하여 상면이 평탄화된 지지대를 제작하였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지지대는 제작이 완료된 후 그 크기가 고정되기 때문에 한번 변전실을 설치한 다음, 변전실을 증설하기 위해서는 변전실이 설치된 상태에서 별도로 지지대를 확장시키는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이로 인해 지지대 확장 작업 과정에서 기 설치된 변전실이 파손되거나, 혹은 변전실로 인해 지지대 확장 작업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더욱이 변전실을 이설할 경우에는 이설되는 장소에 다시 지지대를 설치해야 할 뿐만 아니라 기 설치된 지지대를 철거해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변전실의 증설과 이설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모듈화된 조립식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의 증설과 이설이 용이하도록 제공하는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 및 이와 일체화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워크-인(walk-in) 타입의 변전실을 지지하는 지지대에 있어서, 복수개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에 대해 수직하방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는 내하중 부재와, 상기 지지판 내에 구비되어 배선설비가 관통하는 복수개의 배관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지지판을 동일 평면상에서 상호 조립하여 일체화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배관부재를 통해 인입된 배관설비를 수용하는 배선설비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선설비 수용부는 상기 지지판의 중앙부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지지판을 이웃하는 것끼리 동일 평면상에서 상호 조립하여 일체화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 내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결합홈과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지지판을 이웃하는 것끼리 동일 평면상에서 상호 조립하여 일체화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지지턱 또는 결합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턱은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결합홈을 따라 수직하방으로 상기 지지턱의 상부까지 삽입되어 상기 지지턱의 상부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턱과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지지판을 이웃하는 것끼리 동일 평면상에서 상호 조립하여 일체화하기 위하여 상기 내하중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판 내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과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하중 부재는 형강(section shape stee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하중 부재에는 상기 배관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관부재는 상기 내하중 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판은 시멘트 또는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부착되고 배전반이 수용되는 바닥 패널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체결된 앵글 프레임과, 상기 앵글 프레임과 부착되는 벽체 패널과, 상기 앵글 프레임과 체결된 지붕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제1 모듈부와,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모듈부의 베이스 프레임이 안착되고 안착된 상기 제1 모듈부로부터 가해지는 수직하방의 하중을 견디는 내하중 부재와, 상기 지지판 내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인입되어 상기 제1 모듈부 내부로 인입시키는 배선설비가 관통하는 복수개의 배관부재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제2 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부와, 상기 제1 모듈부와 대응되는 제2 모듈부는 제1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체결되고, 상기 제1 모듈부는 이웃한 것끼리 제2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체결되며, 상기 제2 모듈부는 이웃한 것끼리 상호 결합되어 일체화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모듈부와 상기 제2 모듈부의 증설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체결부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내하중 부재를 상호 체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앵글 프레임과 이웃하는 앵글 프레임을 상호 체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배관부재를 통해 수용된 배관설비를 수용하는 배관설비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설비 수용부는 상기 지지판의 중앙부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지지판이 이웃하는 것끼리 동일 평면상에서 상호 조립되어 일체화되기 위하여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 내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결합홈과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지지판이 이웃하는 것끼리 동일 평면상에서 상호 조립되어 일체화되기 위하여 지지턱 또는 결합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턱은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결합홈을 따라 수직하방으로 상기 지지턱의 상부까지 삽입되어 상기 지지턱의 상부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턱과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하중 부재는 상기 지지판이 이웃하는 것끼리 동일 평면상에서 상호 조립되어 일체화되기 위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판 내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과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하중 부재는 형강(section shape stee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하중 부재에는 상기 배관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관부재는 상기 내하중 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판은 시멘트 또는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는 복수개의 모듈로 분할되고, 이들은 상호 조립되어 일체화되며, 또한 지지대의 각 모듈은 변전실의 각 모듈과 상응하도록 설계 및 제작되고, 상호 대응하는 모듈끼리는 체결부재를 통해 조립되어 한 쌍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는 변전실을 제작하는 동일 작업장 내에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작과정에서 변전실의 구조(폭, 길이, 형상 등) 변경이 있는 경우 이러한 변경 사항을 간편하게 지지대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지지대는 분할이 불가능한 일체형으로 지면에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형성되기 때문에 지지대 이송 자체가 불가능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는 모듈별로 분할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이송이 간편하고, 변전실의 모듈과 조립 체결되어 일체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변전실 이설시 함께 이설이 가능하다. 또한, 지지대를 모듈로 분할함에 따라 변전실의 증설시에도 이와 대응하여 간편하게 지지대의 모듈을 증설하는 것이 가능하여 변전실의 모듈 증설이 간편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와 일체화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의 각 모듈별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 모듈부(70-2) 및 제2 모듈부(60-2)의 조립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3개의 모듈로 분할된 조립식 지지대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지지대의 모듈 개수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지지대의 모듈 개수는 변전실의 모듈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전실의 모듈이 4개이면 이에 대응하여 지지대의 모듈 또한 4개가 된다. 즉, 지지대의 모듈 개수는 변전실의 모듈 개수에 대응하여 1개 이상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는 복수개의 모듈로 분할되고, 이들은 상호 조립되어 일체화되며, 또한 지지대의 각 모듈은 변전실의 각 모듈과 상응하도록 설계 및 제작되고, 상호 대응하는 모듈끼리는 체결부재를 통해 조립되어 한 쌍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는 변전실을 제작하는 동일 작업장 내에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작과정에서 변전실의 구조(폭, 길이, 형상 등) 변경이 있는 경우 이러한 변경 사항을 간편하게 지지대에 반영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는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지지하는 지지대로서, 여기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은 모듈화된 조립식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이거나 혹은 일체형의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는 복수개의 지지판(11-1~11-3)과, 지지판(11-1~11-3) 내에 구비되어 지지판(11-1~11-3)에 대해 수직하방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는 내하중 부재(12-1~12-3)와, 지지판(11-1~11-3) 내에 구비되어 배선설비(미도시)가 관통하는 복수개의 배관부재(13-1~13-3) 및 복수개의 지지판(11-1~11-3)을 동일 평면상에서 상호 조립(결합)하여 일체화하는 결합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지지판(11-1~11-3)에는 배관부재(13-1~13-3)를 통해 인입된 배선설비를 수용하는 배선설비 수용부(14-1~14-3)가 형성될 수 있다. 배선설비 수용부(14-1~14-3)는 배관부재(13-1~13-3)를 통해 모든 방위(예를 들면, 4방위)에서 인입되는 배선설비를 최단거리 내에서 안정적으로 취합하여 변전실 내부로 제공하기 위하여 지지판(11-1~11-3)의 중앙부 내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내하중 부재(12-1~12-3)의 중심이 되는 지지판(11-1~11-3)의 중앙부 내면에 형성된다.
배선설비 수용부(14-1~14-3)는 지지판(11-1~11-3)의 중앙부가 움푹 들어간 오목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크기(깊이, 폭)는 수용되는 배선설비의 양을 고려하고, 또한 작업 용이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선설비 수용부(14-1~14-3)는 배관부재(13-1~13-3)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배관부재(13-1~13-3)를 관통하여 인입된 전력선들(power cable) 또는 제어선들(control cable)이 수용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배선설비라 함은 변전실 내부에 수용되는 배전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과 배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선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변전실 내부에 수용되는 다양한 장치 또는 설비에 따라 다양한 배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관부재(13-1~13-3)는 내부에 수용되는 배선설비에 따라 각 지지판 내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관부재(13-1~13-3)의 크기는 수용되는 배선설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배관부재(13-1~13-3)의 형상은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선이 수용되는 배관부재는 제어선이 수용되는 배관부재보다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제어선이 수용되는 배관부재는 하부에 형성되고, 그 상부에 전력선이 수용되는 배관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은 일률적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랜덤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배관부재(13-1~13-3)는 비금속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나, 배선설비의 안정성을 위해 비금속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금속재료는 크롬(Cr)을 주체로 하는 페리트계(ferrite)의 강, 다량의 다른 원소를 함유한 austenite강, Ni, Co 등이 함유된 초합금강 등을 사용한다. 또는 동합금, 18-8 스테인리스강, C-Mo강 등을 사용한다. 비금속재료로는 테플론(teflon), PVC, PE 등을 사용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지지판이 이웃하는 것끼리 동일 평면상에서 상호 조립되어 일체화되기 위하여 지지판(11-1~11-3)에 형성된 결합홈(15-1, 15-3) 또는 결합돌기(15-2, 1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15-2, 15-4)는 결합홈(15-1, 15-3)의 상부에서 수직하방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홈(15-1, 15-3)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지지판(11-1~11-3)이 3개인 경우 최외곽에서 결합되는 지지판(11-1, 11-3)에는 결합홈(15-1)과 결합돌기(15-4)가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그리고 중앙에서 결합되는 지지판(11-2)에는 양측부에 결합돌기(15-2)와 결합홈(15-3)이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지지판(11-2)의 결합돌기(15-2)는 지지판(11-1)의 결합홈(15-1)과 결합되고, 결합홈(15-3)은 지지판(11-3)의 결합돌기(15-4)와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방식으로 모듈화되어 분리된 지지판(11-1~11-3)은 조립되어 일체화된다.
이러한 지지판(11-1~11-3)은 저가이면서 이송이 간편하도록 비교적 가볍고 내구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해야 한다. 또한 변전실과의 체결이 용이한 재료로 제작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지지판(11-1~11-3)은 저가 재료로 시멘트를 사용하거나, 또는 내구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을 사용할 수 있다. 혹은 내구성과 인장강도가 우수한 카본 재질의 탄소강(carbon steel)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지지판의 재료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장강도를 가지면서 변전실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재료는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내하중 부재(12-1~12-3)는 변전실의 베이스 프레임이 안착됨에 따라 변전실의 수직하방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면서 변전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 내하중 부재(12-1~12-3)는 형강(section shape steel)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I-형강으로 제작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내하중 부재의 재료가 형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용과 무게 측면을 고려하는 경우 비교적 저가이면서 가벼운 목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내하중 부재(12-1~12-3)는 변전실의 하중이 집중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하여 변전실의 베이스 프레임의 형상과 상응하게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1-1) 내부에 구비되는 내하중 부재(12-1)는 'ㄷ'자 형상으로 제작되고, 지지판(11-2) 내부에 구비되는 내하중 부재(12-2)는 서로 분리된 'I'자 형상으로 제작되며, 지지판(11-3) 내부에 구비되는 내하중 부재(12-3)는 내하중 부재(12-1)와 동일하게 'ㄷ'자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에 따라, 지지판(11-1~11-3)을 조립하여 일체화될 경우 내하중 부재(12-1~12-3)는 'ㅁ'자 형상을 갖는다.
내하중 부재(12-1~12-3)에는 배관부재(13-1~13-3)가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관통구멍은 배관부재(13-1~13-3)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 결정될 수 있으며, 배관부재(13-1~13-3)가 관통구멍 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내주연이 배관부재(13-1~13-3)의 외주연보다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구멍은 배관부재(13-1~13-3)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추후 추가되는 배관부재를 고려하여 여유분으로 더 많이 구비될 수도 있다.
실시예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는 내하중 부재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실시예1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2에서 내하중 부재(22-1~22-3)는 배관부재(23-1~23-3)가 내하중 부재(22-1~22-3)를 가로질러 배선설비 수용부(24-1~24-3)까지 연장되도록 배관부재(23-1~23-3)가 가로지르는 부위가 함몰된 오목부(26)를 갖는다. 이에 따라, 배관부재(23-1~23-3)는 배선설비 수용부(24-1~24-3)에서 오목부(26)를 가로질러 지지판(21-1~21-3)의 외측벽까지 연통된다.
도 1과 같이 실시예1에서는 내하중 부재(12-1~12-3)에 배관부재(13-1~13-3)의 개수와 대응하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이 관통구멍을 통해 배관부재(13-1~13-3)가 배선설비 수용부(14-1~14-3)까지 연장되도록 하였으나, 이 경우 별도로 내하중 부재(12-1~12-3) 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을 일일이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복잡해질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2에서와 같이 내하중 부재(22-1~22-3)에서는 배관부재(23-1~23-3)가 통과하는 부위를 절단(또는 주조하는 과정에서 인위적으로 제조)하여 오목부(26)를 형성함으로써 실시예1과 비교하여 작업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1과 같이 실시예2에서도,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지지판을 서로 동일 평면상에서 조립하여 일체화하기 위하여 지지판(21-1~21-3)에 형성된 결합홈(25-1, 25-3) 또는 결합돌기(25-2, 2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에 형성된 결합돌기(25-2, 25-4)는 결합홈(25-1, 25-3)의 상부에서 수직하방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홈(25-1, 25-3)과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는 내하중 부재와 배관부재가 형성되는 위치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실시예1 및 2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3에서 배관부재(33-1~33-3)는 내하중 부재(32-1~32-3)의 하부에 위치된다. 즉, 배관부재(33-1~33-3)는 지지판(31-1~31-3) 내에 형성되고, 실시예1과 같이 내하중 부재를 관통하는 것이 아니라 내하중 부재와 교차하도록 그 하부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내하중 부재(32-1~32-3)의 상면은 지지판(31-1~31-3)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되고, 하면은 지지판(31-1~31-3) 내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1 및 2와 같이 실시예3에서도,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지지판을 서로 동일 평면상에서 조립하여 일체화하기 위하여 지지판(21-1~21-3)에 형성된 결합홈(35-1, 35-3) 또는 결합돌기(35-2, 3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에 형성된 결합돌기(35-2, 35-4)는 결합홈(35-1, 35-3)의 상부에서 수직하방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홈(35-1, 35-3)과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는 지지판들을 상호 결합하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실시예1 내지 실시예3과 다르고,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4에서, 내하중 부재(42-1~42-3), 배관부재(43-1~43-3), 배선설비 수용부(44-1~44-3)는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에서 설명된 내하중 부재, 배관부재, 배선설비 수용부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4에서는 지지판(41-1~41-3)을 동일 평면상에서 상호 결합하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들과 다르다.
본 발명의 실시예4에서,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지지판을 서로 동일 평면상에서 조립하여 일체화하기 위하여 지지판(21-1~21-3)에 형성된 결합홈(45-1, 45-3, 45-8), 지지턱(45-2, 45-6) 및 결합턱(45-4, 45-7)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판(41-1)에는 결합홈(45-1)과 지지턱(45-2)이 각각 형성된다. 지지판(41-2)에는 결합홈(45-3, 45-5), 지지턱(45-6) 및 결합턱(45-4)이 형성된다. 지지판(41-3)에는 결합홈(45-8)과 결합턱(45-7)이 형성된다. 지지판(41-2)의 결합턱(45-4)은 지지판(41-1)의 결합홈(45-1)을 통해 지지턱(45-2)의 상부까지 삽입되어 지지턱(45-2)의 상부에 안착되고, 지지판(41-3)의 결합턱(45-7)은 지지판(41-2)의 결합홈(45-5)을 통해 지지턱(45-6)의 상부까지 삽입되어 지지턱(45-6)의 상부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결합구조에서는 다른 실시예들의 결합구조에 비해 지지판들이 일체화된 후 평탄화를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그 이유는 각 지지판의 결합턱이 지지턱에 지지되는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변전실의 각 모듈의 하중(각 모듈에 수용된 배전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에 따라 각 지지판에 가해지는 하중 또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지지판(41-2)에 가장 많은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실시예1 및 실시예3에 따른 결합구조에서는 해당 지지판이 지면 방향으로 꺼지는 함몰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나, 실시예4에 따른 구조에서는 지지판(41-2)에 걸리는 하중이 다른 지지판(41-1, 41-3)으로 분산된다. 결국 지지판(41-1~41-3)에 균일한 하중이 걸리기 때문에 일체화된 후 평탄화를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실시예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는 다른 실시예들과 달리 지지판들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해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결합수단은 지지판에 별도로 결합부재(결합홈, 결합돌기 등)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지지판 내에 형성되는 내하중 부재의 위치를 이동시켜 내하중 부재의 일부를 돌출시키고, 돌출된 부위를 이웃하는 지지판에 형성된 결합홈 내부로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지지판들을 상호 결합시켜 일체화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5에서는, 지지판(51-1, 51-2)의 내부에 형성된 내하중 부재(52-1, 52-2)의 일부가 돌출된 돌출부(55-1, 55-3)를 구비하고, 지지판(51-2, 51-3)에는 돌출부(55-1, 55-3)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55-2, 55-4)이 형성된다. 즉, 실시예5에서, 지지판(51-1)의 돌출부(55-1)는 지지판(51-2)의 결합홈(55-2)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지지판(51-2)의 돌출부(5-3)는 지지판(51-3)의 결합홈(55-4)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방식으로 지지판들을 상호 결합시켜 일체화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5에서는 다른 실시예들과 달리 지지판들 간의 상호 결합을 위해 지지판 내에 별도로 결합부재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지지판의 면적을 감소(화살표 참조)시킬 수 있다. 즉,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의 결합구조에서는 지지판에 별도로 결합부재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결합부재가 형성될 영역이 필요하여 그만큼 면적이 증가하지만 실시예5에서는 내하중 부재를 이용하여 지지판들을 상호 결합하기 때문에 결합부재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다른 실시예들에 비해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대와 일체화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예1에 따른 지지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와 일체화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각 모듈별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조립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와 일체화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은 복수개의 제1 모듈부(70-1~70-3)를 구비한 변전실(70)과, 변전실(70)의 제1 모듈부(70-1~70-3)와 각각 대응되도록 분할되어 제작되고 제1 모듈부와 체결되어 일체화되는 복수개의 제2 모듈부(60-1~60-3)를 구비한 지지대(60)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후 일체화되어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구성하는 제1 모듈부(70-1~70-3)는 베이스 프레임(71-1~71-3)과, 베이스 프레임(71-1~71-3)과 부착되고 배전반(80, 81)이 수용되는 바닥 패널(72-1~72-3)과, 베이스 프레임(71-1~71-3)과 체결된 앵글 프레임(73-1~73-3)과, 앵글 프레임(73-1~73-3)과 부착되는 벽체 패널(74-1~74-3)과, 앵글 프레임(73-1~73-3)과 체결된 지붕(75-1~75-3)을 포함한다. 또한, 제1 모듈부(70-1~7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1 모듈부에는 사람이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문(75, 76)이 적재 적소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듈부(70-1~70-3)를 지지하는 제2 모듈부(60-1~60-3)는 실시예1 내지 실시예5에 따른 지지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모듈부(60-1~60-3)는 지지판(61-1~61-3)과, 지지판(61-1~61-3) 내에 구비되어 제1 모듈부(70-1~70-3)의 베이스 프레임(71-1~71-3)이 안착되고 안착된 제1 모듈부(70-1~70-3)로부터 가해지는 수직하방의 하중을 견디는 내하중 부재(62-1~62-3)와, 지지판(61-1~61-3) 내에 구비되고 외부에서 인입되어 제1 모듈부(70-1~70-3) 내부로 인입시키는 배선설비가 관통하는 복수개의 배관부재(63-1~63-3)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듈부(70-1~70-3)와, 제1 모듈부(70-1~70-3)와 대응되는 제2 모듈부(60-1~60-3)는 제1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상호 체결되고, 제1 모듈부(70-1~70-3)는 이웃한 것끼리 제2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상호 체결되며, 제2 모듈부(60-1~60-3)는 이웃한 것끼리 상호 결합되어 일체화되는 방식으로 제1 모듈부(70-1~70-3)와 제2 모듈부(60-1~60-3)의 증설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체결부재는 볼트 체결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서와 같이 제2 모듈부의 내하중 부재(62-2)에는 볼트(66-2)가 구비되고, 이와 대응하여 제1 모듈부의 베이스 프레임(71-1)에는 체결 구멍(77-2)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시 볼트(62-2)는 체결 구멍(77-2)을 관통하고, 관통된 상태에서 너트(78)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제2 체결부재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체결부재와 마찬가지로 볼트 체결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제1 모듈부(70-1~70-3)의 앵글 프레임(73-1~73-3)에 볼트 또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이 관통 구멍을 통해 돌출된 볼트를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서로 분리된 제1 모듈부(70-1~70-3)를 상호 체결하여 일체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듈부(70-1~70-3)의 베이스 프레임(71-1~71-3)과 제2 모듈부(60-1~60-3)의 내하중 부재(62-1~62-3) 사이, 또한 제1 모듈부(70-1~70-3)의 앵글 프레임들(73-1~73-3) 사이에는 패킹(packing)이 개재될 수 있다. 패킹은 베이스 프레임(71-1~71-3)과 내하중 부재(62-1~62-3) 간의 기밀성, 그리고 앵글 프레임들(73-1~73-3) 간의 기밀성을 유지하고, 이들의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 사이에 채워지며, 재료로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피혁, 석면 기타의 비강체 물질이 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철, 구리, 납 및 이들의 합금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와 일체화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은 복수개의 제1 모듈부(70-1~70-3)와 제2 모듈부(60-1~60-3)를 각각 제작한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을 제1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하여 일체화시킨다. 이와 같이 일체화된 상태로 제1 및 제2 모듈부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로 이송한 후 일체화된 상태로 다른 일체화된 제1 및 제2 모듈부와 조립하여 일체화시킨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화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이 완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지지판이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있으나,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체결부재 또한 볼트 체결방식으로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체결방식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1~11-3, 21-1~21-3, 31-1~31-3, 41-1~41-3, 51-1~51-3, 61-1~61-3 : 지지판
12-1~12-3, 22-1~22-3, 32-1~32-3, 42-1~42-3, 52-1~52-3, 62-1~62-3 : 내하중 부재
13-1~13-3, 23-1~23-3, 33-1~33-3, 43-1~43-3, 53-1~53-3, 63-1~63-3 : 배관설비
14-1~14-3, 24-1~24-3, 34-1~34-3, 44-1~44-3, 54-1~54-3, 64-1~64-3 : 배선설비 수용부
71-1~71-3 : 베이스 프레임
72-1~72-3 : 바닥 패널
73-1~73-3 : 앵글 프레임
74-1~74-3 : 벽체 패널
75-1~75-3 : 지붕
75, 76 : 문
80, 81 : 배전반
60 : 지지대
70-1~70-3 : 제1 모듈부
60-1~60-3 : 제2 모듈부

Claims (20)

  1. 워크-인(walk-in) 타입의 변전실을 지지하는 지지대에 있어서,
    복수개의 지지판;
    상기 지지판 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에 대해 수직하방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는 내하중 부재;
    상기 지지판 내에 구비되어 배선설비가 관통하는 복수개의 배관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지지판을 동일 평면상에서 상호 조립하여 일체화하는 결합수단
    을 포함하는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배관부재를 통해 인입된 배관설비를 수용하는 배선설비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선설비 수용부는 상기 지지판의 중앙부 내면에 형성된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지지판을 이웃하는 것끼리 동일 평면상에서 상호 조립하여 일체화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 내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결합홈과 결합된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지지판을 이웃하는 것끼리 동일 평면상에서 상호 조립하여 일체화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지지턱 또는 결합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턱은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결합홈을 따라 수직하방으로 상기 지지턱의 상부까지 삽입되어 상기 지지턱의 상부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턱과 결합된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지지판을 이웃하는 것끼리 동일 평면상에서 상호 조립하여 일체화하기 위하여 상기 내하중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판 내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과 결합된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하중 부재는,
    형강(section shape steel)으로 이루어진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하중 부재에는,
    상기 배관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구비된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재는,
    상기 내하중 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시멘트 또는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으로 이루어진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
  10.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부착되고 배전반이 수용되는 바닥 패널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체결된 앵글 프레임과, 상기 앵글 프레임과 부착되는 벽체 패널과, 상기 앵글 프레임과 체결된 지붕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제1 모듈부; 및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모듈부의 베이스 프레임이 안착되고 안착된 상기 제1 모듈부로부터 가해지는 수직하방의 하중을 견디는 내하중 부재와, 상기 지지판 내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인입되어 상기 제1 모듈부 내부로 인입시키는 배선설비가 관통하는 복수개의 배관부재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제2 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부와, 상기 제1 모듈부와 대응되는 제2 모듈부는 제1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체결되고, 상기 제1 모듈부는 이웃한 것끼리 제2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체결되며, 상기 제2 모듈부는 이웃한 것끼리 상호 결합되어 일체화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모듈부와 상기 제2 모듈부의 증설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내하중 부재를 상호 체결하는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앵글 프레임과 이웃하는 앵글 프레임을 상호 체결하는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배관부재를 통해 수용된 배관설비를 수용하는 배관설비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설비 수용부는 상기 지지판의 중앙부 내면에 형성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지지판이 이웃하는 것끼리 동일 평면상에서 상호 조립되어 일체화되기 위하여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 내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결합홈과 결합하는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지지판이 이웃하는 것끼리 동일 평면상에서 상호 조립되어 일체화되기 위하여 지지턱 또는 결합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턱은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결합홈을 따라 수직하방으로 상기 지지턱의 상부까지 삽입되어 상기 지지턱의 상부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턱과 결합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하중 부재는,
    상기 지지판이 이웃하는 것끼리 동일 평면상에서 상호 조립되어 일체화되기 위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판 내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과 결합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하중 부재는,
    형강(section shape steel)으로 이루어진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하중 부재에는,
    상기 배관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구비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재는,
    상기 내하중 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2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시멘트 또는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으로 이루어진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KR1020100086873A 2010-09-06 2010-09-06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 및 이와 일체화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KR101061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873A KR101061861B1 (ko) 2010-09-06 2010-09-06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 및 이와 일체화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873A KR101061861B1 (ko) 2010-09-06 2010-09-06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 및 이와 일체화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1861B1 true KR101061861B1 (ko) 2011-09-02

Family

ID=44956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873A KR101061861B1 (ko) 2010-09-06 2010-09-06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 및 이와 일체화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8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8232A (zh) * 2017-09-28 2017-12-29 湖州电力设备成套有限公司 一种顶部可拆卸开关柜
KR20210156570A (ko) * 2020-06-18 2021-12-27 한국전력공사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322B1 (ko) 2007-06-28 2009-05-20 임세규 황토 온돌구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322B1 (ko) 2007-06-28 2009-05-20 임세규 황토 온돌구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8232A (zh) * 2017-09-28 2017-12-29 湖州电力设备成套有限公司 一种顶部可拆卸开关柜
KR20210156570A (ko) * 2020-06-18 2021-12-27 한국전력공사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
KR102367796B1 (ko) 2020-06-18 2022-02-25 한국전력공사 조립형 대용량 지중인입분기함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79637B (zh) 模块化建筑结构
CN102444204B (zh) 可延长跨度距离及降低顶棚高度的支撑梁结构体及其安装方法
JP3165884U (ja) 太陽電池パネル装置の基礎架台構造
KR101498236B1 (ko) 조립식 피디에프 물탱크
US20160168844A1 (en) Structural Arrangement
CN201635421U (zh) 一种大型可拆卸板房
KR101061861B1 (ko) 모듈화된 조립식 지지대 및 이와 일체화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KR101381408B1 (ko) 조립주택 구조물과 이것을 이용한 조립주택 시공방법
CN101906818B (zh) 组装式抗震板房
KR102415556B1 (ko) 건물의 마감재로 기능하는 조립형 단위 태양광발전 모듈 및 그 시공방법
KR101049004B1 (ko) 돔 구조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돔 구조물
KR102415555B1 (ko) 건물의 마감재로 기능하는 조립형 단위 태양광발전 모듈 및 그 시공방법
CN202353020U (zh) 动力配电箱
CN202718252U (zh) 模数法预制板式房屋的墙板连接结构
CN203734168U (zh) 工矿用大型双拼结构箱式变电站
CN203834665U (zh) 一种活动房基架的装配结构
CN202787485U (zh) 开结构集装组合式建筑物
CN203347026U (zh) 一种预制板的固定连接结构
JP5684619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設置架台
CN212201011U (zh) 一种便于施工的包钢混凝土梁施工工装
CN204676701U (zh) 模块智能抗震保温一体组装结构房屋
JP6501190B2 (ja) 建物及び建物ユニット
CN206346515U (zh) 洗漱间钢结构箱房底座
JP5762188B2 (ja) 簡易建築構造体
KR20140136629A (ko) 조립식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