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018B1 - 개폐기능 및 표시기능을 갖는 지중 및 해저케이블 접지함 - Google Patents

개폐기능 및 표시기능을 갖는 지중 및 해저케이블 접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018B1
KR101547018B1 KR1020130104971A KR20130104971A KR101547018B1 KR 101547018 B1 KR101547018 B1 KR 101547018B1 KR 1020130104971 A KR1020130104971 A KR 1020130104971A KR 20130104971 A KR20130104971 A KR 20130104971A KR 101547018 B1 KR101547018 B1 KR 101547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ing
connection
ground
line
display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4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306A (ko
Inventor
김민석
Original Assignee
김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석 filed Critical 김민석
Priority to KR1020130104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018B1/ko
Publication of KR20150026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과 같은 지하공동구나 말단 개폐기의 해저케이블의 접지함에 있어서, on/off 스위치가 있어서 개폐기능이 가능하고, LED 등으로 연결상태 표시기능이 가능하며, 누설전류 등의 정보의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동시에 이러한 장비들이 일체화되도록 에폭시, 우레탄 등으로 몰딩되어 수분, 염분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는 지중 및 해저케이블 접지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배전 공동구의 일측에 배치되어 접지되도록 구성되고, 복수개의 연결선이 일측에 연결되는 주접지 동바;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의 중단에 구비되고 주접지 동바와의 연결을 개폐하기 위한 스위칭수단;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의 중단에 구비되고, 접지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접지표시수단; 및 연결선의 종단에 구비되고 접지선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을 포함하는 접지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3상 동심중성선 전력케이블의 각 상별로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다중접지, 편단접지 및 비일괄접지의 구현이 하나의 접지함으로 가능해진다.

Description

개폐기능 및 표시기능을 갖는 지중 및 해저케이블 접지함{Grounding Box for Underground and Sub-marine Cable having Switching and Indicating function}
본 발명은 개폐기능 및 표시기능을 갖는 지중 및 해저케이블 접지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맨홀과 같은 지하공동구나 말단 개폐기의 해저케이블의 접지함에 있어서, on/off 스위치가 있어서 개폐기능이 가능하고, LED 등으로 연결상태 표시기능이 가능하며, 누설전류 등의 정보의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동시에 이러한 장비들이 일체화되도록 에폭시, 우레탄 등으로 몰딩되어 수분, 염분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는 지중 및 해저케이블 접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단접속재라 함은 전력케이블의 단말처리를 위한 수단으로, 전기적 스트레스가 심한 지상, 지중 및 해저케이블의 말단부에 설치하여 절연물질의 전기적 방전과 절연파괴를 방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특히, 3상 전력케이블의 종단접속재를 사용하여 맨홀 내 3상 전력케이블의 접지 접속 시, 3상 전력케이블의 주 시스(Lead Sheath)층인 각 시스(a상, b상, c상)와 케이블을 외부의 물리적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금속 테이프 또는 금속선으로 사용되는 아모어(armour)층의 접지선을 공동접지선과 함께 접지하고 있다.
대부분의 22.9kV 3상 동심중성선 전력케이블(CNCV, Concentric Neutral type Crosslinked Polyethylene Insulated Vinyl Sheathed Power Cable) 배전계통은 중성점 다중접지계통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케이블의 중성선을 여러 개소의 접속함에서 3상 일괄 공동접지함으로써 배전계통 전체적으로 다중접지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지중배전케이블 계통에서 이러한 중성선의 일괄접지로 인하여 케이블 순환전류가 커지고 이로 인해 냉각이나 전력손실 부분에서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다중 접지방식은 유지하면서 3상 접속함 중에서 1상만 상호 연결하고 나머지 2상은 분리하는 비일괄 공동접지방식이 제안되었다. 이를 통해 중성선 순환전류와 전력손실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다중접지, 편단접지 및 비일괄 공동접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접지함에 의하여 실행되고 있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접지 동바에 복수개의 접지선(개폐기 접지, 해저케이블 접지, 맨홀 접지, 아모어 접지 등)이 물려서 연결된 형태로 단순하게 구성되는바, 말단에서 누설전류를 측정하기가 어려웠고, 각 상의 접지체크를 위해서는 별도로 확인이 요구되었으며, 맨홀에서 방수가 불가능하였고, 공동접지 및 각 상별 접지가 하나의 접지함에서 구현될 수 없었던 단점이 있었다. 특히 주접지 동바의 규격, 접지단자의 규격은 표준화 되어 있지 않아 다양하고 일관성이 없어서 배선이 혼잡하여 유지보수와 관리면에서 어려움이 따랐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실용신안 20-0425728은 접지선의 배열에 따른 설치 및 정리를 깨끗하게 하고, 신속히 연결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키며, 이상 여부를 손쉽게 점검하기 위한 접지함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전주 위의 배전선로상으로부터 인출한 접지선과 지중에 매설되는 접지봉과 연결되는 접지전선을 서로 연결하여 주는 다수개의 접지단자를 갖는 접지함에 관한 것으로서, 3상 전력케이블에 관한 것이 아니고, 3상 각각의 개폐가 불가하며, 방수가 불가하고, 말단에서의 누설전류 한눈에 알 수 없으며, 어디에서 온 접지선인지 또는 상체크 판단이 용이하지 않은 점 및 한눈으로 접지상태의 파악이 불가한 점이 여전히 문제된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20-0455128는 접지를 분리가능하도록 한 지중 및 해저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3상 각각의 개폐가 불가하고, 방수가 불가하며, 말단에서의 누설전류 한눈에 알 수 없으며, 어디에서 온 접지선인지 또는 상체크 판단이 용이하지 않은 점 및 한눈으로 접지상태의 파악이 불가한 점이 여전히 문제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접지방식은 케이블의 편조선을 따서 하나의 공통접지단자를 사용하게 되므로, 사고 및 검측시에 접지선을 일괄 분리한 후, 재접지 시공을 해야하는 불편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사고 및 점검과 무관한 전력기기까지 모두 가동 자체를 정지시켜야 하고, 상을 찾는 것이 어려워서 편단접지에서 다중접지로 변경하는 것에 무리가 있고, 지락사고(地絡事故) 등의 선로사고 시 전체 선로가 쇼트되어 있어서 다른 선로에도 여파가 미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선로사고 시 확인이 용이하지 않고, 해상풍력발전시설과 같은 해상환경에 설치하는 경우 얼마가지 않아 부식되어 제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3상 각각의 개폐가 가능하고, 맨홀이나 해저에서 사용되는 경우 염해를 방지하기 위해 방수가 가능하며, 말단에서의 누설전류 파악이 한눈에 가능하고, 어디에서 온 접지선인지 파악하기 용이하며, 한눈으로 접지상태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고, 선로사고가 난 구역의 파악이 용이한 지중 및 해저케이블 접지함이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 20-0425728 등록실용신안 20-0455128 미국 등록특허 US 6,403,880 B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시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맨홀과 같은 지하공동구나 말단부의 해저케이블의 접지함에 있어서, on/off 스위치가 있어서 각 상마다 개폐기능이 가능하고, LED 등으로 연결상태 표시기능이 가능하며, 누설전류 등의 정보의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동시에 이러한 장비들이 일체화되도록 에폭시, 우레탄 등으로 몰딩되어 수분, 염분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는 지중, 해저케이블 접지함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 공동구에서 3상 전력케이블의 중성선의 접지선을 접지하기 위한 접지함에 있어서, 상기 배전 공동구의 일측에 배치되어 접지되도록 구성되고, 복수개의 연결선이 일측에 연결되는 주접지 동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선의 중단에 구비되고 상기 주접지 동바와의 연결을 개폐하기 위한 스위칭수단;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선의 중단에 구비되고, 접지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접지표시수단; 및 상기 연결선의 종단에 구비되고 상기 접지선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을 포함하는 접지함을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선의 중단에서 상기 접지선의 출처를 표시하기 위한 D/L표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표시수단은 상기 접지선의 접지여부에 따라 점멸되고 상 별로 색 또는 문자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LED램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선의 중단에서 상기 접지선의 누설전류의 양을 표시하기 위한 누설전류 표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곽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는 상기 스위칭수단 상기 접지표시수단 및 상기 접속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싸도록 고분자 수지재질의 충진재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수단 상기 접지표시수단 및 상기 접속수단 중 적어도 하나는 분리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전 공동구는 일측에 접지연결동봉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상기 스위칭수단 상기 접지표시수단 및 상기 접속수단이 상기 충진재에 의해 일체화되도록 몰딩되며, 상기 접지연결동봉과 형상맞춤되며 끼워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지연결동봉이 상기 주접지 동바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접지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3상 동심중성선 전력케이블의 각 상별로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다중접지, 편단접지 및 비일괄접지의 구현이 하나의 접지함으로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조선을 따와서 접지함에 연결한 후 on/off 스위칭 수단으로 접지여부를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케이블 중 접지가 연결되거나 연결되지 않았음을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육안으로 한눈에 접지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는 선로사고 시, 선로사고 구역 확인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말단에서 A,B,C 각 상의 누설전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누설전류가 높을 때 접지를 보강하거나, 다른 on/off 스위치를 통하여 편단에서 다중접지로 변환하는 등의 조치를 간단하게 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누설전류가 커지면 열화발생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상체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몰딩과 하우징으로 방수처리가 완전히 구현되므로, 해상풍력발전시설에 연결되는 해저케이블의 접지를 위해 해상 공동구에 접지함이 설치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염해 등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지중 및 해저케이블 접지함이 일체형으로 구성이 가능하므로 불량이 발생한 경우, 접지함 자체를 교체하여 간단하게 불량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르면 지중 및 해저케이블 접지함의 일부 구성만을 조립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문제가 되는 구성만을 교체하여 수리 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접지함을 접지연결동봉에 끼우고 접속수단에 접지선을 끼워 넣기만 하면 되므로, 설치공정의 단순화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홉째, 본 발명에 따르면 지락사고 등의 선로사고 시, on/off 스위칭 수단에 의해 편단으로 접지되므로 다른 선로에 선로사고의 여파가 미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접지함을 도시한 사진,
도 2는 배전 공동구의 접지시공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함을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함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배전 공동구의 접지시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 공동구는 맨홀 형태로 축조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로 축조될 수 있고, 일측에 접지함을 설치하기 위한 접지연결동봉이 설치된다. 이러한 접지연결동봉은 대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접지연결동봉은 Φ24 에 벽체두께에 따라 길이 510mm(벽체두께 40cm) 또는 730mm(벽체두께 60cm)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지연결동봉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함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전 공동구 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양 말단에 개폐기에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함이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함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함(1)은 주접지 동바(10), 연결선(3), 하우징(5), 스위칭수단(20), 접지표시수단(30), D/L표시수단(40), 누설전류 표시수단(50), 연결선 개방홈 및 방수캡(60), 접속수단(7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주접지 동바(10)는 접지연결동봉에 연결되는 바(bar) 형태의 주접지 허브이다. 복수개의 연결선(3)이 주접지 동바(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접지연결동봉에 의해 접지되게 된다. 접지연결동봉은 각각 일측에 구비되는 접지홈(12)에 끼워진다. 연결선(3)은 접지선과 연결되어 전력케이블의 접지선을 주접지 동바(10)와 연결하여 접지되도록 구성된다.
스위칭수단(20)은 연결선(3)의 중단에 구성될 수 있다. 연결선(3)의 개폐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하여 각 상의 다중접지, 편단접지 및 비일괄접지를 하나의 접지함으로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어느 하나의 누설전류가 높을 때 접지를 보강하거나, 다른 on/off 스위치를 통하여 편단에서 다중접지로 변환하는 등의 조치를 간단하게 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누설전류가 커지면 열화발생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스위칭수단(20)은 연결선(3)의 중단에 구비되어, 수동조작 핸들을 이용하거나 버튼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동조작 핸들을 이용하는 경우, 상하/좌우로 회동하는 핸들을 구성할 수 있으며, 회전식 핸들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스위칭수단(20)을 구비함으로써 문제가 되는 접지선(7)을 개폐할 수 있고, 단상, 편단 및 비일괄 접지를 하나의 접지함(1)으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접지표시수단(30)은 연결선(3)의 중단에 구비되어, 연결선(3)에 접속된 접지선(7)의 접지여부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LED라이트로 접지표시수단(30)을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접지가 계획한바 대로 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중간에 문제가 있어 접지불량인 구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비일괄접지 방식이 이용되는 경우, 각 맨홀에서 A상, B상, C상 각각이 접지되고 말단 개폐기 측에서는 A,B,C상 모두가 접지되는바, 선로사고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L표시수단(40)은 연결선(3)의 중단에 구비되어, D/L명(Distribution Line, 배전선로)을 표시하는 라벨이다. D/L명을 기재하여 접지선(7)의 출처를 한눈에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어느 구간의 접지선(7)이 문제되는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누설전류 표시수단(50)은 특히 개폐기 말단에서 사용자에게 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누설전류 표시수단(50)은 연결선(3)의 중단에 구비되어, 각 접지선(7)의 누설전류를 센서로 체크하여 디지털로 표시하는 수단이다. 사용자는 누설전류 표시수단(50)에 표시되는 누설전류와 각 접지선(7)의 허용전류를 비교하여 누설전류가 허용전류를 초과하는 경우, 접지를 보강하거나 편단접지를 다중접지로 변환하여 용이하게 과도 누설전류를 해소할 수 있다. 허용전류 표시수단은 단순한 라벨형태나 디지털 표시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고, 누설전류 표시수단(50)은 누설전류 센서와 함께 디지털 표시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선 개방홈 및 방수캡(60)은 주접지 동바(10)와 연결된 일측과 함께 타측에 구비되어 연결선(3)을 고정하고 일부가 노출되도록 홈을 구성하여 상체크 또는 누설전류 체크를 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때, 방수를 위하여 방수캡의 형태가 구비될 수 있다.
접속수단(70)은 연결선(3)의 종단에 구비되며, 접지선(7)이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의 접속방식은 엘보접속, 직선접속, 종단접속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함에 의하면 단순히 접지연결동봉에 접지함(1)을 끼워 넣고, 연결선(3)의 종단에 구비되는 접속수단(70)에 접지선(7)을 접속하면 설치가 완료되는 설치공정 단순화의 효과가 있다.
방수처리 및 접지함의 일체화에 관하여,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함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함은 하우징(5)과 함께 전체가 고분자 수지재질의 충진재로 몰딩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이때 고분자 수지재질의 충진재는 에폭시, 우레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일체화를 통하여 향상된 방수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는 염분이 많은 해상환경에 노출되는 해상풍력발전시설에서 개폐기, 해저케이블, 아모어, 맨홀의 접지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효과이다.
또한 이러한 일체화된 접지함(1)을 구현하여, 접지함(1)의 내부 구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접지함(1) 자체를 교환하거나, 문제되는 기판만 교환하여 수리할 수 있는 점검 및 수리의 용이성이라는 효과가 있다. 종래에는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 일일이 체크해 봐야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위하여 스위칭수단(20), 접지표시수단(30), D/L표시수단(40), 누설전류 표시수단(50), 연결선 개방홈 및 방수캡(60)을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각각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일체화된 접지함(1)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접지선(7)을 접속수단(70)에 종단접속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함(1)은, 22.9kV 급의 3상 해저케이블을 예로 들었으나, 이것뿐만 아니라, 저전압, 고전압, 특고전압 등의 전력케이블 등의 접지에 모두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접지함
3: 연결선
5: 하우징
7: 접지선
10: 주접지 동바
12: 접지홈
20: 스위칭수단
30: 접지표시수단
40: D/L표시수단
50: 누설전류 표시수단
60: 연결선 개방홈 및 방수캡
70: 접속수단

Claims (8)

  1. 복수개의 접지선을 접지하기 위한 접지함에 있어서,
    접지되도록 구성되고, 복수개의 연결선이 일측에 연결되는 주접지 동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선의 중단에 구비되고 상기 주접지 동바와의 연결을 개폐하기 위한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위칭수단;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선의 중단에 구비되고, 접지여부를 표시하는 접지표시수단;
    상기 연결선의 종단에 구비되고 상기 접지선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 및
    외곽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는 상기 스위칭수단 상기 접지표시수단 및 상기 접속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싸도록 고분자 수지재질의 충진재로 채워지며,
    상기 하우징, 상기 스위칭수단, 상기 접지표시수단 및 상기 접속수단이 상기 충진재에 의해 일체화되도록 몰딩되며,
    접지연결동봉과 형상맞춤되며 끼워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지연결동봉이 상기 주접지 동바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접지홈; 및
    상기 하우징의 충진재 상에서 상기 연결선의 중단이 일부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방수캡에 의해 개폐되는 연결선 개방홈;
    을 더 포함하는 접지함.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선의 중단에서 상기 접지선의 출처를 표시하기 위한 D/L표시수단;
    을 더 포함하는 접지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표시수단은, 상기 접지선의 접지여부에 따라 점멸되고, 상기 접지선의 상 별로 색 또는 문자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LED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함.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선의 중단에서 상기 접지선의 누설전류의 양을 표시하기 위한 누설전류 표시수단;
    을 더 포함하는 접지함.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 상기 접지표시수단 및 상기 접속수단 중 적어도 하나는 분리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접지함.
  8. 삭제
KR1020130104971A 2013-09-02 2013-09-02 개폐기능 및 표시기능을 갖는 지중 및 해저케이블 접지함 KR101547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971A KR101547018B1 (ko) 2013-09-02 2013-09-02 개폐기능 및 표시기능을 갖는 지중 및 해저케이블 접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971A KR101547018B1 (ko) 2013-09-02 2013-09-02 개폐기능 및 표시기능을 갖는 지중 및 해저케이블 접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306A KR20150026306A (ko) 2015-03-11
KR101547018B1 true KR101547018B1 (ko) 2015-08-24

Family

ID=53022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971A KR101547018B1 (ko) 2013-09-02 2013-09-02 개폐기능 및 표시기능을 갖는 지중 및 해저케이블 접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0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664B1 (ko) * 2021-03-29 2022-02-08 (주)에스티라이팅 고천정 led 투광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29412B (zh) * 2016-03-21 2018-11-06 中天科技海缆有限公司 一种海底光缆与陆地光缆连接装置及其连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9520A (ja) 2000-12-22 2002-07-12 Toshiba Eng Co Ltd 電気的接続状態表示装置並びに電気的接続状態表示方法
KR101034191B1 (ko) 2011-02-21 2011-05-12 유재현 맨홀 접지구조
KR200455128Y1 (ko) 2011-02-10 2011-08-19 코리아그린에너지 주식회사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9520A (ja) 2000-12-22 2002-07-12 Toshiba Eng Co Ltd 電気的接続状態表示装置並びに電気的接続状態表示方法
KR200455128Y1 (ko) 2011-02-10 2011-08-19 코리아그린에너지 주식회사 지중 및 해저 전력케이블의 분리 접지 접속함
KR101034191B1 (ko) 2011-02-21 2011-05-12 유재현 맨홀 접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664B1 (ko) * 2021-03-29 2022-02-08 (주)에스티라이팅 고천정 led 투광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306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12163B1 (en) Fibre optic cable arrangements
CN104183930B (zh) 具有视觉指示的自动接地装置
KR101547018B1 (ko) 개폐기능 및 표시기능을 갖는 지중 및 해저케이블 접지함
US8512083B2 (en) Apparatus for connecting connection parts between power apparatuses
US10109992B2 (en) Methods for installing a riser glove onto cables extending form a riser conduit
ES2953847T3 (es) Sensor eléctrico
BR112013025518B1 (pt) comutador de derivação
CA2799592C (en) 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cable termination apparatus
EP2804272B1 (en) Mobile unit for high- and medium-voltage electrical interconnection
CN103036192A (zh) 一种智能电缆连接器
KR20120125821A (ko)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KR102277042B1 (ko) 지하 매립형 이중전원 저압 분전함 및 이의 운영방법
KR20150138770A (ko) 절연커버
EP0303740B1 (en) An assembly comprising a high voltage conductor and a fibre optic cable
RU145149U1 (ru) Коробка электромонтажная для коммутации покрытых изоляционной оболочкой экранов силовых кабелей
US8129618B2 (en) Cable joint
KR20140114182A (ko) 광 접속유닛, 이를 포함하는 광 전력 복합케이블 직선 접속부 및 광 전력 복합케이블의 접속방법
KR200314282Y1 (ko) 지상설치용 케이블 접속함
GB2293497A (en) Repairing cable installations
CN103928847A (zh) 一种固体绝缘环网柜用熔断器绝缘筒
JP7291050B2 (ja) 分岐ユニット及び施工方法
CA3076868C (en) Assembly for connecting to a high-voltage grid
AU2002213650B2 (en) Multi-core electrical cable connection apparatus
Dyer Insulated Power Cables Used in Underground Applications
JP2014041763A (ja) 接地線配線用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