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705Y1 - 계량기 외갑 구조체 - Google Patents

계량기 외갑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705Y1
KR200454705Y1 KR2020090004402U KR20090004402U KR200454705Y1 KR 200454705 Y1 KR200454705 Y1 KR 200454705Y1 KR 2020090004402 U KR2020090004402 U KR 2020090004402U KR 20090004402 U KR20090004402 U KR 20090004402U KR 200454705 Y1 KR200454705 Y1 KR 200454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eter
outer shell
shell structure
conv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4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378U (ko
Inventor
이흥순
Original Assignee
세화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화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화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44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705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3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3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7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Abstract

본 고안은 계량기 외갑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타측에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상측에서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유입된 유체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임펠라를 구비하는 계량기 외갑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상기 본체 내주면 사이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출관에 인접하여 상기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와류형성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외갑 구조체.
이와 같은 계량기 외갑 구조체는 계량기를 통과하는 적산 유량의 측정 오차를 넓은 유량범위에서 균일하게 최소화하여 사용된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계량기 외갑 구조체{Flow meter housing}
본 고안은 계량기 외갑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계량기를 통하여 흐르는 유체의 적산 유량의 측정오차를 최소화하여 정확하게 사용된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계량기 외갑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체가 유입관를 통해 유입되어 배출관를 통하여 배출될 때, 그 유량을 적산하여 사용한 유량을 측정하는 계량기는 사용한 유량을 오차없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계량기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누적된 체적은 상거래 또는 증명에 사용하기 위해서 정확성 및 통일성을 확보하여 하고, 국가에서는 이러한 계량기의 허용오차범위를 법정하여 계량기의 성능을 담보하고 있다.
예컨대, 수도계량기에 있어서, 최소유량과 전이유량 사이의 오차는 +5% ~ -5%를 만족하여야 하고, 전이유량과 과부하 유량 사이는 +2% ~ -2%를 만족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계량기를 통해 유량의 반복 측정시, 적산유량이 허용가능한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여 재현성이 우수한 계량기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계량기를 통하여 흐르는 유체의 적산 유량의 오차범위를 최소화하여 적산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계량기 외갑 구조체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계량기 외갑 구조체는, 일측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타측에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상측에서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유입된 유체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임펠라를 구비하는 계량기 외갑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상기 본체 내주면 사이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출관에 인접하여 상기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와류형성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중심부에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는 결합공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원형의 고정판을 더 구비하며, 상기 와류형성턱은 상기 결합공과 상기 고정판의 가장자리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배출관의 배출공의 중심과 상기 회전축을 잇는 가상선으로부터 상기 유입된 유체가 흐르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30도 이내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류형성턱은 상기 본체의 내주면 측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의 저 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관의 제1 중심축선 및 상기 배출관의 제2 중심축선은 상기 회전축과 교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계량기 외갑 구조체는, 유입관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될 때, 그 배출관에 인접하여 본체 저면에 와류형성턱을 형성하여 임펠라의 회전을 원할하게 하므로, 전 유량범위에서 계량기를 통해 흘러나간 적산유량의 오차범위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계량기 외갑 구조체는 적산 유량의 오차범위를 최소화하는 외갑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예컨대 수도계량기 등의 외갑 구조체에 적용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 외갑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계량기 외갑 구조체는, 일측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11)과 타측에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관(12)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를 상측에서 커버하는 커버부(2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 회전축(40)을 중심으로 상기 유입된 유체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임펠라(30)를 구비하는 계량기 외갑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40)과 상기 본체(10) 내주면 사이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출관(12)에 인접하여 상기 본체(1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와류형성턱(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입관(11)를 통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원활하게 회전되면서 배출관(12)을 통해 배출되도록, 유입관(11)의 제1 중심축선(C1)과, 배출관(12)의 제2 중심축선(C2)은 상기 회전축(40)과 교차하지 않도록 형성된다(도5참조). 즉 유입관(11)과 배출관(12)은 회전축(40)에 비스듬이 형성되어 유입된 유체가 본체(10) 내부에서 원활하게 회전되면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회전축(40)을 중심으로 유입관(11)을 통해 유입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라(30)가 장착되고, 상부에 상기 커버부(20)가 결합되며, 그 커버부(20) 상부에는 임펠라(30)의 회전에 의해 유량을 적산하는 기어부(미도시)와 그 기어부에 의해 적산된 유량이 표시되는 적산표시부(미도시)가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일반적인 계량기의 구성에 의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 외갑 구조체는, 중심부에 상기 회전축(40)과 결합되는 결합공(51)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10)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원형의 고정판(50)을 구비한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40)은 상기 고정판(50)의 결합공(51)에 끼움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와류형성턱(60)은 유입관(11)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임펠라(30)를 용이하게 회전시키도록 본체(10)의 하단부에서 와류를 형성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와류형성턱(60)은 상기 결합공(51)과 상기 고정판(50)의 가장자리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판(50)으로부터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와류형성턱(60)에 의해 유입된 유체가 고정판(50)에 돌출형성된 상기 와류형성턱(60)을 지나면서 와류가 형성되어 임펠라(30)의 날개를 가압하여 임펠라(30)가 원활하게 회전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와류형성턱(60)은 상기 고정판(50)에 돌출형성되나, 사출성형 등에 의해 본체(10) 저면에 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3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류형성턱(60)은 배출관(12)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12)의 배출공(12a)의 중심(C)과 상기 회전축(40)을 잇는 가상선(L1)으로부터 상기 유입된 유체가 흐르는 방향(A)의 반대방향으로 30도 이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와류형성턱(60)의 배치위치를 변경하면서 본 출원인이 실험한 시험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계량기 외갑 구조체의 효과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출원인은 계량기 외갑 구조체에 채용된 고정판(50)에 와류형성턱(60)의 배치를 변경하여 계량기의 적산유량의 오차를 실험하였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50)에 와류형성턱(60)이 형성된 위치를 1번 내지 6번으로 표기하였으며, 아래 데이터에서 대류는 계량기로 유입되는 유량이 큰 경우이고, 소류는 전이유량이 유입되는 경우이며, 하한은 최소유량이 유입되는 경우를 말한다. 또한, 각 실험예에서 각각 6개의 샘플을 가지고 실험하였으며, 대류, 소류, 하한의 각 값은 실제 유입된 유량과 계량기가 적산한 유량의 오차를 백분율로 표기한 것이다.
각 유량의 오차값(즉, 대류, 소류, 하한의 오차값)이 전체적으로 양 또는 음으로 편중되어 계측되는 경우에는 계량기의 기어비를 조정하여 전 유량범위에 원하는 만큼의 오차를 평행이동시는 것이 가능하므로, 각 유량(대류, 소류, 하한)에서의 오차값보다는 유량 간의 오차값(즉, 대류-소류, 대류-하한, 소류-하한의 오차값)이 최소의 오차범위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예컨대, [실험예1]에서 제1 측정시의 대류값 16%는 공급량이 100일때, 계량기가 적산한 유량이 116임을 나타낸다.
[실험예1]은 1번 위치에 와류형성턱(60)을 형성한 경우의 측정오차 데이터이다.
제1측정오차(%) 제2측정오차(%) 제3측정오차(%) 제4측정오차(%) 제5측정오차(%) 제6측정오차(%) 평균 표준편차
대류 16 16.4 19 17.5 18 18.3
소류 14.9 14.4 16.1 16.3 16.2 16
하한 16 14 11.5 15 15.5 14
대류-소류 1.1 2 2.9 1.2 1.8 2.3 1.88 0.68
대류-하한 0 2.4 7.5 2.5 2.5 4.3 3.2 2.51
소류-하한 -1.1 0.4 4.6 1.3 0.7 2 1.32 1.91
[실험예2]은 2번 위치에 와류형성턱(60)을 형성한 경우의 측정오차 데이터이다.
제1측정오차(%) 제2측정오차(%) 제3측정오차(%) 제4측정오차(%) 제5측정오차(%) 제6측정오차(%) 평균 표준편차
대류 15.6 17.4 13.5 17 18.5 15
소류 14.5 15.9 13.5 15.7 15.3 14.7
하한 14.5 13 12.5 16 13 15
대류-소류 1.1 1.5 0 1.3 3.2 0.3 1.23 1.13
대류-하한 1.1 4.4 1 1 5.5 0 2.17 2.22
소류-하한 0 2.9 1 -0.3 2.3 -0.3 0.93 1.39
[실험예3]은 3번 위치에 와류형성턱(60)을 형성한 경우의 측정오차 데이터이 다.
제1측정오차(%) 제2측정오차(%) 제3측정오차(%) 제4측정오차(%) 제5측정오차(%) 제6측정오차(%) 평균 표준편차
대류 15.9 18.1 18.4 17.3 17 18.6
소류 13.4 16.4 15.5 14.2 14.8 14.7
하한 15 18 14.5 13.5 16 16.5
대류-소류 2.5 1.7 2.9 3.1 2.2 3.9 2.72 0.77
대류-하한 0.9 0.1 3.9 3.8 1 2.1 1.97 1.59
소류-하한 -1.6 -1.6 1 0.7 -1.2 -1.8 -0.75 1.26
[실험예4]은 4번 위치에 와류형성턱(60)을 형성한 경우의 측정오차 데이터이다.
제1측정오차(%) 제2측정오차(%) 제3측정오차(%) 제4측정오차(%) 제5측정오차(%) 제6측정오차(%) 평균 표준편차
대류 16.4 13.8 13.9 15 14.5 14.4
소류 14.2 13.1 12.5 13.7 12.8 13.6
하한 15.5 15 13 14 12.5 14.5
대류-소류 2.2 0.7 1.4 1.3 1.7 0.8 1.35 0.56
대류-하한 0.9 -1.2 0.9 1 2 -0.1 0.58 1.1
소류-하한 -1.3 -1.9 -0.5 -0.3 0.3 -0.9 -0.77 0.78
[실험예5]은 5번 위치에 와류형성턱(60)을 형성한 경우의 측정오차 데이터이다.
제1측정오차(%) 제2측정오차(%) 제3측정오차(%) 제4측정오차(%) 제5측정오차(%) 제6측정오차(%) 평균 표준편차
대류 8.2 7.7 7.4 8.3 6.2 7.4
소류 7.8 8.2 7.3 7.3 6.1 7.4
하한 10 8 7.5 9.5 7.5 8
대류-소류 0.4 -0.5 0.1 1 0.1 0 0.18 0.5
대류-하한 -1.8 -0.3 -0.1 -1.2 -1.3 -0.6 -0.88 0.66
소류-하한 --2.2 0.2 -0.2 -2.2 -1.4 -0.6 -1.17 1.03
[실험예6]은 6번 위치에 와류형성턱(60)을 형성한 경우의 측정오차 데이터이다.
제1측정오차(%) 제2측정오차(%) 제3측정오차(%) 제4측정오차(%) 제5측정오차(%) 제6측정오차(%) 평균 표준편차
대류 5.3 5.9 7.2 6.8 9.2 7.9
소류 7.2 8.2 9.1 9.3 8.9 9.7
하한 10.5 8 9.5 9.5 9 10
대류-소류 -1.9 -2.3 -1.9 -2.5 0.3 -1.8 -1.68 1.01
대류-하한 -5.2 -2.1 -2.3 -2.7 0.2 -2.1 -2.37 1.72
소류-하한 -3.3 0.2 -0.4 -0.2 -0.1 -0.3 -0.68 1.3
[실험예7]은 1번 내지 6번 위치 모두에 와류형성턱(60)을 형성한 경우의 측정오차 데이터이다.
제1측정오차(%) 제2측정오차(%) 제3측정오차(%) 제4측정오차(%) 제5측정오차(%) 제6측정오차(%) 평균 표준편차
대류 -0.7 -0.6 -0.4 -1.1 -0.9 -0.5
소류 1.8 1.1 1.6 1.6 1.2 1.2
하한 4 2.6 3.5 2 2.5 3
대류-소류 -2.5 -1.7 -2 -2.7 -2.1 -1.7 -2.12 0.41
대류-하한 -4.7 -3.2 -3.9 -3.1 -3.4 -3.5 -3.63 0.59
소류-하한 -2.2 -1.5 -1.9 -0.4 -1.3 -1.8 -1.52 0.63
[실험예8]은 와류형성턱(60)을 모두 제거한 경우의 측정오차 데이터이다.
제1측정오차(%) 제2측정오차(%) 제3측정오차(%) 제4측정오차(%) 제5측정오차(%) 제6측정오차(%) 평균 표준편차
대류 20.4 20.2 20.6 17.6 18.2 21
소류 16.4 16 16.4 15 14.4 16.1
하한 15.4 14.8 15.2 14.4 13.6 15.4
대류-소류 4 4.2 4.2 2.6 3.8 4.9 3.95 0.76
대류-하한 5 5.4 5.4 3.2 4.6 5.6 4.87 0.89
소류-하한 1 1.2 1.2 0.6 0.8 0.7 0.92 0.26
계량기에 유입되는 유량은 시간에 따라 변동하므로, 대류와 소류와 하한 오차의 상대적인 차이값을 비교하여 그 차이값이 작을수록 계량기의 유량측정 성능이 우수하게 된다.
즉, 대류에서의 오차와 소류에서의 오차의 차이값(대류-소류), 대류에서의 오차와 하한에서의 오차의 차이값(대류-하한), 및 소류에서의 오차와 하한에서의 오차의 차이값(소류-하한)이 작을수록 유량의 변동에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적산유량을 측정하는 계량기이다.
상기 평균값 및 상기 표준편차가 0에 근접할수록, 실제 유입된 유체의 양과 적산유량과의 오차가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실험예들에서 대류-소류, 대류-하한, 소류-하한의 평균값과 표 준편차를 살펴보면, 와류형성턱(60)을 5번 위치에 형성한 [실험예5]의 경우, 대류-소류의 평균값이 0.18%, 대류-하한의 평균값 -0.88%, 소류-하한의 평균값이 -1.17%이고, 대류-소류의 표준편차가 0.5, 대류-하한의 표준편차가 0.66, 소류-하한의 표준편차가 1.03로서, 상기 평균값 및 표준편차가 0에 가장 근접하므로, 오차가 가장 작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추가적으로, 와류형성턱(60)을 5번 위치에 형성한 [실험예5]와, 1번 내지 6번 모두에 와류형성턱(60)을 형성한 [실험예7]을 비교하면, [실험예7]에서는 대류-소류의 차이값, 대류-하한의 차이값, 소류-하한의 차이값의 각 평균값은 -2.12%, -3.63%, -1.52%로서 상대적으로 [실험예5]보다 오차범위가 넓게 나타났다.
또한, 와류형성턱(60)을 5번 위치에 형성한 [실험예5]와, 와류형성턱(60)을 모두 제거한 [실험예8]을 비교하면, [실험예8]에서는 대류-소류의 차이값, 대류-하한의 차이값, 소류-하한의 차이값의 각 평균값은 3.95%, 4.87%, 0.92%으로서 상대적으로 [실험예5]보다 오차범위가 넓게 나타났다.
[실험예5]와 [실험예7]과 [실험예8]을 비교하면, [실험예7]이 [실험예8]보다 상대적으로 오차값이 작으므로, [실험예7]의 계량기가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적산유량을 측정하고 있으며, [실험예5]가 [실험예7]보다 상대적으로 오차값이 작으므로, 와류형성턱(60)을 1번 내지 6번 위치에 모두 형성한 계량기보다 5번 위치에 와류형성턱(60)을 형성한 계량기가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적산유량을 측정한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계량기 외갑 구조체는, 본체(10) 저면에 고정설치되 는 고정판(50)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와류형성턱(60)을 형성하고, 상기 와류형성턱(60)은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관(12)에 인접하되 배출관(12)의 배출공(12a)과 회전축(40)을 잇는 가상선(L1)으로부터 유체의 회전방향(A)과 반대방향으로 30도 이내에 배치함으로써 유량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적산유량의 오차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한편,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의 외갑 구조체를 도시한다. 도6에는 도2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턱(60)은 상기 고정판(50)의 가장자리 측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판(50)으로부터의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61)을 구비한다. 물론, 경사면(61)을 구비한 와류형성턱(60)은 본체(10) 저면에 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관(11)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본체(10)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배출관(12)으로 배출될 때, 회전되는 유체는 원심력에 의해 본체(10) 내주면 측으로 밀리게 되므로, 유입된 유체에 와류를 효과적으로 형성시키기 위해서 고정판(50)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그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61)을 구비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와류형성턱(60)에 형성된 경사면(61)은 유입되는 유체에 보다 효과적으로 와류를 형성하여 임펠라(30)를 가압하므로, 실제 유입된 유체의 양과 계량기가 적산한 적산유량의 오차를 최소화하여 보다 정확하게 유량을 측정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 외갑 구조체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 외갑의 하부 사시도,
도4는 도3에 채용된 고정판을 도시한 도면,
도5는 도2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 외갑 구조체에 채용된 고정판의 도면,
도7은 실험예에 적용된 와류형성턱이 배치된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유입관
12... 배출관 20... 커버부
30... 임펠라 40... 회전축
50... 고정판 60... 와류형성턱

Claims (4)

  1. 일측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타측에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상측에서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유입된 유체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임펠라를 구비하는 계량기 외갑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40)과 상기 본체(10) 내주면 사이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출관(12)에 인접하여 상기 본체(1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단일의 와류형성턱(60)을 포함하고,
    중심부에 상기 회전축(40)과 결합되는 결합공(51)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10)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원형의 고정판(50)을 더 구비하며,
    상기 와류형성턱(60)은 상기 결합공(51)과 상기 고정판(50)의 가장자리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판(50)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본체(10)와 연결되는 쪽에서의 상기 배출관(12)의 배출공(12a)의 중심과 상기 회전축(40)을 잇는 가상선(L1)으로부터 상기 유입된 유체가 흐르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30도 이내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관의 제1 중심축선(C1) 및 상기 배출관의 제2 중심축선(C2)은 상기 회전축과 교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외갑 구조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형성턱(60)은 상기 본체(10)의 내주면 측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10)의 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6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외갑 구조체.
  4. 삭제
KR2020090004402U 2009-04-14 2009-04-14 계량기 외갑 구조체 KR200454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402U KR200454705Y1 (ko) 2009-04-14 2009-04-14 계량기 외갑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402U KR200454705Y1 (ko) 2009-04-14 2009-04-14 계량기 외갑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378U KR20100010378U (ko) 2010-10-22
KR200454705Y1 true KR200454705Y1 (ko) 2011-07-21

Family

ID=44200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402U KR200454705Y1 (ko) 2009-04-14 2009-04-14 계량기 외갑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70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1105B (zh) * 2014-04-18 2016-08-24 宁波久博源自动化科技有限公司 水表机芯叶合的输出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055Y1 (ko) * 1990-10-17 1993-03-08 한영계기 주식회사 수도미터기의 기차조정장치
JP2002310746A (ja) 2001-04-06 2002-10-23 Ricoh Elemex Corp 接線流羽根車式水道メータ
JP2007285815A (ja) * 2006-04-14 2007-11-01 Ricoh Elemex Corp 単箱式接線流羽根車式計量装置
KR200443454Y1 (ko) * 2008-06-05 2009-02-17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오염방지부재를 갖는 유량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055Y1 (ko) * 1990-10-17 1993-03-08 한영계기 주식회사 수도미터기의 기차조정장치
JP2002310746A (ja) 2001-04-06 2002-10-23 Ricoh Elemex Corp 接線流羽根車式水道メータ
JP2007285815A (ja) * 2006-04-14 2007-11-01 Ricoh Elemex Corp 単箱式接線流羽根車式計量装置
KR200443454Y1 (ko) * 2008-06-05 2009-02-17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오염방지부재를 갖는 유량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378U (ko) 201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0137B2 (en) Rotatable orifice plate for direct flow measurement
WO2007146893A2 (en) Fluid sensor with mechanical positional feedback
CN109855691B (zh) 一种差分式层流流量测量方法及装置
WO2012021999A1 (en) Flow sensor arrangement
KR200454705Y1 (ko) 계량기 외갑 구조체
KR200443454Y1 (ko) 오염방지부재를 갖는 유량계
JP5043245B1 (ja) 流量センサ
JP2016212069A (ja) 羽根車、これを用いた水道メータ
WO2014117055A1 (en) Rotatable orifice plate for direct flow measurement
US20100257929A1 (en) Orbital ball flowmeter for gas and fluid
JP5147099B2 (ja) 縦型水道メータ
WO2015089899A1 (zh) 一种自转式流量计
US7472609B1 (en) Fluid meter
CN112546367A (zh) 压差式流量传感器及呼吸机
CN209262492U (zh) 一种匀速泄气阀及电子血压计
CN209342165U (zh) 双槽环楔差压装置
RU119099U1 (ru) Конструкция корпуса проточной части вихревого расходомера
KR101519412B1 (ko) 용적식 유량 측정기
ITUB20155897A1 (it) Dispositivo per la misurazione e/o il controllo volumetrico di un fluido
KR101771214B1 (ko) 용적식 유량계
CN207407969U (zh) 一种用于测量旋进漩涡流量计精度的气液混合装置
JP2008224645A (ja) 水道メータの逆流を計量しない装置
CN109387251A (zh) 一种流量测量机构
CN207556595U (zh) 一种水表结构
CN214333915U (zh) 一种高精度容积式水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