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474Y1 - 조립이 용이한 공기조화기용 점검창 - Google Patents

조립이 용이한 공기조화기용 점검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474Y1
KR200454474Y1 KR2020080014342U KR20080014342U KR200454474Y1 KR 200454474 Y1 KR200454474 Y1 KR 200454474Y1 KR 2020080014342 U KR2020080014342 U KR 2020080014342U KR 20080014342 U KR20080014342 U KR 20080014342U KR 200454474 Y1 KR200454474 Y1 KR 2004544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ss portion
inspection window
boss
assembly
window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666U (ko
Inventor
박용철
Original Assignee
박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철 filed Critical 박용철
Priority to KR2020080014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474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6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6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4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4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도어의 안쪽과 바깥쪽에서 마주하여 조립되는 제1 점검창본체의 조립구멍과 제2 점검창본체의 나사구멍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유동이 없도록 하여 점검창의 조립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조립구멍과 나사구멍을 일치시키는 작업이 작업자의 감각에 의존하지 않고 매우 신속하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립이 용이한 공기조화기용 점검창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도어 안쪽과 바깥쪽에서 조립되는 것으로, 조립구멍을 가지는 제1 보스부가 형성된 제1 점검창본체와, 나사구멍을 가지는 제2 보스부가 형성된 제2 점검창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보스부의 조립구멍으로 고정나사를 관통시켜 제2 보스부의 나사구멍에 나사결합하는 것에 의해 제1 점검창본체와 제2 점검창본체를 조립하도록 구성된 공기조화기용 점검창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스부의 조립구멍과 제2 보스부의 나사구멍이 일치하는 위치에서 제1 및 제2 보스부중 어느 한쪽의 제1 또는 제2 보스부의 바깥둘레면을 감싸 밀착하는 유동방지돌출부를 대향측의 제1 또는 제2 보스부에 형성하며, 상기 유동방지돌출부는 복수개의 제1 보스부중 어느 하나의 제1 보스부와, 복수개의 제2 보스부중 상기 제1 보스부에 형성된 유동방지돌출부로부터 원주방향으로 180도 위치에 있는 제2 보스부에 각각 형성한 구성이다.

Description

조립이 용이한 공기조화기용 점검창{Inspection Window for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용 점검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공기조화기 내부의 작동상태 및 구성품 등을 점검하기 위해 도어에 설치된 점검창의 조립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조립이 용이한 공기조화기용 점검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방장치로 알려진 대형 및 소형 기계장치로써 내부에 공급된 냉매를 전동기와 압축기 등과 같은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순환 가동하므로써 실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그 특성상 내부에 설치된 각종 기계설비나 구성품 등을 지속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대부분의 공기조화기 도어에는 각종 기계설비나 구성품 등을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점검창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용 점검창의 종래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21069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즉 도 1은 종래에 따른 점검창의 설치구성을 나타 낸 단면도이고, 도 2는 점검창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종래의 점검창은 크게 도어(D)의 안쪽과 바깥쪽에서 상호 결합되는 제1 점검창본체(100)와 제2 점검창본체(200)로 이루어지고, 제1 점검창본체(100)와 제2 점검창본체(200) 사이에 기밀유지부재(300)를 개재하여 고정나사(400)로 고정함으로써 조립되는 구성이며, 제1 및 제2 점검창본체(100,200)의 전면에는 투명한 투시창(110,210)이 각각 구비되어 육안으로 공기조화기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제1 점검창본체(100)와 제2 점검창본체(200)의 조립구조는, 제1 점검창본체(100)에 고정나사(400)가 관통하는 조립구멍(121)을 가지는 제1 보스부(120)를 형성하고, 제2 점검창본체(200)에는 고정나사(400)가 나사결합되는 나사구멍(221)을 가지는 제2 보스부(220)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 점검창본체(100)와 제2 점검창본체(200)를 마주하여 조립구멍(121)과 나사구멍(221)을 일치시킨 후, 고정나사(400)를 조립구멍(121)으로 관통시켜 나사구멍(221)에 체결함으로써 조립이 이루어지며, 제1 및 제2 보스부(120,220)는 제1 및 제2 점검창본체(100,20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점검창 조립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의 안쪽과 바깥쪽에서 제1 및 제2 점검창본체(100,200)를 마주하여 끼운 후, 고정나사(400)로 고정하기 위해 제1 보스부(120)의 조립구멍(121)과 제2 보스부(220)의 나사구멍(221)을 일치시켜야 하지만, 제1 및 제2 보스부(120,220)가 도어(D)의 설치구멍(D1)내에 위치하게 되므로 외측에서 제1 및 제2 보스부(120,22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 점검창본체(100)를 설치구멍(D1)에 끼운후, 제2 점검창본체(200)를 끼우기 전에 먼저 제1 보스부(120)의 위치를 눈으로 확인한 후, 제2 점검창본체(200)의 제2 보스부(220)가 제1 보스부(120)에 일치되도록 감각적으로 끼워넣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방식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스부(120)의 조립구멍(121)과 제2 보스부(220)의 나사구멍(221)을 작업자의 감각에 의존하여 일치시키는 것이므로, 한번에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어렵고, 가상선상태와 같이 제1 보스부(120)로부터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제2 보스부(220)가 위치하게 되면, 제2 점검창본체(200)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보스부(120)와 제2 보스부(220)를 일치시켰던 것으로, 일치시키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조립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제1 보스부(120)와 제2 보스부(220)를 일치시킨 후에도, 제1 또는 점검창본체(100,200)가 유동가능한 상태에 있게 되므로, 고정나사(400)를 조립구멍(121)으로 관통시키기도 전에, 또는 관통시켜 나사구멍(221)에 나사결합하는 과정 중에 제1 또는 제2 점검창본체(100,200)가 유동하는 일이 발생하게 되고, 이 경우, 조립구멍(121)과 나사구멍(221)을 다시 일치시켜야 하므로 조립작업에 따른 번거로움과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도어의 안쪽과 바깥쪽에서 마주하여 조립되는 제1 점검창본체의 조립구멍과 제2 점검창본체의 나사구멍이 일치된 상태에서 유동하여 어긋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고정나사의 고정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제1 점검창본체의 조립구멍과 제2 점검창본체의 나사구멍을 일치시키는 작업이 작업자의 감각에 의존하지 않고 매우 신속하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점검창의 조립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이 용이한 공기조화기용 점검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도어 안쪽과 바깥쪽에서 조립되는 것으로, 조립구멍을 가지는 제1 보스부가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제1 점검창본체와, 상기 조립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구멍을 가지는 제2 보스부가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제2 점검창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보스부의 조립구멍으로 고정나사를 관통시켜 제2 보스부의 나사구멍에 나사결합하는 것에 의해 제1 점검창본체와 제2 점검창본체를 조립하도록 구성된 공기조화기용 점검창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스부의 조립구멍과 제2 보스부의 나사구멍이 일치하는 위치에서 제1 및 제2 보스부중 어느 한쪽의 제1 또는 제2 보스부의 바깥둘레면을 감싸 밀착하는 유동방지돌출부를 대향측의 제1 또는 제2 보스부에 형성한 조립이 용이한 공기조화기용 점검창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유동방지돌출부는 복수개의 제1 보스부중 어느 하나의 제1 보스부와, 복수개의 제2 보스부중 상기 제1 보스부에 형성된 유동방지돌출부로부터 원주방향으로 180도 위치에 있는 제2 보스부에 각각 형성하는 조립이 용이한 공기조화기용 점검창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유동방지돌출부는, 원호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양끝단 하측모서리에 라운딩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유동방지돌출부의 양끝단을 잇는 가상선과 원호안쪽둘레면의 중심간의 길이가 원호의 반경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조립이 용이한 공기조화기용 점검창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유동방지돌출부의 안쪽둘레면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에 걸림유지되는 걸림돌기를 대향측 제1 또는 제2 보스부의 바깥둘레면에 형성한 조립이 용이한 공기조화기용 점검창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용 점검창은, 제1 점검창본체와 제2 점검창본체를 고정나사로 조립함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점검창본체를 도어의 안쪽과 바깥쪽에서 마주하여 배치한 후, 제1 보스부의 조립구멍과 제2 보스부의 나사구멍을 일치시켜 유동방지돌출부를 대향측의 제1 또는 제2 보스부에 끼워맞춤시키는 것에 의해 제1 점검창본체와 제2 점검창본체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상호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고정나사로 제1 점검창본체와 제2 점검창본체를 고정하기 전에 일치된 조립구멍과 나사구멍이 유동하여 어긋날 염려가 없고, 이로 인 해 조립구멍과 나사구멍이 유동하여 이를 다시 일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므로 점검창의 조립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점검창을 조립함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점검창본체를 도어의 안쪽과 바깥쪽에서 마주하여 배치한 후, 어느 한쪽의 점검창본체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유동방지돌출부가 대향측 제1 또는 제2 보스부의 바깥둘레면을 감싸 밀착함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제1 보스부의 조립구멍과 제2 보스부의 나사구멍이 일치됨에 따라, 작업자의 감각에 의존하여 일치시키는 종래의 방식에 비하여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구멍과 나사구멍을 일치시킬 수 있어 점검창의 조립작업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1 보스부의 조립구멍과 제2 보스부의 나사구멍이 일치된 상태에서 유동방지돌출부의 걸림홈에 상대측 보스부의 걸림돌기가 걸림유지되므로 고정나사로 고정하기 전에 일치된 조립구멍과 나사구멍이 유동하여 어긋날 염려가 없고, 이로 인해 조립구멍과 나사구멍을 다시 일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점검창의 조립작업이 더욱 편리하고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점검창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용 점검창의 분해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용 점검창은, 공기조화기의 도어(D) 안쪽과 바깥쪽에서 상호 결합되는 제1 점검창본체(10)와 제2 점검창본체(20)를 구비하고, 이 제1 및 제2 점 검창본체(10,20)는 플라스틱재질로 사출성형하여 제작된다.
제1 점검창본체(10)와 제2 점검창본체(20) 사이에는 이들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원통형상의 기밀유지부재(30)가 개재되고, 제1 및 제2 점검창본체(10,20)를 고정나사(40)로 고정함으로써 조립되는 구성이며, 제1 및 제2 점검창본체(10,20)의 전면에는 투명한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투시창(50,60)이 각각 구비되어 외부에서 육안으로 공기조화기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 점검창본체(10)와 제2 점검창본체(20)의 조립구조는, 제1 점검창본체(10)에 고정나사(40)가 관통하는 조립구멍(12)을 가지는 제1 보스부(11)를 형성하고, 제2 점검창본체(20)에는 고정나사(40)가 나사결합하는 나사구멍(22)을 가지는 제2 보스부(21)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제1 점검창본체(10)와 제2 점검창본체(20)를 마주하여 조립구멍(12)과 나사구멍(22)을 일치시킨 후, 고정나사(40)를 조립구멍(12)으로 관통시켜 나사구멍(22)에 체결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 보스부(11,21)는 제1 및 제2 점검창본체(10,2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일정간격으로 배치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점검창은, 상기 제1 보스부(11)의 조립구멍(12)과 제2 보스부(21)의 나사구멍(22)이 일치하는 위치에서 제1 및 제2 보스부(11,21)중 어느 한쪽의 제1 또는 제2 보스부(11,21)의 바깥둘레면을 감싸 밀착하는 유동방지돌출부를 대향측의 제1 또는 제2 보스부(11,21)에 형성한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제1 보스부(11)중 어느 하나의 제1 보스부(11)에 유동방지돌출부(13)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 보스부(21)중 상기 제1 보스부(11)에 형성된 유동방 지돌출부(13)로부터 원주방향으로 180도 위치에 있는 제2 보스부(21)에 유동방지돌출부(23)를 형성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용 점검창에 대한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의 안쪽과 바깥쪽에서 제1 점검창본체(10)의 제1 보스부(11)와 제2 점검창본체(20)의 제2 보스부(21)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도어(D)의 설치구멍(D1)에 끼우게 되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스부(11)의 유동방지돌출부(13)는 제2 보스부(21)의 바깥둘레면에 끼워져 결합되고, 또한 이와 180도 이격된 위치에서 제2 보스부(21)의 유동방지돌출부(23)는 제1 보스부(11)의 바깥둘레면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1 보스부(11)와 제2 보스부(21)가 유동방지돌출부(13,23)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에 의해 제1 보스부(11)의 조립구멍(12)과 제2 보스부(21)의 나사구멍(22)이 일치됨과 동시에, 좌,우방향 유동이 방지되어 조립구멍(12)과 나사구멍(22)이 고정나사(40)로 고정하기 전에 다시 어긋나는 일이 없게 되므로, 조립구멍(12)과 나사구멍(22)이 어긋나 다시 일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스부(11)에 형성되는 유동방지돌출부(13)는 120도 등간격으로 배치된 3곳의 제1 보스부(11)에 형성하고, 제2 보스부(21)에 형성되는 유동방지돌출부(23)는 상기 120도 등간격으로 배치된 3곳의 제2 보스부(21)에 형성하되, 유동방지돌출부(11)가 형성되지 않은 제1 보스부(11)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한 구성이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8, 도 9a 및 도 9b는 다른 변형예의 유동방지돌출부(25)를 나타낸 것으로, 유동방지돌출부(25)는 원호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양끝단 하측모서리에 라운딩부(25a)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유동방지돌출부(25)의 양끝단을 잇는 가상선과 원호안쪽둘레면의 중심간의 길이(L)는 원호의 반경길이보다 짧게 형성하여 대향측 제1 보스부(11)의 바깥둘레면을 측방향(원주방향)에서 자체 탄성변형에 의해 감싸 걸림유지시킬 수 있게 한 구성이다.
즉 유동방지돌출부(25)가 플라스틱재질이어서 도 9a의 가상선 상태와 같이 제1 보스부(11)의 바깥둘레면에 접촉하여 가압될 때, 유동방지돌출부(25)가 지름확장방향(화살표a방향)으로 탄성변형하게 되므로, 이 탄성변형량을 감안하여 유동방지돌출부(25)의 양끝단을 잇는 가상선과 원호안쪽둘레면의 중심간의 길이(L)를 설정함으로써 제1 보스부(11)의 바깥둘레면을 유동방지돌출부(25)로 이탈 없이 충분히 감싸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유동방지돌출부(25)의 내측 원호면이 제1 보스부(11)의 바깥둘레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외력의 작용이 없이는 제1 및 제2 점검창본체(10,20)의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여 이탈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유동방지돌출부(25)의 원호형상 단면의 양끝단 하측 모서리에 라운딩부(25a)를 형성하여 제1 보스부(11)의 바깥둘레면에 라운딩부(25a)가 접촉하여 가압될 때, 제1 보스부(11)의 바깥둘레면을 따라 미끄럼운동하면서 지름확장방향(화살표a방향)으로 탄성변형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동방지돌출부(25)의 내측 원호면에는 걸림홈(26a)을 형성하고, 조립구멍(12)과 나사구멍(22)이 일치하는 위치에서 상기 걸림홈(26a)과 끼워맞춤되는 걸림돌기(26b)를 제1 보스부(11)의 바깥둘레면에 형성한 구성으로, 제1 보스부(11)의 조립구멍(12)과 제2 보스부(21)의 나사구멍(22)이 일치한 상태, 또한 제1 보스부(11)의 바깥둘레면을 유동방지돌출부(25)가 감싸 밀착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점검창본체(10,20)가 유동하여 조립구멍(12)과 나사구멍(22)이 쉽게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어(D)의 안쪽과 바깥쪽에서 제1 점검창본체(10)의 제1 보스부(11)와 제2 점검창본체(20)의 제2 보스부(21)의 위치를 확인할 필요없이 도어(D)의 설치구멍(D1)에 끼우게 되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스부(11)와 제2 보스부(21)는 일치하지 않은 어긋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제1 보스부(11)의 조립구멍(12)과 제2 보스부(21)의 나사구멍(22)을 일치시키기 위해 노력할 필요 없이 제1 점검창본체(10) 또는 제2 점검창본체(20)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조립구멍(12)과 나사구멍(22)을 일치시킬 수 있다. 예들 들면 도 9a 및 도 9b는 제2 점검창본체(20)를 시계반대방향(화살표b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도 9a에서와 같이 조립구멍(12)과 나사구멍(22)이 어긋난 상태에서 제2 점검창본체(20)를 화살표b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2 보스부(21)에 형성된 유동방지돌출부(25)의 일끝단부가 제1 보스부(11)의 바깥둘레면에 접촉되므로 작업자는 제1 보스부(11)에 제2 보스부(21)가 근접하였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더욱 회전력을 가하여 제2 점검창본체(20)를 회전시키게 되면, 제1 보스부(11)의 바깥둘레면에 접촉된 유동방지돌출부(25)의 일끝부가 회전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가상선 상태와 같이 지름확장방향(화살표a방향)으로 탄성변형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이로써 도 9b에서와 같이 유동방지돌출부(25)의 내측 원호면이 제1 보스부(11)의 바깥둘레면을 감싸 탄성복원력에 의해 밀착하게 되므로 제1 보스부(11)의 조립구멍(12)과 제2 보스부(21)의 나사구멍(22)이 자동적으로 일치하게 된다.
이때, 유동방지돌출부(25)의 양끝단에 형성한 라운딩부(25a)에 의해서는 제1 보스부(11)의 바깥둘레면에 라운딩부(25a)가 접촉하여 회전력에 의해 가압될 때, 제1 보스부(11)의 바깥둘레면을 따라 미끄럼운동하면서 지름확장방향(화살표a방향)으로 탄성변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므로 제1 보스부(11)의 바깥둘레면에 유동방지돌출부(25)의 내측 원호면을 걸림유지시키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유동방지돌출부(25)가 제1 보스부(11)의 바깥둘레면을 감싸 밀착한 상태에서는 유동방지돌출부(25)의 양끝단을 잇는 가상선과 원호안쪽둘레면의 중심간의 길이(L) 만큼 제1 보스부(11)에 걸림유지된 상태가 되어 유동방지돌출부(25)를 지름확장방향(화살표a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킬 수 있는 회전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제1 보스부(11)와 유동방지돌출부(25)는 걸림유지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조립구멍(12)과 나사구멍(22)이 다시 어긋나는 일이 없다.
또한, 제1 보스부(11)의 바깥둘레면을 유동방지돌출부(25)가 감싸 밀착된 상태, 즉 제1 보스부(11)의 조립구멍(12)과 제2 보스부(21)의 나사구멍(22)이 일치한 상태에서 유동방지돌출부(25)의 걸림홈(26a)과 제1 보스부(11)의 걸림돌기(26b)가 끼워맞춤되므로 제1 및 제2 점검창본체(10,20)가 유동하여 조립구멍(12)과 나사구 멍(22)이 쉽게 어긋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제1 점검창본체(10)의 조립구멍(12)과 제2 점검창본체(20)의 나사구멍(22)을 매우 신속하고 간단하게 일치시킬 수 있고, 고정나사(40)를 조립구멍(12)으로 관통시켜 나사구멍(22)에 나사결합 할 때에도 조립구멍(12)과 나사구멍(22)이 일치된 상태를 유동 없이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어 조립작업이 더욱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에 의한 점검창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2는 종래에 의한 점검창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점검창에서 조립구멍과 나사구멍의 일치과정을 나타낸 동작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점검창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점검창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점검창의 조립구멍과 나사구멍의 일치상태를 나타낸 제1 점검창본체의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점검창의 다른 변형예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점검창에서 유동방지돌출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고안에 따른 점검창의 조립구멍과 나사구멍의 일치과정을 확대하여 나타낸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제1 및 제2 점검창본체 11,21 : 제1 및 제2 보스부
12 : 조립구멍 22 : 나사구멍
13,23,25 : 유동방지돌출부 25a : 라운딩부
26a : 걸림홈 26b : 걸림돌기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공기조화기의 도어 안쪽과 바깥쪽에서 조립되는 것으로, 조립구멍을 가지는 제1 보스부가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제1 점검창본체와, 상기 조립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구멍을 가지는 제2 보스부가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제2 점검창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보스부의 조립구멍으로 고정나사를 관통시켜 제2 보스부의 나사구멍에 나사결합하는 것에 의해 제1 점검창본체와 제2 점검창본체를 조립하도록 구성된 공기조화기용 점검창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스부의 조립구멍과 제2 보스부의 나사구멍이 일치하는 위치에서 제1 및 제2 보스부중 어느 한쪽의 제1 또는 제2 보스부의 바깥둘레면을 감싸 밀착하는 유동방지돌출부를 대향측의 제1 또는 제2 보스부에 형성하고,
    상기 유동방지돌출부는, 원호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양끝단 하측모서리에 라운딩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유동방지돌출부의 양끝단을 잇는 가상선과 원호안쪽둘레면의 중심간의 길이(L)가 원호의 반경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점검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돌출부의 안쪽둘레면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에 걸림유지되는 걸림돌기를 대향측 제1 또는 제2 보스부의 바깥둘레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공기조화기용 점검창.
KR2020080014342U 2008-10-28 2008-10-28 조립이 용이한 공기조화기용 점검창 KR2004544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342U KR200454474Y1 (ko) 2008-10-28 2008-10-28 조립이 용이한 공기조화기용 점검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342U KR200454474Y1 (ko) 2008-10-28 2008-10-28 조립이 용이한 공기조화기용 점검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666U KR20100004666U (ko) 2010-05-07
KR200454474Y1 true KR200454474Y1 (ko) 2011-07-06

Family

ID=4419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342U KR200454474Y1 (ko) 2008-10-28 2008-10-28 조립이 용이한 공기조화기용 점검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47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101B1 (ko) * 2023-04-11 2024-02-27 위니아이엔지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잠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886Y1 (ko) * 2000-02-14 2000-08-01 윤문석 투입구 이중잠금장치
KR200321069Y1 (ko) * 2003-04-07 2003-07-22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공기조화기용 점검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886Y1 (ko) * 2000-02-14 2000-08-01 윤문석 투입구 이중잠금장치
KR200321069Y1 (ko) * 2003-04-07 2003-07-22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공기조화기용 점검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666U (ko) 201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3847B2 (ja) スイッチギアキャビネットの筐体用のヒンジ装置、および対応するスイッチギアキャビネットの筐体
US6262504B1 (en) HVAC motor and cover structure
US6802699B2 (en) Motor mounting structure
US7044412B2 (en) Sealed cable drum assembly
CN109798036B (zh) 铰链结构及制冷设备
JP5108889B2 (ja) シール装置
JP5570525B2 (ja) ヒンジ装置
KR200454474Y1 (ko) 조립이 용이한 공기조화기용 점검창
KR200390976Y1 (ko) 공기조화기 투시창용 지지테
KR101260523B1 (ko) 로터리형 인테이크 도어용 액츄에이터 조립구조
KR20180112666A (ko) 공조장치
JP2000230578A (ja) 電磁クラッチ
KR101478923B1 (ko) 퀵 커넥터
US6958918B2 (en) Contact unit
CN111059392A (zh) 一种新风接管组件安装结构
CN210137247U (zh) 驱动装置以及电气产品
JP2006123840A (ja) バックドアのストッパー取付構造
JP2003028028A (ja) 燃料デリバリパイプ
US8251135B2 (en) Fixing device for an expansion valve of a motor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CN211119888U (zh) 空调器
JPH09137987A (ja) 通風口のシャッタ装置
CN218236191U (zh) 风阀叶片和风阀
CN109982882B (zh) 膨胀阀装置
JP2008087718A (ja) ステアリングジョイントカバー
JP7369048B2 (ja) 点検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