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396Y1 - 환경 수로관 - Google Patents

환경 수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396Y1
KR200454396Y1 KR2020100011100U KR20100011100U KR200454396Y1 KR 200454396 Y1 KR200454396 Y1 KR 200454396Y1 KR 2020100011100 U KR2020100011100 U KR 2020100011100U KR 20100011100 U KR20100011100 U KR 20100011100U KR 200454396 Y1 KR200454396 Y1 KR 2004543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animals
stepped
water pipe
hab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덕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농지개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농지개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농지개량
Priority to KR2020100011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3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3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3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식홈에 식물, 곤충, 어류등이 식생 가능토록 하면서, 상기 양서류 및 파충류등과 같은 동물들이 서식홈에서 상기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경사 날개부를 통하여 평탄부로 진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평탄부와 연설된 경사진 계단형 경사부가 서식홈의 전방 및 후방 측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서식홈의 전방 및 후방으로 동물들이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평탄부 및 경사 날개부와 계단형 경사부의 표면에는, 하방으로 다수개 경사진 미끄럼 방지용 습기 고임홈이 형성토록 되어, 서식홈의 물어 젖은 동물들이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경사 날개부와 평탄부를 거쳐 계단형 경사부에 진입시, 습기가 상기 습기 고임홈 내부로 원활하게 배출토록 되며, 이에따라 동물들이 쉽게 미끌어지지 않고 계단형 경사부를 통하여 수로관 외부로 손쉽고,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한 환경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수로관(100)의 서식홈(150)의 주연부에는 경사 보강턱(160)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서식홈(150)의 전,후방 측면에는 양서류 및 파충류등과 같은 동물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서식홈(150)과 연설된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경사 날개부(171)와 이에 일체로 연설된 넓은 면적을 갖는 평탄부(17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서식홈(150)의 전방 및 후방으로 동물들이 선택적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계단형 경사부(180)가 상기 경사 날개부(171) 및 평탄부(170)와 일체로 형성토록 되는 한편, 상기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경사 날개부(171)와 이에 일체로 연설된 평탄부(170) 및 계단형 경사부(180)의 표면에는 물어 젖은 동물들의 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어 고이록 하방으로 다수개 경사진 미끄럼 방지용 습기 고임홈(190)이 형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환경 수로관{An Environment Drainage Pipe}
본 고안은 수로관의 내부 바닥에 형성된 서식홈에 의해 식물, 곤충, 어류등의 생태 보호는 물론, 양서류 및 파충류등과 같은 동물들이 수로관의 내부에서 수로관 외부로 손쉽고,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한 환경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용수로나 배수로 또는 측수로등의 콘크리트 수로관 내부 바닥에 형성되는 서식홈에 토사의 퇴적물에 의해 식물, 곤충, 어류등이 식생 가능토록 하면서, 서식홈 양측 벽면을 통해 생태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서식홈의 전,후방 측면에는 상기 서식홈과 연설된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경사 날개부와 이에 일체로 연설된 넓은 면적을 갖는 평탄부가 각각 형성되어, 양서류 및 파충류등과 같은 동물들이 서식홈에서 상기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경사 날개부를 통하여 평탄부로 진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평탄부와 연설된 경사진 계단형 경사부가 서식홈의 전방 및 후방 측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서식홈의 전방 및 후방으로 동물들이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평탄부 및 경사 날개부와 계단형 경사부의 표면에는, 하방으로 다수개 경사진 미끄럼 방지용 습기 고임홈이 형성토록 되어, 서식홈의 물어 젖은 동물들이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경사 날개부와 평탄부를 거쳐 계단형 경사부에 진입시, 습기가 상기 습기 고임홈 내부로 원활하게 배출토록 되며, 이에따라 동물들이 쉽게 미끌어지지 않고 계단형 경사부를 통하여 수로관 외부로 손쉽고,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서식홈의 주연부에 경사 보강턱이 일체로 형성되어, 수로관이 가일층 견고하면서,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수로관의 일측 및 타측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 단턱과 결합홈 및 결합턱이 상기 수로관의 양측 벽면과 같은 두께로 형성되어, 수로관이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경제적인 비용으로 수로관의 제작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한 환경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로나 배수로등을 형성하기 위하여 시공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인 수로관은, 내부에 형성된 수로를 이용하여 농로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농수로와 한천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한 한천수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수로관에 있어서는, 각종 토목공사중 용수로, 배수로, 측구수로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로관이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0236328호에 알려져 있으며, 이는 수로관의 좌우 경계벽면 내측이나 그 일측에 동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홈과 구멍이 형성되는 서식통로등을 계단형등으로 형성하여, 상기 수로관의 서식통로에서 동식물이 서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나, 상기 수로관 내부에 용수가 없을 경우 동,식물등이 서식하는 공간이 전혀 없게 됨은 물론, 양서류 및 파충류등과 같은 동물들이 상기 계단형으로 구성된 서식통로의 경우, 계단의 높이차로 인하여 수로관을 쉽게 탈출할 수 없게 되는 커다란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4-0069029호의 경우에는, 수로관의 내측면에 일정한 높이로 경사로가 구비되어, 수로관 내부의 동물들이 상기 수로관의 이동 통로인 경사로를 통해 수로관을 탈출할 수 있는 것이나, 상기와같은 수로관의 경우 동,식물등이 서식하는 공간이 전혀 없음은 물론, 양서류 및 파충류등과 같은 동물들이 탈출하기 위하여 제작된 경사로의 좁은 진입부가 바닥면과의 높이차에 의해 진입하기가 극히 어렵게 됨은 물론, 상기 경사로 역시 수로관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서 설치되어 있어 동물들이 상기 경사로를 통해 쉽게 탈출하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동물들이 자연스럽게 저류홈내에 모여들고, 또한 상기 저류홈과 연결된 경사로를 통하여 수로로 부터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생태계 보호용 수로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336583호에 알려져있다.
즉, 그 기술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용·배수로용 블록의 좌우 경계벽(10) 외측으로 또하나의 외측벽(12)이 설치되며, 상기 경계벽(10)과 외측벽(12)사이에 동물들이 이동할 수 있는 경사로(13)가 설치되고, 이때 상기 경사로(13)의 상단부는 경계벽(10) 및 외측벽(12)의 상단과 일치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외측벽(12)과 인접하는 경계벽(10)의 중상단 일부에 V자홈(16)을 형성하며, 상기 용·배수로용 블록의 바닥면 일부에 저류홈(14)을 설치하여, 수로(11)에 형성된 저류홈(14)이 개구부(15)를 통과하여 외측벽(12)까지 연장 되도록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같은 용·배수로용 블록의 경우, 양서류 및 파충류등과 같은 동물들이 탈출하기 위하여 물이 고여있는 저류홈(14) 및 개구부(15)를 통과한 후, 재차 저류홈(14)에서 비교적 높은 높이로 형성된 경사로의 진입부를 거쳐 경사로(13)를 따라 탈출해야 하는 관계로, 상기 비교적 높은 높이의 경사로 진입부로 뛰어 올라 경사로(13)에 진입하기가 극히 어렵게 됨은 물론, 상기 경사로(13)는 용·배수로용 블록의 저류홈(14) 전방 또는 후방의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형성되어, 경사로(13)의 반대 방향에 위치해 있는 동물들의 경우, 상기 경사로(13)를 찾기가 어렵게 되어, 상기 경사로(13)를 따라 동물들이 외부로 탈출하는 것이 쉽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저류홈(14)으로 부터 탈출하는 동물들의 경우, 상기 저류홈을 거치면서 물에 젖은 상태로 경사로(13)에 진입시, 쉽게 미끌어지게 되어 경사로를 통한 탈출이 어려운 것이다.
또한, 상기 외측벽(12) 내부에 형성되는 경사로(13)는 그 단면 구조상 단순히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경사로 하측은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쉽게 파손이 발생하게 됨은 물론, 이에따라 동물들의 탈출이 불가능하게 되며, 상기 생태계 보호용 수로의 경우 별도의 개구부(15) 및 또하나의 외측벽(12)을 설치함에 의해, 수로의 제작이 어렵고 수로의 제작 비용이 증대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수로관의 바닥 내부에는 식물, 곤충 또는 어류등의 동,식물이 서식되는 서식홈이 형성되고, 이때 상기 서식홈의 주연부에는 경사 보강턱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서식홈의 전,후방 측면에는 양서류 및 파충류등과 같은 동물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서식홈과 연설된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경사 날개부와 이에 일체로 연설된 넓은 면적을 갖는 평탄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서식홈의 전방 및 후방으로 동물들이 선택적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계단형 경사부가 형성됨은 물론, 상기 평탄부 및 계단형 경사부의 표면에는 물어 젖은 동물들의 습기가 원활하게 배출토록 하방으로 다수개 경사진 미끄럼 방지용 습기 고임홈이 형성토록 됨으로 인하여, 용수로나 배수로 또는 측수로등의 콘크리트 수로관 내부 바닥에 형성되는 서식홈에 토사의 퇴적물에 의해 식물, 곤충, 어류등이 식생 가능토록 하면서, 서식홈 양측 벽면을 통해 생태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서식홈의 전,후방 측면에는 상기 서식홈과 연설된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경사 날개부와 이에 일체로 연설된 넓은 면적을 갖는 평탄부가 각각 형성되어, 양서류 및 파충류등과 같은 동물들이 서식홈에서 상기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경사 날개부를 통하여 평탄부로 진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평탄부와 연설된 경사진 계단형 경사부가 서식홈의 전방 및 후방 측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서식홈의 전방 및 후방으로 동물들이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평탄부 및 경사 날개부와 계단형 경사부의 표면에는, 하방으로 다수개 경사진 미끄럼 방지용 습기 고임홈이 형성토록 되어, 서식홈의 물어 젖은 동물들이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경사 날개부와 평탄부를 거쳐 계단형 경사부에 진입시, 습기가 상기 습기 고임홈 내부로 원활하게 배출토록 되며, 이에따라 동물들이 쉽게 미끌어지지 않고 계단형 경사부를 통하여 수로관 외부로 손쉽고,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서식홈의 주연부에 경사 보강턱이 일체로 형성되어, 수로관이 가일층 견고하면서,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수로관의 일측 및 타측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 단턱과 결합홈 및 결합턱이 상기 수로관의 양측 벽면과 같은 두께로 형성되어, 수로관이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경제적인 비용으로 수로관의 제작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 수로관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수로관의 양측 벽면의 일측단부에는 걸림 단턱과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 벽면의 타측단부에는 상기 수로관의 결합홈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토록 결합턱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로관의 바닥 내부에는 식물, 곤충 또는 어류등의 동,식물이 서식되는 서식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로관의 서식홈 일측 단부에는 계단형 경사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로관의 서식홈의 주연부에는 경사 보강턱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계단형 경사부의 표면에는 물어 젖은 동물들의 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어 고이록 하방으로 다수개 경사진 미끄럼 방지용 습기 고임홈이 형성토록 되는 환경 수로관에 있어서,
상기 서식홈의 전,후방 측면에는 양서류 및 파충류등과 같은 동물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서식홈과 연설된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경사 날개부와, 이에 일체로 연설된 넓은 면적을 갖는 평탄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서식홈의 전방 및 후방으로 동물들이 선택적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계단형 경사부가 상기 경사 날개부 및 평탄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로관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 단턱과 결합홈 및 결합턱은, 상기 수로관 양측벽면의 두께와 같은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수로관을 마련함에 의한다.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환경 수로관에 의하면, 용수로나 배수로 또는 측수로등의 콘크리트 수로관 내부 바닥에 형성되는 서식홈에 토사의 퇴적물에 의해 식물, 곤충, 어류등이 식생 가능토록 하면서, 서식홈 양측 벽면을 통해 생태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서식홈의 전,후방 측면에는 상기 서식홈과 연설된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경사 날개부와 이에 일체로 연설된 넓은 면적을 갖는 평탄부가 각각 형성되어, 양서류 및 파충류등과 같은 동물들이 서식홈에서 상기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경사 날개부를 통하여 평탄부로 진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평탄부와 연설된 경사진 계단형 경사부가 서식홈의 전방 및 후방 측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서식홈의 전방 및 후방으로 동물들이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평탄부 및 경사 날개부와 계단형 경사부의 표면에는, 하방으로 다수개 경사진 미끄럼 방지용 습기 고임홈이 형성토록 되어, 서식홈의 물어 젖은 동물들이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경사 날개부와 평탄부를 거쳐 계단형 경사부에 진입시, 습기가 상기 습기 고임홈 내부로 원활하게 배출토록 되며, 이에따라 동물들이 쉽게 미끌어지지 않고 계단형 경사부를 통하여 수로관 외부로 손쉽고,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서식홈의 주연부에 경사 보강턱이 일체로 형성되어, 수로관이 가일층 견고하면서,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수로관의 일측 및 타측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 단턱과 결합홈 및 결합턱이 상기 수로관의 양측 벽면과 같은 두께로 형성되어, 수로관이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경제적인 비용으로 수로관의 제작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생태 보호용 용·배수로용 블록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환경 수로관을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환경 수로관을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환경 수로관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환경 수로관의 평면 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환경 수로관의 연결 결합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인 환경 수로관을 배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개략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0'...수로관 110...벽면
120...걸림 단턱 130...결합홈
140...결합턱 150...서식홈
160...경사 보강턱 170...평탄부
171...경사 날개부 180...계단형 경사부
190...습기 고임홈 200...고리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및 도 3는 본 고안에 의한 환경 수로관을 정면 및 측면에서 각각 바라본 상태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환경 수로관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환경 수로관의 평면 구조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환경 수로관의 연결 결합상태 사시도로서,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수로관(100)의 양측 벽면(110)의 일측단부에는 걸림 단턱(120)과 결합홈(130)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 벽면(110)의 타측단부에는 이와 연결되는 수로관(100')의 결합홈(130)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토록 결합턱(140)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로관(100)의 바닥 내부에는 식물, 곤충 또는 어류등의 동,식물이 서식되는 서식홈(150)이 형성토록 된다.
또한, 상기 수로관(100)의 서식홈(150)의 주연부에는 경사 보강턱(160)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서식홈(150)의 전,후방 측면에는 양서류 및 파충류등과 같은 동물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서식홈(150)과 연설된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경사 날개부(171)와 이에 일체로 연설된 넓은 면적을 갖는 평탄부(17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서식홈(150)의 전방 및 후방으로 동물들이 선택적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계단형 경사부(180)가 상기 경사 날개부(171) 및 평탄부(170)와 일체로 형성토록 된다.
또한, 상기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경사 날개부(171)와 이에 일체로 연설된 평탄부(170) 및 계단형 경사부(180)의 표면에는 물어 젖은 동물들의 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어 고이록 하방으로 다수개 경사진 미끄럼 방지용 습기 고임홈(190)이 형성토록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수로관(100)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 단턱(120)과 결합홈(130) 및 결합턱(140)은 상기 수로관(100)의 양측벽면(110)의 두께(t)와 같은 두께(t')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수로관(100)은 그 양측으로 입설되는 벽면(110)의 일측 단부에 걸림 단턱(120)과 결합홈(130)이 각각 형성되는 상태에서, 상기 양측 벽면(110)의 타측 단부에는 결합턱(140)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로관(100)의 결합홈(130) 내부에 연결 수로관(100')의 결합턱이 내삽 고정토록 되어, 수로관이 수로를 따라서 연속적으로 길게 연설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로관(100)의 바닥 내부에는 서식홈(150)이 형성되어, 토사의 퇴적물이 상기 서식홈(150)내부에 적층토록 됨으로써, 상기 퇴적물에 의해 식물, 곤충, 어류등이 식생 가능토록 하면서, 상기 서식홈(150) 양측 벽면(110)을 통해 생태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식물, 곤충, 어류등이 식생 가능토록 수로관(100)의 바닥 내부에 형성된 서식홈(150)의 주연부에 경사 보강턱(160)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수로관(100)이 가일층 견고하면서,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된다.
계속해서, 상기 서식홈(150)의 전,후방 측면에는 양서류 및 파충류등과 같은 동물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서식홈(150)과 연설된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경사 날개부(171)와 이에 넓은 면적을 갖는 평탄부(170)가 각각 일체로 연설되는 상태에서, 상기 서식홈(150)의 전방 및 후방으로 동물들이 선택적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계단형 경사부(180)가 상기 경사 날개부(171) 및 평탄부(170)와 일체로 형성토록 된다.
이에따라, 양서류 및 파충류등과 같은 동물들이 서식홈(150)에서 경사 날개부(171)를 통하여 상기 서식홈(150)과 연설된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경사 날개부(171)를 통하여 넓은 면적을 갖는 평탄부(170)에 진입이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상기 평탄부(170)와 연설된 경사진 계단형 경사부(180)가 서식홈(150)의 전방 및 후방 측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서식홈(150)의 전방 및 후방으로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경사 날개부(171)와 이에 연설된 평탄부(170)를 거쳐 계단형 경사부(180)를 통해 동물들이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경사 날개부(171)와 이에 일체로 연설된 평탄부(170) 및 계단형 경사부(180)의 표면에는 물어 젖은 동물들의 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어 고이록 하방으로 다수개 경사진 미끄럼 방지용 습기 고임홈(190)이 형성토록 됨으로써, 상기 수로관(100)의 서식홈(150) 내부에서 물에 젖은채로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경사 날개부(171)를 거쳐 평탄부(170)로 진입하는 동물들은, 상기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경사 날개부(171)를 거쳐 평탄부(170) 및 계단형 경사부(180)에 진입시, 상기 미끄럼 방지용 습기 고임홈(190)에 의해 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어 고이도록 되며, 이에따라 동물들이 쉽게 미끌어지지 않고 상기 계단형 경사부(180)를 통하여 수로관(100) 외부로 손쉽고,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로관(100)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 단턱(120)과 결합홈(130) 및 결합턱(140)은, 상기 수로관(100)의 양측벽면(110)의 두께(t)와 같은 두께(t')로 이루어짐으로써, 수로관(100)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경제적인 비용으로 수로관의 제작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도 7은 본 고안인 환경 수로관을 배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개략 사시도로서, 상기 수로관(100)의 배면(101) 양측에는, 고리부(200)가 일체로 몰딩되어 돌출토록 됨으로써, 상기 수로관(100) 배면에 형성된 고리부(200)에 로프 또는 체인등을 걸어서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중량물인 수로관을 손쉽고,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으며, 상기 수로관(100)을 수로에 설치할 경우 그 배면에 돌출된 고리부(200)는 땅속에 쉽게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수로관의 양측 벽면의 일측단부에는 걸림 단턱과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 벽면의 타측단부에는 상기 수로관의 결합홈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토록 결합턱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로관의 바닥 내부에는 식물, 곤충 또는 어류등의 동,식물이 서식되는 서식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로관의 서식홈 일측 단부에는 계단형 경사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로관의 서식홈의 주연부에는 경사 보강턱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계단형 경사부의 표면에는 물어 젖은 동물들의 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어 고이록 하방으로 다수개 경사진 미끄럼 방지용 습기 고임홈이 형성토록 되는 환경 수로관에 있어서,
    상기 서식홈의 전,후방 측면에는 양서류 및 파충류등과 같은 동물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서식홈과 연설된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경사 날개부와, 이에 일체로 연설된 넓은 면적을 갖는 평탄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서식홈의 전방 및 후방으로 동물들이 선택적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계단형 경사부가 상기 경사 날개부 및 평탄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로관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 단턱과 결합홈 및 결합턱은, 상기 수로관 양측벽면의 두께와 같은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수로관.
  2. 삭제
  3. 삭제
KR2020100011100U 2010-10-28 2010-10-28 환경 수로관 KR2004543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100U KR200454396Y1 (ko) 2010-10-28 2010-10-28 환경 수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100U KR200454396Y1 (ko) 2010-10-28 2010-10-28 환경 수로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396Y1 true KR200454396Y1 (ko) 2011-06-30

Family

ID=44484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100U KR200454396Y1 (ko) 2010-10-28 2010-10-28 환경 수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396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383A (ko) * 2001-06-01 2004-03-03 노키아 코포레이션 이산 웨이브릿 변환 구조
KR20050057843A (ko) * 2003-12-11 2005-06-16 조항웅 다용도 수로관
KR200418383Y1 (ko) * 2006-03-08 2006-06-09 주식회사 동보산업 환경 친화용 수로관
KR20080113147A (ko) * 2007-06-23 2008-12-29 최미화 담수용 생태 수로관
KR20090096089A (ko) * 2008-03-07 2009-09-10 임태승 친환경 수로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383A (ko) * 2001-06-01 2004-03-03 노키아 코포레이션 이산 웨이브릿 변환 구조
KR20050057843A (ko) * 2003-12-11 2005-06-16 조항웅 다용도 수로관
KR200418383Y1 (ko) * 2006-03-08 2006-06-09 주식회사 동보산업 환경 친화용 수로관
KR20080113147A (ko) * 2007-06-23 2008-12-29 최미화 담수용 생태 수로관
KR20090096089A (ko) * 2008-03-07 2009-09-10 임태승 친환경 수로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9701A (ko) 지그재그형 월류식 어도보 및 그 시공 방법
KR200454396Y1 (ko) 환경 수로관
KR100870969B1 (ko) 비탈면 탈출 용배수로관
KR200418383Y1 (ko) 환경 친화용 수로관
KR200411826Y1 (ko) 생태계 보호용 수로관
KR100914046B1 (ko) 담수용 생태 수로관
KR101476101B1 (ko)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
KR200426017Y1 (ko) 생태보호 및 식생 용·배수로용 블록
KR101112426B1 (ko) 친환경 생태보호 기능을 갖는 수로관
JP2004218269A (ja) スロープ付き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120001579U (ko) 식생구역이 형성된 친환경 수로블록
KR200390488Y1 (ko) 배수로관
KR20110109375A (ko) 터널 형태의 동물이동통로
KR100678870B1 (ko) 배수로관
KR100689778B1 (ko) 친환경 시멘트 콘크리트 수로관
KR101033211B1 (ko) 어류 양서류의 서식지가 구비된 친환경 수로관
JP5518512B2 (ja) コンクリートフリューム
JP3040191U (ja) 自然生態系を考慮した水路用コンクリート製品
KR200238751Y1 (ko) 자연생태계를 고려한 수로용 콘크리트 제품
KR100981417B1 (ko) 친환경 수로관
KR200215908Y1 (ko) 생태계 보호 및 어소 겸용 수로
KR200349393Y1 (ko) 친환경적 조립식 수로관
KR200211526Y1 (ko) 환경수로관
KR200418446Y1 (ko) 환경수로관
KR200332453Y1 (ko) 환경 수로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