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029Y1 -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029Y1
KR200454029Y1 KR2020090010825U KR20090010825U KR200454029Y1 KR 200454029 Y1 KR200454029 Y1 KR 200454029Y1 KR 2020090010825 U KR2020090010825 U KR 2020090010825U KR 20090010825 U KR20090010825 U KR 20090010825U KR 200454029 Y1 KR200454029 Y1 KR 2004540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module
module
fire door
latch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930U (ko
Inventor
김수현
강덕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디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디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디엘
Priority to KR2020090010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02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9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9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0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0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ing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문에 설치되어 방화문의 해정을 제어하는 것으로, 내부 손잡이 모듈과 외부 손잡이 모듈 사이에 간편하게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화기를 안정되게 차폐하여, 대피공간에 형성되는 내부 손잡이 모듈과 래치모듈의 열 변형을 예방하도록 구성한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 화기, 내부 손잡이 모듈, 외부 손잡이 모듈, 래치모듈

Description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Door locking apparatus}
본 고안은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문에 설치되어 방화문의 해정을 제어하는 것으로, 내부 손잡이 모듈과 외부 손잡이 모듈 사이에 간편하게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화기를 안정되게 차폐하여, 대피공간에 형성되는 내부 손잡이 모듈과 래치모듈의 열 변형을 예방하도록 구성한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에 설치되어 방화문의 개폐를 도모하는 도어 잠금장치는, 방화문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부 손잡이 모듈과; 방화문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 손잡이 모듈; 및 상기 외부 손잡이 모듈과 내부 손잡이 모듈 사이에 설치되어, 각축을 통해 각 손잡이 모듈의 손잡이와 연동하여 진퇴하는 래치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도어 잠금장치는, 통상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다이 캐스팅을 통해 대량 생산되며, 이들 도어 잠금장치는 알루미늄 합금, 아연 합금을 통해 제작된 관계로 상온에서는 안정된 내구성을 겸비하나 화재에 의해 고온의 화기가 전달되면 용융되어서 작동이 불능한 상태에 이르게 되는 한계성을 갖는다.
한편, 최근에는 실내에 화재 발생시 대피공간을 확보하도록 하는 법제화되었고, 이에 따라 각 세대에는 세대공간과 분리된 대피공간을 마련하고 이 세대공간과 대피공간 사이에 방화문을 설치하여, 화재 발생시 대피공간에 임시 대피하도록 함으로써 화재에 의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세대공간과 대피공간 사이에 설치되는 방화문에는 도어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도어 잠금장치에 의해 방화문의 개폐가 제어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도어 잠금장치는 상대적으로 용융점이 낮은 알루미늄 합금 또는 아연 합금으로 제작되므로, 세대공간에서 전달되는 화기에 의해 쉽게 용융되어 작동이 불능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상기 대피공간에 사람이 갇히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방화문에 설치되어 방화문의 해정을 제어하는 것으로, 내부 손잡이 모듈과 외부 손잡이 모듈 사이에 간편하게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화기를 안정되게 차폐하여, 대피공간에 형성되는 내부 손잡이 모듈과 래치모듈의 열 변형을 예방하도록 구성한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는,
방화문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 손잡이 모듈과; 방화문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부 손잡이 모듈; 및 상기 내부 손잡이 모듈과 외부 손잡이 모듈 사이에 설치되어, 각축을 통해 각 손잡이 모듈의 손잡이로부터 회전력인 제공받아 래치볼트를 후퇴시켜 방화문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래치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부 손잡이 모듈과 외부 손잡이 모듈의 내측면에는 방화문의 설치공에 진입되는 체결관이 연통되게 형성되어, 이들 내부 손잡이 모듈과 외부 손잡이 모듈은 체결관의 연결에 의해 방화문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내부 손잡이 모듈의 내측면에는 체결관과 래치모듈의 외경이 감싸는 단열커버가 설치되어, 방화문의 외측으로부터 유입되는 화기가 단열커버에 의해 차폐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화기에 의한 내부 손잡이 모듈과 체결관 및 래치모듈의 열변형이 예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열커버의 측벽에는 내부 손잡이 모듈과 외부 손잡이 모듈 사이에 설치된 래치모듈의 외경을 감싸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일편에는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래치모듈이 고정된 내부 손잡이 모듈의 내측면에 단열커버를 밀착시키면 상기 래치모듈은 개구부를 통해 수용홈에 진입하여 감싸지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방화문의 두께에 의해 이격하여 배설되는 외부 손잡이 모듈과 내부 손잡이 모듈 사이에 단열커버를 설치하여, 이 단열커버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화기가 차폐되도록 구성한 도어 잠금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단열커버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화기가 차폐되면, 내화력이 약한 내부 손잡이 모듈과 체결관 및 래치모듈의 열변형이 예방되므로, 화기에 의해 내부 손잡이 모듈과 래치모듈이 열변형되어서 방화문의 개방이 불능해지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대피구역에 대피한 인원이 대피구역에 갇히는 문제점이 간편하게 해소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 있는 단열커버는, 종래 도어 잠금장치에 물리적인 설계 변형 없이 단순히 부가하여 설치되어 안정된 단열기능을 발휘하며, 다양한 형태의 도어 잠금장치에 공용하여 설치가 가능한 공용성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 래치모듈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의 시공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1)는,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화문(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 손잡이 모듈(10)과; 방화문(100)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부 손잡이 모듈(20); 및 상기 내부 손잡이 모듈(10)과 외부 손잡이 모듈(20) 사이에 설치되어, 각축(34)을 통해 각 손잡이 모듈(10, 20)의 손잡이 축(14, 24)으로부터 회전력인 제공받아 래치볼트(31)를 후퇴시켜 방화문(10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래치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 손잡이 모듈(10)과 외부 손잡이 모듈(20)은 다이 캐스팅을 통해 대량 생산되며, 그 재질로는 상온에서는 안정된 내구성을 갖지만 내화력이 약해 고온에서 쉽게 열변형 되는 알루미늄 합금이나 아연 합금을 주로 사용된다.
상기 내부 손잡이 모듈(10)과 외부 손잡이 모듈(20)은, 축공(12)이 형성된 베이스(11)에 손잡이 축(14, 24)이 각각 관통하여 설치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각 손잡이 축(14, 24)에는 래치모듈(30)의 각축(34)의 단부가 진입하여 고정되는 각축공(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축(14, 24)을 회동구조로 설치한 내부 손잡이 모듈(10)과 외부 손잡이 모듈(20)의 베이스(11, 21)에는 체결관(13, 23)이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후술되는 시공과정에서 이들 내부 손잡이 모듈(10)과 외부 손잡이 모듈(20)은 방화문(100)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배설된 상태에서, 체결관(13, 23)에 고정볼트(B)를 진입 및 체결하여 방화문(100)의 외측과 내측에 안정되게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손잡이 모듈(10)에 형성된 체결관(13)의 외측에는 한 쌍의 원호형 고정편(15)이 설치되어, 래치모듈(30)은 이 고정편(15)들 사이에 삽입되어서 안정된 고정상태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내부 손잡이 모듈(10)에 설치되는 래치모듈(3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 손잡이 모듈(10) 또는 외부 손잡이 모듈(20)에 마련된 손잡이 축(14, 24)을 통해 제공되는 회전력을 각축을 통해 전달받아 스프링(31a)의 탄반력에 의해 전진된 래치볼트(31)를 후퇴시키도록 구성된다.
도면을 보면 상기 래치모듈(30)에는, 각축(34)이 관통되는 각축기어(32)와, 래치볼트(31)와 링크구조를 형성하는 링크단(33a)이 갖는 캠기어(33)가 각각 치합되게 설치되어, 각축(34)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래치볼트(31)는 후퇴하여 방화문(100)의 폐쇄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화문(100)에 상호 대향하여 설치되는 내부 손 잡이 모듈(10)과 외부 손잡이 모듈(20) 사이에, 체결관(13, 23)과 래치모듈(30)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단열커버(40)를 설치하여, 상기 단열커버(40) 의해 방화문(100)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화기를 차폐하여 방화문(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 손잡이 모듈(10)과 이 내부 손잡이 모듈(10)의 내측면에 고정된 래치모듈(30)의 열 변형을 억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열커버(40)는 좌우 양편이 각각 개방된 중공 관체로 구성되며, 상기 단열커버(40)는 알루미늄 합금이나 아연 합금에 대비하여 용융점이 월등히 높은 철,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져 향상된 내화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단열커버(40)의 내경에는 단열층(42)이 형성되어, 상기 단열커버(40)에 도달하는 화기가 단열층(42)에 의해 보다 안정되게 차폐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내부 손잡이 모듈(10)과 래치모듈(30)의 열 변형이 보다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커버(40)의 측벽에는 내부 손잡이 모듈(10)의 내측면에 밀착하여 설치되어진 래치모듈(30)의 외경을 감싸는 수용홈(4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41)의 일편은 개구부(41a)에 의해 개방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시공과정에서 래치모듈(30)이 고정된 내부 손잡이 모듈(10)의 내측면에 단열커버(40)를 밀착시키면, 상기 래치모듈(30)은 개구부(41a)를 통해 수용홈(41)에 진입하여 감싸지게 되므로, 래치모듈(30)을 별도 제거할 필요 없이 단열커버(40)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1)의 시공 과정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시공자가 방화문(100)에 내측과 외측을 연통하는 설치공(110)을 형성한 다음, 방화문(100)의 측부에 설치공(110)과 연통하는 래치공(120)을 형성한다.
이후, 시공자는 상기 래치공(120)에 래치모듈(30)의 전반부를 삽입하고, 방화문(100)에 형성된 설치공(110)의 내측에 내부 손잡이 모듈(10)을 배치한다. 이때 상기 래치모듈(20)은, 내부 손잡이 모듈(1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시공과정에서 설치공(110)에 진입되는 고정편(15)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시공자는 각축(34)을 래치모듈(30)의 각축공(32a)과 내부 손잡이 모듈(10)에 각축공에 삽입하여, 각축(34)을 통해 내부 손잡이 모듈(10)과 래치모듈(30)의 각축기어(32)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시공자는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화문(100)의 설치공(110) 외측에서 설치공(110)의 내측방향으로 단열커버(40)를 진입시켜 내부 손잡이 모듈(10)의 내측면에 단열커버(40)를 밀착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내부 손잡이 모듈(10)의 내측면에 배치된 래치모듈(30)은 단열커버(40)에 형성된 수용홈(41)에 개구부(41a)를 통해 진입하여 진입홈(41)에 외경이 감싸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시공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설치공(110)의 외측에 외부 손잡이 모듈(20)을 배치하게 되며, 이때 상기 외부 손잡이 모듈(20)의 각축공에는 내부 손잡이 모듈(10)과 래치모듈(30)을 상호 연결하는 각축(34)의 단부가 진입하여 고정된다.
이 다음으로 작업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볼트(B)를 통해 상호 연통된 외부 손잡이 모듈(20)과 내부 손잡이 모듈(10)의 체결관(13, 23)을 각각 체결을 통해 연결하여, 내부 손잡이 모듈(10)과 외부 손잡이 모듈(20)을 방화문의 양측에 고정함으로써, 시공이 완료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내부 손잡이 모듈(10)과 외부 손잡이 모듈(20) 사이에 단열커버(40)를 마련하게 되면, 상기 외부 손잡이 모듈(20)을 통해 설치공(110) 내로 통해 유입된 화기는 상기 단열커버(4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도어 잠금장치(1)를 방화문(100)에 설치하면, 외부 손잡이 모듈(20)은 열에 의해 변형되거나 융용되더라도, 내부 손잡이 모듈(10)과 래치모듈(30)은 안정된 형상유지가 가능하므로, 추후 내부 손잡이 모듈(10)의 조작을 통한 래치볼트(31)의 후퇴를 통해 방화문(100)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 래치모듈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의 시공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
10. 내부 손잡이 모듈 11. 베이스
12. 축공 13. 체결관
14. 손잡이 축
15. 고정편
20. 외부 손잡이 모듈 21. 베이스
22. 축공 23. 체결관
24. 손잡이 축
30. 래치모듈 31. 래치볼트
31a. 스프링 32. 각축기어
32a. 각축공 33. 캠기어
33a. 링크단 34. 각축
40. 단열커버 41. 수용홈
41a. 개구부 42. 단열층
100. 방화문 110. 설치공
120. 래치공

Claims (2)

  1. 방화문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 손잡이 모듈과; 방화문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부 손잡이 모듈; 및 상기 내부 손잡이 모듈과 외부 손잡이 모듈 사이에 설치되어, 각축을 통해 각 손잡이 모듈의 손잡이로부터 회전력인 제공받아 래치볼트를 후퇴시켜 방화문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래치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부 손잡이 모듈과 외부 손잡이 모듈의 내측면에는 방화문의 설치공에 진입되는 체결관이 연통되게 형성되어, 이들 내부 손잡이 모듈과 외부 손잡이 모듈은 체결관의 연결에 의해 방화문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내부 손잡이 모듈의 내측면에는 체결관과 래치모듈의 외경이 감싸는 단열커버가 설치되어, 방화문의 외측으로부터 유입되는 화기가 단열커버에 의해 차폐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화기에 의한 내부 손잡이 모듈과 체결관 및 래치모듈의 열변형이 예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커버의 측벽에는 내부 손잡이 모듈과 외부 손잡이 모듈 사이에 설치된 래치모듈의 외경을 감싸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일편에는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래치모듈이 고정된 내부 손잡이 모듈의 내측면에 단열커버를 밀착시키면, 상기 래치모듈은 개구부를 통해 수용홈에 진입하여 감싸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KR2020090010825U 2009-08-19 2009-08-19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 KR2004540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825U KR200454029Y1 (ko) 2009-08-19 2009-08-19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825U KR200454029Y1 (ko) 2009-08-19 2009-08-19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930U KR20110001930U (ko) 2011-02-25
KR200454029Y1 true KR200454029Y1 (ko) 2011-06-09

Family

ID=44207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825U KR200454029Y1 (ko) 2009-08-19 2009-08-19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0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621Y1 (ko) 2011-06-10 2012-11-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실내 해정 기능을 구비한 도어의 잠금장치
KR101634276B1 (ko) 2016-04-08 2016-06-30 주식회사 예스코리아 연기 유입이 방지되는 방화대피소용 도어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7347B (zh) * 2019-08-22 2021-02-19 六安维奥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消防隔热门把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2520A (ja) * 1995-02-28 1996-09-10 Goal Co Ltd 防火扉用錠
JPH09510516A (ja) * 1994-01-10 1997-10-21 シュレージ ロック カンパニー 可溶式作動形本締め機構付き空締めボルト組立体
JP2000073638A (ja) 1998-08-27 2000-03-07 Meiko:Kk 耐火カムラッチハンドル
KR20090029594A (ko) * 2007-09-18 2009-03-23 (주) 아이레보 금강씨에스 방화문의 보조 개방력 제공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0516A (ja) * 1994-01-10 1997-10-21 シュレージ ロック カンパニー 可溶式作動形本締め機構付き空締めボルト組立体
JPH08232520A (ja) * 1995-02-28 1996-09-10 Goal Co Ltd 防火扉用錠
JP2000073638A (ja) 1998-08-27 2000-03-07 Meiko:Kk 耐火カムラッチハンドル
KR20090029594A (ko) * 2007-09-18 2009-03-23 (주) 아이레보 금강씨에스 방화문의 보조 개방력 제공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621Y1 (ko) 2011-06-10 2012-11-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실내 해정 기능을 구비한 도어의 잠금장치
KR101634276B1 (ko) 2016-04-08 2016-06-30 주식회사 예스코리아 연기 유입이 방지되는 방화대피소용 도어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930U (ko) 201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4029Y1 (ko)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
US9290964B2 (en) Lock assembly having fire resistant spindle linkage
IT201600124504A1 (it) Dispositivo blocco-porta con sistema di sicurezza.
KR200452050Y1 (ko) 방화구조체가 마련된 디지털 도어락
RU2651381C1 (ru) Устройство блокировки перемещения подвижного узл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US20140345337A1 (en) Steering lock with a deadlock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RU2004104175A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ая дверь и ригель для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двери
BR112018000185A2 (pt) dispositivo de travamento de porta de veículo
KR101114558B1 (ko) 내화형 디지털 도어락
EP2452150B1 (en) Internal rotatable lock cylinder
FR2931184A1 (fr) Dispositif d'ouverture des acces de secours
KR101196489B1 (ko) 잠금 구조를 가지는 맨홀 및 이를 관리하는 시스템
WO2006033566A3 (en) Basic mechanical automatic door's lock with central gearbox
KR200454985Y1 (ko) 디지털 도어락의 방화구조체
KR101370538B1 (ko) 형상기억 탄성체를 내장한 자동개방형 도어록 및 이를 갖는 안전도어
EP2450507B1 (en) Lock protection for a cylinder lock
JP6172676B2 (ja) ロック装置取付け確認カード
JP4344723B2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US7731888B2 (en) Mold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a lock bore
JP2006316503A (ja) シリンダ錠
RU2539321C1 (ru) Составной дюбель для крепления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х плит
WO2019234618A2 (en) Security lock
KR200491907Y1 (ko) 가스배관용 방범커버
LT5871B (lt) Terminis durų spynos kaištis
JP5736354B2 (ja) 地下構造物用蓋のロック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