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895Y1 - 지역 할증요금 자동 정산기능을 구비한 택시 미터기 - Google Patents

지역 할증요금 자동 정산기능을 구비한 택시 미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895Y1
KR200453895Y1 KR2020100010757U KR20100010757U KR200453895Y1 KR 200453895 Y1 KR200453895 Y1 KR 200453895Y1 KR 2020100010757 U KR2020100010757 U KR 2020100010757U KR 20100010757 U KR20100010757 U KR 20100010757U KR 200453895 Y1 KR200453895 Y1 KR 2004538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xi
administrative
region
surcharg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7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민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온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48437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53895(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온뱅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온뱅크
Priority to KR20201000107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8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8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8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3/00Taximeters
    • G07B13/02Details; Accessories
    • G07B13/04Details; Accessories for indicating fare or state of hir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3/00Taximeters
    • G07B13/02Details; Accessories
    • G07B13/08Tariff-changing arrangements
    • G07B13/10Tariff-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ally actu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역 할증요금 자동 정산기능을 구비한 택시 미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터기 내부에 행정지역 구획에 따른 각 행정지역의 경계 정보 및 지역별 할증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와 GPS 모듈을 구비하고, 제어부가 GPS 모듈을 통해 파악된 현재위치에 대한 GPS 좌표값과 데이터베이스부에 입력된 행정지역 구획에 따른 경계 정보를 대조 분석하여, 해당 택시가 승객을 싣고 해당 택시가 소속된 행정지역에서 타 행정지역으로 이동할 시 행정지역 이동에 따른 지역별 할증요금을 자동 적용함으로써, 무선통신망을 이용하는 별도의 서버 없이도 지역 할증요금을 자동으로 정산할 수 있는 지역 할증요금 자동 정산기능을 구비한 택시 미터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택시에 설치되어 주행요금을 표시하는 택시 미터기에 있어서, 위치확인 위성으로부터 상기 택시의 현재위치에 대한 GPS 좌표를 수신하는 GPS 모듈과; 행정지역 구획에 따른 각 행정지역의 경계 정보 및 지역별 할증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GPS모듈로부터 수신된 택시의 위치정보에 따른 택시의 현재 운행위치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각 행정지역의 경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택시가 현재 운행중인 행정지역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상기 택시가 소속된 행정지역에서 타 행정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지역별 할증정보를 이용하여 지역 할증요금을 적용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적용된 지역 할증요금이 반영된 택시의 주행요금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역 할증요금 자동 정산기능을 구비한 택시 미터기{A taximeter capable of automatically calculate the district surcharge}
본 고안은 지역 할증요금 자동 정산기능을 구비한 택시 미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터기 내부에 행정지역 구획에 따른 각 행정지역의 경계 정보 및 지역별 할증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와 GPS 모듈을 구비하고, 제어부가 GPS 모듈을 통해 파악된 현재위치에 대한 GPS 좌표값과 데이터베이스부에 입력된 행정지역 구획에 따른 경계 정보를 대조 분석하여, 해당 택시가 승객을 싣고 해당 택시가 소속된 행정지역에서 타 행정지역으로 이동할 시 행정지역 이동에 따른 지역별 할증요금을 자동 적용함으로써, 무선통신망을 이용하는 별도의 서버 없이도 지역 할증요금을 자동으로 정산할 수 있는 지역 할증요금 자동 정산기능을 구비한 택시 미터기에 관한 것이다.
택시가 시계 또는 도계 구역을 벗어날 시 발생되는 지역 할증요금은 각 지방의 지방자치단체에서 규정하고 있는 요금을 적용하고 있으며, 택시운전자가 택시에 구비된 미터기의 시계(또는 도계) 외 할증버튼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지역 할증요금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택시를 이용하는 승객들은 택시를 타고 시외까지 나갈 때 지역 할증요금이 어떠한 방식으로 부과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추가요금 지불에 대한 신뢰성이 없어 택시운전자와의 지불요금에 대한 시비가 많았다.
또한, 택시운전자가 미터기를 임의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외국인이나 취객을 상대로 불법으로 부당요금을 요구할 수 있는 여지가 있으며, 이로 인해 정상적으로 할증이 적용되는지 승객에게 신뢰를 주기 어려워 민원이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택시가 소속된 행정지역에서 타 행정지역으로 이동시 지역 할증요금을 적용 및 해지하는 할증요금데이터 전송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기술의 한 예가 한국공개특허 2007-0121081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할증요금데이터 전송 시스템"(이하, 종래기술)에 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할증요금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보여주는 시스템 구성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할증요금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GPS 모듈과 임의의 지역에서 타지역으로 이동시 할증요금이 적용되는 미터기가 구비된 택시(100)와, 상기 위치정보를 무선통신망으로 수신하여 위치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서버(200)와, 상기 변환된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정한 지도상의 임의의 지역을 이탈한 상기 택시(100)에게 할증요금 적용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서버(200)를 통하여 택시(100)에 전송하는 관제서버(300)로 구성되어, 승객이 탑승한 택시가 임의의 지역에서 타 지역으로 이동하면 상기 관제서버(300)가 택시에 구비된 미터기로 할증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미터기의 할증요금이 자동으로 적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할증요금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서버를 이용함에 따라 무선통신망을 필요로 하며, 이에 따라 통신 사용으로 인한 통신요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할증요금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GPS 좌표값을 서버에 주기적으로 전송함에 따라 통신요금의 상승요인이 있기 때문에 보통 1분 내지 3분 주기(분단위 주기)로 차량의 현재 위치값을 전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에 따라 시계 외를 통과하는 이동중인 차량이 차량의 현재 위치값을 서버에 전송하는 시점과, 서버를 통해 시계 외 적용데이터를 차량이 수신하는 시점에, 상호 시간과 거리에 따른 오차값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시간과 거리에 따른 허용오차값이 커짐으로써 정확한 데이터를 반영하기 어려우며, 이로 인해 택시요금에 대한 고객과의 시비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더불어, 서버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서버에 택시운전자의 회원정보 및 택시의 차량정보를 등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서버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시, 택시가 전파가 수신되지 않는 음영지역을 운행할 때에는 통신이탈에 의한 장애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택시에 구비된 미터기로 할증데이터가 전송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미터기 내부에 행정지역 구획에 따른 각 행정지역의 경계 정보 및 지역별 할증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와 GPS 모듈을 구비하고, 제어부가 GPS 모듈을 통해 파악된 현재위치에 대한 GPS 좌표값과 데이터베이스부에 입력된 행정지역 구획에 따른 경계 정보를 대조 분석하여, 해당 택시가 승객을 싣고 해당 택시가 소속된 행정지역에서 타 행정지역으로 이동할 시 행정지역 이동에 따른 지역별 할증요금을 자동 적용함으로써, 무선통신망을 이용하는 별도의 서버 없이도 지역 할증요금을 자동으로 정산할 수 있는 지역 할증요금 자동 정산기능을 구비한 택시 미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불어, 본 고안에서는 택시가 소속된 행정지역에서 타 행정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택시의 지붕등 또는 빈차등에 구비된 지역표시부에 택시의 소속 행정지역을 표시함으로써, 타 행정지역의 고객이 택시의 소속 행정지역을 인지하지 못하고 택시에 탑승하여 발생하는 승차거부와 같은 고객과 택시운전자와의 시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지역 할증요금 자동 정산기능을 구비한 택시 미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택시에 설치되어 주행요금을 표시하는 택시 미터기에 있어서, 위치확인 위성으로부터 상기 택시의 현재위치에 대한 GPS 좌표를 수신하는 GPS 모듈과; 행정지역 구획에 따른 각 행정지역의 경계 정보 및 지역별 할증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GPS모듈로부터 수신된 택시의 위치정보에 따른 택시의 현재 운행위치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각 행정지역의 경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택시가 현재 운행중인 행정지역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상기 택시가 소속된 행정지역에서 타 행정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지역별 할증정보를 이용하여 지역 할증요금을 적용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적용된 지역 할증요금이 반영된 택시의 주행요금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체적으로 미터기 내부에 행정지역 구획에 따른 각 행정지역의 경계 정보 및 지역별 할증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와, GPS 모듈과, GPS 모듈을 통해 파악된 현재위치에 대한 GPS 좌표값과 데이터베이스부에 입력된 행정지역 구획에 따른 경계 정보를 대조 분석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서버의 정보제공 없이 독립적으로 작동이 가능하여 택시운전자가 편이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택시가 서로 다른 행정지역 간의 경계를 넘어갈 때 해당 행정지역의 지역 할증요금이 자동으로 적용됨으로써, 택시를 이용하는 승객에게 지역 할증요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서버 이용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통신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며, 전파가 수신되지 않는 음영지역을 운행할 시에도 장애 없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택시가 소속된 행정지역에서 타 행정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택시의 지붕등 또는 빈차등에 구비된 지역표시부에 택시의 소속 행정지역이 자동으로 표시됨으로써, 타 행정지역의 고객이 택시의 소속 행정지역을 인지하지 못하고 택시에 탑승하여 발생하는 승차거부와 같은 고객과 택시운전자와의 시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할증요금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보여주는 시스템 구성도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할증요금 자동 정산기능을 구비한 택시 미터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할증요금 자동 정산기능을 구비한 택시 미터기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고안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할증요금 자동 정산기능을 구비한 택시 미터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할증요금 자동 정산기능을 구비한 택시 미터기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할증요금 자동 정산기능을 구비한 택시 미터기(1)는 택시에 구비되어 현재위치에 대한 GPS 좌표를 수신하는 GPS 모듈(10)과, 행정지역 구획에 따른 각 행정지역의 경계 정보 및 지역별 할증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20)와, 현재위치에 대한 GPS 좌표값과 행정지역 구획에 따른 경계 정보를 대조 분석하여 해당 행정지역의 지역 할증요금을 적용하는 제어부(30)와, 택시 이용에 대한 요금 및 지역 할증요금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GPS 모듈(10)은 택시에 구비되어 위치확인 위성으로부터 택시의 현재위치에 대한 GPS 좌표를 수신한다. 상기 GPS 모듈(10)은 별도로 설치되어 택시에 설치된 미터기(1)에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터기(1)에 내장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확인 위성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서 GPS 모듈(10)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위성이다. 위치 확인 위성은 위치 계산을 위해 필요한 항법 데이터를 GPS 모듈(10)에게 반송파(Carrier Wave)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모두 24개의 위성으로 구성되는데, 이 중 21개가 항법에 사용되며 3개의 위성은 예비용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위치 확인 위성의 배치는 GPS 모듈(10)의 3차원 위치 및 GPS 모듈(10)에 내장된 시계의 오차를 계산하기 위해 지구 전역에서 최소한 4개 이상의 위성이 항상 보이도록 특수하게 설계된 것이다. 각각의 위치 확인 위성에서 송신되는 항법 데이터는 각 위치 확인 위성의 번호에 따라 특수하게 설계된 PRN 코드(Pseudo Random Noise)를 포함한다. 즉, 코드 분할 다중 통신(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방식으로 항법 데이터가 GPS 모듈(10)로 전송되므로 GPS 모듈(10)에서는 각 위치 확인 위성에서 전송한 항법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GPS 모듈(10)은 위치확인 위성으로부터 항법 데이터를 수신하여 택시의 위치 및 속도를 계산하며, 이로 인해 운전자가 운전 중에 운행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데이터베이스부(20)는 데이터 저장수단으로서, GPS 모듈(10)과 더불어 미터기(1)에 내장되어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부(20)에는 행정지역 구획에 따른 각 행정지역의 경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부(20)에는 행정구역(특별시, 광역시, 도, 시, 군, 구, 읍, 면 ,동, 이)의 지역 경계선에 대한 각 행정지역의 경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더불어, 데이터베이스부(20)에는 각 행정지역을 관할하는 지방자치단체에 따른 할증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택시가 승객을 싣고 해당 택시가 소속된 행정지역에서 경계선을 넘어 타 행정지역으로 이동할 시 해당 타 행정지역의 할증요금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부(20)는 각 행정지역별 지역 할증요금이 변동되는 경우, 변동되는 지역별 할증요금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각 지역별 할증요금은 각 행정지역의 지방자치단체에서 규정하고 있는 요금체계에 따라 변동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지역 할증요금의 변동시에는 최신 할증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칩이나 유에스비(USB) 메모리 등을 이용하여, 제어부(30)를 통해 이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부(20)를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미터기(1)에 내장되어 GPS 모듈(10) 및 데이터베이스부(20)로부터 정보를 전달받는다. 즉, 제어부(30)는 GPS 모듈(10)로부터 택시의 현재위치에 대한 GPS 좌표를 전달받아, 이를 데이터베이스부(20)에 저장된 행정지역 구획에 따른 각 행정지역의 경계 정보와 비교하여 현재 택시가 운행하고 있는 행정지역을 판단한다.
더불어, 제어부(30)는 데이터베이스부(20)로부터 각 행정지역 지방자치단체의 할증정보를 전달받아, 택시가 할증요금이 적용되는 행정지역으로 경계를 넘어 이동할 시 해당 행정지역의 지역 할증요금을 자동 적용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비교를 통해 제어부(30)는 행정지역 구획에 따른 각 행정지역의 경계 정보와 택시의 현재위치에 대한 GPS 좌표값을 대조 분석하여, 택시가 승객을 싣고 해당 택시가 소속된 행정지역에서 타 행정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해당 행정지역의 지역 할증요금을 적용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30)는 데이터베이스부(20)의 행정지역 구획에 따른 각 행정지역의 경계 정보와 GPS모듈(10)의 현재위치에 대한 GPS 좌표값을 대조하고 분석하여, 택시가 소속된 행정지역에서 타 행정지역으로 경계선을 넘어서는 시점에서부터 지역 할증요금을 자동으로 적용하고, 적용된 할증요금 및 할증률을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한다.
단, 상술한 지역 할증요금은 택시가 소속된 행정지역에서 타 행정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생성되지만, 이와는 반대로 상기 타 행정지역에서 소속된 행정지역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생성되지 않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40)는 택시의 주행거리에 대한 요금 및 제어부(30)로부터 적용되는 지역 할증요금을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부(40)에 지역 할증요금을 표시하고, 더불어 택시의 주행거리에 대한 요금에 지역 할증요금이 가산된 요금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택시가 승객을 싣고 이동시 주행거리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0)에 주행요금이 표시되는데, 택시가 소속된 행정지역에서 타 행정지역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제어부(30)에서 생성된 해당 행정지역의 지역 할증요금이 적용되어, 디스플레이부(40)에 해당 행정지역의 지역 할증요금이 가산된 주행요금이 표시된다.
단, 택시가 지역 할증요금이 적용되지 않는 지역을 이동할 시에는 주행거리에 대한 요금만 표시된다.
더불어, 디스플레이부(40)는 지역 할증요금이 적용되는 경우, 할증요금의 적용여부 및 각 행정지역별 할증률 또는 할증금액을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각 지역별 할증요금은 각 행정지역의 지방자치단체에서 규정하고 있는 요금을 적용하고 있는데, 행정지역에 따라 일정 할증률을 적용하거나 또는 일정금액의 할증금액을 추가로 가산하는 등 행정지역별로 각기 다른 요금제도를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택시가 소속된 행정지역에서 타 행정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디스플레이부(40)에 해당 행정지역의 할증요금 적용여부가 표시되고, 행정지역에 따라 일정 할증률이 표시되거나 또는, 일정금액의 할증금액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40)에는 할증여부, 지역 할증금액 또는 할증률이 표시되어 있으며, 그 아래에는 택시의 주행거리에 대한 요금과 지역 할증요금이 합산된 요금이 표시된다.
즉, 택시가 승객을 싣고 해당 택시가 소속된 행정지역에서 타 행정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해당 행정지역의 할증여부, 해당 행정지역의 할증률 또는 할증금액이 디스플레이부(40)의 상단부에 작게 표시되고, 택시의 주행거리에 대한 요금과 택시가 주행하고 있는 행정지역의 지역 할증요금이 합산된 요금이 디스플레이부(40)의 하단부에 크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영업용 택시의 운행은 소속 행정지역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소속 행정지역이 아닌 타 행정지역에서의 영업행위는 불법이므로, 택시가 타 행정지역을 운행할 시 해당 타 행정지역의 고객에게 택시의 소속 행정지역을 알림으로써, 타 행정지역의 고객이 택시의 소속 행정지역을 인지하지 못하고 택시에 탑승하여 발생하는 승차거부와 같은 고객과 택시운전자와의 시비를 미연에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택시 미터기가 적용된 택시에는 택시의 소속 행정지역을 외부에 알릴 수 있도록 택시에 구비된 지붕등 또는 빈차등에 택시의 소속 행정지역을 표시하는 지역표시부(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택시 미터기에 구성된 제어부(30)는 상기 지역표시부(50)와 연결되어 데이터베이스부(20)에 저장된 각 행정지역의 경계 정보를 바탕으로 택시가 소속된 행정지역에서 타 행정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지역표시부(50)를 통해 택시의 소속 행정지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지역표시부(50)는 문구를 표시할 수 있는 LED모듈 등으로 구성되어 소속 행정지역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택시의 소속 행정지역이 "대전"일 경우, 택시가 대전지역의 경계를 넘어 충남지역으로 이동할 시에는 지역표시부(50)를 통해 택시의 빈차등 또는 지붕등에 "대전택시"의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할증요금 자동 정산기능을 구비한 택시 미터기의 동작과정를 설명한다.
택시에 승객이 탑승하여 택시운전자가 미터기(1)의 요금버튼을 누르면 주행거리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0)에 주행요금이 표시된다.
이때, 미터기(1) 내부에 마련된 GPS 모듈(10)은 택시의 현재위치에 대한 GPS 좌표값을 수신하여 제어부(30)에 전달한다.
주행중에 택시가 소속된 행정지역에서 지역 경계를 넘어 타 행정지역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부(20)에 저장된 행정지역 구획에 따른 각 행정지역의 경계 정보 및 지역별 할증정보에 따라, 제어부(30)가 GPS 모듈(10)을 통해 파악된 현재위치에 대한 GPS 좌표값과 데이터베이스부(20)에 입력된 행정지역 구획에 따른 경계 정보를 대조 분석하여, 해당 행정지역의 지역 할증요금을 자동 적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40)에 해당 행정지역의 지역 할증요금이 가산된 주행요금이 자동으로 표시된다.
더불어, 디스플레이부(40)에는 각 행정지역별 할증여부와, 각 행정지역별 할증률 또는 할증금액이 추가로 표시되어 승객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택시운전자가 수동으로 버튼을 누르는 일없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부(40)에 지역 할증요금이 적용된 주행요금이 표시되며, 더불어 디스플레이부(40)에 할증여부, 할증률 또는 할증금액이 표시됨으로써 승객에게 지역 할증요금에 대한 신뢰성을 줄 수 있다.
또한, 택시가 소속된 행정지역에서 지역 경계를 넘어 타 행정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해당 타 행정지역의 고객에게 택시의 소속 행정지역을 알릴 수 있도록 택시의 지붕등 또는 빈차등에 구비된 지역표시부(50)에 택시의 소속 행정지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는, 제어부가 데이터베이스부(20)에 저장된 각 행정지역의 경계 정보를 바탕으로 택시가 소속된 행정지역에서 타 행정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지역표시부(50)를 통해 택시의 소속 행정지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타 행정지역의 고객이 택시의 소속 행정지역을 인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승차거부와 같은 고객과 택시운전자와의 시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체적으로 미터기 내부에 행정지역 구획에 따른 각 행정지역의 경계 정보 및 지역별 할증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와, GPS 모듈과, GPS 모듈을 통해 파악된 현재위치에 대한 GPS 좌표값과 데이터베이스부에 입력된 행정지역 구획에 따른 경계 정보를 대조 분석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서버의 정보제공 없이 독립적으로 작동이 가능하여 택시운전자가 편이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택시가 서로 다른 행정지역 간의 경계를 넘어갈 때 해당 행정지역의 지역 할증요금이 자동으로 적용됨으로써, 택시를 이용하는 승객에게 지역 할증요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서버 이용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통신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며, 전파가 수신되지 않는 음영지역을 운행할 시에도 장애 없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택시가 소속된 행정지역에서 타 행정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택시의 지붕등 또는 빈차등에 구비된 지역표시부에 택시의 소속 행정지역이 자동으로 표시됨으로써, 타 행정지역의 고객이 택시의 소속 행정지역을 인지하지 못하고 택시에 탑승하여 발생하는 승차거부와 같은 고객과 택시운전자와의 시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본 고안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 미터기 10 : GPS 모듈
20 : 데이터베이스부 30 : 제어부
40 : 디스플레이부 50: 지역표시부

Claims (4)

  1. 택시에 설치되어 주행요금을 표시하는 택시 미터기에 있어서,
    위치확인 위성으로부터 상기 택시의 현재위치에 대한 GPS 좌표를 수신하는 GPS 모듈과;
    행정지역 구획에 따른 각 행정지역의 경계 정보 및 지역별 할증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GPS모듈로부터 수신된 택시의 위치정보에 따른 택시의 현재 운행위치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각 행정지역의 경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택시가 현재 운행중인 행정지역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상기 택시가 소속된 행정지역에서 타 행정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지역별 할증정보를 이용하여 지역 할증요금을 적용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적용된 지역 할증요금이 반영된 택시의 주행요금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할증요금 자동 정산기능을 구비한 택시 미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지역 할증요금이 적용되는 경우, 할증요금의 적용여부 및 각 행정지역별 할증률 또는 할증금액을 추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할증요금 자동 정산기능을 구비한 택시 미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각 행정지역별 지역 할증요금이 변동되는 경우, 변동되는 지역별 할증요금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할증요금 자동 정산기능을 구비한 택시 미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택시에는,
    지붕등 또는 빈차등에 상기 택시의 소속 행정지역을 표시할 수 있는 지역표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역표시부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각 행정지역의 경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택시가 소속된 행정지역에서 타 행정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지역표시부를 통해 상기 택시의 소속 행정지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할증요금 자동 정산기능을 구비한 택시 미터기.
KR2020100010757U 2010-10-20 2010-10-20 지역 할증요금 자동 정산기능을 구비한 택시 미터기 KR2004538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757U KR200453895Y1 (ko) 2010-10-20 2010-10-20 지역 할증요금 자동 정산기능을 구비한 택시 미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757U KR200453895Y1 (ko) 2010-10-20 2010-10-20 지역 할증요금 자동 정산기능을 구비한 택시 미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895Y1 true KR200453895Y1 (ko) 2011-06-01

Family

ID=44484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757U KR200453895Y1 (ko) 2010-10-20 2010-10-20 지역 할증요금 자동 정산기능을 구비한 택시 미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8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810B1 (ko) * 2015-07-10 2016-04-11 주식회사 에세텔 3축 가속도계 모듈 및 gps 모듈이 구비된 택시 운행 보조 장치를 이용한 요금 정산 기기 자동 할증 시스템
KR20210043407A (ko) 2019-10-11 2021-04-21 주식회사 리라소프트 주행거리 보정 모듈 및 택시 미터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081A (ko) * 2006-06-21 2007-12-27 씨아이토피아 주식회사 위치정보를 이용한 할증요금데이터 전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081A (ko) * 2006-06-21 2007-12-27 씨아이토피아 주식회사 위치정보를 이용한 할증요금데이터 전송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810B1 (ko) * 2015-07-10 2016-04-11 주식회사 에세텔 3축 가속도계 모듈 및 gps 모듈이 구비된 택시 운행 보조 장치를 이용한 요금 정산 기기 자동 할증 시스템
KR20210043407A (ko) 2019-10-11 2021-04-21 주식회사 리라소프트 주행거리 보정 모듈 및 택시 미터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7834B2 (en) Booking and cancellation method, and method for collecting tolls in a toll collection system
CN109690606B (zh) 基于远程信息处理的系统及其相应的方法
KR100423779B1 (ko) 과금장치
US7630918B2 (en) Dual toll system
US85949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 bus route for transporting passengers
WO20121128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gps lane and toll determination and asset position matching
CN107111792B (zh) 用于在交通网络中售检票及验票的方法和系统
CN109416873A (zh) 具有自动化风险控制系统的自主或部分自主机动车辆及其相应方法
US20160140844A1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Vehicles
US20180137438A1 (en) Booking of rentable vehicles in a car sharing system
GB2570555A (en) Means for determining toll data
CN111670467A (zh) 具有优先级因素层级的车辆车队管理
US201903330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ons between users and transportation service providers in an integrated public and/or private transportation service platform
US20050071175A1 (en) Device for temporarily overcoming the loss of a satellite navigation signal, for satellite navigation-based dual toll systems
KR101306891B1 (ko)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운전자를 위한 빅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KR20110084004A (ko) 할증 자동적용 택시미터
CN108734799A (zh) 一种混合模式车道管理系统和方法
KR200453895Y1 (ko) 지역 할증요금 자동 정산기능을 구비한 택시 미터기
CN109191604A (zh) 一种混合模式车道系统和车道管理方法
ES2261819T3 (es) Sistema de registro de tasas y procedimiento para habilitar un servicio independiente.
KR101487263B1 (ko) 위성 항법 장치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115971B1 (ko) 차량의 운행기록 및 운행요금을 관리하는 운행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30096993A1 (en) Method of tolling vehicles in an open-road toll system
JP7390538B2 (ja) センターバリュー型バス運賃決済システム
CN208888877U (zh) 一种混合模式车道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5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5543;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51209

Effective date: 201608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7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7305;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60929

Effective date: 2017052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30000105;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70630

Effective date: 20170810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172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605

Effective date: 20181129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200009718;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1231

Effective date: 2019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