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787Y1 - 외피의 찢어짐이 방지토록 된 연등 - Google Patents

외피의 찢어짐이 방지토록 된 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787Y1
KR200452787Y1 KR2020080014411U KR20080014411U KR200452787Y1 KR 200452787 Y1 KR200452787 Y1 KR 200452787Y1 KR 2020080014411 U KR2020080014411 U KR 2020080014411U KR 20080014411 U KR20080014411 U KR 20080014411U KR 200452787 Y1 KR200452787 Y1 KR 2004527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shell
fixing band
opening
fixe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4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715U (ko
Inventor
이동섭
Original Assignee
이동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섭 filed Critical 이동섭
Priority to KR20200800144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78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7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7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7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7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21V1/06Frames foldable or collapsi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등에 관한 것으로, 비닐지로 이루어진 외피가 외풍이나 외력에 의하여 흔들리면서 손상되지 않도록 보강력을 갖도록 한 것이다.
현재 이러한 연등은 상,하단에 개구부가 형성토록 되면서 내공간이 형성되도록 비닐지로 외피를 형성하고, 상기 외피의 내면 상,하로는 와이어를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연속되게 부착시키고, 상기 외피의 상,하측 개구부의 외측 테두리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고정밴드를 각각 결합시켜 상측 고정밴드에는 걸이수단을 형성하고 하측 고정밴드에는 초꽂이캡을 각각 형성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때 상기 고정밴드와 비닐지로 이루어진 외피는 단순한 접착이나 조립의 방식을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이 경우 연등은 고정밴드가 결합되어져 있는 외피와의 경계면으로 강한 물림이 형성되고, 공중에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는 외풍 등으로 흔들림이 발생되거나 하중으로 인한 외력의 발생 시 경계면 부위가 찢어져 손상되어짐으로서 장시간의 사용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외피의 상,하측 개구부에 후렌지를 갖고 직립벽을 갖는 보강테를 형성토록 한 후 상기 보강테에 고정밴드를 결합시켜 보강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비닐지로 이루어진 외피의 손상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연등, 비닐지, 외피, 찢어짐 방지, 후렌지

Description

외피의 찢어짐이 방지토록 된 연등 {a light for Buddhism}
본 고안은 와이어에 의하여 지지되어지는 외피가 비닐지로 이루어진 연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러한 연등을 장시간 동안 매달아 놓을 경우에도 외풍에 의하여 흔들리거나 하중에 의한 외력의 작용으로 외피가 찢어져 손상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현재 이러한 연등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단에 개구부(101)(102)가 형성토록 되면서 내공간(103)이 형성되도록 비닐지로 외피(100)를 형성하고, 상기 비닐지로 이루어진 외피(100)의 내면 상,하로는 외피의 골격 형성을 위하여 와이어(200)를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연속되게 부착토록 함으로써 외피가 상,하로 주름지게 절첩되거나 펼쳐지도록 한 것이고, 상기 외피(100)의 상측 개구부(101)의 외측 테두리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고정밴드(301)를 직립되게 결합시키고, 상측 고정밴드(301)에는 걸이수단을 형성토록 하여 상기 걸이수단을 이용하여 연등을 공중에 매달아 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하측 개구부(102)의 외측 테두리에는 초꽂이구(401)가 형성된 고정밴드(402)를 직립되게 결합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때 상기 고정밴드(301)(302)와 비닐지로 이루어진 외피(100)는 단 순한 접착이나 또는 조립의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고정밴드(301)(302)와 외피(100)의 상,하단 경계면으로 강한 물림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연등이 공중에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외풍 등으로 인한 흔들림이나 하중으로 인한 외력이 발생될 경우 고정밴드와 외피와의 경계면 부위가 쉽게 찢어져 손상되게 됨으로써 장시간의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연등이 실외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강한 바람에 의하여 쉽게 파손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외피의 상,하측 개구부와 고정밴드가 결합되는 부위에 흔들림에 의한 영향력이 없도록 보강수단을 형성하여 상기 보강수단에 의하여 경계면 부위에 보강력을 부여토록 함으로써 함으로써 비닐지로 이루어진 외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연등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연등은 외피의 상,하측 개구부에 외피의 내측 테두리면과 결합되는 후렌지와 직립벽을 갖는 보강테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테의 직립벽에 고정밴드를 결합시켜 구성토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연등은 비닐지로 이루어진 외피의 상,하측 개구부에 후렌지와 직립벽을 갖는 보강테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테에 고정밴드를 결합시켜 구성토록 함 으로써 비닐지로 이루어진 외피와 고정밴드와의 경계면 부위에 물림이 형성되지 않아 외풍이나 외력에 의한 흔들림이 발생될 경우에도 외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의 사용에도 문제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연등은, 상,하측의 대응부에 개구부(11)(12)가 형성토록 되면서 내공간(13)이 형성되도록 비닐지로 이루어진 외피(10)의 내면 상,하로는 와이어(20)가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연속되게 부착 형성되고, 상기 외피(10)의 상측 개구부(11)(12)에는 걸이수단(50)이 형성되고, 하측 개구부(12)에는 초꽂이수단(60)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외피(10)의 상측 개구부(11)에는 내측 테두리면에 결합되는 후렌지(31)와 상기 후렌지(31)의 상측으로 직립되어 상측 개구부(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직립벽(32)을 갖는 보강테(30)가 결합 고정되고, 상기 보강테(30)의 직립벽(32)에는 상기 걸이수단(50)의 결합 고정을 위한 고정밴드(40)가 결합 고정되어 외피의 찢어짐이 방지토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외피(10)의 하측 개구부(12)에는 내측 테두리면(12a)에 또 다른 고정밴드(40a)를 직립되게 결합 고정시키고, 외측 테두리면(12b)으로는 상기 고정밴드(40a)에 상기 초꽂이수단(60)이 결합 고정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밴드(40a)는 초꽂이수단(60)이 캡의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는 하측 개구부(12)의 내측 테두리면에 직립되게 형성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꽂이수단(60)이 판의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는 하측 개구부(12)의 내측 테두리면(12a)에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고정밴드(40b)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연등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개구부(12)의 내측 테두리면에 또 다른 보강테(30a)의 후렌지(31)를 결합 고정시키고, 하측 개구부(1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직립벽(32)에 상기 초꽂이수단(60)을 결합 고정시키면 초꽂이수단(60)에 꽂혀지는 초의 하중에 의한 외피의 손상까지도 동시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강테(30)(30a)의 후렌지(31)와 외피(10)의 개구부(11)(12) 내측 테두리면은 접착제(14)를 이용한 접착의 방식 또는 고정수단(60)을 이용한 조립의 방식으로 결합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고, 보강테(30)(30a)의 직립벽(32)과 상,하측 고정밴드(40a)(40b)도 접착 또는 조립의 방식으로 결합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80)을 이용하여 조립의 방식으로 결합시킬 경우, 보강테(30)(30a)와 고정밴드(40)(40a)(40b)에는 고정수단(80)의 삽입을 위한 구멍(33)(43)이 각각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피(10)의 상측 개구부(11)와 하측 개구부(12)에는 내측 테두리면에 마감밴드(70)(70a)를 형성하여 상기 마감밴드(70)(70a)에 보강테(30)(30a)의 후렌지(31)가 각각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보강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연등은, 외피(10)의 상측 개구부(11)의 내측 테두리면(11a)에 보강테의 후렌지(31)가 각각 결합되어 있고, 직립벽(32)에는 고정밴드(40)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밴드(40a)와 외피(10)와의 경계면에 전혀 물림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한편 외피(10)의 상측 개구부(11)가 보강테(30)의 후렌지(31)에 의하여 보강력이 부여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연등은 공중에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외풍에 의한 흔들림이 잘 발생치 않고, 흔들림이 발생될 경우라도 연등 전체가 흔들려 외피와 고정밴드와의 경계면이 꺽이지 않게 됨으로써 이로 인한 외피의 상측부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또한 초의 무게로 인한 외력이 발생될 경우라도 하측이 보강테(30)에 의하여 보강력을 부여토록 함으로써 이로 인한 외피의 하측부가 찢겨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종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다른실시예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종 단면도.
도 7은 종래 연등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외피 11, 12: 개구부
13: 내공간 20: 와이어
30, 30a: 보강테 31: 후렌지
32: 직립벽 40, 40a, 40b: 고정밴드
50: 걸이수단 60: 초꽂이수단
70, 70a: 마감밴드 80: 고정수단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상,하측의 대응부에 개구부(11)(12)가 형성토록 되면서 내공간(13)이 형성되도록 비닐지로 이루어진 외피(10)의 내면 상,하로 와이어(20)가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외피(10)의 상측 개구부(11)에는 걸이수단(50)이 형성되고, 하측 개구부(12)에는 초 꽂이수단(60)이 형성되는 절첩되어지는 연등에 있어서, 상기 외피(10)의 상측 개구부(11)에는 내측 테두리면에 결합되는 후렌지(31)와 상측 개구부(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직립벽(32)을 갖는 보강테(30)가 결합 고정되고, 상기 외피(10)의 상측 개구부(11) 또는 하측 개구부(12)에는 내측 테두리면에 마감밴드(70)(70a)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테(30)의 직립벽(32)에는 고정밴드(40)가 결합 고정되며, 상기 외피(10)의 하측 개구부(12)에는 내측 테두리면에 또 다른 고정밴드(40a)가 직립되게 결합 고정되고, 외측 테두리면(12b)으로는 상기 초 꽂이수단(60)이 캡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밴드(40a)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수단(50)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의 찢어짐이 방지토록 된 절첩되어지는 연등.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10)의 하측 개구부(12)에는 내측 테두리면에 또 다른 고정밴드(40b)가 수평으로 결합 고정되고, 외측 테두리면으로는 상기 초꽂이수단(60)이 판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밴드(40b)와 결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의 찢어짐이 방지토록 된 절첩되어지는 연등.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10)의 하측 개구부(12)에는 내측 테두리면에 또 다른 보강테(30a)의 후렌지(31)가 결합 고정되고, 하측 개구부(1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직립벽(32)에는 상기 초꽂이수단(60)이 결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의 찢어짐이 방지토록 된 절첩되어지는 연등.
KR2020080014411U 2008-10-29 2008-10-29 외피의 찢어짐이 방지토록 된 연등 KR2004527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411U KR200452787Y1 (ko) 2008-10-29 2008-10-29 외피의 찢어짐이 방지토록 된 연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411U KR200452787Y1 (ko) 2008-10-29 2008-10-29 외피의 찢어짐이 방지토록 된 연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715U KR20100004715U (ko) 2010-05-10
KR200452787Y1 true KR200452787Y1 (ko) 2011-03-21

Family

ID=44244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411U KR200452787Y1 (ko) 2008-10-29 2008-10-29 외피의 찢어짐이 방지토록 된 연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78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123Y1 (ko) * 2014-03-06 2016-12-16 이동섭 절첩연등의 상.하부 테두리고정을 플라스틱 캡만으로 이루어지는 절첩연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289Y1 (ko) * 1999-05-06 2002-04-03 이동섭 연등갓 받침대
KR200287245Y1 (ko) * 2002-05-24 2002-08-27 성주용 연등
JP2006044726A (ja) 2004-08-03 2006-02-16 Asahi Kasei Life & Living Corp 容器密封体
KR20070079751A (ko) * 2006-02-03 2007-08-08 성주용 연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289Y1 (ko) * 1999-05-06 2002-04-03 이동섭 연등갓 받침대
KR200287245Y1 (ko) * 2002-05-24 2002-08-27 성주용 연등
JP2006044726A (ja) 2004-08-03 2006-02-16 Asahi Kasei Life & Living Corp 容器密封体
KR20070079751A (ko) * 2006-02-03 2007-08-08 성주용 연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715U (ko) 2010-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09468A1 (en) Cordless blind structure
US20110083816A1 (en) Safety blind assembly
KR200452787Y1 (ko) 외피의 찢어짐이 방지토록 된 연등
CN105407417B (zh) 扬声器盖
KR20160050015A (ko) 차량 연결 기능을 갖는 텐트
JP7460231B2 (ja) テント
KR200459895Y1 (ko) 절첩식 연등
JP2004225397A (ja) 横型ブラインド
JP4209932B1 (ja) 傘袋
JP4534929B2 (ja) 軒樋装置
KR200470727Y1 (ko) 개구된 상.하부 테두리 고정을 위한 플라스틱 캡의 조립구조를 갖는 절첩연등
JP2014040961A (ja) 遮蔽構造、遮蔽方法および取付部材
KR200482123Y1 (ko) 절첩연등의 상.하부 테두리고정을 플라스틱 캡만으로 이루어지는 절첩연등
KR200403391Y1 (ko) 매입형 등기구
KR100300340B1 (ko) 원터치텐트
KR20100119203A (ko) 초간편 접이식 야광모기장
CN205180907U (zh) 蚊帐
KR200425022Y1 (ko) 연등의 마감구조
KR200406921Y1 (ko) 텐트
CN218295985U (zh) 一种便于安装连接绳的连接结构、盖板安装结构及天花机
KR200296325Y1 (ko) 절첩식 밥상덮개
JP4250177B2 (ja) ドーム型テント
KR200451036Y1 (ko) 서류 보관용 홀더
KR100975121B1 (ko) 접이식 연등
KR200367341Y1 (ko) 천정매입등용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7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