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784Y1 - 도로용 안전유도봉 - Google Patents

도로용 안전유도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784Y1
KR200452784Y1 KR2020100008066U KR20100008066U KR200452784Y1 KR 200452784 Y1 KR200452784 Y1 KR 200452784Y1 KR 2020100008066 U KR2020100008066 U KR 2020100008066U KR 20100008066 U KR20100008066 U KR 20100008066U KR 200452784 Y1 KR200452784 Y1 KR 2004527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reinforcing
fixing
reinforcing plate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0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식
Original Assignee
이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식 filed Critical 이기식
Priority to KR20201000080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7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7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7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용 안전유도봉에 관한 것으로, 내부는 공간이 형성된 기둥(14) 그리고 상기 기둥(14)과 한 몸을 이룬 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구멍(12)들이 최소 2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기둥(14)이 연장된 돌출관부(14a)에는 보강판 고정구(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나사(5)가 조립되는 구멍(19)을 가지는 보강턱(17)이 좌우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턱(17)의 아래쪽에는 보강판 고정구(20)의 돌출단(25)이 삽입되는 절개 홈(18)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관부(14a)의 외측으로는 다수의 보강리브(13)들이 일체로 형성된 받침대(11)로 되는 봉체(10)와; 상기 봉체(10)의 절개 홈(18) 안으로 삽입되며 고정나사(5)가 관통되는 구멍(26)을 가지는 돌출단(25)이 몸체(21)의 좌우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21)의 상면은 라운딩부(22)가 되도록 하며, 상기 라운딩부(22)의 좌우로는 보강판(30)의 몸체(31)가 관통하는 원호형의 구멍(23)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23)에는 상기 몸체(31)에 형성된 보강돌기 띠(32)들이 삽입되는 홈(24)들이 형성되며, 안으로는 상기 보강판(30)의 몸체(31)가 관통할 수 있는 공간을 제외하고 보강리브(27)들이 형성된 보강판 고정구(20)와; 상기 보강판 고정구(20)의 구멍(23)을 관통하며 상기 구멍(23)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몸체(31)와, 상기 몸체(31)에 형성된 보강돌기 띠(32)들과, 상기 몸체(31)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31)가 상기 보강판 고정구(20)의 구멍(23) 안으로 삽입될 때 쐐기의 작용을 하는 고정용 턱(33)을 가지는 2개 1조의 보강판(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안전유도봉

Description

도로용 안전유도봉{Safety Elastic Bar for Road}
도1은 본 고안을 나타낸 일부 절개 정면도.
도2는 도1의 절개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평면도(도1 기준).
도4는 본 고안의 저면도(도1 기준).
도5는 본 고안의 보강판 고정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6은 도5를 기준한 종단면도.
도7은 도5를 기준한 평면도.
도8은 도5를 기준한 저면도.
도9는 본 고안의 보강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10은 도9를 기준한 정면도.
도1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평면에서 바라 본 참고도.
본 고안은 도로용 안전유도봉에 관한 것으로, 가장 최근에 선 등록된 안전유도봉(실용신안등록 제 0446913호)에서 비롯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도로용 안전유도봉은, 차량의 운전자가 안전하게 도로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그리고 램프에 안전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안전하게 차선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유도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본 고안자는 안전유도봉에 대하여 실용신안등록 제 346220호와 실용신안등록 제 390578호로 등록받은 사실이 있다.
그러나 선 등록된 안전유도봉과 기타 국내외에서 안출된 안전유도봉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즉, 우레탄이나 기타 탄성이 우수하면서 질긴 재질로 만들어진 봉체(1)는 재질이 가지는 특성으로 인하여 차량이 큰 충격을 가하거나 또는 차량의 바퀴가 밟고 통과하였을 때 어느 정도는 복원력이 작용하여 직립되려고 하지만 현실상으로는 거의 꺾인 채로 납작하게 있거나 찢어져서 파손되거나 또는 파손되어 분실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은 미관상으로도 불량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소통에 지장을 주는 단점이 발생되고 나아가 대형의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는 폐단을 안고 있으며, 위와 같이 손상된 안전유도봉을 교체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인력과 비용은 매 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어서 지방자치단체의 도로시설물 관련 예산이 낭비되는 문제가 속출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술한 2건의 실용신안에서 비롯되었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안출된 기술을 출원하여 실용신안으로 등록(제412225호)을 받은 사실이 있다.
이는 받침대의 내부에 금속으로 된 원형의 스프링을 장치시켜서 차량이 봉체(30)에 충격을 가하거나 또는 차량의 바퀴가 밟고 지나갈 경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봉체가 직립이 되도록 한 것이 주요 기술에 해당한다.
그런데, 이를 실험한 결과 차량이 비교적 가벼운 충격을 가하고 통과하였을 경우에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봉체가 거의 직립을 유지하게 되지만 차량의 바퀴가 밟고 지나갔을 경우 차량의 중량에 의하여 스프링이 찌그러져서 결국 복귀 한계점을 벗어나기 때문에 봉체의 직립원상회복율이 30%를 초과하지 못한다는 실험결과를 얻었다.
그러므로 종래의 선 등록된 2건의 실용신안에 비하여 다소 효과는 있었으나 근원적인 문제는 해결할 수가 없었고, 스프링의 조립과정과 분리과정이 다소 까다로운 점이 단점으로 제기되었다.
이러한 종래 고안들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고안자)은 진보된 봉체직립유지수단을 접목시킨 도로용 안전유도봉을 출원하여 가장 최근에 실용신안등록 제 0446913호로 등록을 받은 사실이 있다.
이는 상술한 종래 고안들의 단점과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본 고안과 비교할 때 구조상으로는 다소 유사한 부분이 있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용신안등록 제 0446913호에 비하여 충격을 받았을 때 봉체(10)가 받침대(11)로부터 이탈하거나 찢어지는 예가 거의 없어 내구성이 상승되고 부품이 소형화가 되어 취급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즉, 상기의 실용신안등록 제0446913호는 본 고안의 도면을 기준하여 볼 때 봉체(10)를 구성하는 기둥(14)과 받침대(11)가 서로 분리되어 있고 이들을 볼트를 사용하여 조립을 한 것이기 때문에 차량에 의해 충격을 받았을 때 기둥(14)이 받침대(11)로부터 전부 이탈 또는 부분적인 이탈 현상이 발생되는 예가 있었다.
그리고 기둥(14)과 받침대(11)를 고정시키는 고정물의 크기가 크고 다소 둔탁하여 취급하기에 불편하며, 상기 고정물의 윗면에 형성된 삼각뿔 형태의 돌기들은 충격을 받았을 때 오히려 기둥의 받침부를 찢을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선 등록된 실용신안으로부터 비롯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도로용 안전유도봉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측으로는 재귀반사필름(15)들이 최소 2개 이상 감겨져 부착되고 내부는 공간이 형성된 기둥(14) 그리고 상기 기둥(14)과 한 몸을 이룬 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구멍(12)들이 최소 2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기둥(14)이 연장된 돌출관부(14a)에는 보강판 고정구(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나사(5)가 조립되는 구멍(19)을 가지는 보강턱(17)이 좌우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턱(17)의 아래쪽에는 보강판 고정구(20)의 돌출단(25)이 삽입되는 절개 홈(18)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관부(14a)의 외측으로는 다수의 보강리브(13)들이 일체로 형성된 받침대(11)로 되는 봉체(10)와;
상기 봉체(10)의 절개 홈(18) 안으로 삽입되며 고정나사(5)가 관통되는 구멍(26)을 가지는 돌출단(25)이 몸체(21)의 좌우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21)의 상면은 라운딩부(22)가 되도록 하며, 상기 라운딩부(22)의 좌우로는 보강판(30)의 몸체(31)가 관통하는 원호형의 구멍(23)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구멍(23)들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선(L1)은 상기 받침대(11)의 길이방향 중심선(L)을 기준하여15∼3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구멍(23)에는 상기 몸체(31)에 형성된 보강돌기 띠(32)들이 삽입되는 홈(24)들이 형성되며, 몸체(21)의 안쪽 중앙으로는 보강리브(27)들이 형성된 보강판 고정구(20)와;
상기 보강판 고정구(20)의 구멍(23)을 관통하며 상기 구멍(23)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높이는 폭을 대비하여 3배∼6배를 가지는 몸체(31)와, 상기 몸체(31)에 형성된 보강돌기 띠(32)들과, 상기 몸체(31)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31)가 상기 보강판 고정구(20)의 구멍(23) 안으로 삽입될 때 쐐기의 작용을 하는 고정용 턱(33)을 가지는 2개 1조의 보강판(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봉체(10)의 기둥(14)과 받침대(11)가 일체를 이루도록 하고 내부로는 기둥(14)이 휘어졌을 때 신속히 복원 및 직립이 되도록 하기 위한 보강판(30)이 구비되어 충격을 받았을 때 기둥(14)과 받침대(11)가 찢어져 분리되는 예를 없애고 기둥(14)의 복원력을 더욱 양호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내세울 수가 있는 것인 바, 먼저 봉체(10)를 살피기로 한다.
도1과 같이 상측으로는 재귀반사필름(15)들이 최소 2개 이상 감겨져 부착되고 내부는 공간이 형성된 기둥(14) 그리고 상기 기둥(14)과 한 몸을 이룬 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구멍(12)들이 최소 2개 이상(바람직하게는 3개) 형성되며, 상기 기둥(14)이 받침대(11)의 안쪽으로 연장된 돌출관부(14a)에는 후술하는 보강판 고정구(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나사(5)가 조립되는 구멍(19)을 가지는 보강턱(17)이 좌우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턱(17)의 아래쪽 즉, 도1과 도2를 기준하여 볼 때 지면을 향하는 쪽에는 보강판 고정구(20)의 돌출단(25)이 삽입되는 절개 홈(18)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관부(14a)의 외측으로는 다수의 보강리브(13)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봉체(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선 등록 고안에서와 같이 우레탄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좋으며, 전체의 색상은 붉은색이 되도록 하고 재귀반사필름(15)은 백색의 반사광을 띠는 것을 채택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기둥(14)의 직경은 위에서 아래로 향할수록 점점 커지도록 되어 있다.
다음, 본 고안의 보강판 고정구(20)를 살핀다.
이는 상기 봉체(10)의 절개 홈(18) 안으로 삽입되며 고정나사(5)가 관통되는 구멍(26)을 가지는 돌출단(25)이 몸체(21)의 좌우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21)의 상면은 라운딩부(22)가 되도록 하는데, 라운딩부(22)의 정점은 도2와 같이 상기 봉체(10)의 기둥(14)과 받침대(11)가 만나는 부분을 기준하여 10∼20mm의 높이 안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도1, 도2의 상태에서 차량이 기둥(14)에 충격을 가하거나 차량의 바퀴가 기둥(14)을 타고 넘어갈 경우, 기둥(14)의 하방부는 받침대(11) 위로 쓰러지면서 상기 라운딩부(22) 위에 눌려진 채 덮이기 때문에 만일 라운딩부(22)가 없이 편평하다면 기둥(14)의 하방부는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으며 심하게 꺾이기 때문에 이후 복원력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살피면, 상기 라운딩부(22)의 좌우로는 보강판(30)의 몸체(31)가 관통하는 원호형의 구멍(23)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도11과 같이 상기 구멍(23)들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선(L1)은 상기 받침대(11)의 길이방향 중심선(L)을 기준하여 15∼3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구멍(23)에는 상기 몸체(31)에 형성된 보강돌기 띠(32)들이 삽입되는 홈(24)들이 형성되며, 도면과 같이 안쪽 중앙으로는 보강리브(27)들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구멍(23)들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선(L1)이 상기 받침대(11)의 길이방향 중심선(L)을 기준하여 15∼30°의 각도(α)를 유지하도록 하는 이유는, 도11과 같이 차량이 주행하다가 봉체(10)를 추돌할 경우 화살표 (A)와 같이 보통 15∼30°의 각도 범위 안에서 추돌을 하기 때문에 보강판(30)은 차량의 추돌 시 진행방향에 맞서도록 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보강판(30)을 도면과 같이 대칭으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차량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주행을 하기 때문에 도11을 기준하여 화살표 (A)의 반대방향에서 주행을 하고 있던 차량이 봉체(10)를 추돌할 경우에도 역시 보강판(30)이 봉체(10)를 추돌하는 차량의 진행방향과 맞서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 본 고안의 보강판(30)을 살피기로 한다.
이는 상기 보강판 고정구(20)의 구멍(23)을 도1, 도2와 같이 관통하며 상기 구멍(23)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높이는 폭을 대비하여 3배∼6배를 가지는 몸체(31)와, 상기 몸체(31)에 형성된 보강돌기 띠(32)들과, 상기 몸체(31)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31)가 상기 보강판 고정구(20)의 구멍(23) 안으로 삽입될 때 쐐기의 작용을 하는 고정용 턱(33)을 가지는 2개 1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판(30)의 재질은, 상기 선 등록 실용신안과 같이 서모플라스틱 폴리에테르-에스터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Polyether-ester Elastomer)와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를 4:1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몸체(31)와 보강돌기 띠(32)는 보강판 고정구(20)의 구멍(23)과 홈(24) 안으로 삽입될 때 중간끼움의 공차가 가장 바람직하며, 쐐기처럼 삽입되는 고정용 턱(33)은 도2와 같이 돌출관부(14a)와 상기 몸체(31)가 약간 억지끼움식으로 고정되도록 그 돌출된 치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술한 보강판 고정구(20)의 돌출단(25)도 받침대(11)의 절개 홈(18) 안으로 중간끼움식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몸체(31)의 높이(즉, 길이)를 25cm, 폭을 6cm, 두께는 6mm로 하였음을 밝힌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각 부품들이 조립되면 마지막으로 고정나사(5)를 상기 돌출단(25)의 구멍(26)을 통해 조립시키면 고정나사(5)는 받침대(11)의 보강턱 (17)에 형성된 구멍(19)을 파고들면서 돌출관부(14a)에 보강판 고정구(20)가 견고하게 고정이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도11과 같이 도로의 적재적소에 고정된 채 안전운행을 위하여 사용이 되며, 차량이 봉체(10)를 추돌하여도 봉체(10)의 기둥(14)과 받침대(11)가 일체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기둥(14)이 받침대(11)로부터 이탈되는 예가 소멸된다.
그리고 보강판 고정구(20)의 라운딩부(22)는, 선 등록된 실용신안에 비하여 꺾인 기둥(14)의 복원력을 더욱 원활하게 하며 기둥(14)의 손상율을 감소시키게 되는데, 상기 선 등록된 실용신안의 경우 본 고안과 대비하여 볼 때 몸체(21) 위쪽의 라운딩부(22) 대신에 몸체(21) 위쪽에 "
Figure 112010502634128-utm00001
" 와 같은 양쪽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그 뾰족한 정점부로 인하여 기둥(14)이 꺾였을 때 손상될 우려가 더 높아 복원력이 불량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고안은 도3, 도11과 같이 상술한 중심선(L1) 상에 위치하도록 재귀반사시트(40)를 대칭형으로 부착을 시켜서 시인성을 더욱 좋게 할 수도 있는데, 이는 상술한 선 등록 실용신안에도 포함되어 있는 기술이다.
이상의 본 고안을 차량 추돌 시험을 통해 확인한 바, 상술한 선 등록 실용신안 제 0446913호에 비하여 기둥(14)의 복원력은 10% 정도 상승되고, 특히 기둥(14)과 받침대(11)가 이탈하는 현상은 발생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선 등록 실용신안 제 0446913호에 비하여 차량 추돌 시 기둥의 복원력이 더욱 상승되고 기둥과 받침대가 충격으로 인하여 이탈하거나 찢겨져 분리되는 예가 소멸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측으로는 재귀반사필름(15)들이 최소 2개 이상 감겨져 부착되고 내부는 공간이 형성된 기둥(14) 그리고 상기 기둥(14)과 한 몸을 이룬 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구멍(12)들이 최소 2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기둥(14)이 연장된 돌출관부(14a)에는 보강판 고정구(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나사(5)가 조립되는 구멍(19)을 가지는 보강턱(17)이 좌우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턱(17)의 아래쪽에는 보강판 고정구(20)의 돌출단(25)이 삽입되는 절개 홈(18)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관부(14a)의 외측으로는 다수의 보강리브(13)들이 일체로 형성된 받침대(11)로 되는 봉체(10)와;
    상기 봉체(10)의 절개 홈(18) 안으로 삽입되며 고정나사(5)가 관통되는 구멍(26)을 가지는 돌출단(25)이 몸체(21)의 좌우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21)의 상면은 라운딩부(22)가 되도록 하며, 상기 라운딩부(22)의 좌우로는 보강판(30)의 몸체(31)가 관통하는 원호형의 구멍(23)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구멍(23)들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선(L1)은 상기 받침대(11)의 길이방향 중심선(L)을 기준하여15∼3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구멍(23)에는 상기 몸체(31)에 형성된 보강돌기 띠(32)들이 삽입되는 홈(24)들이 형성되며, 몸체(21)의 안쪽 중앙으로는 보강리브(27)들이 형성된 보강판 고정구(20)와;
    상기 보강판 고정구(20)의 구멍(23)을 관통하며 상기 구멍(23)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높이는 폭을 대비하여 3배∼6배를 가지는 몸체(31)와, 상기 몸체(31)에 형성된 보강돌기 띠(32)들과, 상기 몸체(31)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31)가 상기 보강판 고정구(20)의 구멍(23) 안으로 삽입될 때 쐐기의 작용을 하는 고정용 턱(33)을 가지는 2개 1조의 보강판(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안전유도봉.
KR2020100008066U 2010-07-29 2010-07-29 도로용 안전유도봉 KR2004527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066U KR200452784Y1 (ko) 2010-07-29 2010-07-29 도로용 안전유도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066U KR200452784Y1 (ko) 2010-07-29 2010-07-29 도로용 안전유도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784Y1 true KR200452784Y1 (ko) 2011-03-21

Family

ID=44244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066U KR200452784Y1 (ko) 2010-07-29 2010-07-29 도로용 안전유도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78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096Y1 (ko) 2001-06-23 2001-10-17 최창규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KR200446913Y1 (ko) 2007-08-24 2009-12-09 이기식 도로용 안전유도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096Y1 (ko) 2001-06-23 2001-10-17 최창규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KR200446913Y1 (ko) 2007-08-24 2009-12-09 이기식 도로용 안전유도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8231B2 (en) Traffic control marker including a reinforced retaining member
KR101191142B1 (ko) 가드레일용 지주 고정장치
KR101007728B1 (ko) 가드레일
KR100827373B1 (ko) 탄성 지지봉용 하부 고정부
KR101499459B1 (ko) 조립식 안전 볼라드
KR200452784Y1 (ko) 도로용 안전유도봉
KR20120007395A (ko) 충격흡수성 및 형태복원성을 보강한 가드레일구조물
KR200414622Y1 (ko) 도로 경계 표시봉
KR200446913Y1 (ko) 도로용 안전유도봉
KR101414511B1 (ko) 체결 및 고정이 용이한 표지판을 구비하는 가드레일
KR101519596B1 (ko) 조립식 충격흡수 볼라드
KR200446914Y1 (ko) 도로용 안전유도대
KR200287820Y1 (ko) 안전 유도대
KR200355877Y1 (ko) 도로용 안전펜스
KR20210001490A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가드레일 결합구조체
KR200207038Y1 (ko) 충격완화용 중앙분리대
KR20150108593A (ko) 지상돌출형 지상지지력보강대가 구비된 가드레일, 및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
KR101310010B1 (ko) 도로 안전가이드
JP5639219B2 (ja) 道路用標示体
KR100935086B1 (ko) 충격완화 저지봉
JP6963523B2 (ja) ガードケーブル
JP5341805B2 (ja) 道路用標示体
KR20150135870A (ko) 이단차 동시항타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 및 이단차동시항타정
KR102513935B1 (ko) 도로용 광고 휀스
KR200474514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