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566Y1 - 스프링보호용 캡이 구비된 밀대용 홀더 - Google Patents
스프링보호용 캡이 구비된 밀대용 홀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2566Y1 KR200452566Y1 KR2020080006687U KR20080006687U KR200452566Y1 KR 200452566 Y1 KR200452566 Y1 KR 200452566Y1 KR 2020080006687 U KR2020080006687 U KR 2020080006687U KR 20080006687 U KR20080006687 U KR 20080006687U KR 200452566 Y1 KR200452566 Y1 KR 20045256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
- spring
- mop
- rod
- push ro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Wire frames
- A47L13/252—Wire frames for mops of textile fringes or the like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의 밀대용 홀더에 결합되는 금속재 코일스프링(이하 '스프링')이 물에 의해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스프링보호용 캡이 구비된 밀대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밀대용 홀더에 의하는 경우 걸레를 밀대에 고정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됨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손이나 옷자락, 걸레 가닥이 끼일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걸레를 사용하면서 물세척을 할 때 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스프링 표면에 전체적으로 녹이 슬어 스프링 기능이 전체적으로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녹이 슬게 된다 하더라도 걸레를 결착했을 때 스프링의 전체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외관도 좋게 할 수 있다.
밀대, 홀더, 캡, 스프링
Description
본 고안은 기존의 밀대용 홀더에 결합되는 금속재 코일스프링(이하 '스프링')이 물에 의해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스프링보호용 캡이 구비된 밀대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밀대용 홀더는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봉이나 막대 형태의 밀대에 걸레를 붙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밀대용 홀더에 관하여는 다수의 발명이나 고안에 제안되어 있는데, 종래의 밀더 홀더는 대부분 결착대의 하부에 밀대걸레를 걸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프링이 작동대의 조작에 의하여 결착대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지지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압착부와 결착대의 하부 사이가 떨어지게 되며, 밀대걸레를 그 사이에 넣어 작동대를 밀대용 막대나 봉에 맞대어지게 회전시켜 고정하게 되어 있어 금속재 스프링의 탄성력(복원력)을 이용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걸레를 밀대에 결착시키는 홀더를 사용하는 경우 스프링을 홀더에 결합할 때 작동대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결합통공에 스프링의 상부 일측단을 걸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나아가 밀대걸레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스프링이 자체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스프링결합 통공에 걸려져 있던 일측단이 스프링결합통공으로부터 빠져나와서 스프링이 밀대용 홀더로부터 분리되는 일이 발생되어 다시 스프링을 재결합시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밀대봉 외부에 스프링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밀대걸레를 착탈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나 피복이 결착대에 끼이거나 스프링의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었으며, 밀대걸레로 청소를 하는 도중이나 밀대걸레를 세척하는 중에 밀대걸레의 가닥이 스프링 사이에 끼워지게 되고, 이렇게 끼워진 밀대걸레를 일일이 손으로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도 남아 있었다.
특히.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종래의 밀대홀더는 사용한 걸레에 대해 물세척을 하는 경우 물과의 접촉으로 인해서 스프링 표면에 녹이 슬면서 결합된 지지몸체와 작동대까지도 녹물이 묻어서 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이 부식됨으로 인하여 탄성력이 떨어지거나 고장이 나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걸레를 밀대에 착탈시킬 때 스프링의 탄성력은 그대로 활용하되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됨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스프링 이탈현상이나 걸레를 착탈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손이나 옷자락이 끼이는 현상이나 걸레의 가닥이 끼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을 외부로부터 감싸서 노출이 되지 않도록 하는 밀대용 홀더 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또한,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음으로 인해 걸레에 대해 물세척을 하는 경우 물과의 접촉으로 인해서 스프링 표면에 녹이 슬면서 스프링 자체의 기능에 열화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녹이 슬어 외관상 좋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밀대용 홀더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스프링보호용 캡이 구비된 밀대용 홀더는,
밀대봉이 삽입고정되는 밀대봉삽입구가 상부에 형성되고 밀대걸레가 압착되는 요철형태의 안착부가 하부에 길이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밀대걸레를 몸체 하부에 결착시키는 결착대와 상기 밀대봉삽입구의 외부 둘레에 끼워져 위치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위에서 누르는 캡 형태의 캡부와 결착대의 결합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착대결합공이 중심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캡부의 외부에 형성된 캡고정편에 힌지축을 이용하여 결합되도록 캡결합공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부로 구성되는 밀대용 홀더에 있어서, 상기 밀대봉삽입구의 하부의 외부 표면에는 서로 마주보며 대응되도록 한 쌍 이상의 스프링지지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의 외부 표면에는 서로 마주보며 대응되도록 한 쌍의 결합고정편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부는 밀대걸레를 결착하였을 때 상기 스프링을 완전히 외부에서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밀대봉삽입구의 길이에 대응되어 형성되며, 상부의 표면 일측에 는 한 쌍으로 중심부에 상기 작동부의 캡결합공과 연통되어 상기 힌지축이 관통되 어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캡고정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의 내부 둘레에는 상기 결합고정편과 비틀림 결합 후 상기 결합고정편의 하부에 밀착결합되는 한 쌍의 캡부결합편이 서로 마주보며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고안에 의한 스프링보호용 캡이 구비된 밀대용 홀더는 상기 작동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의 간격은 상기 밀대봉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밀대걸레를 끼워 본체에 장착을 한 후에 작동부가 완전히 밀대봉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하여 사용시에 작동부가 풀어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보호용 캡이 구비된 밀대용 홀더는,
걸레를 밀대에 착탈시킬 때 스프링의 탄성력은 그대로 활용하되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됨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스프링 이탈현상이나 걸레를 착탈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손이나 옷자락이 끼이는 현상이나 걸레의 가닥이 끼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을 외부로부터 감싸서 노출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걸레에 대해 물세척을 하는 경우에도 스프링보호용 캡에 의해 스프링이 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프링 표면에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다른 장점이 있다.
또한 스프링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녹이 슨다 하더라도 걸레를 장착하여 사용 할 때에는 스프링이 완전히 내장되어 외부에서 녹이 스는 것을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관상 좋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이하, 제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스프링보호용 캡이 구비된 밀대용 홀더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몸체(100)는 종래의 밀대에서 사용하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 형태로 구성되며, 상부 중심에는 밀대봉(1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밀대봉삽입구(110)가 형성되어 있다. 밀대봉(10)은 목재나 플라스틱 재질의 봉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밀대봉삽입구(110)에 끼워져 몸체에 고정된다. 한편 몸체의 하부에는 그 길이를 따라 요철 형태를 가지는 안착부(120)가 형성되어 있는데 밀대걸레가 결착대(200)에 걸쳐진 후에 결착되어 몸체(100)의 하부에 고정되는 경우에 밀대걸레가 청소를 하는 도중의 외부 충격에도 몸체(100)에 안정되게 결합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한편, 밀대봉삽입구(110)는 통상적인 밀대홀더의 밀대봉삽입구와는 달리 그 길이가 길도록 형성되는데, 밀대봉삽입구(110)의 상부로부터 스프링이 끼워져 밀대봉삽입구(110)의 외부 둘레에 스프링(300)이 위치하게 되므로 밀대봉삽입구(100)의 길이는 압력을 가하지 않았을 때의 스프링(300)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프링(300)이 밀대봉삽입구(110)의 외부 둘레에 끼워져 위치하는 경우에 자칫 상부에서 캡부(400)가 누르 는 압력에 의해 몸체 하부로 밀려서 스프링(300)이 제대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없으므로 스프링이 항상 밀대봉삽입구(110)의 외부 둘레에 고정되어 위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밀대봉삽입구의 하부의 외주 표면에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스프링지지돌출부(111)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스프링은 밀대봉삽입구(110)의 상부로부터 끼워져 상기 스프링지지돌출부(111)의 윗면에 닿아서 밀대봉삽입구(110)의 외부 둘레에 위치하게 되며 걸레가 결착되어 캡부(400)에 의해 상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몸체 부분으로 밀리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스프링(300)을 외부에서부터 감싸도록 형성된 캡 형태를 가지는 캡부(400)는 스프링(300)이 밀대봉삽입구(110)의 외부 둘레에 끼워진 후에 스프링의 윗부분을 누르면서 밀대봉삽입구(110)에 끼워져 결합되는데, 밀대봉삽입구(110)의 상부의 외부 둘레에 한 쌍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고정편(112)과 서로 대응되도록 캡의 상부 내주면에 한 쌍의 캡부결합편(420)을 돌출 형성시켜 캡부(400)를 밀대봉삽입구(110)에 끼우기 위해 삽입을 할 때에는 캡부(400)를 90°로 비틀어 결합고정편(112)과 캡부결합편(420)이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한 쌍의 결합고정편(420)의 양단에 형성된 공간으로 결합고정편(112)을 끼운 다음 캡부(400)를 다시 90°로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자체 회전을 시켜 결합고정편(112)의 아랫면에 캡부결합편(420)의 윗면이 서로 접하도록 하여 밀대걸레를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라도 스프링(300)이나 캡부(400)가 이탈되지 않고 일정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특히 종래의 밀대홀더와는 달리 스프링(300)의 어느 일측을 캡부(400)나 작동부(500)의 어느 부분에도 고정시키지 않기 때문에 스프링의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캡부(400)나 작동부(500)의 일측 중 스프링(300)과 연결된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캡부(400)의 길이도 상기 밀대봉삽입구(110)의 길이에 대응되어 결정하여야 하는데, 밀대걸레를 몸체(100)에 결착하였을 때에는 캡부(400)로 인해 상기 스프링(300)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캡부(400)의 상부 외측면에는 중심에 힌지통공(411)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캡고정편(410)이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캡고정편(410)의 사이에 양측에 각각 캡결합공(520)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작동부(500)의 하부측단이 위치하게 되며 상기 힌지통공(411)과 캡결합공(520)이 서로 연통되도록 위치를 시킨 후에 힌지축(600)을 이용하여 관통하여 힌지결합을 시키게 된다. 아울러 결착대(200)의 개구되어 있는 측의 내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210)가 각각 양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작동부(500)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양 측면에는 각각 결착대결합공(510)이 형성되어 있어 결착대(200)를 몸체에 결합시킬 때 상기 결착대결합공(510)에 결합돌기(210)를 각각 끼워서 몸체에 고정시켜 결합시키게 된다. 따라서 밀대걸레를 몸체에 결착시키는 경우가 아닐 때에는 작동부(500)가 힌지축(600)을 중심으로 힌지회동을 통해 외부로 꺾여서 결착대(200)와 몸체(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부(120) 사이에 일정한 유격이 형성되도록 하며, 밀대걸레를 끼워서 몸체(100)에 밀대걸레를 결착고정시킬 때에는 상기 작동부(500)를 상부로 힌지회동시켜 결착대(200)와 몸체(100) 사이에 유격이 없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작동부(500)는 일측면이 길이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하부는 좁아져 수렴되도록 형성시킨 후에 캡결합공(520)을 관통시켜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때 개구되어 있는 부분의 간격은 상기 밀대봉(10)의 직경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작동부(500)를 밀대봉(10)에 평행하도록 위치하게 하여 밀대걸레를 몸체(100)에 결착시키는 경우에는 밀대걸레를 사용하는 도중에 스프링(300)의 반발력으로 인해 자칫 작동부(500)가 다시 외부로 힌지회동을 한 후 꺾여져 밀대걸레에 대한 결착력이 해제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동부(500)를 밀대봉(10)에 단단히 끼워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작동부(500)는 밀대봉(10)에 착탈을 다수 회 반복하여야 하므로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하여 작동부(500)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밀대봉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작동부(500)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의 양 측단은 도면과 같이 전면으로부터 양 측단을 향해 라운딩 처리를 테이퍼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밀대용 홀더 중 캡부의 구성에 관한 단면 중 밀대걸레가 결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밀대걸레가 결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밀대걸레가 몸체(100)에 결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캡부(400)의 상부 내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캡부결합편(420)이 밀대봉삽입구(110)의 상부의 외부 둘레에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고정편(112)의 하부에 단단히 밀착되어 있어 위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이때 스프링(300)은 캡부(400)로부터 압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캡부(400)는 밀대봉삽입구(110)의 하부 외부 둘레에 돌출되어 형성된 스프링지지돌출부(111)의 위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300)의 하부까지 차단하게 되 며 외부에서는 상기 스프링지지돌출부(111)의 아래의 일부가 외부에서 보이게 된다.
그러나, 밀대걸레를 몸체(100)에 결착시킨 경우에는 작동부 및 캡부(400)에 의해 스프링(300)에 압력이 가해지게 되어 스프링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며, 캡부(400)에 의해 외부에서 볼 때 스프링(300) 및 상기 스프링지지돌출부(111)가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된다. 이때 캡부(400)는 몸체 방향으로 압력을 작동부에 의해 받게 되므로 밀대봉삽입구(110)의 외부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고정편(111)과 캡부(400)의 상부 내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캡부결합편(420) 사이는 일정한 유격이 생기게 되고 이러한 유격만큼 캡부(400)가 내려가게 되어 스프링(300)과 스프링지지돌출부(111)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게 한다. 한편, 캡부(400)의 하부가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직접적으로 닿을 때까지 압력을 주게 되는데, 압력에 의해 캡부(400)가 파손되지 않고 단단히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캡부(400)의 하부가 직접 몸체에 닿는 부분에도 지지턱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밀대용 홀더에 걸레가 완전히 결착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밀대걸레가 몸체(100)에 결착된 경우에는 캡부(400)가 완전히 스프링을 덮도록 되어 있으므로 스프링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으며, 하부에 살짝 밀대봉삽입구의 하부 외부둘레에 돌출되어 형성된 스프링지지돌출부(111)만 보이게 된다. 아울러 결착대(200)도 몸체(100)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부(120)에 대응되어 결합되게 된다. 밀대걸레를 결합시킨 경우에는 작동부(500)와 캡부(400)가 스프링을 압축시켜 결착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작동부(500)는 힌지축(600)에 의해 캡부(400)에 힌지결합된다. 밀대걸레가 몸체에 결합될 때에는 밀대봉이 삽입고정된 상태이나 본 도에서는 밀대봉은 도시하지 않았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스프링보호용 캡이 구비된 밀대용 홀더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밀대용 홀더 중 캡부의 구성에 관한 단면 중 밀대걸레가 결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밀대걸레가 결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밀대용 홀더에 걸레가 완전히 결착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에 대한 설명>
10 : 밀대봉 20 : 밀대걸레
100 : 몸체 110 : 밀대봉삽입구
120 : 안착부 200 : 결착대
300 : 스프링 400 : 캡부
500 : 작동부 600 : 힌지축
Claims (2)
- 밀대봉이 삽입고정되는 밀대봉삽입구가 상부에 형성되고 밀대걸레가 압착되는 요철형태의 안착부가 하부에 길이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밀대걸레를 몸체 하부에 결착시키는 결착대와 상기 밀대봉삽입구의 외부 둘레에 끼워져 위치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위에서 누르도록 형성된 캡 형태의 캡부와 결착대의 결합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착대결합공이 중심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캡부의 외부에 형성된 캡고정편에 힌지축을 이용하여 결합되도록 캡결합공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부로 구성되는 밀대용 홀더에 있어서,상기 밀대봉삽입구의 하부의 외부 표면에는 서로 마주보며 대응되도록 한 쌍 이상의 스프링지지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의 외부 표면에는 서로 마주보며 대응되도록 한 쌍의 결합고정편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캡부는 밀대걸레를 결착하였을 때 상기 스프링을 완전히 외부에서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부의 표면 일측에는 한 쌍으로 중심부에 상기 작동부의 캡결합공과 연통되어 상기 힌지축이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캡고정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의 내부 둘레에는 상기 한 쌍의 결합고정편의 양단에 형성된 공간으로 끼워진 다음 자체회전되면 상기 결합고정편의 하부에 밀착결합되는 한 쌍의 캡부결합편이 서로 마주보며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보호용 캡이 구비된 밀대용 홀더.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작동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의 간격은 상기 밀대봉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보호용 캡이 구비된 밀대용 홀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6687U KR200452566Y1 (ko) | 2008-05-23 | 2008-05-23 | 스프링보호용 캡이 구비된 밀대용 홀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6687U KR200452566Y1 (ko) | 2008-05-23 | 2008-05-23 | 스프링보호용 캡이 구비된 밀대용 홀더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2025U KR20090012025U (ko) | 2009-11-26 |
KR200452566Y1 true KR200452566Y1 (ko) | 2011-03-14 |
Family
ID=44244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06687U KR200452566Y1 (ko) | 2008-05-23 | 2008-05-23 | 스프링보호용 캡이 구비된 밀대용 홀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2566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2189B1 (ko) * | 2011-09-01 | 2013-03-15 | 이대석 | 스프링 보호용 캡이 구비된 밀대용 홀더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24187U (ko) * | 1990-03-22 | 1991-12-17 | ||
JPH0585352A (ja) * | 1991-09-25 | 1993-04-06 | Mazda Motor Corp | ハイドロリツクブースタの警報装置 |
KR970000473Y1 (ko) * | 1994-12-23 | 1997-01-24 | 최정백 | 자루 달린 걸레몸통에 걸레포결착용 스프링의 지지구조 |
KR200400829Y1 (ko) | 2005-08-22 | 2005-11-09 | 유명숙 | 밀대 홀더 |
-
2008
- 2008-05-23 KR KR2020080006687U patent/KR20045256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24187U (ko) * | 1990-03-22 | 1991-12-17 | ||
JPH0585352A (ja) * | 1991-09-25 | 1993-04-06 | Mazda Motor Corp | ハイドロリツクブースタの警報装置 |
KR970000473Y1 (ko) * | 1994-12-23 | 1997-01-24 | 최정백 | 자루 달린 걸레몸통에 걸레포결착용 스프링의 지지구조 |
KR200400829Y1 (ko) | 2005-08-22 | 2005-11-09 | 유명숙 | 밀대 홀더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2189B1 (ko) * | 2011-09-01 | 2013-03-15 | 이대석 | 스프링 보호용 캡이 구비된 밀대용 홀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2025U (ko) | 2009-1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475011A1 (en) | Cosmetics case | |
US20070226865A1 (en) | Arrangement for securing a hearing protector to a helmet and a helmet with such an arrangement | |
JP2013531148A (ja) | 保護ヘルメットに取り付けられる耳保護具 | |
KR200452566Y1 (ko) | 스프링보호용 캡이 구비된 밀대용 홀더 | |
KR200443096Y1 (ko) | 한 손으로 체결가능한 귀걸이 | |
CN205134026U (zh) | 分配器盒组件及洗衣机 | |
JP3231885U (ja) | クリップ式イヤリング | |
KR101242189B1 (ko) | 스프링 보호용 캡이 구비된 밀대용 홀더 | |
CN209833851U (zh) | 一种摩托车挂钩 | |
CN209899100U (zh) | 一种水壶和壶盖的翻转机构 | |
CN204677020U (zh) | 一种带钢缆马蹄锁 | |
KR100569887B1 (ko) | 붙임머리 탈부착 장치 | |
CN213487353U (zh) | 一种安全性高的伞具 | |
CN204379180U (zh) | 一种带收纳倾倒容器的尘推 | |
KR200419376Y1 (ko) | 밀대홀더 | |
KR200381743Y1 (ko) | 긴밀한 조직구조를 이룬 손잡이형 수세미 | |
KR20050018836A (ko) | 문 손 끼임 방지구 | |
JP3225452U (ja) | ごみ袋用スタンド | |
KR200433888Y1 (ko) | 메모지 홀더 | |
CN214547166U (zh) | 便携式烟盒 | |
CN206714262U (zh) | 一种手镯 | |
CN216517331U (zh) | 一种手柄锁 | |
KR100696893B1 (ko) | 밀대홀더 | |
KR101508713B1 (ko) | 클립식 단추커버 | |
CN200999132Y (zh) | 推动式烟盒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