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433Y1 - 상 전환 유니트를 포함한 버스 관로 - Google Patents

상 전환 유니트를 포함한 버스 관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433Y1
KR200452433Y1 KR2020080017539U KR20080017539U KR200452433Y1 KR 200452433 Y1 KR200452433 Y1 KR 200452433Y1 KR 2020080017539 U KR2020080017539 U KR 2020080017539U KR 20080017539 U KR20080017539 U KR 20080017539U KR 200452433 Y1 KR200452433 Y1 KR 2004524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bus
unit
phase switching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75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115U (ko
Inventor
주지증
정찬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75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43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1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1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4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4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버스 관로는, 외장을 형성하는 케이스; 배전부에서 수전부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를 따라 각 상별로 연장되는 복수의 버스 바; 상기 배전부에 연결된 상류측 버스 관로의 상 배열에 대하여 상기 수전부에 연결된 하류측 버스 관로의 상 배열을 전환하도록 상기 상류측 버스 관로 및 상기 하류측 버스 관로 사이에 삽입되는 상 전환 유니트;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 전환 유니트를 포함한 버스 관로{BUS WAY INCLUDING A PHASE TRANSLATION UNIT}
본 고안은 전력 설비에 설치되는 버스 관로에 관한 것으로서, 상 전환 유니트를 포함한 버스 관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매개체로 케이블을 주로 사용해 왔으나, 최근에는 버스 관로(bus way)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버스 관로는 대전류 용량의 배선을 필요로 하는 곳에서 널리 사용되는 첨단 배전 방식으로서, 종래의 케이블을 이용한 레이스 웨이(Race Way) 시스템이 가진 문제점, 예컨대 콘센트 위치나 구조 변경이 곤란하고 케이블 연결작업의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인건비 및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시스템으로서 최근들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이다.
본 고안은 버스 관로 내부에 상 전환 유니트를 마련함으로써, 버스 관로 양단부의 전력 배선의 상 배열 순서가 어떤 형태를 취하더라도 이에 구애받지 않고 버스 관로의 설치 형상이나 설치 공간을 임의로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버스 관로의 사용이 늘면서 다양한 설치 조건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충족하기 위하여 버스 관로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상 배열 순서를 불문하고 동일한 공간에 동일한 외형의 버스 관로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상 전환 유니트를 제안함으로써 설계 유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버스 관로는, 외장을 형성하는 케이스; 배전부에서 수전부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를 따라 각 상별로 연장되는 복수의 버스 바; 상기 배전부에 연결된 상류측 버스 관로의 상 배열에 대하여 상기 수전부에 연결된 하류측 버스 관로의 상 배열을 전환하도록 상기 상류측 버스 관로 및 상기 하류측 버스 관로 사이에 삽입되는 상 전환 유니트;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상 전환 유니트는, 상기 상류측 버스 관로에 마련된 어느 한 상의 버스 바에 대하여 상기 하류측 버스 관로에 마련된 동일 상의 버스 바의 공간 위치를 바꾸어 연결함으로써, 상기 상 배열을 전환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상 전환 유니트는, 상기 상류측 버스 관로의 어느 한 상의 버스 바의 연장 방향의 일측면으로 돌출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하류측 버스 관로의 상기 제1연장부와 동일 상의 버스 바의 연장 방향의 일측면으로 돌출되는 제3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3연장부를 연결하는 제2연장부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상 전환 유니트는, 상기 상류측 버스 관로에 마련된 어느 한 상의 버스 바에 대하여 상기 하류측 버스 관로에 마련된 동일 상의 버스 바를 'ㄷ'자 단면 형상으로 연결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버스 바는 R상 버스 바, S상 버스 바 및 T상 버스 바를 구비하고, 상기 상 전환 유니트는 상기 상류측 버스 관로의 R상 버스 바 및 상기 하류측 버스 관로의 R상 버스 바를 연결하는 R상 전환부와, 상기 상류측 버스 관로의 S상 버스 바 및 상기 하류측 버스 관로의 S상 버스 바를 연결하는 S상 전환부와, 상기 상류측 버스 관로의 T상 버스 바 및 상기 하류측 버스 관로의 T상 버스 바를 연결하는 T상 전환부를 구비하며, 상기 R상 전환부는 제1방향의 개구부를 갖는 'ㄷ'자 단면 형상이고, 상기 T상 전환부는 상기 제1방향의 역방향인 제2방향의 개구부를 갖는 'ㄷ'자 단면 형상으로서 상기 R상 전환부의 개구부에 그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S상 전환부는 상기 R상 전환부 및 상기 T상 전환부에 의하여 포위된 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상 전환 유니트는, 상기 상류측 버스 관로의 버스 바 및 상기 하류측 버스 관로의 버스 바를 각 상별로 연결하는 복수의 전환부와, 상기 전환부를 감싸서 보호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상기 케이스에 연결하는 볼트를 구비한다.
한편, 본 고안의 버스 관로는, 제1상, 제2상 및 제3상별로 연장되는 적어도 3개의 버스 바가 케이스에 내장된 것으로, 배전부에서 연장된 상류측 버스 관로 및 수전부에서 연장된 하류측 버스 관로; 상기 상류측 버스 관로 및 상기 하류측 버스 관로 사이에 삽입되어 상 배열을 전환하는 것으로, 상기 제1상의 버스 바를 서로 연결하는 제1상 전환부, 상기 제2상의 버스 바를 연결하는 제2상 전환부 및 상기 제3상의 버스 바를 연결하는 제3상 전환부를 구비하는 상 전환 유니트;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상 전환부, 상기 제2상 전환부 및 상기 제3상 전환부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전환부들을 우회하며 동일 상의 버스 바를 'ㄷ'자 단면 형상으로 연결한다.
본 고안의 버스 관로에 따르면, 버스 관로 양단부의 전력 배선의 상 배열 순서가 어떤 형태를 취하더라도 이에 구애받지 않고 버스 관로의 설치 형상이나 설치 공간을 임의로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자유도를 제공하며, 콤팩트한 공간에 버스 관로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과 설계 유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버스 관로 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버스 관로는 외장을 이루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케이스 내부에 종래의 케이블에 대응되는 도체 부분으로서 버스 바(bus bar)의 배열을 구비한다. 케이스 내부에 배열되는 버스 바는 전송하고자 하는 전력의 상 개수 이상으로 마련되며 복수의 도체 관을 케이스를 따라 길게 연장한 형상이다.
버스 관로는 종래의 케이블과 같은 도체를 사용하지만, 많은 양의 전기를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크고 다양한 용량의 전기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전기 시설의 전로 역할을 하는 시스템으로 적용되고 있다. 버스 관로의 사용이 늘면서 다양한 설치 조건이 요구되고 있으며, 본 고안의 상 전환 유니트는 이러한 다양한 설치 조건을 유연성 있게 충족하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도 1은 본 고안과 대비되는 비교 실시예로서, 상 전환 유니트가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 버스 관로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비교 실시예에 해당하는 버스 관로의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는 버스 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버스 관로(10)는 장비 위치에 따라서 배전부(20)에서 수전부(30)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소정의 루트(route)를 이루며 시공된다. 양쪽 단말부인 배전부(20) 및 수전부(30)에서 상 배열을 읽어보면 x축 방향을 따라 배전부(20)에서 T-S-R 순서로 되어 있고, 이와 동일하게 수전부(30)에서 T-S-R 순서로 되어 있다. 이때, 도 2와 같이 T-S-R 순서로 적층된 3개의 버스 바(40T, 40S, 40R)가 케이스(14) 내부에 설치된다면, 케이스(14)의 배치 형상에 있어서 도 1과 같이 'C' 자 형상의 우회 경로가 추가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우회 경로는 버스 관로(10)의 설치 공간 및 배치 형상을 제약하는 한계점이 되므로 본 고안의 상 전환 유니트가 왜 필요하게 되는지를 잘 설명해 준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케이블과 달리 버스 관로(10)는 한 번 가공된 후에는 임의의 형상으로 휘거나 구부릴 수 없으므로, 미리 소정 형상으로 제조된 여러 조각의 관로 유니트(11a, 11b, 11c, 11d, 11e)를 서로 조립함으로써 전체의 버스 관로(10)를 완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배전부(20)에 수직 방향으로 'ㄱ'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제1관로 유니트(11a)가 배치되고, 이어서 '1' 자 형상의 제2관로 유니트(11b)가 연결되며, 다음으로 2개의 꺾임부를 구비한 제3관로 유니트(11c), 한 개의 꺾임부를 구비한 제4관로 유니트(11d), XY평면에서 한 개의 꺾임부를 갖고 YZ평면에서 한 개의 꺾임부를 구비한 제5관로 유니트(11e)를 조립함으로써 전체의 버스 관로(10)가 완성된다.
이때 배전부(20) 및 수전부(30)의 상 배열을 T-S-R 순서로 일치시키기 위하 여 제3관로 유니트(11c), 제4관로 유니트(11d), 제5관로 유니트(11e)로 이루어진 'C' 자 형상의 우회 경로를 마련하여야 하는 설계상 제한점을 발견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우회 경로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전부(20) 및 수전부(30)를 최단 거리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버스 관로(10)의 외관 형상이 동일한 경우에, 상 전환 유니트를 버스 관로(10)의 가운데에 개재함으로써 배전부(20) 및 수전부(30)의 상 배열을 사용자가 원하는 어떠한 형태로도 변경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버스 관로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버스 관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절단면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상 전환 유니트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버스 관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고안의 버스 관로(100)는 외장을 형성하는 케이스(140)와, 케이스(140) 내부에 마련되는 다수의 버스 바(400R, 400S, 400T, 400R', 400S', 400T')와, 배전부(200) 및 수전부(300) 사이에 개재되어 상 배열 순서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게 하는 상 전환 유니트(500)를 포함한다.
버스 바(400R, 400S, 400T, 400R', 400S', 400T')의 예로서 중공의 도체 파이프를 들 수 있으며, 케이스(140) 내부를 따라 배전부(200)와 수전부(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각 상 별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버스 바(400R, 400S, 400T, 400R', 400S', 400T')는 복수로 마련된다.
상 전환 유니트(500)는 배전부(200)에 연결된 상류측 버스 관로(100a)(이를 줄여서 '상류측' 으로 부르기도 한다) 및 수전부(300)에 연결된 하류측 버스 관 로(100b)(이를 줄여서 '하류측'으로 부르기도 한다)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상류측 버스 관로(100a)에 마련된 버스 바(400R, 400S, 400T)의 상 배열에 대하여 하류측 버스 관로(100b)에 마련된 버스 바(400R', 400S', 400T')의 상 배열을 임의의 순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상 전환 유니트(500)는 상류측 및 하류측의 버스 바(400R, 400S, 400T, 400R', 400S', 400T')를 각 상 별로 연결하는 복수의 전환부(500R, 500S, 500T)와, 전환부(500R, 500S, 500T)를 감싸서 보호하는 커버(540)와, 커버(540)를 케이스(140)에 연결하는 볼트(550)를 구비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류측 버스 관로(100a) 및 하류측 버스 관로(100b) 사이에 상 전환 유니트(500)의 커버(540)가 볼트(550)로 조립되는 설치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 전환 유니트(500)에 위치한 버스 바(400R, 400S, 400T, 400R', 400S', 400T')의 일부와 상류측 및 하류측의 버스 바(400R, 400S, 400T, 400R', 400S', 400T')는 구리나 알루미늄 재질로 된 커넥터(56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 전환 유니트(500)는, 상류측 버스 관로(100a)에 마련된 어느 한 상의 버스 바(예를 들어 400R)에 대하여 하류측 버스 관로(100b)에 마련된 동일 상의 버스 바(예를 들어 400R')의 공간 위치를 바꾸어 연결함으로써 상 배열을 전환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상 전환 유니트(500)는, 상류측의 T상 버스 바(400T)가 z축 방향으로 맨 위에 배치되는 경우에 하류측의 T상 버스 바(400T')가 z축 방향으로 맨 아래에 배치될 수 있도록, T상 전환부(500T)를 구비한다. 한편, 상류측 의 R상 버스 바(400R)가 z축 방향으로 맨 아래에 배치되는 경우에 하류측의 R상 버스 바(400R')가 z축 방향으로 맨 위에 배치될 수 있도록, R상 전환부(500R)를 구비한다.
이러한 R상 배열의 전환을 위하여, R상 전환부(500R)는 상류측의 R상 버스 바(400R)의 연장 방향(양의 x축 방향)의 일측면(음의 y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연장부(501R)와, 하류측 R상 버스 바(400R')의 연장 방향(음의 x축 방향)의 일측면(음의 y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3연장부(503R)와, 제1연장부(501R) 및 제3연장부(503R)를 연결하는 제2연장부(502R)를 구비한다. 제2연장부(502R)는 제1연장부(501R) 및 제3연장부(503R)와 평행한 xy평면에 수직하도록 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또한, T상 배열의 전환을 위하여 T상 전환부(500T)는 상류측의 T상 버스 바(400T)의 연장 방향(양의 x축 방향)의 일측면(양의 y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연장부(501T)와, 하류측 R상 버스 바(400R')의 연장 방향(음의 x축 방향)의 일측면(양의 y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3연장부(503T)와, 제1연장부(501T) 및 제3연장부(503T)를 연결하는 제2연장부(502T)를 구비한다. 제2연장부(502T)는 제1연장부(501T) 및 제3연장부(503T)와 평행한 xy평면에 수직한 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즉, R상 전환부(500R)는 제1방향(양의 y축 방향)의 개구부(504R)를 갖는 'ㄷ'자 단면 형상이고, T상 전환부(500T)는 제1방향의 역방향인 제2방향(음의 y축 방향)의 개구부(504T)를 갖는 'ㄷ'자 단면 형상이다. 이때, R상 전환부(500R)의 개 구부(504R)에 T상 전환부(500T)의 일부인 제1연장부(501T)가 삽입되며 T상 전환부(500T)의 개구부(504T)에 R상 전환부(500R)의 일부인 제1연장부(501R)가 삽입된다.
정리하면, 상 전환을 위하여 'ㄷ'자 단면 형상을 갖는 R상 전환부(500R) 및 T상 전환부(500T)는 전기적 절연을 위하여 서로 우회하며, 배치 공간 감소를 위하여 서로 포개지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때, S상 버스 바(400S, 400S')는 상류측 및 하류측에서 공통적으로 z축 방향 가운데에 배치되므로 상 배열을 전환할 필요성이 없다. 따라서, S상 전환부(500S)는 '1'자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S상 전환부(500S)는 R상 전환부(500R) 및 T상 전환부(500T) 사이에 배치되므로 'ㄷ'자 단면 형상을 가지며 일부 포개지는 R상 전환부(500R) 및 T상 전환부(500T)에 의하여 포위된다.
즉, 상기 R 상 전환부(500R)의 개구부에 T상 전환부(500T)의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T상 전환부(500T)의 개구부에 R상 전환부(500R)의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R상 전환부(500R), T상 전환부(500T) 및 상기 S상 전환부(500S)는 일정 갭을 두고 상호 적층된 형태로 배열된다.
R상, S상, T상 등 3개의 상별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버스 관로(100)에 대하여 상 배열을 전환하는 경우, 'ㄷ'자 단면 형상을 갖는 전환부를 2개 마련하고, 가운데 배치된 상에 대하여는 상 전환이 없는 '1'자 단면 형상의 전환부를 1개 마련하며, 이들 3개의 전환부를 어느 하나의 특정 위치(도 3의 절단면 A-A'위치)에 마련함으로써, 2개의 상에 대하여는 상 배열을 전환하고 가운데 배치된 상에 대하여는 상 배열을 유지한다. 이렇게 하면 도 7과 같이, 배전부(200)의 상 배열인 T-S-R 순서를 수전부(300)의 상 배열인 T-S-R 순서로 만들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만약, R상, S상, T상, N상 등 4개의 상별로 전기 에너지는 전달하는 버스 관로에 대하여도 본 고안과 동일한 사상의 상 전환 유니트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3과 유사하게 배전부에 T-S-R-N 순서로 상 배열되고, 수전부에 T-S-R-N 순서로 상 배열되도록 하는 상 전환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개념으로서 도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느 하나의 특정 위치인 제1위치(도 3의 절단면 A-A'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술한 T-S-R 배열의 실시예에서 외곽에 배열된 2개의 상(T상 및 R상)에 대응하여 2개의 상 배열을 전환할 수 있도록 여기서 설명하는 T-S-R-N 배열에서 외곽에 배열된 2개의 상(T상 및 N상)에 대하여 'ㄷ'자 단면 형상의 T상 전환부 및 N상 전환부를 도 5와 유사하게 공간상에서 포개지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상 전환이 없는 '1'자 단면 형상의 S상 전환부 및 R상 전환부를 도 5와 유사하게 커버의 중앙부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T상 전환부 및 N상 전환부에 의하여 포위되도록 배치한다.
다음으로 T-S-R-N 배열에서 가운데 배열된 2개의 상(S상 및 R상)에 대하여 상 배열을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위치로부터 x축 방향으로 이격된 제2위치에 'ㄷ'자 단면 형상의 S상 전환부 및 R상 전환부를 커버의 중앙부에 배치한다. 이때, '1'자 단면 형상의 T상 전환부 및 N상 전환부는 이들을 포위하는 위치에 배치한다.
이를 통하여 도 7의 T-S-R 배열과 유사하게 배전부의 T-S-R-N 배열을 수전부에서도 T-S-R-N 배열이 되게 할 수 있다. 이 개념을 확장하면 5상 이상의 배열에 대하여도 본 고안과 일 실시예 개념의 상 전환 유니트를 마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 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과 대비되는 비교 실시예로서, 상 전환 유니트가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 버스 관로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비교 실시예에 해당하는 버스 관로의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는 버스 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버스 관로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버스 관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절단면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상 전환 유니트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버스 관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버스 관로(bus way) 100a...상류측 버스 관로
100b...하류측 버스 관로 140...케이스(case)
200...배전부 300...수전부
400R, 400R'...R상 버스 바(R phase bus bar)
400S, 400S'...S상 버스 바(S phase bus bar)
400T, 400T'...T상 버스 바(T phase bus bar)
500...상 전환 유니트 500R...R상 전환부
500S...S상 전환부 500T...T상 전환부
501R, 501T...제1연장부 502R, 502T...제2연장부
503R, 503T...제3연장부 540...커버(cover)
550...볼트(bolt) 560...커넥터(connector)

Claims (7)

  1. 외장을 형성하는 케이스;
    배전부에서 수전부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를 따라 각 상별로 연장되는 R상 버스 바, S상 버스 바 및 T상 버스 바;
    상기 배전부에 연결된 상류측 버스 관로의 상 배열에 대하여 상기 수전부에 연결된 하류측 버스 관로의 상 배열을 전환하는 상 전환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 전환 유니트는, R상 버스를 연결하는 R상 전환부와, 상기 S상 버스 바를 연결하는 S상 전환부와, 상기 T상 버스 바를 연결하는 T상 전환부를 구비하며,
    상기 R상 전환부는 제1방향의 개구부를 갖는 'ㄷ'자 단면 형상이고,
    상기 T상 전환부는 상기 제1방향와 마주보는 제2방향의 개구부를 갖는 'ㄷ'자 단면 형상이며,
    상기 R 상 전환부의 개구부에 T상 전환부의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T상 전환부의 개구부에 R상 전환부의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R상 전환부, T상 전환부 및 상기 S상 전환부는 일정 갭을 두고 상호 적층된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관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 전환 유니트는,
    상기 상류측 버스 관로의 어느 한 상의 버스 바의 연장 방향의 일측면으로 돌출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하류측 버스 관로의 상기 제1연장부와 동일 상의 버스 바의 연장 방향의 일측면으로 돌출되는 제3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3연장부를 연결하는 제2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관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 전환 유니트는,
    상기 상류측 버스 관로의 버스 바 및 상기 하류측 버스 관로의 버스 바를 각 상별로 연결하는 복수의 전환부와, 상기 전환부를 감싸서 보호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상기 케이스에 연결하는 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관로.
  7. 삭제
KR2020080017539U 2008-12-31 2008-12-31 상 전환 유니트를 포함한 버스 관로 KR2004524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539U KR200452433Y1 (ko) 2008-12-31 2008-12-31 상 전환 유니트를 포함한 버스 관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539U KR200452433Y1 (ko) 2008-12-31 2008-12-31 상 전환 유니트를 포함한 버스 관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115U KR20100007115U (ko) 2010-07-08
KR200452433Y1 true KR200452433Y1 (ko) 2011-02-28

Family

ID=44244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7539U KR200452433Y1 (ko) 2008-12-31 2008-12-31 상 전환 유니트를 포함한 버스 관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43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2981U (ko) * 1974-02-26 1975-09-13
JPH08126182A (ja) * 1994-10-24 1996-05-17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ブスバー相変換部構造
JP2000037019A (ja) * 1998-07-15 2000-02-02 Mitsubishi Cable Ind Ltd バスダクト用分岐接続部
JP2002233039A (ja) * 2001-02-02 2002-08-16 Kyodo Ky Tec Corp バスダクト接続方式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2981U (ko) * 1974-02-26 1975-09-13
JPH08126182A (ja) * 1994-10-24 1996-05-17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ブスバー相変換部構造
JP2000037019A (ja) * 1998-07-15 2000-02-02 Mitsubishi Cable Ind Ltd バスダクト用分岐接続部
JP2002233039A (ja) * 2001-02-02 2002-08-16 Kyodo Ky Tec Corp バスダクト接続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115U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4548B2 (en) Photovoltaic power plant with minimized power collection losses
EP2919318A1 (en) Base station antenna feed network
RU2009138731A (ru) Узел конце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US7595445B2 (en) Transposition device for a prefabricated electrical canalization
KR20060102280A (ko) 가스 절연 개폐 장치
WO1991020115A1 (en) Two cord connector system for prefabricated panels
US20030194884A1 (en) Electrical distribution block
CN103190038A (zh) 具有用于连接器的电接触装置的围罩的连接器
CN104685758A (zh) 具有模块化架构的ups系统
JP4990363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EP2148401B1 (en) Gas insulation switching device
JP2007259681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20030044020A (ko) 대향 버스바아 및 이를 위한 차폐 차단과 스위칭 모듈을갖춘 고전압 하이브리드 스테이션
KR200452433Y1 (ko) 상 전환 유니트를 포함한 버스 관로
JP2003189430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US6509522B1 (en) Three-phase integrated gas insulated bus
CA3102784C (en) Hybrid power and fiber optic distribution panels
KR20000005956A (ko) 가스절연개폐장치
CN210985219U (zh) 一种高压母线转角柜
CN105900301A (zh) 气体绝缘开关装置
CN103674216A (zh) 基于多分支电缆的称重传感器拓扑网络
CN202503253U (zh) 应用于高压电缆开关分界箱上的分路套管
JP2642483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CN201018238Y (zh) 可调长度母线连接结构
US20220416520A1 (en)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cables comprising a plate with electrically insulated ducts surrounding busba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