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072Y1 - 부스 관로 장치 - Google Patents

부스 관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072Y1
KR200452072Y1 KR2020080017506U KR20080017506U KR200452072Y1 KR 200452072 Y1 KR200452072 Y1 KR 200452072Y1 KR 2020080017506 U KR2020080017506 U KR 2020080017506U KR 20080017506 U KR20080017506 U KR 20080017506U KR 200452072 Y1 KR200452072 Y1 KR 2004520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busbar
booth
phase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75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089U (ko
Inventor
주지증
정찬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75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07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0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0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0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0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Abstract

본 고안은 부스 관로 장치에 있어서, 온도 변화에 따른 팽창 및 수축을 감당하면서 모선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으며 통전 전류량의 증가에 따른 부스 관로 장치의 크기 증가가 최소화될 수 있는 부스 관로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라서, 교류의 상별로 마련되는 다수의 제 1 모선; 상기 제 1 모선과 대응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 1 모선으로부터 이격되는 다수의 제 2 모선; 상기 제 1 모선과 제 2 모선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상기 제 1 모선과 제 2 모선 사이에 접속되고, 열에 의한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가요성 부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관로 장치가 개시된다.
부스 관로 장치(bus way apparatus), 가요성 부스바

Description

부스 관로 장치{BUS WAY APPARATUS}
본 고안은 교류 600볼트(Volts)이하의 적어도 3상의 교류 전류를 통전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부스 관로 장치에 있어서, 통전 전류에 따른 열에 의한 팽창 및 수축을 감당할 수 있고 통전 전류량의 증가에 따른 크기 증가가 최소화될 수 있는 부스 관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 모선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교류 600볼트(Volts)이하의 3상 또는 접지 상(중성 상)을 포함하는 4상(극)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류 통로에 있어서, 종래기술에 따른 전류 통로는 양 모선 사이를 상 별의 케이블(cable)로 접속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통전 전류량이 증가함에 따라 케이블의 직경이 증가해야 하고, 그에 따라 상별 케이블 간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 양 모선 사이를 접속하는 부스 관로 장치의 크기가 크게 증가하며, 부스 관로 장치의 제조 비용 또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부스 관로 장치에 있어서 통전 전류량에 따른 열에 따라 상별 케이블이 팽창 및 수축하는 것을 케이블로 감당하기 위해서는 모선 사이의 거리보다 긴 케이블을 상별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늘어진 긴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해 부스 관로 장치의 크기가 증대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부스 관로 장치에 있어서 양 모선간을 접속하는 상 별 전류통로가 양 모선간 거리보다 길 필요가 없고 팽창 수축이 가능한 개선된 부스 관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부스 관로(bus way) 장치에 있어서,
교류의 상별로 마련되는 다수의 제 1 모선;
상기 제 1 모선과 대응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 1 모선으로부터 이격하여 마련되는 다수의 제 2 모선;
상기 제 1 모선과 제 2 모선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상기 제 1 모선과 제 2 모선 사이에 접속되고, 열에 의한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가요성 부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부스 관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부스 관로 장치는 양 모선 간 전기적 접속 통로로서 가요성 구리 부스바를 접속함으로써, 통전 전류에 의한 열 팽창 또는 수축을 감당할 수 있고, 상별 부스바가 얇아서 통전 전류량이 증대되었을 때 상별 절연 거리를 확보하는 데 있어서 상별 접속 통로간 절연거리를 크게 증가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부스 관로 장치의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고, 제작비용도 절감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이를 달성하는 본 고안의 구성 및 그의 작용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좀 더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부스 관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 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스 관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스 관로 장치의 부분 확대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부스 관로 장치를 4상(극) 부스 관로 장치로 구성한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양 모선간 접속용 가요성 부스바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부스 관로(bus way)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스 관로(102)는 도 1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의 양 "T"자형 지지대사이에 예컨대 3상 교류의 3개의 상별 모선이 종단면이 사각형인 관로내에 수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통전경로 장치이다.
본 고안에 따른 부스 관로(bus way) 장치는 도 1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부스 관로(102)에 있어서 통전전류에 의한 열 팽창 및 수축을 감당하기 위해서 마련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부스 관로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제 1 모선(103), 다수의 제 2 모선(104) 및 가요성 부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수의 제 1 모선(103)은 교류의 상별로 마련되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실시 예의 제 1 모선(103)은 3상 교류의 모선이므로 R상. S상, T상의 3상에 대응하게 3개가 마련된다.
다수의 제 2 모선(104)은 제 1 모선(103)과 대응하게 제 1 모선(103)으로부터 이격하여 마련되며, 제 1 모선(103)과 마찬가지로 제 2 모선(104)도 3상 교류의 모선이므로 R상. S상, T상의 3상에 대응하게 3개가 마련된다.
상기 가요성 부스바는 제 1 모선(103)과 제 2 모선(104)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제 1 모선(103)과 제 2 모선(104) 사이에 접속되고, 열에 의한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가요성 부스바는 R상 가요성 부스바(107a), S상 가요성 부스바(107b), T상 가요성 부스바(107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요성 부스바로서, R상 가요성 부스바(107a), S상 가요성 부스바(107b), T상 가요성 부스바(107c)는 다수의 미세한 구리선을 직물과 같이 직조하여 사각형의 부스바형태로 형성한 편조선 구리 부스바(flexible copper braid busbar)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모선(103) 및 제 2 모선(104)과 R상 가요성 부스바(107a), S상 가요성 부스바(107b), T상 가요성 부스바(107c)간의 접속은 다수의 볼트(105)와 너트(106)에 의해 이루어진다. R상 가요성 부스바(107a), S상 가요성 부스바(107b), T상 가요성 부스바(107c)는 제 1 모 선(103) 및 제 2 모선(104)과 접속되는 부분, 즉 볼트(105)와 너트(106)에 의해 제 1 모선(103) 및 제 2 모선(104)과 접속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절연 피복으로 덮여 있어 상간 절연성이 우수하다.
도 1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부스 관로 장치는 외함(101)과, 접지 바(earth bar)(110) 및 보강대(10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함(101)은 상기 부스 관로 장치를 내부에 수용하는 인클로져(enclosure)이다.
접지 바(110)는 외함(101)의 양측면에 접속 설치되어 외함(101)을 접지할 수 있으며, 이때 접지 바(110)에는 미도시의 접지선이 지면, 건물벽 또는 건물에 매입된 수도관등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접지 바(110)는 전기적 도체로 된 판상, 관상 또는 선형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보강대(109)는 외함(101)의 양측면에 접속 설치되어 외함(101)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도록 사용되었다.
도 3에 있어서, 미 설명 부호 107은 R상 가요성 부스바(107a), S상 가요성 부스바(107b), T상 가요성 부스바(107c)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고, 부호 108은 볼트 삽입을 허용하는 체결공이며, 미 설명 부호 111은 외함의 상하면을 덮기 위한 커버(cover)이고, 미 설명 부호 112는 외함(101)을 부스 관로(102)에 고정접속하기 위한 외함 고정볼트이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부스 관로 장치를 4상(극) 부스 관로 장치로 구성한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스 관로 장치는 4상(4극) 교류의 통전을 위한 부스 관로(102)에 있어서 통전전류에 의한 열 팽창 및 수축을 감당하기 위해서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 있어서 앞서 기술한 실시 예와 달라진 구성상의 차이점은 제 1 모선(103) 및 제 2 모선(104)이 R상, S상, T상 외에 접지상 또는 중성상 또는 N상으로 불리는 상용으로 각각 4개로 구성되며, 접지 상인 중성 상 즉 N상 가요성 부스바(107d)가 추가된 것 뿐이다. 따라서, 중복되는 기설명한 부분의 기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가요성 부스바는, 가요성 동판 션트 부스바(flexible copper plate shunt busbar)(107-1)로 구성될 수 있다. 가요성 동판 션트 부스바(107-1)는 박막으로 된 동막들을 다수 적층하여 양 단부를 압착하고 용접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요성 동판 션트 부스바(107-1)도 상기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과 접속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상간 전기적 절연을 위해서 절연 피복으로 덮힌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부스 관로 장치는 양 부스 관로(102)사이에서 서로 이격된 제 1 모선(103) 및 제 2 모선(104)과 이들 간을 접속하는 R상 가요성 부스바(107a), S상 가요성 부스바(107b), T상 가요성 부스바(107c) 및 N상 가요성 부스바(107d)에 의해서, 양 부스 관로(102)사이에서 제 1 모선(103) 및 R상 가요성 부스바(107a), S상 가요성 부스바(107b), T상 가요성 부스바(107c) 및 N상 가요성 부스바(107d)를 경유하여 제 2 모선(104)쪽으로 상 별 전류가 통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부스 관로 장치는 양 모선 간 전기적 접속 통로로서 가요성 부스바를 접속함으로써, 통전 전류에 의한 열 팽창 또는 수축을 감당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부스 관로 장치는, 상별 부스바가 얇아서 통전 전류량이 증대되었을 때 상별 절연 거리를 확보하는 데 있어서 상별 접속 통로간 절연거리를 크게 증가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부스 관로 장치의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고, 제작비용도 절감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부스 관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 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스 관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스 관로 장치의 부분 확대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부스 관로 장치를 4상(극) 부스 관로 장치로 구성한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양 모선간 접속용 가요성 부스바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외함 102: 부스 관로
103: 제 1 모선 104: 제 2 모선
105: 볼트 106: 너트
107a: R상 가요성 부스바 107b: S상 가요성 부스바
107c: T상 가요성 부스바 107d: N상 가요성 부스바
107-1: 가요성 동판 션트 부스바(flexible copper plate shunt busbar)
108: 체결공 109: 보강대
110: 접지바(earthing bar) 111: 커버(cover)
112: 외함 고정볼트

Claims (5)

  1. 부스 관로(bus way) 장치에 있어서,
    교류의 상별로 마련되는 다수의 제 1 모선;
    상기 제 1 모선과 대응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 1 모선으로부터 이격하여 마련되는 다수의 제 2 모선;
    상기 제 1 모선과 제 2 모선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상기 제 1 모선과 제 2 모선사이에 접속되고, 열에 의한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가요성 부스바;
    상기 부스 관로 장치를 내부에 수용하는 외함;
    상기 외함의 양측면에 접속 설치되어 상기 외함을 접지하는 접지 바(earth bar); 및
    상기 외함의 양측면에 접속 설치되어 상기 외함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관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부스바는,
    편조선 구리 부스바(flexible copper braid busb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관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부스바는,
    가요성 동판 션트 부스바(flexible copper plate shunt busb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관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부스바는,
    상기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과 접속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절연 피복으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관로 장치.
  5. 삭제
KR2020080017506U 2008-12-31 2008-12-31 부스 관로 장치 KR2004520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506U KR200452072Y1 (ko) 2008-12-31 2008-12-31 부스 관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506U KR200452072Y1 (ko) 2008-12-31 2008-12-31 부스 관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089U KR20100007089U (ko) 2010-07-08
KR200452072Y1 true KR200452072Y1 (ko) 2011-02-01

Family

ID=44244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7506U KR200452072Y1 (ko) 2008-12-31 2008-12-31 부스 관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07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841B1 (ko) * 2018-11-27 2020-07-01 한국중부발전(주) 발전기 중성점 교차부스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224A (ja) * 1999-04-27 2000-11-14 Mitsubishi Electric Corp 可撓性導体及び可撓性接続部材
JP2002233039A (ja) * 2001-02-02 2002-08-16 Kyodo Ky Tec Corp バスダクト接続方式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224A (ja) * 1999-04-27 2000-11-14 Mitsubishi Electric Corp 可撓性導体及び可撓性接続部材
JP2002233039A (ja) * 2001-02-02 2002-08-16 Kyodo Ky Tec Corp バスダクト接続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089U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6219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US4008365A (en) Bus tray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CA2740886C (en) Continuous flexible bus
US10693282B2 (en) Electrical power supply structures
CA2673143A1 (en) Electrical busway and offset coupling assembly therefor
KR200452072Y1 (ko) 부스 관로 장치
US2906808A (en) Bus bar distribution system
KR200438500Y1 (ko) 분전반 내부 전선용 지지바
US20010039133A1 (en) Electric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system
KR101151938B1 (ko) 배전반
KR101120596B1 (ko) 조립식 표준 분전반
KR101610811B1 (ko) 상전환용 부스덕트
JP2642483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00967735B1 (ko) 부스 덕트장치용 트위스트 피더
KR101825604B1 (ko)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JP2013240129A (ja) ワイヤハーネス
US6975505B2 (en) Electrical service entrance with neutral
JP3767227B2 (ja) ガス絶縁電気装置
KR101448160B1 (ko) 적층 구조식 모듈형 전원 연결장치
EP4102665A1 (en) Electrical busway assembly
JP2503281Y2 (ja) 接地端子付pc板
KR20230147261A (ko) 전력케이블의 균형접지접속 및 임피던스접지선
KR20230151225A (ko) 전력케이블의 균형접지접속 및 임피던스접지선
KR20230056876A (ko) 강자성체를 활용한 절연차폐매트 그리고 이를 적용한 전력케이블 구조물
JPS6040243B2 (ja) ケ−ブルの布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