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417Y1 - 원통형 쿠션 벨트를 이용한 소파 쿠션장치 - Google Patents

원통형 쿠션 벨트를 이용한 소파 쿠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417Y1
KR200452417Y1 KR2020110000622U KR20110000622U KR200452417Y1 KR 200452417 Y1 KR200452417 Y1 KR 200452417Y1 KR 2020110000622 U KR2020110000622 U KR 2020110000622U KR 20110000622 U KR20110000622 U KR 20110000622U KR 200452417 Y1 KR200452417 Y1 KR 2004524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seat
sofa
fram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6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재
Original Assignee
임진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진재 filed Critical 임진재
Priority to KR2020110000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4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4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4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12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tensioned springs, e.g. flat type
    • A47C23/18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tensioned springs, e.g. flat type of resilient webb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12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tensioned springs, e.g. flat type
    • A47C23/26Frames therefor; Connecting the springs to the frame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파의 좌판과 등받이의 프레임에 원활하게 쿠션 작용을 할 수 있는 경량의 내구성을 구비한 쿠션 장치를 용이하게 장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소파를 안락한 상태에서 장기간 사용할 수 있어서 소파의 사용 수명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쿠션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외관의 미감을 유지할 수 있고, 쿠션 장치로부터 부스러기 등과 같은 이물질이 소파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소파 주변을 항상 깨끗하고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쿠션 장치가 사용중 좌,우 방향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 수명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으며, 쿠션 장치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통형 쿠션 벨트를 이용한 소파 쿠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통형 쿠션 벨트를 이용한 소파 쿠션장치{Cylinder type cushion belt using sofa cushion device}
본 고안은 원통형 쿠션 벨트를 이용한 소파 쿠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파의 좌판과 등받이의 프레임에 원활하게 쿠션 작용을 할 수 있는 경량의 내구성을 구비한 쿠션 장치를 용이하게 장착시켜 사용자가 소파를 안락한 상태에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파는 사용자가 앉기 위한 쿠션 시트, 등을 기대기 위한 등받이 및 양팔을 올려놓기 위한 팔걸이가 구비되어 있고, 특히 상기 쿠션 시트 저부의 프레임에는 쿠션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쿠션 장치가 장착되며, 또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외부에서 그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마감 처리하기 위해 천이나, 인조 합피 등을 씌워주게 되고, 이 천이나 인조 합피 상에 사용자가 앉기 위한 쿠션 시트를 올려놓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쿠션 장치를 대나무 살, 바, 또는 판 등과 같은 목재를 사용하여 격자상으로 역어서 설치하는 경우 쿠션 장치의 강도가 취약하여 장기간 사용시 삭아서 부스러져 소파 주위에 목재 부스러기 등과 같은 이물질이 떨어지거나,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됨은 물론, 틀어짐 등과 같은 변형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사용 수명이 저하되며, 사용시 쿠션 시트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하중이 많이 가해지는 부위에는 쿠션이 크게 작용하고, 하중이 비교적 적게 가해지는 가장자리 부위에는 쿠션 작용이 적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인해 결국 장기간 사용시 하중이 많이 가해지는 부위의 쿠션 장치가 탄성력을 잃게 되어 쿠션 시트가 처지게 됨으로써 소파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쿠션 장치를 복수개의 원통형 스프링 등으로 된 금속재를 사용하여 설치하는 경우 이러한 스프링의 설치 작업은 고도의 숙련자만이 작업이 가능하므로 인해 이에 따른 작업상의 어려움과 함께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고, 장기간 사용시 쿠션 장치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녹이 발생하게 되어 쿠션 장치의 강도가 취약해져 내구성이 저하되며, 이 녹 부스러기 등과 같은 이물질이 소파 주위에 떨어지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소파의 좌판과 등받이의 프레임에 원활하게 쿠션 작용을 할 수 있는 경량의 내구성을 구비한 쿠션 장치를 손쉽게 장착시켜 사용자가 소파를 안락한 상태에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소파의 사용 수명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쿠션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외관의 미감을 유지할 수 있은 물론, 쿠션 장치로부터 부스러기 등과 같은 이물질이 소파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소파 주변을 항상 깨끗하고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쿠션 장치가 사용중 좌,우 방향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 수명 및 쿠션 기능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원통형 쿠션 벨트를 이용한 소파 쿠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사용자가 앉기 위한 쿠션 시트와, 등을 기대기 위한 등받이 및 양팔을 올려놓기 위한 팔걸이가 구비되고, 상기 쿠션 시트 저부의 프레임에는 쿠션 장치가 장착되는 소파에 있어서, 상기 쿠션 시트가 안착되며 각각 등간격으로 상호 대향되는 복수개의 지지홈이 형성되고 이 각각의 지지홈의 하부 중앙에는 안착홈이 요입 형성되며 각각의 지지홈 단부에는 각각 상호 대향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시트 전방 및 후방 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안착홈에 상호 대향되도록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 부재와, 상기 시트 전방 및 후방 프레임 사이의 고정 부재에 각각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 강재의 양단이 상호 고정되고 각각의 상부면 양단은 시트 전방 및 후방 프레임의 통공을 관통하여 시트 전방 및 후방 프레임을 감싼 후 시트 전방 및 후방 프레임에 고정되는 시트 쿠션벨트와, 상기 시트 후방 프레임 후방의 등받이 하부 프레임과 등받이 상부 프레임의 사이에 내부에 탄성 밴드가 삽입된 양단을 고정시키되 각각의 일단은 등받이 상부 프레임에 감은 후 고정되고 각각의 타단은 등받이 하부 프레임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통공을 관통하여 등받이 하부 프레임을 감싼 후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되는 등받이 쿠션벨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쿠션 벨트를 이용한 소파 쿠션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트 및 등받이 쿠션벨트는 가죽 재질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 강재는 U자형의 굴곡이 길이 방향으로 반복 형성되는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밴드는 신축성이 있는 고무 재질로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소파의 좌판과 등받이의 프레임에 원활하게 쿠션 작용을 할 수 있는 경량의 내구성을 구비한 쿠션 장치를 용이하게 장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소파를 안락한 상태에서 장기간 사용할 수 있어서 소파의 사용 수명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쿠션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외관의 미감을 유지할 수 있고, 쿠션 장치로부터 부스러기 등과 같은 이물질이 소파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소파 주변을 항상 깨끗하고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쿠션 장치가 사용중 좌,우 방향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 수명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으며, 쿠션 장치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많은 장점이 구비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파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쿠션 시트가 제거된 상태의 소파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고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을 통틀어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실시예들이 실시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쿠션 시트가 제거된 상태의 소파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원통형 쿠션 벨트를 이용한 소파 쿠션장치는 쿠션 시트(10)가 안착되는 시트 전방 및 후방 프레임(20)(30)에 각각 등간격으로 상호 대향되는 복수개의 지지홈(22)(32)이 형성되고, 이 각각의 지지홈(22)(32)의 하부 중앙에는 안착홈(24)(34)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시트 전방 및 후방 프레임(20)(30)의 각각의 지지홈(22)(32) 단부에는 각각 상호 대향되는 통공(26)(36)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안착홈(24)(34)에는 갈고리 형상으로 된 고정 부재(40)가 상호 대향되도록 삽입되어 이 각각의 고정 부재(40)의 후방을 볼트 등과 같은 체결 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시트 전방 및 후방 프레임(20)(30)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시트 전방 및 후방 프레임(20)(30) 사이의 각각의 지지홈(22)(32) 하부 중앙에 형성되어 상호 대향되는 복수개의 안착홈(24)(34)에 삽입되어 체결되어 있는 고정 부재(40)에는 각각 시트 쿠션장치로서 가죽으로 된 원통형의 시트 쿠션벨트(5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U자형의 굴곡이 길이 방향으로 반복 형성되는 스프링 형상 등으로 된 탄성 강재(60)의 양단이 상호 고정되고, 상기 각각의 시트 쿠션벨트(50)의 상부면 양단은 상기 시트 전방 및 후방 프레임(20)(30)의 각각의 지지홈(22)(32) 단부에 형성되어 각각 상호 대향되는 복수개의 통공(26)(36)을 관통하여 시트 전방 및 후방 프레임(20)(30)을 감싼 후 고정핀이나 볼트 등과 같은 체결 부재가 시트 쿠션벨트(50)의 상부면 양단을 관통하여 시트 전방 및 후방 프레임(20)(3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 후방 프레임(30) 후방의 등받이 하부 프레임(70)에는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통공(72)이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 하부 프레임(70)과 등받이 상부 프레임(80)의 사이에는 각각 등받이 쿠션장치로서 고무 재질로 된 신축성이 있는 탄성 밴드(90)가 내부에 삽입된 가죽으로 된 원통형 등받이 쿠션벨트(52)의 양단을 탄성 밴드(90)와 함께 고정시키되, 상기 각각의 등받이 쿠션벨트(52)의 일단은 상기 등받이 상부 프레임(80)에 감은 후 고정핀이나 볼트 등과 같은 체결 부재가 등받이 쿠션벨트(52)의 일단을 관통하여 등받이 상부 프레임(80)에 고정되고, 상기 각각의 등받이 쿠션벨트(52)의 타단은 등받이 하부 프레임(70)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공(72)을 관통하여 등받이 하부 프레임(70)을 감싼 후 고정핀이나 볼트 등과 같은 체결 부재가 시트 쿠션벨트(50)의 상부면 하단을 관통하여 등받이 하부 프레임(70)에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파의 시트 및 등받이에 쿠션 장치를 장착시키고자 할 때는 먼저, 쿠션 시트(10)가 안착되는 시트 전방 및 후방 프레임(20)(30)에 각각 형성되어 등간격으로 상호 대향되는 각각의 지지홈(22)(32) 하부 중앙에 요입 형성되어 있는 안착홈(24)(34)에 갈고리 형상으로 된 고정 부재(40)를 상호 대향되도록 삽입시킨 후, 이 각각의 고정 부재(40)의 후방을 볼트 등과 같은 체결 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시트 전방 및 후방 프레임(20)(30)에 체결시켜 고정시킨 다음, 상기 각각의 대향되는 고정 부재(40)의 사이에 가죽으로 된 원통형의 시트 쿠션벨트(5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U자형의 굴곡이 길이 방향으로 반복 형성되는 스프링 형상 등으로 된 탄성 강재(60)의 양단을 상호 고정시킨다.
이 후, 상기 각각의 시트 쿠션벨트(50)의 상부면 양단을 상기 시트 전방 및 후방 프레임(20)(30)의 각각의 지지홈(22)(32)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대향되는 통공(26)(36)을 관통하여 시트 전방 및 후방 프레임(20)(30)을 감싼 다음, 고정핀이나 볼트 등과 같은 체결 부재를 시트 쿠션벨트(50)의 상부면 양단을 관통하여 시트 전방 및 후방 프레임(20)(30)에 체결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시트 쿠션장치를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소파에 등받이 쿠션장치를 장착시키고자 할 때는 먼저, 고무 재질로 된 신축성이 있는 탄성 밴드(90)가 내부에 삽입된 가죽으로 된 원통형 등받이 쿠션벨트(50)의 일단을 탄성 밴드(90)와 함께 상기 등받이 상부 프레임(80)에 감은 후, 타가핀이나 볼트 등과 같은 체결 부재를 등받이 쿠션벨트(50)의 일단을 관통하여 등받이 상부 프레임(80)에 체결하여 고정시킨 다음, 상기 각각의 등받이 쿠션벨트(50)의 타단은 등받이 하부 프레임(70)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공(72)을 관통하여 등받이 하부 프레임(70)을 감싼 다음, 고정핀이나 볼트 등과 같은 체결 부재를 시트 쿠션벨트(50)의 상부면 하단을 관통하여 등받이 하부 프레임(70)에 체결시켜 고정시킴으로써 등받이 쿠션장치를 손쉽게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소파에 쿠션 장치를 장착시키고 쿠션 시트를 안치시킨 후, 사용자가 쿠션 시트(10)에 앉게 되면 사용자의 하중이 쿠션 시트(10) 직하방의 시트 전방 및 후방 프레임(20)(30)의 사이에 등간격으로 장착되어 있는 가죽으로 된 복수개의 원통형 시트 쿠션벨트(50)에 가해지게 되는데, 이때 각각의 시트 쿠션벨트(50)의 내부에는 U자형의 굴곡이 길이 방향으로 반복 형성되는 스프링 형상 등으로 된 탄성 강재(60)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이 각각의 탄성 강재(60)가 사용자의 하중에 따른 자체 탄발력에 의해 균일한 상태로 원활하게 쿠션 작용을 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소파의 등받이 상부 및 하부 프레임(80)(70)의 사이에도 고무 재질로 된 신축성이 있는 탄성 밴드(90)가 각각 내부에 삽입된 가죽으로 된 복수개의 원통형 등받이 쿠션벨트(50)가 등간격으로 장착되어 있으므로 인해 경량의 내구성을 구비한 쿠션 장치에 의해 소파의 쿠션 작용을 가일층 증대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가 보다 안락하고 편안한 상태에서 소파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등받이 쿠션장치의 가죽으로 된 등받이 쿠션벨트(50)의 내부에 탄성 강재(60)가 아닌 고무 재질로 된 신축성이 있는 탄성 밴드(90)를 삽입시켜 장착시키는 이유는 소파에서 등받이 부분은 쿠션 시트보다 원활한 쿠션 작용을 필요로 하지는 않기 때문에 소파의 제작 단가 절감 차원에서 탄성 밴드(9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쿠션 장치인 상기 탄성 강재(60)나 탄성 밴드(90)는 가죽으로 된 원통형 시트 및 등받이 쿠션벨트(50)(52)에 각각 내장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으므로 쿠션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외관의 미감을 유지할 수 있고, 쿠션 장치로부터 부스러기 등과 같은 이물질이 소파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소파 주변을 항상 깨끗하고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쿠션 장치가 사용중 좌,우 방향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 수명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0; 쿠션 시트 20; 시트 전방 프레임
30; 시트 후방 프레임 22,32; 지지홈
24,34; 안착홈 26,36,72; 통공
40; 고정 부재 50; 시트 쿠션벨트
52; 등받이 쿠션벨트 60; 탄성 강재
70; 등받이 하부 프레임 80; 등받이 상부 프레임
90; 탄성 밴드

Claims (2)

  1. 사용자가 앉기 위한 쿠션 시트와, 등을 기대기 위한 등받이 및 양팔을 올려놓기 위한 팔걸이가 구비되고, 상기 쿠션 시트 저부의 프레임에는 쿠션 장치가 장착되는 소파에 있어서,
    상기 쿠션 시트(10)가 안착되며 각각 등간격으로 상호 대향되는 복수개의 지지홈(22)(32)이 형성되고 이 각각의 지지홈(22)(32)의 하부 중앙에는 안착홈(24)(34)이 요입 형성되며 각각의 지지홈(22)(32) 단부에는 각각 상호 대향되는 통공(26)(36)이 형성되는 시트 전방 및 후방 프레임(20)(30)과,
    상기 각각의 안착홈(24)(34)에 상호 대향되도록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 부재(40)와,
    상기 시트 전방 및 후방 프레임(20)(30) 사이의 고정 부재(40)에 각각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 강재(60)의 양단이 상호 고정되고 각각의 상부면 양단은 시트 전방 및 후방 프레임(20)(30)의 통공(26)(36)을 관통하여 시트 전방 및 후방 프레임(20)(30)을 감싼 후 시트 전방 및 후방 프레임(20)(30)에 고정되는 시트 쿠션벨트(50)와,
    상기 시트 후방 프레임(30) 후방의 등받이 하부 프레임(70)과 등받이 상부 프레임(80)의 사이에 내부에 탄성 밴드(90)가 삽입된 양단을 고정시키되 각각의 일단은 등받이 상부 프레임(80)에 감은 후 고정되고 각각의 타단은 등받이 하부 프레임(70)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통공(72)을 관통하여 등받이 하부 프레임(70)을 감싼 후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되는 등받이 쿠션벨트(5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쿠션 벨트를 이용한 소파 쿠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40)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트 및 등받이 쿠션벨트(50)(52)는 가죽 재질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 강재(60)는 U자형의 굴곡이 길이 방향으로 반복 형성되는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밴드(90)는 신축성이 있는 고무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쿠션 벨트를 이용한 소파 쿠션장치.
KR2020110000622U 2011-01-21 2011-01-21 원통형 쿠션 벨트를 이용한 소파 쿠션장치 KR2004524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622U KR200452417Y1 (ko) 2011-01-21 2011-01-21 원통형 쿠션 벨트를 이용한 소파 쿠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622U KR200452417Y1 (ko) 2011-01-21 2011-01-21 원통형 쿠션 벨트를 이용한 소파 쿠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417Y1 true KR200452417Y1 (ko) 2011-02-25

Family

ID=44244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622U KR200452417Y1 (ko) 2011-01-21 2011-01-21 원통형 쿠션 벨트를 이용한 소파 쿠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4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917B1 (ko) 2012-11-08 2014-01-24 주식회사 신일퍼니처 의자용 하부 지지 구조체의 제조방법.
CN116021787A (zh) * 2023-02-09 2023-04-28 天长市西达克家居有限公司 一种沙发床架加工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459A (ko) * 1991-08-26 1993-03-22 원본미기재 미확인(Mystery)돼지 질병 관련 바이러스제
JPH09391A (ja) * 1995-06-23 1997-01-07 Meiwa Kogyo Kk 寝具等用の帯状封入剤シート
KR100936135B1 (ko) 2007-12-10 2010-01-11 김유정 황토소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459A (ko) * 1991-08-26 1993-03-22 원본미기재 미확인(Mystery)돼지 질병 관련 바이러스제
JPH09391A (ja) * 1995-06-23 1997-01-07 Meiwa Kogyo Kk 寝具等用の帯状封入剤シート
KR100936135B1 (ko) 2007-12-10 2010-01-11 김유정 황토소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917B1 (ko) 2012-11-08 2014-01-24 주식회사 신일퍼니처 의자용 하부 지지 구조체의 제조방법.
CN116021787A (zh) * 2023-02-09 2023-04-28 天长市西达克家居有限公司 一种沙发床架加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33193A1 (en) Vehicle seat
CN108778064B (zh) 用于软垫家具或车辆座的座部分或床部分或靠背的垫子的泡沫芯
WO2011099522A1 (ja) 椅子用張材の張設構造
KR20150004485U (ko) 스프링 탄성유지수단이 구비된 쇼파용 쿠션좌판
KR200452417Y1 (ko) 원통형 쿠션 벨트를 이용한 소파 쿠션장치
US20150021971A1 (en) Internal support for a backrest for a chair
US4518202A (en) Seating piece of furniture
KR20130015525A (ko) 가구 프레임 체결용 탄성 밴드 조립체
KR20190001833U (ko) 소파용 스프링 조립체
KR20090124048A (ko) 의자 등받이부 체결용 탄성결합부재
KR20170006434A (ko) 스프링조립체를 내장한 소파쿠션장치
KR20120055217A (ko) 요추받침 기능을 갖는 의자용 등받이
KR100526444B1 (ko) 의자 등받이 및 좌판의 탄성 결합 구조
KR200157726Y1 (ko) 쇼파용 의자 쿠션장치
CN202520857U (zh) 嵌入式定位扣
KR101052235B1 (ko) 등받이
KR102640856B1 (ko) 긴장 견인 및 고정수단이 부가된 등받이 의자용 메쉬형 좌판
KR20160000233U (ko) 스프링 탄성유지수단이 구비된 쇼파용 쿠션좌판
KR200375178Y1 (ko) 의자용 이중 등받이 결합구조
KR100973596B1 (ko) 의자 등받이의 완충장치
KR101128743B1 (ko) 의자용 등받이 커버기구
CN209955821U (zh) 一种超薄型汽车座椅靠背
US5678261A (en) Cushion device
JP7121600B2 (ja) 椅子
KR200333967Y1 (ko) 의자 등받이 및 좌판의 탄성 결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